세계 쇼트트랙 팀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쇼트트랙 팀 선수권 대회는 1991년부터 2011년까지 개최된 국제 쇼트트랙 대회이다.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 캐나다, 중국, 이탈리아 등이 우승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20개의 금메달로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고, 캐나다와 중국이 그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폐지된 스포츠 행사 - 인터콘티넨털컵 (야구)
인터콘티넨털컵은 국제야구연맹 주관으로 1973년 창설되어 2011년 폐지된 야구 국가대표팀 국제 대회로, 아마추어 야구 강국들이 참가하며 프로 야구 발전과 함께 운영 방식에 변화가 있었고, 대한민국은 1977년 우승했으며 김재박 감독과 선동열 선수가 관련 인물로 알려져 있다. - 2011년 폐지된 스포츠 행사 - 야구 월드컵
야구 월드컵은 국제 야구 연맹이 주최하여 1938년부터 2011년까지 총 38번 개최된 국제 야구 대회이며, 쿠바가 최다 우승국이고 대한민국은 1982년 자국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개최 이후 폐지되었다. - 쇼트트랙 대회 -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국제빙상경기연맹 주관으로 1976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최고 권위의 대회로, 대한민국은 1980년대 중반부터 두각을 나타내 2000년대 이후 중국과 함께 쇼트트랙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 쇼트트랙 대회 -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국제빙상경기연맹 주관으로 19세 미만 선수들이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실력을 겨루는 대회로, 쇼트트랙 유망주 발굴 및 육성과 대한민국 쇼트트랙 위상 강화에 기여해왔다. - 1991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여자 럭비 월드컵
여자 럭비 월드컵은 월드 럭비 주관의 최상위 여자 럭비 유니언 대회로, 1991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개최 주기가 변경되어 현재는 홀수 해에 열리며, 뉴질랜드가 최다 우승국이다. - 1991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CONCACAF W 챔피언십
CONCACAF W 챔피언십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주관의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이며, FIFA 여자 월드컵, 하계 올림픽, CONCACAF W 골드컵 예선을 겸하고, 미국이 최다 우승을 기록하였다.
세계 쇼트트랙 팀 선수권 대회 | |
---|---|
기본 정보 |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성격 | 팀 경기 |
창설 | 2001년 |
주관 | ISU |
최다 우승 국가 | 대한민국 (남자 7회, 여자 6회) |
역대 대회 | |
2001년 | 대한민국 용인 |
2002년 | 캐나다 몬트리올 |
2003년 | 헝가리 부다페스트 |
2004년 | 프랑스 생테티엔 |
2005년 | 대한민국 춘천 |
2006년 | 캐나다 몬트리올 |
2007년 | 헝가리 부다페스트 |
2008년 | 중국 하얼빈 |
2009년 | 네덜란드 헤이렌베인 |
2010년 | 정보 없음 (대회 취소) |
2011년 | 폴란드 바르샤바 |
2012년 | 중국 상하이 |
2013년 | 보스턴 |
2014년 | 캐나다 몬트리올 |
남자부 최다 우승 | |
횟수 | 7회 |
국가 | 대한민국 |
여자부 최다 우승 | |
횟수 | 6회 |
국가 | 대한민국 |
2. 역대 대회 결과
세계 쇼트트랙 팀 선수권 대회의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91년 | 서울 | 일본 남자 Canada|캐나다영어 여자 | 대한민국 남자, 여자 China|중국중국어 (여자) | 캐나다 남자 |
1992년 | 미나미마키 | 대한민국 (남녀) | 이탈리아 남자 Japan|일본일본어 여자 | 일본 남자 China|중국중국어 여자 |
1993년 | 부다페스트 | 이탈리아 (남녀) | 캐나다 남자 대한민국 여자 | 대한민국 남자 Russia|러시아ru 여자 |
1994년 | 케임브리지 | 대한민국 남자 Canada|캐나다영어 여자 | 캐나다 남자 대한민국 여자 | 이탈리아 (남녀) |
1995년 | 주떼메르 | 캐나다 남자 대한민국 여자 | 대한민국 남자 China|중국중국어 여자 | 미국 남자 Canada|캐나다영어 여자 |
1996년 | 레이크플래시드 | 캐나다 남자 대한민국 여자 | 대한민국 남자 Italy|이탈리아it 여자 | 이탈리아 남자 United States|미국영어 여자 |
1997년 | 서울 | 대한민국 (남녀) | 일본 남자 Canada|캐나다영어 여자 | 이탈리아 남자 Japan|일본일본어 여자 |
1998년 | 보르미오 | 캐나다 남자 China|중국중국어 여자 | 대한민국 (남녀) | 이탈리아 남자 Canada|캐나다영어 여자 |
1999년 | 세인트루이스 | 중국 (남녀) | 캐나다 (남녀) | 일본 남자 대한민국 여자 |
2000년 | 헤이그 | 캐나다 남자 China|중국중국어 여자 | 대한민국 (남녀) | 이탈리아 남자 Japan|일본일본어 여자 |
2001년 | 미나미마키 | 캐나다 남자 China|중국중국어 여자 | 중국 남자 대한민국 여자 | 대한민국 남자 Canada|캐나다영어 여자 |
2002년 | 밀워키 | 중국 남자 대한민국 여자 | 캐나다 남자 China|중국중국어 여자 | 대한민국 남자 Canada|캐나다영어 여자 |
2003년 | 소피아 | 캐나다 남자 대한민국 여자 | 대한민국 남자 China|중국중국어 여자 | 중국 남자 Italy|이탈리아it 여자 |
2004년 | 상트페테르부르크 | 대한민국 (남녀) | 캐나다 남자 China|중국중국어 여자 | 이탈리아 (남녀) |
2005년 | 춘천 | 캐나다 남자 대한민국 여자 | 대한민국 남자 China|중국중국어 여자 | 중국 남자 Canada|캐나다영어 여자 |
2006년 | 몬트리올 | 대한민국 (남녀) | 캐나다 남자 China|중국중국어 여자 | 중국 남자 Canada|캐나다영어 여자 |
2007년 | 부다페스트 | 캐나다 남자 대한민국 여자 | 대한민국 남자 China|중국중국어 여자 | 이탈리아 남자 Canada|캐나다영어 여자 |
2008년 | 하얼빈 | 미국 남자 China|중국중국어 여자 | 캐나다 남자 대한민국 여자 | 대한민국 남자 Canada|캐나다영어 여자 |
2009년 | 헤렌벤 | 대한민국 남자 China|중국중국어 여자 | 캐나다 남자 대한민국 여자 | 미국 (남녀) |
2010년 | 보르미오 | 대한민국 (남녀) | 캐나다 남자 Canada|캐나다영어 여자 | 중국 남자 Italy|이탈리아it 여자 |
2011년 | 바르샤바 | 대한민국 (남녀) | 중국 (남녀) | 캐나다 남자 United States|미국영어 여자 |
대한민국은 1991년 서울 대회에서 남녀 모두 은메달을 획득하며 쇼트트랙 강국으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1992년 대회부터는 남녀 모두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최정상급 실력을 과시했다.
2. 1. 남자부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91년 | 서울 | 일본 | 대한민국 | 캐나다 |
1992년 | 미나미마키 | 대한민국 | 이탈리아 | 일본 |
1993년 | 부다페스트 | 이탈리아 | 캐나다 | 대한민국 |
1994년 | 케임브리지 | 대한민국 | 캐나다 | 이탈리아 |
1995년 | 주떼메르 | 캐나다 | 대한민국 | 미국 |
1996년 | 레이크플래시드 | 캐나다 | 대한민국 | 이탈리아 |
1997년 | 서울 | 대한민국 | 일본 | 이탈리아 |
1998년 | 보르미오 | 캐나다 | 대한민국 | 이탈리아 |
1999년 | 세인트루이스 | 중국 | 캐나다 | 일본 |
2000년 | 헤이그 | 캐나다 | 대한민국 | 이탈리아 |
2001년 | 미나미마키 | 캐나다 | 중국 | 대한민국 |
2002년 | 밀워키 | 중국 | 캐나다 | 대한민국 |
2003년 | 소피아 | 캐나다 | 대한민국 | 중국 |
2004년 | 상트페테르부르크 | 대한민국 | 캐나다 | 이탈리아 |
2005년 | 춘천 | 캐나다 | 대한민국 | 중국 |
2006년 | 몬트리올 | 대한민국 | 캐나다 | 중국 |
2007년 | 부다페스트 | 캐나다 | 대한민국 | 이탈리아 |
2008년 | 하얼빈 | 미국 | 캐나다 | 대한민국 |
2009년 | 헤렌벤 | 대한민국 | 캐나다 | 미국 |
2010년 | 보르미오 | 대한민국 | 캐나다 | 중국 |
2011년 | 바르샤바 | 대한민국 | 중국 | 캐나다 |
2. 2. 여자부
연도 |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1991년 | 서울 | Canada|캐나다영어 | China|중국중국어 | |
1992년 | 미나미마키 | 대한민국 | Japan|일본일본어 | China|중국중국어 |
1993년 | 부다페스트 | Italy|이탈리아it | 대한민국 | Russia|러시아ru |
1994년 | 케임브리지 | Canada|캐나다영어 | 대한민국 | Italy|이탈리아it |
1995년 | 주떼메르 | 대한민국 | China|중국중국어 | Canada|캐나다영어 |
1996년 | 레이크플래시드 | 대한민국 | Italy|이탈리아it | United States|미국영어 |
1997년 | 서울 | 대한민국 | Canada|캐나다영어 | Japan|일본일본어 |
1998년 | 보르미오 | China|중국중국어 | 대한민국 | Canada|캐나다영어 |
1999년 | 세인트루이스 | China|중국중국어 | Canada|캐나다영어 | 대한민국 |
2000년 | 헤이그 | China|중국중국어 | 대한민국 | Japan|일본일본어 |
2001년 | 미나미마키 | China|중국중국어 | 대한민국 | Canada|캐나다영어 |
2002년 | 밀워키 | 대한민국 | China|중국중국어 | Canada|캐나다영어 |
2003년 | 소피아 | 대한민국 | China|중국중국어 | Italy|이탈리아it |
2004년 | 상트페테르부르크 | 대한민국 | China|중국중국어 | Italy|이탈리아it |
2005년 | 춘천 | 대한민국 | China|중국중국어 | Canada|캐나다영어 |
2006년 | 몬트리올 | 대한민국 | China|중국중국어 | Canada|캐나다영어 |
2007년 | 부다페스트 | 대한민국 | China|중국중국어 | Canada|캐나다영어 |
2008년 | 하얼빈 | China|중국중국어 | 대한민국 | Canada|캐나다영어 |
2009년 | 헤렌벤 | China|중국중국어 | 대한민국 | United States|미국영어 |
2010년 | 보르미오 | 대한민국 | Canada|캐나다영어 | Italy|이탈리아it |
2011년 | 바르샤바 | 대한민국 | China|중국중국어 | United States|미국영어 |
2. 3. 국가별 메달 집계 (1991-2011)
순위 | 나라 | 금 | 은 | 동 | 전체 |
---|---|---|---|---|---|
1 | 대한민국 | 20 | 15 | 5 | 40 |
2 | 캐나다 | 10 | 11 | 10 | 31 |
3 | 중국 | 8 | 11 | 5 | 24 |
4 | 이탈리아 | 2 | 3 | 11 | 16 |
5 | 일본 | 1 | 2 | 4 | 7 |
6 | 미국 | 1 | 0 | 5 | 6 |
7 | 네덜란드 | 0 | 0 | 1 | 1 |
7 | 러시아 | 0 | 0 | 1 | 1 |
1991년부터 2011년까지 열린 세계 쇼트트랙 팀 선수권 대회에서 대한민국은 금메달 20개, 은메달 15개, 동메달 5개를 획득하여 총 40개의 메달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캐나다는 금메달 10개, 은메달 11개, 동메달 10개로 2위를, 중국은 금메달 8개, 은메달 11개, 동메달 5개로 3위를 기록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