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서울특별시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다. 한반도 중서부에 위치하며, 한강을 중심으로 25개의 자치구와 426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도'를 의미하는 순수 한국어 '서울'은 백제의 수도 위례성, 신라의 서라벌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17세기부터 수도를 지칭하는 일반 명사로 사용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 서울은 대한민국의 공식 수도가 되었으며, 현재 950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한다. 서울은 국보, 보물 등 다수의 문화재와 박물관, 도서관, 공연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주요 명소로는 명동, 인사동, N서울타워 등이 있다. 또한, KTX, 지하철, 버스 등 잘 갖춰진 교통 시스템을 통해 도시 전체를 연결하며, 한국의 주요 기업 본사 및 금융 기관이 밀집해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 기획조정실장
    서울특별시 기획조정실장은 서울특별시의 기획 및 조정을 담당하며, 1964년 이후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역대 실장으로는 조성래, 김진원 등이 있다.
  • 대한민국 기후 정보 - 서귀포시
    서귀포시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하며,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고,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연고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대한민국 기후 정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특별자치도로, 광범위한 자치권을 행사하며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인 곳이다.
  •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 - 뉴델리
    뉴델리는 인도의 수도이자 델리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로,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인도 독립 후에도 수도 기능을 유지하며 주요 정부 기관과 외교 공관이 위치해 있지만, 대기 오염 및 교통 혼잡, 재개발 관련 사회적 논쟁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및 위치 정보
서울특별시 위치
서울특별시의 위치
서울특별시 지도
서울특별시의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서울특별시
로마자 표기Seoul-Teukbyeolsi
한글 표기서울특별시
한자 표기서울特別市
영문 표기Seoul Metropolitan City
약칭서울
국가대한민국
특별시특별시
표어서울, 내 영혼
면적605.21 km²
해발고도38 m
최저고도0 m
최저고도 위치황해
최고고도836.5 m
최고고도 위치북한산
행정 구역25개 구
인구9,659,322 명 (2023년 2분기)
인구 순위1위
인구 밀도자동 계산
도시권 인구26,037,000 명
도시권 인구 밀도2053 명/km²
데모님서울 시민
방언경기 방언
설립자태조 이성계
모토서울, 나의 영혼
새 슬로건동행·매력 특별시 서울
새 슬로건서울, 내 영혼
상징
시조까치
시목은행나무
시화개나리
시색서울 빨강
서체서울 서체 (서울 한강 및 서울 남산)
마스코트해치
시가없음
행정 및 정치
행정 체제시장-의회제
지방 정부서울특별시청
지방 의회서울특별시의회
시장오세훈
시장 소속 정당국민의힘
국회 의석수49석
경제
GDP486조 원 (3890억 달러)
도시권 GDP1,137조 원 (9100억 달러)
기타 정보
시간대한국 표준시 (KST)
UTC 오프셋+9
ISO 3166-2KR-11
지역 번호02
우편 번호01000 ~ 08999
웹사이트서울특별시 공식 웹사이트

2. 지명

서울은 전통적으로 단순히 '수도'를 의미하는 순수 한국어 일반 명사였다. '서울'이라는 단어는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를 가리키던 서라벌(徐羅伐)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12][13]

백제의 수도였던 위례성(慰禮城)은 현재 서울의 경계 내에 있었다. 서울은 고구려 시대의 북한산군(北漢山郡), 신라 시대의 남천(南川),[14] 남북국 시대의 한양(漢陽), 고려 시대의 남경(南京), 조선 시대의 한성(漢城)과 같은 다양한 역사적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었다. '서울'이라는 단어는 17세기 초부터 수도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으며,[15] 조선의 수도인 '한성'은 널리 '서울'로 불렸다.[16]

일제 강점기 동안 '한성'은 한자 ''(순수 한국어 한|han|great한국어의 음차)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일본 당국에 의해 '경성'(京城, 문자 그대로 '수도')으로 개명되었다.[1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광복과 함께 '서울'은 한국 수도의 공식 명칭이 되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여전히 '서울'의 일반 명사와 고유 명사 정의를 모두 인정하고 있다.[18]

화어권에서는 서울을 '漢城|한성중국어'이라고 불렀으나, 2005년 1월 18일, 서울특별시는 서울의 공식 중국어 명칭을 '首爾|수이중국어'로 변경했다.[19][20]

2. 1. 어원, 명칭

"서울"의 어원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수도를 뜻하는 신라 계통의 고유어서라벌에서 유래했다는 설을 유력하게 받아들인다.[204] 삼국사기 등에서는 서라벌을 '금성'으로도 표기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설[새: 新, 金]-벌[땅: 羅, 城]", 즉 '새로운 땅'이라는 뜻으로 해석하는 견해가 있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는 ""이라는 표기가 등장하였다.

서울의 한자 음차 표기로는 이십일도회고시, 한경지략, 증보문헌비고[205]의 서울(徐菀), 동사강목, 북학의의 서울(徐蔚), 대동지지의 서울(徐鬱), 앙엽기의 서올(徐兀) 등이 있다.[206] 조선 시대 서울은 한양, 한성(漢城) 외에도 서울(), 경도(京都), 경부(京府), 경사(京師), 경성(京城), 경조(京兆) 등으로 불렸으며, 김정호수선전도에서처럼 수선(首善)으로 표기한 예도 있다. 한양과 한성을 제외하면 모두 수도를 뜻하는 일반 명사였으므로, '서울'은 원래 서울 지역(사대문 안과 성저십리)뿐만 아니라 수도를 뜻하는 일반 명사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울이라는 단어는 한국어에서 일반명사로도 사용된다. 국어사전에서는 일반 명사 '서울'을 '한 나라의 중앙 정부가 있고, 경제, 문화, 정치 등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도시'라고 정의한다.[207]

1910년 10월 1일 일제가 한성부경성부로 개칭하면서 일제강점기에 서울은 주로 경성으로 불렸으나, 1945년 광복 후에는 '''경성''' 대신 '''서울'''로 부르게 되었다.[208]

위례성(위례성|慰禮城한국어)은 백제의 수도였고 현재 서울 경계 내에 있었다. 서울은 북한산군(北漢山郡, 고구려 시대), 남천(남천|南川한국어,[14] 신라 시대), 한양(漢陽, 남북국 시대), 남경(南京, 고려 시대), 한성(漢城, 조선 시대)과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었다. '서울'이라는 단어는 17세기 초부터 수도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고,[15] 조선의 수도인 '한성'은 널리 '서울'로 불렸다.[16]

일제 강점기 동안 '한성'은 한자 ''()''(순수 한국어 한|han|lit=great한국어의 음차)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일본 당국에 의해 '경성'(京城, 문자 그대로 '수도')으로 개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국 광복과 함께 '서울'은 한국 수도의 공식 명칭이 되었다.

화어권에서는 서울을 '漢城'()이라고 불렀으나, 2005년 1월 18일, 서울특별시는 서울의 공식 중국어 명칭을 '首爾'()로 변경했다.[19][20]

2. 2. 외국어 표기

"서울"의 어원은 수도를 뜻하는 신라 계통의 고유어서라벌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204] 조선 시대 서울은 한양, 한성(漢城) 외에도 서울, 경도(京都) 등으로 불렸으며, 김정호수선전도에는 수선(首善)으로 표기한 예도 있다. 이 가운데 한양과 한성을 제외하면 모두 수도를 뜻하는 일반 명사로서 '서울'이 원래는 서울 지역(사대문 안과 성저십리)만을 가리키는 말이 아닌 수도를 뜻하는 일반 명사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울이라는 단어는 한국어에서 일반명사로도 사용된다. 국어사전에서는 일반 명사 '서울'을 '한 나라의 중앙 정부가 있고, 경제, 문화, 정치 등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도시'라고 정의하고 있다.[207]

서울 로마자 표기 'Seoulla'은 19세기 프랑스 선교사들이 서울을 쎄-울(Sé-oul프랑스어)로 표기한 데서 비롯했다. 오늘날 프랑스에서는 서울을 'Séoul프랑스어'로 표기하고, 스페인어권에서는 'Seúles'로 쓰나 모두 '쎄울'로 읽는다. 영미권에서는 일반적으로 'Seoul영어'로 쓰고 영혼을 뜻하는 단어 'Soul영어'처럼 '쏘울'로 읽는다.

서울은 순우리말 지명이어서 서울이라는 한자가 존재하지 않아 이전 중국에서는 서울을 한청(漢城, 한성)이라 불렀으나, 2005년에 서울시가 서울과 발음이 유사한 '셔우얼'(首爾, 수이)을 서울 공식적인 중국어 표기로 정하면서 점차 이 표기가 확산되어 가는 추세다. 일본어 표기는 '소우루'(ソウル일본어)다.

3. 역사

남대문로 (1937년)


오늘날 한강 유역에는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암사동 선사주거지, 면목동 유적 등이 대표적이다. 기원전 18년 백제의 수도 위례성이 한강변에 세워졌고, 475년 고구려 장수왕이 점령하여 한산군을 설치했다. 551년 백제가 신라와 연합하여 되찾았으나, 553년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하고 한산주를 설치했다.

삼국통일 후 685년 신라는 한강 이북 지역을 한산주 관할 북한산군으로, 757년에는 한양군으로 개칭했다. 고려 건국 후 918년 한양군을 양주로, 940년 광주로 개칭했으며, 1067년 남경으로 승격되었다. 1308년 남경을 한양부로 개편했다가 1356년 다시 남경으로 개칭하였다.

조선 태조는 1392년 개경에서 조선을 건국하고, 1394년 한양으로 천도했다. 1395년 한성부로 개칭하고 행정 구역을 5부 52방으로 확정했다. 한성부의 지리적 범위는 사대문 안 도성과 도성 밖 10리(약 4 km)까지의 성저십리였다. 1398년 숭례문을 완공, 1404년 경복궁을 준공하였다.[210]

1592년 임진왜란으로 조선 선조는 의주로 피난했고, 한양은 일본군에 점령되어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궁궐이 소실되었다. 이후 1637년 병자호란 등 전란으로 도시가 파괴되었다가 재건되었다.

구한말 1887년 경복궁 건청궁전기가 도입된 것을 시작으로, 1899년 서대문~청량리 단선전차 개통, 1900년 한강 가교 준공, 1902년 한성전화소의 시내전화 개통 등 근대 시설이 도입되었다. 1896년 대한제국을 선포한 고종황제는 '한성 도시개조사업'을 통해 도로 정비, 교통로 확보, 위생 개선을 추진했다.[211]

1910년 국권 침탈 후 일본 제국은 한성부를 경성부로 개칭하고 경기도에 예속시켰다. 조선총독부 청사가 경성부에 설치되었고, 1911년 하부기관을 5부 8면으로, 1914년 면 제도 폐지 후 부제 실시에 따라 일부 지역을 경성부에 편입, 명칭을 정(町)으로 변경했다. 1936년 고양군·시흥군·김포군 일부 면들이 편입되어 행정구역이 확장되었고, 1943년 구제 실시로 7개 구로 분할되었다. 일제는 서울의 역사성과 공간구조를 훼손했으며, 1908년 전차선로 가설을 위해 성곽 일부가 철거된 것을 시작으로 일제강점기 동안 성문, 성벽 일부 훼손, 신작로, 철로가 개설되었다. 이 시기 근대 건축물로 경성부청, 경성역, 경성제국대학, 조선은행 본점, 부민관, 명치좌 등이 남아 있다.

1945년 광복과 함께 경성부는 서울시로 개칭되었고, 1946년 경기도에서 분리되어 서울특별자유시로 승격했다.[212] 1949년 서울특별시로 개칭되었으며, 고양군, 시흥군 일부 지역이 편입되어 시역이 확장되었다.

1950년 한국 전쟁 발발로 대한민국 정부는 부산으로 이전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서울을 점령했다. 수복 후 1.4 후퇴 때 다시 서울을 내주었고, 1951년 재수복, 1953년 정전 협정으로 대한민국의 점령지가 되었다.

1962년 서울특별시행정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정으로 국무총리 직속기구가 되었고, 시장의 지위가 장관급으로 격상되었다. 같은 해 경기도 일부 지역을 편입하여 시역을 확장했다.[213] 이때 강남 등 한강 이남 지역과[213] 도봉구, 노원구, 중랑구 일대가 편입되었다.

1973년 도봉구, 관악구 신설 후, 행정구역 분리를 통해 1975년 강남구, 1977년 강서구, 1979년 은평구, 강동구, 1980년 동작구, 구로구, 1988년 중랑구, 노원구, 양천구, 서초구, 송파구, 1995년 강북구, 광진구, 금천구가 신설되었다.

1988년 하계 올림픽, 2002년 FIFA 월드컵 등 국제 스포츠 대회와 2000년 서울 아시아·유럽 정상회의, 2010년 G20 정상회의 등 정상회의를 개최했다. 서울 주변 위성도시 성장으로 수도권이 형성되었다.

3. 1. 선사시대와 삼국시대

오늘날 한강 유역에는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대표적 유적지로는 암사동 선사주거지, 면목동 유적이 있다. 현 강동구에 위치한 암사동 유적은 그 조성연대가 기원전 6000년경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움집터와 빗살무늬 토기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21] 원삼국시대에는 삼한 중 마한에 속하였다.

암사동 유적지에 재현된 움집


기원전 18년, 서울 동부 한강변에 백제의 수도 위례성이 세워졌다. 백제는 이후 500년 가까이 위례성을 수도로 삼았다. 475년 고구려장수왕이 이곳을 점령한 후 하남위례성에 한산군(漢山郡)을, 한강 이북에는 남평양(南平壤)을 설치하였다.

551년 백제는 신라와 동맹을 맺고 고구려에게서 서울과 한강 하류지역을 탈환했으나, 553년에 나제동맹을 깬 신라에게 공격당하여, 이 지역을 빼앗겼다. 이후, 신라는 옛 위례성 인근에 한강 유역을 관할하는 한산주의 치소(治所)를 설치하였다.

3. 2. 남북국 시대 북한산군과 고려 남경

551년 백제신라와 동맹을 맺고 고구려에게서 서울과 한강 하류 지역을 되찾았으나, 553년 나제동맹을 깬 신라에게 공격당하여 이 지역을 빼앗겼다. 이후 신라는 옛 위례성 인근에 한강 유역을 관할하는 한산주의 치소(治所)를 설치하였다.[22][23]

555년 11월, 진흥왕북한산을 방문하여 국경을 시찰하였다.[24] 557년, 신라는 신주를 폐지하고 북한산주(北漢山州)를 설립하였다.[25] 603년, 고구려가 북한산성을 공격하였으나 신라가 승리하였다.[34][35] 604년, 신라는 남천주를 폐지하고 북쪽 국경을 강화하기 위해 북한산주를 다시 설치하였다.[36]

11세기 고려는 통일 신라의 뒤를 이어 서울에 별궁을 건설하였는데, 이는 "남경(南京)"으로 불렸다. 이 시대부터 서울이 더 큰 정착지가 되었다.[37]

3. 3. 조선시대 한성부

경복궁


서울은 조선 왕조의 창업주인 이성계에 의해 한국의 계획된 수도가 되었다. 1392년 고려의 옛 수도에서 왕으로 즉위한 후, 이성계는 1393년에 고려의 국호를 조선으로 바꾸고 새로운 수도를 위한 장소를 찾기 시작했다. 여러 차례의 정부 논의 끝에 이성계는 1394년 9월 무악이 아닌 한양(신도)을 선택했다. 조선의 새로운 수도로서 한양은 한국 유교의 지리적 구현체로 계획되었다. 도시 건설은 1394년 10월에 시작되었다. 초기 건설 단계에서 경복궁을 포함한 주요 궁궐들이 1395년에 완공되었다. 한양을 둘러싼 성곽은 1396년경 부분적으로 완성되었다.[38]

한양은 수도 행정을 담당하는 국가 기관인 한성부|漢城府한국어에 의해 통치되었다. 한성부는 한양을 두 가지 주요 범주로 나누었다. 성곽 안쪽 지역은 일반적으로 '성중'(성중|城中한국어) 또는 '도성 안'(도성 안한국어)으로 불렸고, 성곽 주변 10 리(한국 마일) 지역은 '성저십리'(성저십리|城底十里한국어)로 명명되었다. '도성 안' 지역은 나중에 비공식적이지만 대중적인 이름인 '사대문 안'(사대문 안한국어)이라는 이름을 얻었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사대문 안쪽 지역'을 의미하며 한양 도시의 유일한 도심(시 중심부)이 되었다.[39]

조선 후기 한성부의 5부(五部)에 포함되었던 성저십리


서울 성곽

3. 4. 일제강점기

1945년 8월 15일, 서울역 앞에서 열린 대한민국 광복 기념식


1945년, 일본 식민 통치에서 해방된 후 미군이 한국, 그리고 당시 일본식 명칭인 경성부(Kyeongseongbu)로 불리던 수도를 장악했다. 미군정은 이듬해 10월 10일 관보에 서울시 조례를 공포했다. 이 조례는 도시의 이름을 서울로 선포하고 서울을 지방자치단체로 설립했다. 서울의 지방자치단체로서의 지위는 미국 내 어떤 군에도 속하지 않는 미국의 독립 도시와 유사하며, 서울은 기존의 도에서 분리된 독립된 행정 단위로 설립되었다.[43] 조례의 한국어 번역본에서는 "''municipal corporation''"을 "''특별자유시''"로 번역했다. 이후 이는 특별시가 되었다.[44]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특별시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45]

1945년부터 1948년까지 미군정 하의 서울은 오늘날보다 훨씬 작았다. 서울은 성곽과 8대문으로 표시된 지역, 그리고 일본 제국의 전쟁 수행을 위해 일본 통치 시대에 편입된 구들만을 포함했다.

1950년 9월 말, 한국 전쟁의 일환인 서울 전투 중 도시전에 참여한 미 해병대


한국 전쟁 동안 서울은 소련과 중국이 지원하는 북한군과 미국이 지원하는 대한민국군 사이에서 네 번이나 손바뀜이 있었다. 1950년 6월 서울 제1차 전투에서 북한군에게 함락되었고, 1950년 9월 서울 제2차 전투에서 유엔군에 의해 탈환되었고, 1951년 1월 서울 제3차 전투에서 중국과 북한 연합군에게 함락되었으며, 마침내 1951년 봄 리퍼 작전에서 유엔군에 의해 다시 탈환되었다.[46][47] 광범위한 전투로 인해 전쟁 후 서울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수도는 일시적으로 부산으로 이전되었다.[37] 전쟁 후 최소 19만 1천 채의 건물, 5만 5천 채의 주택, 1천 개의 공장이 폐허가 된 것으로 추산된다. 또한 전쟁 중 서울로 많은 난민이 유입되어 1955년까지 서울과 수도권 인구가 약 150만 명으로 급증했다.[48]

1962년, 남산 케이블카에서 바라본 서울의 조감도


전쟁 후 서울은 재건과 현대화에 주력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부터 대한민국 경제가 급속도로 성장함에 따라 도시화도 가속화되었고, 근로자들이 서울과 다른 대도시로 이주하기 시작했다.[48] 1963년 서울은 두 차례의 대규모 확장을 거쳐 오늘날 서울의 모습과 규모를 확립했다. 1973년과 2000년의 경계의 사소한 조정을 제외하고 말이다. 1963년 8월 서울은 양주군, 광주군, 시흥군, 김포군, 그리고 부천군의 일부를 합병하여 서울의 북동쪽 경계를 확장했다. 9월에는 오늘날의 강남구를 다시 합병했다.[49][50] 두 차례의 연이은 확장으로 서울의 면적은 약 두 배 이상 증가했다.[51]

합병 후 강남구의 개발은 한남대교(1966~1969년)와 경부고속도로(1968~1970년) 건설과 같은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에 의해 촉진되었다. 서울의 인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박정희 정권은 강남 개발 계획에 주력했다. 강남 개발의 주요 걸림돌은 저지대에 위치하고 홍수에 취약하기 때문이었다. 당시 서울시장 김현옥은 제방을 겸한 고속도로 건설을 지시했는데, 이것이 현재의 강변북로가 되었다. 공사는 1967년 3월에 시작되어 같은 해 9월에 완료되었다. 유사한 프로젝트를 통해 이전에는 홍수가 잦았던 지역이 개발 가능한 토지로 변모했다. 이러한 지역에는 현재의 이촌동, 반포 아파트 단지, 압구정동, 그리고 잠실동이 포함된다.

2002년 FIFA 월드컵을 시청하는 젊은이들


1972년까지 서울은 북한이 1948년 북한 헌법 제103조에 명시된 대로 사실상의 수도로 주장했다.[52]

서울은 1986년 아시안 게임1988년 하계 올림픽을 개최했으며 2002년 FIFA 월드컵의 개최지 중 하나였다.

2019년 대한민국 인구는 5,171만 명으로 추산되었고, 2018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49.8%가 서울 수도권에 거주했다. 이는 2010년 49.1%보다 0.7% 증가한 것으로,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53] 서울은 대한민국의 경제, 정치,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으며,[37] 포춘 글로벌 500 기업들 중 삼성, SK그룹, 현대그룹, 포스코, 그리고 LG그룹 등 여러 기업의 본사가 서울에 있다.[54]

현재 중국어권에서는 서울을 “首爾”( / )(Shǒu'ěr, 광동어: Sau2yi5)이라고 부르고 표기하고 있다. 중국어권에서 “서울”은 오랫동안 조선 왕조 시대의 “漢城”( / )(Hànchéng, 광동어: Hon3sing4)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2005년 1월 19일, 이명박 서울특별시장(당시)은 기자회견에서 “서울”의 중국어 표기를 원음에 가깝게 하면서 “수도”라는 의미를 포함한 “首爾”로 할 것을 발표했다.[164][165]

이에 따라 대만과 홍콩의 언론 매체는 표기를 “”로 변경했다. 중국에서도 2005년 중반부터 중국청년보 등 언론 매체와 중국남방항공 등 항공사에서 “”에서 “”로 표기를 바꾸기 시작했고, 10월에는 중국 정부도 “” 표기로 변경했다.[166] 참고로, 한국어의 한자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도 드물게 있지만(예: 한국철도공사(KORAIL) 안내에서의 “首爾驛” 등), 어디까지나 서울의 한자 표기는 중국어권용이며, 한국어로서의 서울 표기는 지금까지와 같이 한글인 “서울한국어”이다.

북한산(北漢山)을 비롯한 500m 전후 표고의 산들과 구릉이 둘러싼 분지 지형이다. 외부의 공격을 막기 쉬운 지형이라는 점도 이곳이 예로부터 발전한 이유 중 하나이다. 광주산맥(廣州山脈)의 도봉산(道峰山), 인수봉(仁壽峰), 노적봉(露積峰) 3봉이 북한산 다음으로 높다.

한강이 도시 중심부를 가로지르며 흐르고, 남북으로 나뉜 지역을 각각 강남, 강북이라고 부른다. 예로부터 발전한 곳은 강북이며, 궁궐과 성벽 등의 유적은 강북에 집중되어 있다. 반면 강남은 신흥 주택가로 개발되었고, 올림픽 관련 시설도 강남에 많이 건설되었다. 옛날에는 배가 남북을 잇는 교통 수단이었으며, 뚝섬과 마포가 대표적인 하항이었다. 그 외에 노량진, 송파 등도 선착장으로 알려져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근대 이후 각 곳에 교량이 건설되면서 배는 교통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했지만, 유람선이 시민과 관광객에게 친숙하다. 여의도(汝矣島)에는 국회 등 중요 시설과 광대한 공원이 있다. 옛날에는 난지도나 잠실 등도 중주였지만, 매립이나 강의 흐름 변화로 완전히 육지와 연결되었다.

한강 외에는 강북을 흐르는 청계천이 알려져 있다. 일제강점기, 도시화로 인해 유역 주변에 사람들이 집중하기 시작하면서 청계천을 포함한 유역의 우물물 등 수질 악화가 문제가 되었는데, 당시 조선총독부 수질시험소 자료에서도 이는 명확하며, 당시부터 복개 계획이 있었다. 한국 전쟁 이후 혼란기에 판잣집이 강변에 건설되어 슬럼화가 진행되면서 수질이 크게 악화되어 복개되었고, 그 위에는 청계천로와 청계고가도로가 건설되었다. 고가도로의 노후화가 문제가 된 2002년에 "고가 철거, 청계천 복원"을 내세운 이명박이 서울 시장에 당선되어 2005년 10월에 완공되었고, 경관뿐 아니라 하천을 복원한다는 이례적인 공사에 더하여 기온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등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이전 모습을 완전히 복원한 것은 아니고, 광화문 교차로 부근부터 한강까지 일부를 현대적인 친수공원처럼 만든 것이다. 물은 주로 한강의 물을 방류하고 있으며, 일부는 지하에서 솟는 물도 이용하고 있다.

3. 5. 광복 이후

1945년 8·15 광복 이후, 미군정은 이듬해 10월 10일 서울시 조례를 공포하여 도시의 이름을 '서울'로 선포하고 지방자치단체로 설립했다.[43] 서울은 기존의 도에서 분리된 독립된 행정 단위인 특별시가 되었으며, 서울특별시한국어라는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44][45] 당시 서울은 서울 성곽과 8대문으로 표시된 지역, 그리고 일제강점기에 편입된 구들만을 포함하여 오늘날보다 훨씬 작았다.

한국 전쟁 동안 서울은 네 번이나 주인이 바뀌는 격전지였다.[46][47] 1950년 6월 서울 제1차 전투에서 북한군에 함락, 9월 서울 제2차 전투에서 유엔군에 의해 탈환, 1951년 1월 서울 제3차 전투에서 중공군과 북한군에 함락, 1951년 봄 리퍼 작전에서 유엔군에 의해 다시 탈환되었다.[46][47] 전쟁으로 서울은 큰 피해를 입었고, 수도는 일시적으로 부산으로 이전되었다.[37] 전쟁 후 최소 19만 1천 채의 건물, 5만 5천 채의 주택, 1천 개의 공장이 파괴되었고, 많은 난민 유입으로 1955년 서울 인구는 약 150만 명으로 급증했다.[48]

전쟁 후 서울은 재건과 현대화에 집중했다. 1960년대부터 한국 경제가 급성장하면서 도시화도 가속화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서울로 이주했다.[48] 1963년 서울은 양주군, 광주군, 시흥군, 김포군, 부천군의 일부를 합병하여 크게 확장되었다.[49][50] 이로써 서울의 면적은 268km2에서 613km2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51]

합병 후 강남구 개발은 한남대교(1966~1969년)와 경부고속도로(1968~1970년) 건설로 촉진되었다. 박정희 정권은 강남 개발에 주력했으며, 당시 서울시장 김현옥은 제방 겸 고속도로 건설을 지시하여 강변북로가 건설되었다(1967년). 이로 인해 홍수가 잦았던 지역이 개발 가능한 토지로 변모했으며, 현재의 이촌동, 반포 아파트 단지, 압구정동, 잠실동이 개발되었다.

서울은 1986년 아시안 게임1988년 하계 올림픽을 개최했으며, 2002년 FIFA 월드컵의 개최지 중 하나였다.

2019년 대한민국 인구의 49.8%가 서울 수도권에 거주하며,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이 뚜렷하다.[53] 서울은 대한민국의 경제, 정치, 문화의 중심지이며,[37] 삼성, SK그룹, 현대그룹, 포스코, LG그룹 등 주요 기업의 본사가 위치해 있다.[54]

현재 중국어권에서는 서울을 “首爾”( / )(Shǒu'ěr)이라고 부른다. 과거에는 “漢城”( / )(Hànchéng)으로 불렸으나, 2005년 이명박 당시 서울특별시장은 “서울”의 중국어 표기를 “首爾”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164][165] 이후 대만, 홍콩, 중국의 언론 매체와 정부도 “首爾” 표기로 변경했다.[166]

4. 지리

2023년 2월에 촬영된 항공사진. 서울이 오른쪽 위에 치우쳐져 위치한다.


서울은 한반도 중서부에 위치하는 분지 지형의 도시이다. 시 중심으로 한강이 흐르고, 서울 도심에는 남산과 인왕산이 있다. 시 주변으로 북한산, 관악산, 도봉산, 수락산, 불암산, 구룡산, 우면산, 아차산 등이 서울을 둘러싸며 경기도인천광역시와 자연적 경계를 이루고 있다.[215]

동서 간의 거리는 36.78 km, 남북 간의 거리는 30.3km이며, 면적은 약 605.25km2이다. 서울의 면적은 대한민국의 0.6%이며 남북한 면적의 0.265%이다. 서울특별시의 최북단은 도봉구 도봉동이고 최남단은 서초구 원지동이며 최동단은 강동구 강일동, 최서단은 강서구 오곡동이다.

서울의 중심에는 한강 하류가 동에서 서쪽으로 흐른다. 하류이기 때문에 구배는 완만하며 물의 흐름은 느리나, 홍수 때는 상·중류의 유역 지방으로부터 흘러내려오는 물 때문에 수위가 높아진다. 여의도는 상류로부터 운반되어 온 토사가 퇴적된 하중도이다. 한강물은 서울시민의 수돗물로도 공급되는데, 과거에는 뚝섬선유도 등에도 취수장이 있었으나 현재는 잠실 수중보와 팔당 저수지로부터 물을 끌어들여 공급하고 있다.[215]

한강은 일제강점기까지 별다른 정비가 없었다가, 1960년대 이후 한강을 정비하는 사업이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1968년 밤섬폭파한 뒤 여의도를 개발하였고, 1970년부터 1975년까지 잠실 개발계획으로 잠실섬부리도의 남쪽 물길(송파강)을 막아 육지로 만들었다. 1982년 시작된 '한강종합개발사업'을 통해 둔치를 조성하고, 강변 양쪽에 강변북로올림픽대로를 놓았다. 2006년에는 한강 르네상스라는 이름으로 한강 주변을 다시 정비하였다.

한강 이외의 주요 하천으로는 불광천, 안양천, 중랑천, 청계천, 탄천, 양재천, 여의천, 홍제천 등이 있다.

서울의 하천 지도


서울의 임야 면적은 2006년을 기준으로 157.35km2으로, 임야의 51.5%는 국공유림이고 49.5%는 사유림이다. 임야는 노원구(17.73km2), 관악구(17.53km2), 강남구(16.11km2})에 주로 분포하며, 전체 임야의 32.6%를 차지한다. 이 임야의 많은 부분은 개발 제한 구역으로 묶여 있어서 잘 보호되고 있지만, 면적은 매년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214]

서울 도심


서울 도심 주변에는 청계천의 침식으로 북악산과 남산에서 산기슭이 발달되어 기복이 많은 지형이 되었다. 을지로의 구리개, 조선일보사 앞 황토현(黃土峴)은 가로공사와 도시개발로 사라졌으나, 율곡로, 퇴계로, 을지로 곳곳에서 기복을 찾아볼 수 있다.[215] 충무초등학교 부근의 풀무고개(대장고개), 인현(仁峴)·종현(鍾峴)·진고개(泥峴), 계동(桂洞) 일대의 관상감현(觀象監峴), 가회동 일대의 맹현(孟峴)·홍현(紅峴)·안현(安峴)·송현(松峴)·배고개(梨峴) 등 고개 또는 현(峴) 지명이 남아 있다.[215]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종묘는 풍수지리에 따라 북악산 기슭에, 덕수궁인왕산 기슭에 지어졌다. 궁궐 사이는 궁인, 귀족, 고관들의 저택지로 이용되었다. 침식으로 운반된 토사는 청계천 연안에 퇴적되어 평탄한 시가지를 형성하였다. 동대문에서 세종로 사이의 종로는 도심지에서 가장 평탄한 곳으로 지형의 기복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215] 삼각지에서 해발고도 20m의 갈월동을 지나면 지형이 높아져 서울역 앞에 이르고, 숭례문 부근은 해발고도가 40m 내외이다. 이곳은 분수계(해발 36.6m)가 되어, 동쪽으로는 청계천중랑천과 합류한다.[215]

한반도 내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경기 지괴에 위치한 서울의 지질은 주로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와 이를 관입한 중생대 화강암류로 구성되며, 하천을 중심으로 이 모두를 부정합으로 덮는 제4기 충적층이 분포한다.[216]

선캄브리아기 암석 중 가장 주된 것은 서울도폭(1982)에서 정의된 호상흑운모편마암(PCEbngn)이다. 강서구 화곡동, 서대문구, 마포구, 용산구, 은평구, 영등포구, 동작구, 강남구, 서초구 등지의 저지대를 이룬다.[217] 이 암석은 경기편마암복합체의 일부로,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기저(基底) 암석이다.[201] 논현동 일대에는 안구상 편마암(PCEagn),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일대에는 운모편암(PCEms) 등이 분포한다.[218]

중생대 화강암인 서울 화강암(Jsgr)은 서울시 북부인 중구, 동대문구, 성북구, 종로구, 노원구, 북한산 지역에 분포한다. 대보 화강암의 일부이며,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를 관입하고 있다.[201] 박병권(1972)에 의하면 서울 화강암의 Rb-Sr 절대연령은 160±10 Ma로 중기 쥐라기에 해당한다.[219] 서울 화강암의 최대 압축 강도는 1100kg/cm2~1440kg/cm2이며, 단층절리를 생성시킨 압력은 평균 1200kg/cm2이다.[220]

신갈 단층한반도 경기 지괴 내 연천군에서 성남시 분당구를 지나 평택시까지 이어지는 연장 130km의 주향 이동 단층이다.[221][222] 추가령 단층대의 일부이며, 뚝섬 지질도폭(1981)에 의하면 북쪽으로 의정부도폭(2005), 남쪽으로 둔전도폭(1982)으로 이어지는 남-북 주향의 대규모 단층이다.[201]

화강암은 조립질이며 절리(節理)가 잘 발달하고 풍화작용에 약하다. 도봉산, 백운대, 인수봉과 같은 봉우리의 기암절벽은 서울 특유의 절경을 이룬다. 홍제동, 안암동, 창신동, 장위동 등지의 화강암은 1990년대까지 건축재로 쓰였다.[223] 화강편마암은 견고하지만 접착성이 적어 쉽게 붕괴되어 봉우리를 이루지 못하고 작은 기복의 노년기 지형을 보인다. 동작동 부근의 화강편마암은 판형으로 쉽게 벗겨져 온돌의 구들장으로 쓰였고, 천호동의 점토는 벽돌과 옹기 제조의 원료로 많이 쓰였다.[223]

4. 1. 산

서울은 한반도 중서부에 위치하는 분지 지형의 도시이다. 시 주변으로 북한산, 관악산, 도봉산, 수락산, 불암산, 구룡산, 우면산, 아차산 등이 서울을 둘러싸며 경기도인천광역시와 자연적 경계를 이루고 있다.[215]

서울은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북한산(삼각산)을 최고점으로 한 고양·양주구릉과 경기평야가 만나는 지대에 있다. 주위에는 북한산(836m)·도봉산(717m)·인왕산(338m)·관악산(629m) 등 500m 내외의 산과 구릉이 자연성벽과 같이 둘러싸고 있는 분지이다. 광주산맥의 한 줄기인 도봉산은 백운대·인수봉·노적봉의 3개 봉우리가 솟아 있는 북한산과 이어져 있고, 그 산줄기는 다시 남으로 뻗어 북악산(342m)을 솟게 하였다. 그리고 북악산에서 동으로 뻗은 산줄기에 낙산(125m), 서로 뻗은 산줄기에 인왕산이 있다.

인왕산에서 뻗은 산줄기 중 남쪽으로 뻗은 것은 숭례문을 지나 남산(265m)·응봉(175m)과 이어져 있고, 서쪽은 무악재의 안부(鞍部)를 지나 안산(296m)과 이어져 있는데 모두 구릉성 산지이다. 한강 남쪽에는 100m 이하의 구릉지가 펼쳐져 있고, 남쪽에 천연의 요새와 같이 서울의 외곽에 솟아 있는 관악산(629m), 청계산(618m), 구룡산(306m), 우면산(293m) 등이 있다. 그 외에 서울 동부에 불암산, 수락산, 망우산, 아차산 등이 있다.[215]

4. 2. 하천

서울은 한강이 흐르는 분지 지형이다. 한강은 서울을 남북으로 나누며 흐르는데, 하구가 남북한 접경 지역에 있어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어 수운으로는 이용되지 않는다.[55] 양화대교 너머로 북한산이 보인다.

한강양화대교 너머로 보이는 북한산의 풍경

4. 3. 임야

서울은 한반도 중서부에 있는 분지 지형의 도시이다. 시 주변으로 북한산, 관악산, 도봉산, 수락산, 불암산, 구룡산, 우면산, 아차산 등이 서울을 둘러싸고 있으며, 경기도인천광역시와 자연적 경계를 이루고 있다.[215]

서울은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북한산(삼각산)을 최고점으로 한 고양·양주구릉과 경기평야가 만나는 지대에 있다. 주위에는 북한산(836m), 도봉산(717m), 인왕산(338m), 관악산(629m) 등 500m 내외의 산과 구릉이 자연 성벽과 같이 둘러싸고 있다. 광주산맥의 한 줄기인 도봉산은 백운대, 인수봉, 노적봉의 3개 봉우리가 솟아 있는 북한산과 이어져 있고, 그 산줄기는 다시 남으로 뻗어 북악산(342m)을 솟게 하였다. 그리고 북악산에서 동으로 뻗은 산줄기에 낙산(125m), 서로 뻗은 산줄기에 인왕산이 있다.

인왕산에서 뻗은 산줄기 중 남쪽으로 뻗은 것은 숭례문을 지나 남산(265m), 응봉(175m)과 이어져 있고, 서쪽은 무악재의 안부(鞍部)를 지나 안산(296m)과 이어져 있는데 모두 구릉성 산지이다. 한강 남쪽에는 100m 이하의 구릉지가 펼쳐져 있고, 남쪽에 천연의 요새와 같이 서울 외곽에 솟아 있는 관악산(629m), 청계산(618m), 구룡산(306m), 우면산(293m) 등이 있다. 그 외에 서울 동부에 불암산, 수락산, 망우산, 아차산 등이 있다.[215]

4. 4. 도심

서울은 한반도 중서부에 있는 분지 지형의 도시이다. 시 중심부로 한강이 흐르며, 서울 도심에는 남산과 인왕산이 있다. 한강은 서울을 남북으로 나누고 있으며, 하구는 남북한 접경 지역으로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어 수운(水運)으로는 이용되지 않는다.

5. 지질

(내용 없음)

6. 기후

서울은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 또는 온대 여름 건조 기후(''Cwa'', 등온선 기준)에 속하며, 몬순의 영향을 받는다. 연중 기온과 강수량의 변화가 크다.[75][76] 서울의 교외 지역은 도시 열섬 효과 때문에 서울 중심부보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더 낮다.[77]

여름은 덥고 습하며, 6월부터 9월까지 동아시아 몬순이 발생한다. 가장 더운 달인 8월의 평균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은 각각 30°C, 22.9°C이며, 더 높은 기온도 가능하다. 여름철에는 불쾌지수가 40°C를 넘을 수 있다.

겨울은 일반적으로 춥고, 1월의 평균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은 각각 2.1°C, -5.5°C이며, 여름보다 훨씬 건조하고, 연평균 24.9일의 눈이 내린다. 때때로 기온이 -10°C 이하로 급격히 떨어지며, 1월과 2월의 한겨울에는 -15°C까지 내려가는 경우도 있다. -20°C 이하의 기온도 기록된 바 있다.

탑골공원의


서울 (1991~2020년 평균, 극값 1907년~현재)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C)14.418.725.129.834.437.238.439.635.130.125.917.739.6
평균 최고 기온 (°C)2.15.111.017.923.627.629.030.026.220.211.94.217.4
평균 기온 (°C)-2.00.76.112.618.222.725.326.121.715.07.50.212.8
평균 최저 기온 (°C)-5.5-3.21.98.013.518.722.322.917.710.63.5-3.48.9
최저 기온 (°C)-22.5-19.6-14.1-4.32.48.812.913.53.2-5.1-11.9-23.1-23.1
강수량 (mm)16.828.236.972.9103.6129.5414.4348.2141.552.251.122.61417.9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6.15.87.08.48.69.916.314.79.16.18.87.8108.6
평균 강설일수7.15.12.80.20.00.00.00.00.00.02.36.423.9
평균 상대 습도 (%)56.254.654.654.859.765.776.273.566.461.860.457.861.8
평균 일조 시간169.6170.8198.2206.3223.0189.1123.6156.1179.7206.5157.3162.92143.1
일조율 (%)52.353.651.051.948.441.226.836.247.257.150.251.146.4
자외선 지수2357891097432-


6. 1. 대기

서울 시내에는 큰 건물과 공장의 굴뚝에서 나오는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등 오염물질이 많아지면서 햇빛이 땅에 잘 닿지 못하고 있으며, 시내에 내리쬐는 햇빛의 양은 매년 줄어들고 있다. 비행기나 높은 산 위에서 서울 시내를 내려다보면 연기와 먼지가 섞인 오염된 공기층인 연진모자가 하늘을 덮고 있어 시야를 나쁘게 한다.[223]

2011년 환경부 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51㎍/m3이고,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는 49㎍/m3였다. 2013년 기준으로 서울은 전국 16개 지방(서울, 부산, 대구, 경기, 제주, 전남 등) 중 8위(7위: 대구, 9위: 전북), 광역시나 특별시 중에서는 4위(3위: 대구, 5위: 울산)였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서울시는 청정연료 사용 확대, 경유차 배기가스 저감, 도로 및 공사장의 먼지 관리 등 대기질 개선 노력을 집중적으로 추진하여 대기질이 좋아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황해 근처 중국 공장들의 매연 때문에 서울의 대기질은 겨울과 봄에 매우 나빠지며, 미세먼지 농도가 100㎍/m3을 넘는 날이 늘어나고 있다.

2020년 코로나19 상황과 역대 가장 긴 장마로 인해 서울의 미세먼지는 110일 동안 보통 이하를 기록하기도 하였다.[229]

2023년 12월 3일 촬영된 서울 수도권 지역의 코페르니쿠스 센티넬-2 위성 이미지. 위성을 통해 서울 수도권 지역의 대기질을 자세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대기오염은 서울의 주요 문제 중 하나이다.[56][57][58][59] 2016년 세계보건기구(WHO)의 세계 도시 대기오염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60] 2014년 연평균 미세먼지(PM2.5) 농도는 24 μg/m³였는데, 이는 WHO의 연평균 PM2.5 대기질 기준[61] 권고치보다 2.4배 높은 수치이다. 서울특별시는 실시간 대기질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공개적으로 공유한다.[62]

2008년 서울에 영향을 미친 스모그와 황사


1960년대 초부터 환경부는 국민의 대기질 개선 및 관리를 위해 다양한 정책과 대기오염물질 배출 기준을 시행해왔다.[63] 2003년 12월에는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에 관한 특별법"이 통과되었다. 제1차 서울시 대기질 개선계획(2005~2014)은 배출량 감소를 통해 PM10과 이산화질소 농도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64] 그 결과, 연평균 PM10 농도는 2001년 70.0 μg/m³에서 2011년 44.4 μg/m³[65], 2014년 46 μg/m³로 감소했다.[60] 그러나 2014년 기준 연평균 PM10 농도는 여전히 WHO 대기질 기준 권고치의 두 배 이상이었다.[61] 제2차 서울시 대기질 개선계획(2015~2024)에는 PM2.5와 오존이 관리 대상 오염물질 목록에 추가되었다.[66]

경기, 인천, 서울 세 지역의 주요 지방자치단체는 2007년부터 2020년까지 대기질 개선에 90억달러를 투자하면서 책임에 대한 명확한 법적 체계, 공개적으로 확인 가능한 결과, 그리고 교통 오염물질 감소에 대한 주요 초점을 제공했다.[67] 2020년 7월, 당시 세계 11위 경제 대국인 한국은 석탄 투자 중단에 350억달러를 투입하겠다고 발표했다.[68] 2020년 11월에는 2050년까지 탄소 중립 경제를 달성하겠다고 약속했다.[69] 2005년부터 2021년까지 서울의 연간 미세먼지(PM10) 농도는 30~40% 감소했고, 같은 기간 전국적으로는 19%,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는 더 많이 감소했다.[70]

황사, 서울 및 한국의 다른 지역의 배출, 그리고 중국의 배출은 모두 서울의 대기질에 영향을 미친다.[57][71] 대기질 외에도 한국은 세계 10대 주요 배출국 중 하나이기 때문에 온실가스 배출은 한국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서울은 한국에서 온실가스 배출이 가장 심각한 지역이며, 위성 데이터에 따르면 서울 상공의 이산화탄소 이상 현상은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곳 중 하나이다.[72] 대기질은 한국과 인근 국가를 중심으로 정지궤도 위성 측정을 통해 모니터링된다.[73]

2024년 1월, 당시 하루 승객 수가 약 700만 명에 달했던 서울교통공사는 서울 지하철 전역의 대기오염 감소를 위한 광범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목표는 법적 기준치(50 μg/m3)보다 30% 이상 오염도를 줄이는 것이었으며, 2026년까지 32 μg/m3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했다. 당시 서울 지하철의 평균 오염 농도는 38.8 μg/m3였다. 2024년부터 3년 동안 매년 1000억의 예산이 대기오염 감소 대책에 배정되었다. 이에는 에어컨 설치, 환기 시스템 및 필터 개선, 먼지를 유발하는 자갈로 된 지하철 터널 바닥을 콘크리트로 교체, 개찰구 먼지 포집 매트 설치, 그리고 지하철 시스템 내 오염도에 대한 지속적인 공개 측정 등이 포함되었다.[74]

7. 정치

서울특별시의 행정부 수장은 서울특별시장이며 직선제와 3선 연임제를 채택하고 있다. 현 시장은 2022년에 취임한 국민의힘 오세훈이다.

서울특별시는 일본의 캐치올 규제 운영 재검토 결정에 따라 피해를 입는 기업에 2000억 규모의 긴급 자금 지원을 결정했다. 또한 일본 지방자치단체와의 교류 중단을 검토하는 등 강경한 대응을 보였다.[182] 2019년 9월 6일, 서울특별시의회는 일본 전범기업 제품의 구매를 제한하는 조례를 통과시켰다.[183] 이는 일본의 부당한 경제 제재에 대한 서울시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으로 해석된다.

7. 1. 중앙정치

대한민국 국회의사당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로서,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등 국가의 통치 기관이 집중되어 있다. 종로구에는 청와대정부서울청사를 비롯한 중앙 행정 기관과 헌법재판소 등 국가 중요 기관이 있고, 중구 정동에는 각국의 외교 대사관이 밀집해 있다. 또한 영등포구 여의도에는 국회가, 서초구에는 대법원을 비롯한 법조 단지가 형성되어 있다.

7. 2. 지방정치

서울시청


서울특별시는 서울의 지방자치단체로, 도시의 행정 및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담당한다. 시장과 3명의 부시장이 이끌고 있으며, 25개의 자치구와 522개의 행정동으로 나뉜다.[83][84]

서울의 구


서울은 25개의 “구”로 나뉘어져 있다.[85] 구의 면적은 10km2에서 47km2로 다양하며, 인구는 14만 명 미만에서 63만 명까지 다양하다. 송파구의 인구가 가장 많고, 서초구의 면적이 가장 넓다. 각 구청은 다른 관할 구역의 시정부가 처리하는 많은 기능을 담당한다. 각 구는 “동” 또는 이웃으로 나뉜다. 서울에는 총 423개의 행정동이 있다.[85]

정당별 의석수 (2022년 7월 1일 현재)
rowspan=2 colspan=2|합계정당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시정여당기타무소속
합계112367600
선거구별지역구101317000
비례대표115600



서울특별시의회는 112석 (지역구 101석 + 비례대표 11석)으로 구성되며, 지역구는 소선거구제로 선출된다. 비례대표 의원 당선자 배분을 위한 기준은 정당 득표율 5% 이상을 획득한 정당에 한하여 각 정당별로 얻은 득표율에 비례대표 의석수를 곱한 정수로 계산하여 산출한다.

한국에서 지방의회 선거는 한국 전쟁 중이던 1952년 5월 10일에 처음으로 실시되었지만(자세히), 서울특별시에서는 선거가 실시되지 못하고 휴전 후 1956년 8월 10일에 처음으로 시의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두 번째 선거(1960년 12월)가 실시된 이듬해인 1961년 5월에 발생한 5·16 군사 정변으로 발족한 군사 정권(국가 재건 최고 회의)의 포고 4호에 따라 지방자치가 정지되고 시의회는 해산되었다. 이후, 1987년 민주화가 실현됨으로써 지방 자치가 부활하고 1991년 6월에 실시된 시의회의원 선거 이후 같은 해 7월, 30년 만에 서울시의회가 부활했다.

이후 4년마다 선거가 실시되고 있다(단, 1995년 선거는 특례로 의원 임기가 3년이었다). 시의회 청사는 1975년까지 국회의사당으로 사용되었던 구 경성부민관(1935년 준공)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7. 3. 행정 구역

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은 2022년 5월 말 기준으로 25개의 자치구와 426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230] 한강을 기준으로 남쪽에 11개, 북쪽에 14개의 자치구가 있다. 2020년 4월 말 주민등록 인구는 9,726,787명이다.[230] 인구가 가장 많은 구는 송파구이며, 가장 적은 구는 중구이다.

자치구한자세대인구면적(㎢)
종로구鐘路區74,299150,93623.91
중구中區63,091126,1269.96
용산구龍山區111,037229,36921.87
성동구城東區135,563298,24916.85
광진구廣津區165,579350,01617.06
동대문구東大門區165,516345,79314.2
중랑구中浪區182,433395,07218.5
성북구城北區194,095442,17424.56
강북구江北區145,049312,69123.61
도봉구道峰區138,724330,70720.7
노원구蘆原區217,302530,30235.44
은평구恩平區208,771477,97329.69
서대문구西大門區142,559312,80917.6
마포구麻浦區176,385374,42623.88
양천구陽川區178,257457,13217.4
강서구江西區264,111588,28141.43
구로구九老區177,432405,27120.12
금천구衿川區111,787232,39613
영등포구永登浦區178,323372,22524.57
동작구銅雀區182,236394,98816.35
관악구冠岳區271,313498,97829.57
서초구瑞草區173,561429,72947
강남구江南區233,363543,24039.51
송파구松坡區279,460672,86233.88
강동구江東區191,399455,04224.58
합계4,361,6459,726,787605.25


7. 4. 선거구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기준 서울특별시의 선거구는 48개이다. 주민등록 인구(외국인 제외)에 따라 29만 5천 명 미만인 자치구는 1개, 29만 5천 명 이상 ~ 59만 명 미만인 자치구는 2개, 59만 명 이상인 자치구는 3개의 선거구를 가진다.

8. 인구

조선1394년 고려 멸망 후 천도한 이후, 조선 태종 때 서울의 인구는 약 10만 명이었으며, 이후 1900년대까지 20만 명 선을 유지하였다.

일제강점기 이후 서울의 인구는 지방 인구의 도시 집중 현상으로 급격하게 늘어나 과밀화 현상을 빚었다. 1919년에 인구 25만 명, 인구밀도 6,874명/km2이었던 것이 1935년에는 인구 40만 명, 인구밀도 11,172명/km2에 달하였다. 1936년 시역 확장을 통해 인구는 73만 명으로 증가하고 인구밀도는 5,430명/km2으로 감소하였다. 1945년 광복 당시 인구는 90만 명, 인구밀도 6,628명/km2이었는데, 광복 이후 1946년에는 인구가 127만 명으로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인구밀도는 9,309명/km2이 되었다. 1948년에는 인구 171만 명에 인구밀도 12,055명/km2으로 증가하였다. 1949년 시의 면적이 136.05 km2에서 268.35 km2로 확장되었고 인구는 142만 명, 인구밀도는 5,284명/km2이 되었다.

1951년 한국 전쟁으로 인구가 65만 명, 인구밀도는 2,416명/km2으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1953년 휴전과 환도로 다시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1955년에는 인구 157만 명, 인구밀도 5,869명/km2, 1960년에는 인구 245만 명(전체 인구의 10%), 인구밀도 913명/km2, 1970년에는 인구 543만 명(전체 인구의 18%), 인구밀도 9,013명/km2, 1980년 인구는 836만 명, 인구밀도 13,074명/km2, 1990년에는 1,061만 명, 인구밀도가 15,532명/km2이 되었다.

1992년 인구 1,099만 명, 인구밀도 19,522명/km2을 정점으로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이는 정부의 서울 인구 분산 정책에 따른 것으로, 분당, 일산, 평촌, 중동, 산본 등의 1기 신도시가 개발되었고, 운정, 판교, 동탄 등 2기 신도시 개발에 따른 이주에 의한 것이다.[232] 2003년 인구 1,028만 명, 인구밀도 16,975명/km2을 정점으로 다시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뉴타운'으로 불리는 서울 시내 대규모 재개발로 인한 인구 유입의 영향이 크다. 2009년 12월 말 기준 인구는 10,464,051명, 4,116,660세대이고, 인구밀도는 17,289명/km2이다.

1960년경부터 대한민국경제성장과 함께 각종 산업이 발전하면서 고용 증대가 이루어졌고, 이에 따라 농촌인구가 급격하게 서울로 집중하게 되었다. 농촌에서는 생계가 어려워 무작정 서울로 온 이농 인구 덕분이었다.[233] 서울은 자연증가보다 사회증가에 의하여 과밀화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또한 서울에는 교육기관이 많이 분포하고 있어 서울에서 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은 주로 서울에서 취업을 하거나 생활 터전을 마련한다.[234]

2010년대 들어 서울의 높은 전세로 인해 서울의 인구 순유출 속도가 한국 도시들 중 가장 빠르며, 2016년 5월을 기점으로 서울 인구가 1,000만 명 선 아래로 떨어졌다. 서울 올림픽이 열리던 1988년 1,000만 명을 넘어선 서울의 인구가 28년 만에 1,000만 명 아래로 떨어진 것이다. 2018년 5월 기준으로 서울의 인구는 980만 명이다. 서울을 빠져나가는 대부분의 인구는 경기도로 이동하고 있으며, 세종시나 제주도로의 이동도 이루어지는 역도시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2020년 도시권 인구는 2,596만 명으로 세계적인 메가시티를 형성하고 있다. 서울의 인구 밀도는 도쿄의 약 2.5배이며, 도쿄 23구와 거의 같다.

2012년 기준으로 서울의 수도권 지역은 아시아 OECD 국가 중 인구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파리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구 밀도가 높았다.[87] 2011년 6월 말 기준으로 서울에는 대한민국 국민 1,029만 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이는 2010년 말 대비 0.24% 감소한 수치이다. 2012년에는 1,044만 명, 2015년에는 986만 명이었다.[88] 2021년 기준 서울의 인구는 959만 명이다.[89][90] 1990년대 초반부터 서울 인구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그 이유는 높은 생활비, 경기도 위성 도시로의 도시 확장, 그리고 고령화 때문이다.[88]

2016년 기준으로 서울에 거주하는 외국인 수는 40만 4,037명으로, 대한민국 전체 외국인 인구의 22.9%를 차지한다.[91] 2011년 6월 기준으로 서울 거주 외국인 중 18만 6,631명은 한국계 중국 국민이었다. 이는 2010년 말 대비 8.84%, 2010년 6월 대비 12.85% 증가한 수치이다. 다음으로 많은 외국인 집단은 한국계가 아닌 중국 국민으로, 2만 9,901명이 서울에 거주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많은 집단은 한국계가 아닌 미국 국민으로 9,999명이었고, 그 다음은 8,717명의 대만 국민이었다.[92]

서울의 주요 종교는 기독교와 불교이다. 다른 종교로는 무속(토착 종교)과 유교가 있다. 서울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기독교 신도 수를 자랑하는 여의도순복음교회가 있으며, 약 83만 명의 신도가 있다.[93]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10.8%가 불교를, 35%가 기독교(개신교 24.3%, 천주교 10.7%)를 따른다. 53.6%의 인구는 종교를 갖고 있지 않다.[94] 서울에는 불교 종단이 설립한 세계 최대 규모의 현대 대학인 동국대학교가 있다.[95]

9. 경제

서울은 대한민국의 사업 및 금융 중심지이다. 2003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은행 예금의 48.3%가 서울에 집중되었으며,[98] 2012년에는 대한민국 GDP의 23%를 창출했다.[99]

강남 상업 지역


한국은행은 서울 도심의 소공동에 위치하며 금융 중심지를 구성하고 있다.


롯데월드와 롯데월드 타워


서울 강남역 지역의 삼성타운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여러 국제적인 평가에서 서울의 경제적 위상을 확인할 수 있다. 2008년 세계적인 상업 중심지 지수에서 9위를 차지했고,[100] 2015년 글로벌 금융센터 지수에서는 세계에서 6번째로 금융 경쟁력이 높은 도시로 평가되었다.[101]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은 2025년 도시 경쟁력 평가에서 서울을 15위로 선정했다.[102]

서울은 삼성, LG, 현대자동차 등 주요 한국 기업들의 본사가 위치한 곳이다. 또한, 한국외환은행 본점이 서울에 있으며, 2021년 서울 도시권의 총생산은 1.125조달러로,[184] 이는 도쿄 도시권, 뉴욕 도시권, 로스앤젤레스 도시권에 이어 세계 4위에 해당한다.[157]

2008년 미국의 마스터카드 월드와이드가 발표한 세계 비즈니스 도시 순위에서 서울은 세계 9위 도시로 평가받았으며,[185] 포춘 글로벌 500에서는 세계 수준의 대기업 본사 수가 세계 6위로 집적된 도시로 평가받고 있다.[186] 또한, 2022년 조사에 따르면 세계 11위의 금융센터로 평가받고 있다.[187]

9. 1. 공업

서울의 공업은 전통적인 노동 집약적 제조업에서 정보 기술, 전자 및 조립식 산업으로 지속적으로 대체되어 왔다.[103][104] 그러나 식음료 생산, 인쇄 및 출판업은 여전히 핵심 산업으로 남아있다.[103] 삼성, LG, 현대, 기아, SK 등 주요 제조업체들이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다.

주목할 만한 식음료 회사로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소주 브랜드인 진로[105]와 맥주 생산업체인 하이트 및 오리온맥주[106]가 있다. 서울우유협동조합, 농심그룹, 오뚜기, CJ, 오리온, 매일홀딩스, 남양유업, 롯데와 같은 식품 대기업들도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다.

9. 2. 상업

서울은 대한민국의 사업 및 금융 중심지이다. 서울은 대한민국 국토 면적의 0.6%에 불과하지만, 2003년 기준 대한민국 은행 예금의 48.3%가 서울에 집중되어 있었으며,[98] 2012년에는 대한민국 GDP의 23%를 창출했다.[99] 2008년 세계적인 상업 중심지 지수에서 서울은 9위를 차지했다.[100] 2015년 글로벌 금융센터 지수는 서울을 세계에서 6번째로 금융 경쟁력이 높은 도시로 평가했다.[101]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은 도시의 미래 경쟁력을 고려하여 "전반적인 2025년 도시 경쟁력" 목록에서 서울을 15위로 평가했다.[102] 2024년에 발표된 글로벌 금융센터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은 10위를 차지했다. 서울은 사업 환경 및 금융 부문 개발 부문에서 13위, 인적 자본 부문에서 7위, 인프라 부문에서 10위, 평판 부문에서 12위를 기록했다.[107]

서울의 주요 금융 중심지인 여의도


서울에는 (CBD), (GBD), (YBD) 세 곳의 중심업무지구가 있다.[108] 600년 역사의 한국 최고의 상업 지구인 서울 도심은 현재 광화문청계천 주변에 주요 기업 본사, 외국 금융기관, 대형 뉴스 에이전시 및 법률 회사들이 밀집해 있다. 나머지 두 곳의 업무 지구는 1970년대에 개발되었으며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강남은 기술, 럭셔리, 사교육 산업으로 유명한 반면, 여의도는 증권거래소와 자산운용으로 유명하다.[109][110]

2023년 서울시는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한 전용 지역 조성에 6년간 44700000USD를 투자할 계획을 발표했다.[107]

명동은 서울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곳 중 하나입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도매 및 소매 시장인 동대문시장은 서울에 위치해 있다.[111] 명동은 중고급 매장, 패션 부티크 및 국제 브랜드 매장이 있는 서울 도심의 쇼핑 및 오락 지역이다.[112] 인근의 남대문시장은 남대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시장이다.[113]

인사동은 서울의 문화 예술 시장으로, 그림, 조각, 서예와 같은 전통 및 현대 한국 예술품이 판매된다.[114] 황학동 벼룩시장과 장안평 헌책시장도 골동품을 판매한다.[115][116] 많은 소규모 미술관이 있는 삼청동에는 지역 디자이너를 위한 상점들이 문을 열었다. 이태원은 주로 외국인 관광객과 주한 미군을 대상으로 했지만, 현재는 한국인 방문객이 대다수를 차지한다.[117] 강남구는 서울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 중 하나이며,[117]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압구정동청담동 지역, 그리고 코엑스몰로 유명하다. 도매 시장으로는 노량진수산시장가락시장이 있다.

용산전자상가는 아시아 최대의 전자상가이다. 전자상가로는 강변역 2호선 테크노마트, 엔터식스몰 & 신도림역 테크노마트 몰 복합단지가 있다.[118] 타임스퀘어는 서울에서 가장 큰 쇼핑몰 중 하나이며, 세계에서 가장 큰 영구 설치 35mm 영화관 스크린인 CGV 스타리움을 보유하고 있다.[119]

코엑스몰, 컨벤션센터, 인터컨티넨탈 호텔 3곳, 비즈니스 타워(아셈타워), 레지던스 호텔, 카지노 및 시티 에어포트 터미널로 구성된 코리아 월드 트레이드 센터 콤플렉스는 서울 올림픽을 위해 1988년에 설립되었다. 제2의 세계무역센터는 서울 올림픽 경기장 단지에 MICE 허브로 계획되고 있다. 구 한국전력공사 본사 건물은 현대자동차그룹이 90억달러에 매입하여 2021년까지 115층 규모의 현대 GBC & 호텔 단지를 건설할 예정이었다. 현재 구 한국전력공사 25층 건물은 철거 중이다.

9. 3. 업무 지구

서울에는 (CBD), (GBD), (YBD) 세 곳의 중심업무지구가 있다.[108] 600년 역사의 한국 최고의 상업 지구인 서울 도심은 현재 광화문청계천 주변에 주요 기업 본사, 외국 금융기관, 대형 뉴스 에이전시 및 법률 회사들이 밀집해 있다. 나머지 두 곳의 업무 지구는 1970년대에 개발되었으며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강남은 기술, 럭셔리, 사교육 산업으로 유명한 반면, 여의도는 증권거래소와 자산운용으로 유명하다.[109][110]

10. 교육

서울대학교 정문에 있는 조형물


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체육대학교 등 국공립 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인문사회캠퍼스), 한양대학교, 중앙대학교, 경희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건국대학교, 동국대학교, 광운대학교, 홍익대학교, 국민대학교, 숭실대학교, 세종대학교 등 사립 대학교들이 소재하고 있다. 대학교 40개교, 교육대학 1개교, 방송통신대학교 1개교, 전문대학 12개교 등이 있다.[239]

서울특별시의 학교 · 학생 · 교직원 현황 (2012년)
교육기관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합계
학교886개교594개교376개교311개교2,206개교
학생87,997명502,000명315,241명344,391명1,262,970명
교직원6,213명29,762명18,442명23,245명79,490명
자료 : 서울교육통계연보[240]



서울대학교 정문


의무 교육은 초등학교 6년과 중학교 3년으로 1학년부터 9학년까지 이어진다.[96] 학생들은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을 보낸다. 중등 학교는 일반적으로 학생들에게 교복 착용을 요구한다. 고등학교 졸업에는 졸업 시험이 있으며, 대학교 진학을 하는 많은 학생들은 매년 11월에 시행되는 수능을 치러야 한다. 고등학교 졸업자가 아닌 사람들을 위한 검정고시가 있지만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수능을 본다.

서울에는 3개의 과학고등학교와 6개의 외국어고등학교를 포함한 다양한 특수목적고등학교가 있다. 서울특별시교육청은 2009년 기준으로 235개의 일반고등학교, 80개의 특성화고등학교, 377개의 중학교, 33개의 특수학교를 관할한다.

서울에는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를 포함하여 대한민국에서 가장 명문인 대학교들이 많이 있다. 서울은 QS 세계 최고 대학 도시 2023 순위에서 2위를 차지했다.[97]

11. 문화

서울은 대한민국 문화 활동의 중심지로, 국립중앙박물관 등 60여 개의 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국회도서관을 비롯한 도서관, 국립국악원, 국립중앙극장, 세종문화회관 등 주요 공연 시설과 다양한 문화 시설들이 집중되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서울에는 132개의 국보, 380개의 보물, 61개소의 사적, 11개의 천연기념물, 32개의 무형문화재, 46개의 중요민속자료 등이 있다. 경복궁 등의 고궁과 각종 공원은 시민들과 외국 관광객들에게 휴식처와 관광 명소가 되고 있다.

이름비고(내용)
국립중앙박물관대한민국 최대의 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조선 왕실의 문화재 전시
국립민속박물관민속·생활사 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서울의 도시 역사 박물관
전쟁기념관전쟁사 박물관
덕수궁미술관국립현대미술관(과천 소재)의 서울 분관
서울시립미술관서울시 공공 미술관



서울에는 시립 도서관 23개 소(대부분 서울특별시교육청 운영)와 각 자치구에서 설립한 구립 도서관이 있다. 장서 100만여 권을 가진 국립중앙도서관국회도서관 외에도 공공 및 사립도서관, 대학도서관 등이 있다.[239]

주요 공연 시설은 다음과 같다.



서울에는 대한민국 상위 5개 3차 병원을 포함한 주요 의료 기관들이 있다.[189][190][191]

서울에서는 다음과 같은 축제들이 열린다.

11. 1. 상징

서울을 상징하는 꽃은 개나리(1971년 4월 3일 지정), 나무는 은행나무(1971년 4월 3일 지정), 새는 까치(1971년 4월 3일 지정)이다.

11. 2. 관광

비짓서울 로고


서울은 최근 K 문화의 인기로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어 많은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다. 서울관광재단에서는 서울 여행을 계획하거나 서울을 여행 중인 관광객들을 위해 '[https://www.visitseoul.net/index 비짓서울]'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 공식 관광 정보 웹사이트인 '비짓서울'은 서울에서 개최되는 각종 행사, 축제, 전시 정보는 물론이고 명소, 맛집, 쇼핑 등 다양한 관광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관광 정보를 발 빠르게 제공하여 관광객들이 서울을 제대로 즐길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비짓서울'은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간체, 중국어 번체, 러시아어, 말레이어 총 7가지 언어를 제공한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도매 및 소매 시장인 동대문시장은 서울에 있다.[111] 명동은 중고급 매장, 패션 부티크 및 국제 브랜드 매장이 있는 서울 도심의 쇼핑 및 오락 지역이다.[112] 인근의 남대문시장은 남대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시장이다.[113]

인사동은 서울의 문화 예술 시장으로, 그림, 조각, 서예와 같은 전통 및 현대 한국 예술품이 판매된다.[114] 황학동 벼룩시장과 장안평 헌책시장도 골동품을 판매한다.[115][116] 많은 소규모 미술관이 있는 삼청동에는 지역 디자이너를 위한 상점들이 문을 열었다. 이태원은 주로 외국인 관광객과 주한 미군을 대상으로 했지만, 현재는 한국인 방문객이 대다수를 차지한다.[117] 강남구는 서울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 중 하나이며,[117]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압구정동청담동 지역, 그리고 코엑스몰로 유명하다. 도매 시장으로는 노량진수산시장가락시장이 있다.

용산전자상가는 아시아 최대의 전자상가이다. 전자상가로는 강변역 2호선 테크노마트, 엔터식스몰 & 신도림역 테크노마트 몰 복합단지가 있다.[118] 타임스퀘어는 서울에서 가장 큰 쇼핑몰 중 하나이며, 세계에서 가장 큰 영구 설치 35mm 영화관 스크린인 CGV 스타리움을 보유하고 있다.[119]

코엑스몰, 컨벤션센터, 인터컨티넨탈 호텔 3곳, 비즈니스 타워(아셈타워), 레지던스 호텔, 카지노 및 시티 에어포트 터미널로 구성된 코리아 월드 트레이드 센터 콤플렉스는 서울 올림픽을 위해 1988년에 설립되었다. 제2의 세계무역센터는 서울 올림픽 경기장 단지에 MICE 허브로 계획되고 있다. 구 한국전력공사 본사 건물은 현대자동차그룹이 90억달러에 매입하여 2021년까지 115층 규모의 현대 GBC & 호텔 단지를 건설할 예정이었다. 현재 구 한국전력공사 25층 건물은 철거 중이다.

11. 3. 문화재, 박물관

서울은 대한민국 문화 활동의 중심지로, 다양한 문화 시설들이 집중되어 있다. 국보 132개, 보물 380개, 사적 61개소, 천연기념물 11개, 무형문화재 32개, 중요민속자료 46개 등이 있다. 경복궁 등의 고궁과 공원은 시민들과 외국 관광객들에게 휴식처와 관광 명소가 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등 60여 개의 박물관이 있다. 주요 박물관은 다음과 같다.

이름비고(내용)
국립중앙박물관대한민국 최대의 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조선 왕실의 문화재 전시
국립민속박물관민속·생활사 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서울의 도시 역사 박물관
전쟁기념관전쟁사 박물관
덕수궁미술관국립현대미술관(과천 소재)의 서울 분관
서울시립미술관서울시 공공 미술관



북촌한옥마을, 조선 시대에 지어진 서울의 전통 마을


숭례문 (일반적으로 남대문으로 알려짐)


암사동 선사 유적지에서는 1925년 홍수로 인해 신석기 시대 유적이 발굴되었다.[131] 풍납토성은 한강 변에 건설된 평평한 흙벽으로, 위례성의 자리로 널리 알려져 있다. 몽촌토성은 백제 시대에 건설된 또 다른 흙벽으로, 현재 올림픽공원 안에 있다.[133] 서울 성곽은 조선 왕조 초기에 도시 방어를 위해 건설되었다. 성벽의 약 2/3와 원래의 팔대문 중 6개가 남아있다. 이 문에는 남대문(숭례문)과 동대문이 포함된다. 남대문은 2008년 방화 공격으로 파괴되기 전까지 가장 오래된 목조 문이었으며, 2013년 완전 복원 후 다시 개방되었다.[134]

국립중앙박물관


서울에는 국립 박물관 4곳과 시립 박물관 9곳을 포함하여 115개의 박물관이 있다.[135] 국립중앙박물관은 22만 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136] 국립민속박물관은 경복궁에 위치하며 역사 속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37] 북촌한옥마을과 남산골한옥마을은 한옥(전통 한국식 주택)으로 이루어진 오래된 주거지역이다.[138][139]

전쟁기념관은 한국이 참전했던 전쟁, 특히 한국 전쟁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140][141]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은 일제강점기 시대에 건설된 옛 감옥으로, 역사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142] 서울시립미술관, 리움, 삼성미술관, 일민미술관은 서울에 있는 미술관들이다.

11. 4. 도서관

서울은 대한민국 문화 활동의 중심지로, 도서관, 박물관, 출판사, 공원 및 기타 문화 시설들이 집중되어 있다. 서울에는 시립 도서관 23개 소가 있으며, 대부분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운영하고 있다. 그 외에도 각 자치구에서 설립한 구립 도서관이 있으며, 최근 구립 도서관의 숫자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장서(藏書) 100만여 권을 가진 국립중앙도서관국회도서관 외에도 공공 및 사립도서관, 대학도서관 등이 있다.[239]

11. 5. 공연 시설

서울은 대한민국 문화 활동의 중심지로, 다양한 문화 시설들이 집중되어 있다. 주요 공연 시설은 다음과 같다.

11. 6. 유적지



서울에는 많은 역사적, 문화적 랜드마크가 있다. 강동구 암사동 선사 유적지에서는 1925년 홍수로 인해 신석기 시대 유적이 발굴되었다.[131]

14세기 후반 서울이 수도로 건설될 당시 도시 및 시민 계획은 핵심 개념이었다. 조선 왕조는 서울에 "5대 궁궐"인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복궁, 경희궁을 건설했으며, 이들 모두 종로구중구에 위치해 있다. 이 중 창덕궁은 극동 궁궐 건축과 정원 디자인의 뛰어난 예로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주요 궁궐인 경복궁은 대규모 복원 사업을 거쳤다.[132] 서울은 다른 지역 방문객을 통제하고 침입에 대비하여 도시를 보호하기 위해 건설된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풍납토성한강 변에 건설된 평평한 흙벽으로, 위례성의 자리로 널리 알려져 있다. 몽촌토성은 백제 시대에 건설된 또 다른 흙벽으로, 현재 올림픽공원 안에 있다.[133] 서울 성곽은 조선 왕조 초기에 도시 방어를 위해 건설되었다. 수세기 동안 파괴와 재건을 거듭한 후, 성벽의 약 2/3와 원래의 팔대문 중 6개가 남아 있다. 이 문에는 남쪽 문인 남대문과 동쪽 문인 동대문이 포함된다. 남대문은 2008년 방화 공격으로 파괴되기 전까지 가장 오래된 목조 문이었으며, 2013년 완전 복원 후 다시 개방되었다.[134]

11. 7. 명소

11. 8. 공원

한강공원


서울에는 많은 공원이 있다. 남산공원N서울타워를 통해 서울 도심 스카이라인을 조망할 수 있고, 레크리에이션 하이킹을 즐길 수 있어 유명하다. 송파구에 있는 서울올림픽공원은 1988년 하계 올림픽을 개최하기 위해 건설된 서울에서 가장 큰 공원이다. 탄천 주변 지역은 운동 장소로 인기가 많다. 청계천에도 휴식 공간이 있다. 2017년에는 서울역 위를 비스듬히 가로지르는 서울로7017이 개장했다.

한강을 따라 이촌한강공원, 여의도한강공원, 망원한강공원, 난지한강공원, 반포한강공원, 뚝섬한강공원, 잠실한강공원 등 많은 공원이 있다. 서울 수도권 지역에는 도시가 경기도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녹지대도 있다. 이 지역들은 주말과 휴가철에 도시 생활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사람들이 자주 찾는다.

11. 9. 종교 시설

주어진 소스에 '종교 시설'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서울의 문화 시설과 관련된 내용을 통해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서울은 대한민국 문화 활동의 중심지이며, 국보, 보물, 사적, 천연기념물, 무형문화재, 중요민속자료 등이 있다. 이러한 문화재 중에는 종교와 관련된 시설(예: 사찰, 교회, 성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등 60여 개의 박물관이 있으며, 이 중 일부는 종교 관련 유물을 전시할 수 있다.

이름비고(내용)
국립중앙박물관대한민국 최대의 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조선 왕실의 문화재 전시
국립민속박물관민속·생활사 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서울의 도시 역사 박물관
전쟁기념관전쟁사 박물관
덕수궁미술관국립현대미술관(과천 소재)의 서울 분관
서울시립미술관서울시 공공 미술관



이 정보들을 종합하면, 서울에는 다양한 종교 시설이 존재하며, 이는 서울이 다양한 문화와 신앙이 공존하는 도시임을 보여준다.

11. 10. 주요 의료 기관



대한민국의 의료기관은 1차, 2차, 3차 병원으로 나뉜다. 1차 병원은 동네 의원급으로 진료 과목이 제한적이며 간단한 질병을 치료한다. 2차 병원은 지역 내 중추 의료기관으로, 여러 진료 과목을 담당하며 입원 및 수술 시설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상급 의료기관은 3차 병원에 해당하며, 대한민국 정부가 지정한 전문 종합병원이다. 3차 병원은 대부분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전문 의사가 다수 있으며, 수술, 입원뿐만 아니라 1, 2차 병원에서 의뢰받은 환자를 주로 담당한다. 대한민국의 의료 정책상 2차 병원 이상에서는 하위 병원 의사의 진료 의뢰서가 있어야 진료 및 치료가 가능하다.[189][190][191]

서울에는 많은 병원이 있지만, 이 문서에서는 대한민국 상위 5개 3차 병원을 소개한다.[189][190][191]

11. 11. 축제


서울 거리 예술 축제 서울시청 광장에서 열린 콘서트


서울 거리 예술 축제는 2003년부터 매년 봄, 여름, 가을, 겨울 서울에서 4회 개최되는 계절 문화 축제이다. 이 축제는 서울이 수도로서 600년 역사를 기념하기 위해 1994년부터 매년 10월에 개최되는 "서울 시민의 날"을 기반으로 하며, 서울특별시 주최로 진행된다. 2012년 6월 둘째 주에는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코리아가 개최되었다.[145]

2012년 10월, 서울 KBS홀에서는 아시아태평양방송연맹 제49차 총회의 일환으로 제1회 ABU TV 및 라디오송 페스티벌이 개최되었다.[143][144]

12. 스포츠

서울은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하계 올림픽, 1988년 하계 패럴림픽을 개최하였으며, 2002년 FIFA 월드컵의 개막전과 4강전을 비롯한 총 3경기가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치러졌다.[239] 송파구에는 서울올림픽주경기장과 이를 기념하는 올림픽공원이 있고, 마포구에는 월드컵공원이, 노원구에는 종합선수합숙훈련장인 태릉선수촌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프로스포츠팀을 보유한 도시이며, 특히 프로스포츠 양대 산맥인 프로축구 K리그와 프로야구 KBO 리그에서 1990년 럭키금성 황소LG 트윈스, 그리고 2016년 FC 서울두산 베어스가 동반 리그 우승을 달성하였다.[250]

서울의 주요 경기장으로는 잠실종합운동장, 목동운동장, 서울월드컵경기장 등이 있다.[239]

12. 1. 축구



서울은 대한민국 스포츠의 주요 중심지이며, 전국에서 가장 많은 프로 스포츠팀과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K리그, KBO 리그, 한국농구연맹, V리그를 포함한 대한민국 주요 프로 스포츠 리그 챔피언십 역사에서 서울은 1990년과 2016년 두 차례 같은 시즌에 여러 챔피언을 배출했다. 1990년에는 럭키금성 FC(FC 서울)가 1990 K리그에서 우승하고 LG 트윈스가 1990 KBO 리그에서 우승했으며, 2016년에는 FC 서울이 2016 K리그 클래식에서, 두산 베어스가 2016 KBO 리그에서 우승했다.[148]

서울은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하계 올림픽, 1988년 하계 패럴림픽을 개최했다. 또한 2002 FIFA 월드컵의 개최 도시 중 하나이기도 했다.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는 대회 개막식과 첫 경기가 열렸다. 태권도는 대한민국의 국기이며, 서울에는 태권도의 세계 본부인 국기원과 세계태권도연맹이 있다.

12. 2. 야구


12. 3. 농구


12. 4. 배구

리그명구단명창단 연도홈 경기장
V-리그 (남)서울 우리카드 우리WON2008년장충체육관
V-리그 (여)서울 GS칼텍스 KIXX1970년


12. 5. 스포츠 시설

서울은 대한민국 스포츠의 주요 중심지이며, 전국에서 가장 많은 프로 스포츠팀과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하계 올림픽, 1988년 하계 패럴림픽을 개최하였으며, 2002년 FIFA 월드컵의 개막전과 4강전을 비롯한 총 3경기가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치러졌다.

서울특별시 송파구에는 1986년 아시안 게임1988년 하계 올림픽의 개막식, 폐막식이 있었던 서울올림픽주경기장과 이를 기념하는 올림픽공원이 있으며, 마포구에는 월드컵공원이 있다. 노원구에는 종합선수합숙훈련장인 태릉선수촌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프로 스포츠팀을 보유한 도시이며, 특히 프로스포츠 양대 산맥인 프로축구 K리그와 프로야구 KBO 리그에서 1990년 럭키금성 황소LG 트윈스, 그리고 2016년 FC 서울두산 베어스가 두 차례 동반 리그 우승을 달성하였다.[250]

서울의 주요 스포츠 시설은 다음과 같다.
서울올림픽체육관

서울월드컵경기장 (마포구)

  • 태릉선수촌: 1970년 3월 개장한 대한민국 종합선수 합숙훈련장이며 축구장, 수영장, 스케이트장은 물론 각종 치료 및 의료시설과 선수숙소가 있다. 현재는 진천선수촌으로 주기능을 옮겼다.
  • 고척스카이돔: 2015년에 개관한 야구 경기 전용 돔 구장이며, 현재 KBO 리그에 참여하는 키움 히어로즈가 홈 구장으로 사용 중이다.
  • KRA플라자: 한국마사회에서 개최하는 경마를 중계해 주는 시설로 총 10개가 운영 중이다.
  • 오버워치 프로게이밍팀: 서울 다이너스티가 있으며, 현재는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13. 교통

서울은 승용차대중교통지하철, 버스, 택시 등을 주요 시내 교통 수단으로 이용한다. 주요 환승 지점으로는 1호선 서울역, 영등포역, 용산역,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남부터미널, 1, 2호선 시청역, 2호선 강남역, 신도림역, 2, 4호선 사당역 등이 있다. 2007년 말 기준으로 서울시에 등록된 자동차는 2,933,286대였다.[1] 1899년부터 운행되던 전차는 1968년에 운행이 중단되면서 서울의 대중교통 체계는 큰 변화를 겪었다.[149] 1966년부터는 도시 재개발로 건물이 고층화되고 도로가 입체화되었다.[149]

1968년 서울전차를 대체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단 건설이 논의되었고,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으로 도시 철도 시대가 시작되었다.[1] 이후 지속적인 지하철 노선 확충으로, 현재는 한국철도공사 관할 구간을 제외하고 9개 노선이 운행 중이다.

서울의 국제선은 주로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하며, 국내선과 일부 단거리 국제선(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은 김포국제공항을 이용한다.

과거 뚝섬마포 등지에 포구가 있었고, 여러 나루터가 있었으나 한강대교 건설 이후 옛 모습을 잃었다. 이후 한강 개발과 함께 관광 및 통근용 수상 교통이 부활하였다.

13. 1. 도로

여의도 근방을 통과하고 있는 올림픽대로의 모습


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등이 남쪽으로 이어져 있으며,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경인고속도로는 서쪽에 있는 인천광역시와 연결된다. 시 외곽에는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가 둘러싸고 있다. 도시 내부에는 강변을 따라가는 강변북로, 올림픽대로, 내부순환로, 동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 남부순환로, 북부간선도로 등의 간선도로가 건설되어 있다.[251]

강변북로고양시파주시, 올림픽대로인천광역시부천시, 동부간선도로성남시의정부시, 서부간선도로안양시광명시, 북부간선도로구리시와 연결된다. 서울시내의 주요 도로로는 테헤란로, 세종대로, 종로, 강남대로, 시흥대로 등이 있다.

서울은 잘 발달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서울의 교통 시스템은 최초의 전차 노선이 개통되고 서울과 인천을 잇는 철도가 완공된 대한제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49] 서울에서 가장 중요한 전차 노선은 종로를 따라 운행되었으며, 1970년대 초 지하철 1호선으로 대체되었다. 서울 도심의 다른 주요 도로로는 을지로, 테헤란로, 세종로, 충무로, 율곡로, 퇴계로 등이 있다.

13. 2. 시내버스

1928년 '경성 부영버스'라는 이름으로 10대의 버스가 서울에서 처음으로 운행을 시작했다.[1] 1949년에는 17개 회사가 서울시로부터 면허를 받아 버스 운영에 참여했다.[1] 이후 여러 차례의 확장과 개편을 거쳤으며,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버스 준공영제와 환승할인 제도가 도입되었다.[1] 현재 시내버스, 간선버스, 마을버스, 광역버스 등을 포함한 수백개의 버스 노선이 시내를 연결하고 있다.[1]

서울의 버스


서울시티투어버스


서울의 버스 시스템은 서울특별시(S.M.G.)에서 운영하며, 도시 대부분을 운행하는 네 가지 주요 버스 노선이 있다.[2]

13. 3. 택시

서울에서 택시1912년에 처음 운행을 시작하였고, 1919년 최초의 택시회사가 설립되었으며, 1926년에는 미터기가 도입되었다.[252] 8·15 광복 후에도 발전을 거듭하여 1970년 콜택시가 등장하고[252], 1988년에는 콜택시 대체용으로 도입된 중형택시[253], 1992년에는 모범운전수가 운전하고 콜택시를 도입하는 등 서비스 수준을 높인 모범택시가 선을 보였다.[254] 2009년에는 소형택시 부활이 결정된 이후 2011년 12월부터 소형택시 70여 대가 운행되고 있다.[255][256] 2015년 10월에는 고급택시가 운행을 시작했다. 2020년을 기준으로 서울시 소형택시의 기본요금은 2100KRW, 중형택시는 3800KRW, 모범택시는 5000KRW, 고급택시는 8000KRW이다.

13. 4. 철도

서울은 한반도 철도의 중심지답게, 다른 도시를 잇는 철도 교통이 발달되어 있다. 지역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이 나뉘어 있는데, 서울역에서는 경부선경전선 KTX를, 용산역에서는 호남선·전라선·장항선을, 청량리역에서는 중앙선·태백선·영동선 강릉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영등포역 등의 중간역에서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인천국제공항에서 인천국제공항철도를 이용하여 서울역까지 갈 수 있다. 철도관제센터 또한 서울에 위치해 있어 대한민국 전역의 모든 철도를 총괄 관리 및 명령한다.[1]

1968년 서울전차가 사라지면서 이를 대신할 대중교통 수단 건설이 논의되었고,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개통으로 본격적인 도시 철도 시대가 열렸다. 1기 지하철 사업으로 2호선, 3호선4호선이 개통되었고, 2기 지하철 사업으로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이 새로 건설되었다. 이후 9호선이 건설되면서, 현재 한국철도공사 관할 구간을 제외하고 9개 노선이 운행하고 있다. 서울의 도심과 부도심을 이어주며, 특히 서울 지하철 2호선의 개통은 서울의 공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서울 지하철 5호선은 최초로 한강 아래로 터널을 뚫어 운행을 시작했다. 서울 지하철 1호선을 포함한 일부 노선은 한국철도공사수도권 전철과 연계 또는 직결 운행하여 서울 주변의 위성도시들을 연결한다.[1]

서울은 인천, 경기도, 강원도 서부, 충청남도 북부 지역을 포함한 서울 전역과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21개의 도시철도 노선(급행철도, 경전철, 통근열차 포함)으로 구성된 광범위한 도시철도망을 갖추고 있다. 하루 800만 명이 넘는 승객을 수송하는 서울 지하철은 세계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지하철 시스템 중 하나이며, 총 연장 940km로 세계 최대 규모이다.[1] 또한, 다양한 교통수단을 조율하기 위해 서울시는 수학자들을 고용하여 지하철, 버스 및 교통 시간표를 하나의 통합된 시간표로 조정하고 있다.[1] 다양한 노선은 한국철도공사(Korail), 서울교통공사(Seoul Metro), 서울시메트로9호선(Seoul Metro Line 9 Corporation), AREX, 그리고 네오트랜스(NeoTrans Co. Ltd.)에서 운영하고 있다.[1]

서울은 철도로 한국의 모든 주요 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한국의 대부분 주요 도시는 시속 300km/h 이상의 정상 운행 속도를 가진 KTX 고속열차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무궁화호새마을호 열차도 모든 주요 역에 정차한다.[1] 주요 철도역은 다음과 같다.

13. 5. 항공

김포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


서울은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 두 곳의 국제공항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김포국제공항은 1939년 일제(일본 제국 육군)의 비행장으로 개장하여 1957년 민항기 운항을 시작했다. 인천국제공항 개항 이후 김포국제공항대한민국 국내선과 함께 도쿄 하네다, 오사카 간사이, 타이페이 쑹산, 상하이 홍차오, 베이징 수도 등 일부 단거리 국제선을 취급하지만, 오사카 간사이베이징 수도행 항공편은 인천국제공항에서도 운항된다.

인천국제공항은 2001년 3월 영종도에 개항했다. 현재 주요 국제선을 담당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은 2014년 기준 여객 수 기준 아시아 8위, 화물 운송량 기준 세계 4위, 국제선 여객 수 기준 세계 8위 공항이다. 2016년에는 57,765,397명의 여객이 이용했다.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은 2018년 1월 18일에 개장했다.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은 고속도로로 서울과 연결되며, AREX를 통해 서울역과 서로 연결된다. 시외버스는 전국 각지로 운행된다.

13. 6. 공항철도

공항철도 2000호대 전동차 (일반열차, 208편성)

  • 인천국제공항철도(AREX)는 인천국제공항에서 서울 도심을 가장 빠르게 연결하는 교통수단이다. 인천국제공항 교통센터 지하 1층 승강장에서 서울역행 직통, 일반열차 탑승이 가능하다. 공항철도를 이용하면 명동, 홍대입구, 동대문, DMC 등 주요 관광지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1]
  • 2007년 3월 23일 첫 운행을 시작한 공항철도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과 도심을 연결하는 철도이다. 2007년 3월 1단계 구간(인천국제공항역(현 인천공항1터미널역)김포공항역, 37.6km)을 개통한 뒤, 2010년 12월 29일 2단계 구간(김포공항역서울역, 20.4km)을 개통했다. 이후 공덕역(2011.11.30), 청라국제도시역(2014.06.21), 영종역(2016.3.26), 인천공항2터미널역(2018.1.13)을 개통하여 인천국제공항철도 건설사업이 마무리됐다. 현재 서울역∼인천공항2터미널역 간 63.8km의 영업거리에 총 14개 역이 있으며, 서울역에서는 도심공항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1]
  • 공항철도 열차는 서울역∼인천공항1터미널역을 무정차로 43분에 운행하는 고급형 열차인 직통열차와 모든 역에 정차하는 일반열차(56분 소요)로 이원화 운영되고 있다. 서울역에 있는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에서는 대한항공 등 9개 항공사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시내 체크인 및 수하물 탁송을 지원하며, 출입국관리사무소의 출국심사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된다.[1]
  • 공항철도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역간 거리가 길고 빠르다는 느낌을 받는다. 63.8km 구간에 14개 역이 있어 역간 평균거리가 5.3km에 달한다. 수도권 전철의 경우 역간 평균거리가 1km 내외임을 감안하면 공항철도는 모든 열차가 급행열차인 셈이다. 공항철도의 최대 운행 속도는 110km/h로 역을 출발해 다음 역에 정차할 때까지의 표정속도가 70km로 수도권 전철보다 2배 이상 빠르다. 이로 인해 인천 서부권과 서울 도심을 가장 빠르게 연결한다.[1]

13. 7. 수상 교통

과거에는 뚝섬과 마포에 포구가 있어 번창하였으나, 육상교통이 발달되면서 자취가 사라졌다. 또한 노량도(서울 시흥)·양화도(서울 인천)·한남도(서울 용인)·송파도(서울 광주)·광나루(서울 광주) 등의 나루터가 있었으나 한강대교가 가설된 후부터 옛 나루터 모습은 완전히 사라지고 말았다. 한강 개발 이후 관광용으로, 또한 통근용으로 수상 교통의 부활이 이루어졌다.

한강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1986년 10월 26일부터 관광용 한강 유람선 운행을 시작했다. 여의도잠실 등 8개 선착장에서 운행하고 있다.[257]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07년 10월 11일부터 한강 수상택시 운행을 시작했다. 여의도잠실 등 한강변 18개 승강장에서 운행하고 있으며, 교통수단 뿐만 아니라 관광용으로 이용되고 있었으나 운항정지 중이다.

14. 기업

서울은 한국 경제의 중심이자 세계적인 경제 도시이다. 2021년 서울 도시권의 총생산은 1.125조달러이며[184], 도쿄 도시권, 뉴욕 도시권, 로스앤젤레스 도시권에 이어 세계 4위의 경제 규모를 자랑한다. 이는 도쿄 단독 GDP와 비슷한 수준이다.[157]

삼성, LG, 현대자동차 등 한국 주요 기업들의 본사가 서울에 있으며, 한국외환은행도 서울에 소재하고 있다. 서울 면적은 한국 전체 면적의 0.6%에 불과하지만, 전체 인구의 20%가 집중되어 국가 전체 국민총생산의 21%를 차지한다.

2008년 미국의 마스터카드 월드와이드가 발표한 세계 비즈니스 도시 순위에서 서울은 세계 9위로 평가받았다.[185] 포춘 글로벌 500에서는 세계 수준의 대기업 본사 수가 세계 6위로 집적된 도시로 평가받고 있으며,[186] 2022년 조사에서는 세계 11위의 금융센터로 평가받고 있다.[187]

서울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업들의 본사가 위치해 있다.


14. 1. 방송

KBS 서울 여의도 본사


서울은 KBS, SBS, MBC 등 주요 대한민국 방송사의 본사가 있는 곳이다.[146]

방송사종류위치
한국방송공사 (KBS)공영방송사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3
문화방송 (MBC)준공영·민영방송사마포구 성암로 267
SBS민영방송사양천구 목동서로 161
TV조선조선일보 종합 편성 방송사중구 세종대로 21길 40
MBN매일경제신문 종합 편성 방송사중구 청계천로 1 매경미디어센터
JTBC중앙일보 종합 편성 방송사마포구 상암산로 48-6
채널A동아일보 종합 편성 방송사중구 청계천로 1 동아미디어센터
YTN뉴스 방송사마포구 상암산로 76
연합뉴스TV연합뉴스 뉴스 방송사종로구 율곡로2길 25
한국경제TV한국경제신문 경제 방송사
서울경제TV서울경제 경제 방송사
매일경제TV매일경제신문 경제 방송사
머니투데이방송머니투데이 경제 방송사
이데일리TV이데일리 경제 방송사
토마토TV뉴스토마토 경제 방송사
팍스경제TV아시아경제신문 경제 방송사
연합뉴스경제TV연합뉴스, 연합인포맥스 경제 방송사
CJ ENMCJ그룹 케이블 방송사
skyTVKT스카이라이프 케이블 방송사
미디어에스SK그룹 케이블 방송사
티캐스트태광그룹 케이블 방송사
iHQKH바텍 케이블 방송사
국회방송정당·정치 주도 방송사
불교방송
기독교방송
가톨릭평화방송
극동방송
원음방송


14. 2. 언론



서울은 KBS, SBS, MBC의 본사가 있는 곳이다. 또한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국일보 등 주요 대한민국 신문사의 본사도 서울에 있다.

신문사명창간일/설명주소
서울신문1904년 7월 18일 창간. 대한매일신보를 근간으로 한다.중구 세종대로 124
조선일보대한민국에서 가장 발행 부수가 많은 최대 일간지중구 태평로 1가 61번지
동아일보1920년 민족 자본으로 창간된 일간지종로구 세종로 139
경향신문
한국일보
서울경제
한국경제신문
중앙일보
매일경제신문
한겨레
국민일보
세계일보1989년 2월 1일 창간금천구 가산동 550-15
문화일보유일한 석간신문
연합뉴스



서울에는 뉴욕 타임스의 디지털 뉴스 운영팀이 있으며, 최대 50명의 직원을 수용할 수 있다. 약 20명의 편집자와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146] 워싱턴 포스트 서울 지국은 런던 지국과 함께 월스트리트 저널의 주요 거점 중 하나이다.[147]

14. 3. 금융

서울은 한국 경제의 중심이자 세계적인 경제 도시이다. 2021년 서울 도시권의 총생산은 1조달러이며[184], 도쿄 도시권, 뉴욕 도시권, 로스앤젤레스 도시권에 이어 세계 4위의 경제 규모를 자랑한다. 이는 도쿄 단독 GDP와 비슷한 수준으로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경제 규모이다.[157]

삼성, LG,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한국 기업들의 본거지로서 서울은 성장을 거듭해왔다. 한국외환은행은 서울에 소재하고 있다. 서울의 면적은 한국 전체 면적의 0.6%에 불과하지만, 전체 인구의 20%가 집중되어 극심한 일극 집중 현상을 보이며, 국가 전체 국민총생산의 21%를 창출하고 있다.

2008년 미국의 마스터카드 월드와이드가 발표한 세계 비즈니스 도시 순위에서 서울은 세계 9위 도시로 평가받았다.[185] 포춘 글로벌 500에서는 세계 수준의 대기업 본사 수가 세계 6위로 집적된 도시로 평가받고 있다.[186] 또한, 2022년 조사에 따르면 세계 11위의 금융센터로 평가받고 있다.[187]

14. 4. 벤처

서울은 한국 경제의 중심이자 세계적인 경제 도시이다. 2021년 서울 도시권의 총생산은 1.125조달러로, 도쿄 도시권, 뉴욕 도시권, 로스앤젤레스 도시권에 이어 세계 4위의 경제 규모를 자랑한다.[184] 이는 도쿄 단독 GDP와 비슷한 수준으로 매우 높은 경제 규모이다.[157]

삼성, LG,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한국 기업들의 본거지로서 서울은 성장을 거듭해왔다. 한국외환은행은 서울에 소재하고 있다. 서울의 면적은 한국 전체 면적의 0.6%에 불과하지만, 전체 인구의 20%가 집중되어 극심한 일극 집중 현상을 보이며, 국가 전체 국민총생산의 21%를 창출하고 있다.

2008년 미국의 마스터카드 월드와이드가 발표한 세계 비즈니스 도시 순위에서 서울은 세계 9위 도시로 평가받았다.[185] 포춘 글로벌 500에서는 세계 수준의 대기업 본사 수가 세계 6위로 집적된 도시로 평가받고 있다.[186] 또한, 2022년 조사에 따르면 세계 11위의 금융센터로 평가받고 있다.[187]

14. 5. 유통

서울은 한국 경제의 중심이자 세계적인 경제 도시이다. 2021년 서울 도시권의 총생산은 1.125조달러이며[184], 도쿄 도시권, 뉴욕 도시권, 로스앤젤레스 도시권에 이어 세계 4위의 경제 규모이다.[157] 이는 도쿄 단독 GDP와 비슷한 수준으로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경제 규모이다.

삼성, LG,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한국 기업들의 본거지가 서울이며, 한국외환은행도 서울에 소재하고 있다. 서울의 면적은 한국 전체 면적의 0.6%에 불과하지만, 전체 인구의 20%가 집중되어 극심한 일극 집중 현상을 보이며, 국가 전체 국민총생산의 21%를 차지한다.

2008년 미국의 마스터카드 월드와이드가 발표한 세계 비즈니스 도시 순위에서 서울은 세계 9위 도시로 평가받았다.[185] 포춘 글로벌 500에서는 세계 수준의 대기업 본사 수가 세계 6위로 집적된 도시로 평가받고 있다.[186] 또한, 2022년 조사에 따르면 세계 11위의 금융센터로 평가받고 있다.[187]

14. 6. 자동차

현대자동차기아 본사가 서울에 있다.[184]

14. 7. 통신

서울은 세계에서 가장 "네트워크화된 도시"로 묘사되며, PwC의 '기회의 도시' 보고서에서 기술 준비도 1위를 차지했다.[121] 서울은 매우 기술적으로 발전된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다.[122][123]

서울은 세계 최고의 인터넷 연결성을 보유한 국가인 대한민국의 수도로서, 세계 최고의 광섬유 광대역 보급률과 평균 26.1Mbit/s의 세계 최고 인터넷 속도를 자랑한다.[124][125] 2015년부터 서울은 477억 규모의 프로젝트를 통해 10,430개의 공원, 거리 및 기타 공공장소에서 야외 무료 Wi-Fi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126] 일부 아파트 건물에서는 노키아의 지원으로 최대 52.5Gbit/s의 인터넷 속도를 제공하며, 평균 표준은 100Mbit/s 서비스이지만 전국적으로 월 20달러에 해당하는 1Gbit/s 연결을 빠르게 구축하고 있다.[127] 또한, 도시는 KTX 고속철도와 지하철 차량 내부에서 4G LTE, Wi-Fi, DMB를 제공하는 서울 지하철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5G는 2019년 3월 서울에서 상용화될 예정이다.

14. 8. 식품

농심, CJ제일제당, 롯데웰푸드, 삼양식품, 매일유업, 롯데칠성, 오뚜기 등이 서울특별시에 본사를 두고 있는 주요 식품 관련 기업들이다.

14. 9. IT

서울은 세계에서 가장 "네트워크화된 도시"로 묘사되며, PwC의 '기회의 도시' 보고서에서 기술 준비도 1위를 차지했다.[121] 서울은 매우 기술적으로 발전된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다.[122][123]

서울은 세계 최고의 인터넷 연결성을 보유한 국가인 대한민국의 수도로서, 세계 최고의 광섬유 광대역 보급률과 평균 26.1Mbit/s의 세계 최고 인터넷 속도를 자랑한다.[124][125] 2015년부터 서울은 477억 규모의 프로젝트를 통해 10,430개의 공원, 거리 및 기타 공공장소에서 야외 무료 Wi-Fi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126] 일부 아파트 건물에서는 노키아의 지원으로 최대 52.5Gbit/s의 인터넷 속도를 제공하며, 평균 표준은 100Mbit/s 서비스이지만 전국적으로 월 20달러에 해당하는 1Gbit/s 연결을 빠르게 구축하고 있다.[127] 또한, 도시는 KTX 고속철도와 지하철 차량 내부에서 4G LTE, Wi-Fi, DMB를 제공하는 서울 지하철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5G는 2019년 3월 서울에서 상용화될 예정이었다.

14. 10. 화학

서울특별시의 화학 관련 기업으로는 SK이노베이션, OCI, LG화학, LX하우시스 등이 있다.

14. 11. 항공

서울특별시에는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의 허브 공항이 있다.

14. 12. 공기업

15. 자매 도시

서울특별시와 자매도시 관계를 맺은 도시는 2014년 2월 기준으로 20개국, 24개 도시이다.[258]

체결 연도국가도시
1968년中華民國|중화민국중국어 (臺灣|대만중국어)
타이베이
1971년Türkiye|튀르키예tr앙카라
1973년United States of America|미합중국영어
호놀룰루
1976년
샌프란시스코
1977년Brasil|브라질pt
상파울루
1982년Colombia|콜롬비아es
보고타
1984년Indonesia|인도네시아id
자카르타
1988년日本|일본일본어
도쿄
1991년Россия|러시아ru
모스크바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
시드니
France|프랑스프랑스어
파리
1992년México|멕시코es
멕시코시티
1993년中华人民共和国|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베이징
1996년Việt Nam|베트남vi
하노이
Polska|폴란드pl
바르샤바
1997년مصر|이집트ar
카이로
2000년Italia|이탈리아it
로마
2004년Қазақстан|카자흐스탄kk
아스타나
2006년United States of America|미합중국영어
워싱턴 D.C.
Ελλάδα|그리스el아테네
2010년Oʻzbekiston|우즈베키스탄uz
타슈켄트
2017년ایران|이란fa
테헤란


참조

[1] 웹사이트 "Seoul, my soul" selected as the city's new slogan https://english.seou[...]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23-04-05
[2] 웹사이트 City Overview (Population) http://english.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21-11-26
[3] 웹사이트 2022년 지역소득(잠정) https://kostat.go.kr[...]
[4] 웹사이트 Color http://www.seoul.go.[...]
[5] 웹사이트 Seoul's symbols http://english.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6] 웹사이트 서울시 사이트에 서울 시가인 서울의 찬가가 없습니다. https://opengov.seou[...]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7] 웹사이트 City Overview (Population) http://english.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8] 웹사이트 Samsung Electronics http://fortune.com/g[...]
[9] 뉴스 Tech capitals of the world http://www.theage.co[...] 2009-06-15
[10] 간행물 Un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s (UIA) International Meetings Statistics for the Year 2011 http://www.uia.be/si[...]
[11] 웹사이트 Lists: Republic of Korea https://whc.unesco.o[...] UNESCO
[12] 웹사이트 서울 https://encykorea.ak[...]
[13] 논문 Gyeongju, a City of History http://www.ijkaa.org[...] 2019
[14] 웹사이트 Monument on Bukhansan Mountain Commemorating the Border Inspection by King Jinheung of Silla https://db.history.g[...]
[15] 웹사이트 Hamel's Journal and a Description of the Kingdom of Korea, 1653–1666 https://www.hendrick[...]
[16] 백과사전 Seoul https://www.britanni[...] 2019-11-06
[17] 서적 Eclipsed Cinema: The Film Culture of Colonial Korea https://books.google[...] 2017-03-22
[18] 웹사이트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
[19] 뉴스 서울특별시표기 ''首爾''로...중국, 곧 정식 사용키로 http://news.naver.co[...] Naver News 2005-10-23
[20] 웹사이트 Chinese Naming Crisis Danger Opportunity Summer 2006 – Good Characters http://goodcharacter[...]
[21] 웹사이트 Pungnap-dong Toseong Fortress (서울 풍납동 토성) https://english.visi[...] Korea Tourism Organization
[22] 웹사이트 Samguk Sagi Silla Jinheung 19 https://db.history.g[...]
[23] 웹사이트 Samguk Sagi Baekje Seong 19 https://db.history.g[...]
[24] 웹사이트 Samguk Sagi Silla Jinheung 24 https://db.history.g[...]
[25] 웹사이트 Samguk Sagi Silla Jinheung 28 https://db.history.g[...]
[26] 웹사이트 Pyongyang Fortress Stone 1 https://db.history.g[...]
[27] 웹사이트 Pyongyang Fortress Stone 2 https://db.history.g[...]
[28] 웹사이트 Pyongyang Fortress Stone 3 https://db.history.g[...]
[29] 웹사이트 Pyongyang Fortress Stone 4 https://db.history.g[...]
[30] 웹사이트 Pyongyang Fortress Stone 6 https://db.history.g[...]
[31] 웹사이트 Samguk Sagi Silla Jinheung 45 https://db.history.g[...]
[32] 웹사이트 "고구려 수도 평양은 북한땅에 없었다" https://shindonga.do[...] 2013-01-22
[33] 웹사이트 고대 평양은 지금의 평양이 아니다 http://www.ikoreansp[...] 2016-07-11
[34] 웹사이트 Samguk Sagi Silla Jinpyeong 30 https://db.history.g[...]
[35] 웹사이트 Samguk Sagi Goguryeo Yeongyang 15 https://db.history.g[...]
[36] 웹사이트 Samguk Sagi Silla Jinpyeong 32 https://db.history.g[...] 2023-01-22
[37] 백과사전 Seoul http://www.britannic[...] 2014-02-07
[38] 서적 https://lib.seoul.go[...] 서울역사편찬원 2021-11-30
[39] 서적 https://lib.seoul.go[...] 서울역사편찬원 2019-06-03
[40] 웹사이트 Early History of Electrical Engineering in Korea: Edison and First Electric Lighting in the Kingdom of Corea http://www.ieeeghn.o[...]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2014-02-07
[41] 서적 A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5-11-09
[42] 서적 Korea under Siege, 1876–1945 : Capital Formation and Economic Transforma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3] 웹사이트 https://history.seou[...] 2021-08-26
[44] 웹사이트 https://news.mt.co.k[...] 2021-09-12
[45] 웹사이트 https://www.ohmynews[...] OhmyNews 2024-06-28
[46] 웹사이트 The Korean War Chronology https://history.army[...] 2023-09-06
[47] 웹사이트 Chapter XXVI: The Capture of Seoul https://history.army[...] 2023-09-06
[48] 서적 Planning Asian Cities: Risks and Resilie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1-09
[49] 웹사이트 https://www.seoul.go[...]
[50] 웹사이트 Urban Planning of Seoul http://spp.seoul.go.[...]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4-02-07
[51] 웹사이트 https://data.si.re.k[...]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5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web.archive.[...] 2017-01-20
[53] 웹사이트 Korean Cultural Centre India New Delhi http://india.korean-[...] 2021-10-31
[54] 뉴스 GLOBAL 500 https://money.cnn.co[...] 2012-07-23
[55] 웹사이트 Seoul Statistics (Land Area) http://stat.seoul.go[...]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0-03-24
[56] 웹사이트 Korea Wrestles with Growing Health Threat from Fined Dust http://www.koreahera[...] 2017-04-08
[57] 웹사이트 Korea's Air Is Dirty, But It's Not All Close-Neighbor China's Fault https://www.npr.org/[...] 2017-04-08
[58] 웹사이트 Seoul's smelly gingko problem https://www.bbc.com/[...] 2015-10-12
[59] 웹사이트 [Feature] South Korea's odor pollution problem http://www.koreahera[...] 2018-10-03
[60] 웹사이트 Global Urban Ambient Air Pollution Database https://www.who.int/[...] 2017-04-08
[61] 웹사이트 WHO Air Quality Guidelines https://www.who.int/[...] 2017-04-08
[62] 웹사이트 Air Quality Information http://english.seoul[...] 2017-04-08
[63] 웹사이트 Changes in Seoul's Air Quality Control Policy https://web.archive.[...] 2017-04-12
[64] 웹사이트 1st Seoul Metropolitan Air Quality Improvement Plan http://eng.me.go.kr/[...] 2017-04-21
[65] 논문 Effects of ambient air particles on mortality in Seoul: Have the effects changed over time?
[66] 웹사이트 2nd Seoul Metropolitan Air Quality Improvement Plan http://eng.me.go.kr/[...] 2017-04-21
[67] 웹사이트 Air pollution Smog is lifting over greater Seoul https://www.unep.org[...] 2024-01-08
[68] 웹사이트 Japan, Republic of Korea Pledge to Go Carbon-neutral by 2050 https://sdg.iisd.org[...]
[69] 웹사이트 Japan, Republic of Korea Pledge to Go Carbon-neutral by 2050 https://sdg.iisd.org[...]
[70] 웹사이트 Achieving clean air for blue skie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Republic of Korea UNEP - UN Environment Programme https://www.unep.org[...] 2023-05-16
[71] 간행물 Korea's policy towards pollution and fine particle: a sense of urgency http://www.centreasi[...] 2014-06
[72] 논문 Working towards confident spaceborne monitoring of carbon emissions from cities using Orbiting Carbon Observatory-2 2019
[73] 논문 Reliability Analysis Based on Air Quality Characteristics in East Asia Using Primary Data from the Test Operation of 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 (GEMS) 2023
[74] 웹사이트 Seoul Metro initiates plans to reduce air pollution by over 30% https://english.seou[...] 2024-01-16
[75] 웹사이트 Seoul, South Korea Köppen Climate Classification (Weatherbase) http://www.weatherba[...]
[76] 웹사이트 English: Data sources: Köppen types calculated from data from WorldClim.org https://commons.wiki[...] 2018-10-31
[77] 논문 Statistical and dynamical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heat island intensity in Seoul https://www.research[...] 2010-03-01
[78]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79]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80]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81] 웹사이트 Seoul, South Korea - Detailed climate information and monthly weather forecast https://www.weather-[...] Yu Media Group
[82] 웹사이트 Station Seoul http://meteo-climat-[...] Meteo Climat
[83] 웹사이트 서울특별시청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ttps://archive.toda[...] Doosan Encyclopedia
[84] 웹사이트 Organization Chart https://web.archive.[...] Official site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85] 웹사이트 Administrative Districts https://web.archiv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86] 웹사이트 Population Census https://kosis.kr/sta[...] Statistics Korea
[87] 논문 Regional population density: Asia and Oceania, 2012: Inhabitants per square kilometre, TL3 regions http://www.oecd-ilib[...] 2013
[88] 뉴스 Seoul's Population Drops Below 10 Million for First Time in 25 Years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14-02-14
[89] 뉴스 32년 만에 '1000만 서울 시대' 막 내렸다... https://www.hankooki[...] Hankook Ilbo 2021-03-03
[90] 웹사이트 Seoul Statistics (Population) http://stat.seoul.go[...]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91] 뉴스 1.76 million foreigners live in South Korea; 3.4% of population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7-11-17
[92] 뉴스 Korean Chinese account for nearly 70% of foreigners in Seoul https://koreatimes.c[...] 2011-09-11
[93] 뉴스 South Korean mega-churches. For God and country https://www.economis[...] Economist 2011-10-15
[94] 웹사이트 2015 Census – Religion Results https://kosis.kr/sta[...]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95] 웹사이트 Dongguk University https://www.dongguk.[...]
[96] 웹사이트 의무교육(무상의무교육) http://terms.naver.c[...]
[97] 웹사이트 QS Best Student Cities 2023 https://www.topunive[...] Quacquarelli Symonds Limited 2022-06-29
[98] 논문 Geographical Features of Social Polarization in Seoul, South Korea http://www.lit.osaka[...] Osaka City University
[99] 서적 Industrial Policy and Territorial Development: Lessons from Korea https://books.google[...] OECD Development Center 2012-05-16
[100] 웹사이트 Worldwide Centers of Commerce Index https://web.archive.[...] MasterCard
[101] 웹사이트 The Global Financial Centres Index 12 https://web.archive.[...] Z/Yen Group
[102] 웹사이트 Hot Spots 2025: Benchmarking the Future Competitiveness of Cities http://www.citigroup[...]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103] 웹사이트 Seoul: Economy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104] 웹사이트 The primacy of Seoul and the capital region http://archive.unu.e[...] United Nations University
[105] 뉴스 It's official: Jinro soju is the world's best-selling liquor https://web.archive.[...] 2012-06-12
[106] 뉴스 Fiery food, boring beer https://www.economis[...] 2012-11-24
[107] 뉴스 Seoul rises one spot to 10th in Global Financial Centres Index https://www.koreaher[...] 2024-03-21
[108] 웹사이트 Top 3 Major Business Districts (CBD) in Seoul, Korea https://pearsonkorea[...] Pearson & Partners 2020-08-25
[109] 뉴스 Beginners guide to Seoul office lease https://www.koreatim[...] 2011-03-18
[110] 웹사이트 Neon shines brightly during the bustle on Yeouido stock street http://koreajoongang[...] Korea JoongAng Daily 2010-01-05
[111] 웹사이트 Dongdaemun Market http://www.visitseou[...] VisitSeoul.net
[112] 웹사이트 Myeong-dong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113] 웹사이트 http://english.visit[...]
[114] 웹사이트 Insa-dong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115] 웹사이트 Hwanghak-dong Flea Market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116] 웹사이트 Antique Markets http://english.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17] 뉴스 Itaewon: Going Gangnam Style? https://www.koreatim[...] 2013-02-14
[118] 웹사이트 Yongsan Electronics Market, Asia's largest IT shopping mall http://world.kbs.co.[...] KBS World 2011-03-01
[119] 웹사이트 Largest Permanent 35mm Cinema Screen http://www.guinnessw[...] Guinnessworldrecords.com 2009-08-18
[120] 웹사이트 50 reasons why Seoul is world's greatest city http://travel.cnn.co[...] 2017-07-12
[121] 웹사이트 Cities of Opportunity http://www.pwc.com/u[...]
[122] 뉴스 KOREA: Future is now for Korean info-tech http://www.asiamedia[...]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2005-06-14
[123] 뉴스 Tech capitals of the world – Technology http://www.theage.co[...] 2007-06-18
[124] 보고서 akamai's [state of the internet] Q4 2016 report https://www.akamai.c[...] Akamai Technologies
[125] 웹사이트 Hi Seoul, SOUL OF ASIA – Seoul Located In the Center of Asian Metropolises http://english.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26] 웹아카이브 Wifi in All Public Areas https://news.yahoo.c[...]
[127] 웹사이트 http://www.cjhellovi[...]
[128] 웹사이트 Seoul's Cheonggyecheon Stream symbolizes Korea's past, present and tomorrow http://www.korea.net[...] Korea.net
[129] 서적 The Emerging Asian City: Concomitant Urbanities and Urbanism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0] 웹사이트 Jongno walk https://www.koreatim[...] 2010-06-24
[131] 웹사이트 Amsa-dong Prehistoric Settlement Site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132] 웹사이트 About the Palace http://www.royalpala[...] Gyeongbokgung Palace
[133] 웹사이트 Pungnap-toseong (Earthen Ramparts) http://m.visit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34] 뉴스 Sungnyemun to open to great fanfare after more than five years of renovation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3-04-30
[135] 웹사이트 Status of Museum http://stat.seoul.go[...]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36] 웹사이트 Seoul's best museums http://travel.cnn.co[...] CNN 2011-10-27
[137] 웹사이트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138] 웹사이트 Namsangol Hanok Village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139] 웹사이트 Bukchon Hanok Village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140] 잡지 Seoul: 10 Things to Do https://content.time[...]
[141] 웹사이트 The War Memorial of Korea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4-09-18
[142] 웹사이트 Seodaemun Prison History Museum http://english.visit[...]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4-09-18
[143] 웹사이트 ABU TV and Radio Song Festivals 2012 http://esckaz.com/20[...] ESCKAZ.com 2012-08-17
[144] 웹사이트 ABU GA Seoul 2012 https://web.archive.[...] Asia-Pacific Broadcasting Union 2012-08-17
[145] 웹사이트 Ultra Korea – June 8, 9, 10 2018 https://web.archive.[...] 2014-12-31
[146] 뉴스 New York Times opens Asia news hub in Seoul https://koreajoongan[...] 2021-05-11
[147] 뉴스 The Washington Post announces breaking-news reporters for Seoul hub https://www.washingt[...] 2021-07-12
[148] 뉴스 2016 프로야구와 프로축구는 모두'서울의 봄' http://www.mediaus.c[...] Medeaus Ilbo 2016-11-07
[149] 웹사이트 The subway's past and present https://web.archive.[...]
[150] 웹사이트 Expanded Operation of Seoul Bike "Ddareungi" http://english.seoul[...] 2016-03-18
[151] 웹사이트 Sister & Friendship Cities - https://english.seou[...] 2022-09-30
[152] 웹사이트 Exchange Cities of Seoul Metropolitan Council https://www.smc.seou[...] Seoul Metropolitan Council 2022-09-07
[15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154] 웹사이트 外務省ホームページ https://www.mofa.go.[...] 2022-03-15
[155] 웹사이트 ソウル市ホームページ https://japanese.seo[...] 2022-03-15
[156] 논문 Which are the largest? Why lists of major urban areas vary so greatly http://www3.intersci[...]
[157] 웹사이트 都民経済計算 https://www.metro.to[...] 2017-10-26
[158] 웹사이트 韓国国民の51%がソウル・京畿・仁川に住む…首都圏への偏りが深刻化(KOREA WAVE) https://news.yahoo.c[...] 2023-08-06
[159] 웹사이트 JLL、世界の都市比較インデックスを分析「都市パフォーマンスの解読」を発表 http://www.joneslang[...] 2017-10-26
[160] 웹사이트 世界の都市総合力ランキング(GPCI) 2017 http://www.mori-m-fo[...] 2017-10-26
[161] 웹사이트 旺文社世界史事典 三訂版 「漢陽 (朝鮮)」の解説 https://kotobank.jp/[...]
[162]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漢城」の意味・わかりやすい解説 https://kotobank.jp/[...]
[163]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1906-10-01
[164] 웹사이트 李明博ソウル特別市長の会見を含むニュース {{lang|ko|'한성'을 '서우얼'로 변경}} http://news.naver.co[...] 2020-07-01 # 링크 끊김으로 인해 추정 날짜
[165] 뉴스 「ソウル」の中国語表記、「漢城」から「首爾」へ http://j.peopledaily[...] 人民網 2005-01-21
[166] 뉴스 서울표기 ''首爾''로…중국, 곧 정식 사용키로 http://news.naver.co[...] 世界日報 2005-10-23
[167]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2001-11-26
[168] 웹사이트 ソウルの風 https://www.pref.tot[...] 鳥取県・とりネット 2024-05-23
[169] 웹사이트 韓国気象庁 過去の積雪の記録 http://www.kma.go.kr[...]
[170]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서울(108)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03-25
[171]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서울(108)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10-02
[17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2-07-11
[173] 일반
[174] 뉴스 '이태원 참사' 박희영 용산구청장, 국민의힘 자진탈당 https://newsis.com/v[...] NEWSIS 2023-02-09
[175] 뉴스 서울 민심, 保守로 기운다 http://www.munhwa.co[...] 2021-11-09
[176] 웹사이트 [윤석열 국정지지율] 서울서 20%대 지지율 기록 http://www.sisaweek.[...] 2023-07-10
[177] 뉴스 41の行政区で野党全勝=ソウル・釜山市長補欠選 http://www.chosunonl[...] 2021-04-08
[178] 웹사이트 인사가 만사!...'4선' 된 오세훈 시장 첫 부시장 누가 되나? view.asiae.co.kr/art[...] 2022-06-22
[179] 기타
[180] 기타
[181] 기타
[182] 웹사이트 서울시「日本の輸出規制被害企業に2000億ウォン支援、交流中断も検討」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19-09-08
[183] 웹사이트 日本政府、釜山市の戦犯企業条例に「WTO」言及し「極めて遺憾」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19-09-08
[184] 기타
[185] 웹사이트 Worldwide Centers of Commerce Index http://www.mastercar[...] MasterCard
[186] 웹사이트 Global 500 2009 http://money.cnn.com[...]
[187] 웹사이트 The Global Financial Centres Index https://www.longfina[...] 2022-09-24
[188] 웹사이트 第3回:美術と建築の接線から考える美術館のつくり方 http://10plus1.jp/mo[...]
[189] 웹사이트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송파구 병)Big5 병원 건강보험 진료비 쏠림 현상 주춤(韓国で上級医療機関のうち上位5ヶ所と評価される病院の出所) http://www.9min.co.k[...] 2022-06-28
[190] 웹사이트 의료전달체계 개선, 나무보단 숲을 봐야 http://www.newsmp.co[...] 2022-06-28
[191] 웹사이트 광주시 "3차 병원 과부하 심각, 의료 전달 체계 협조 절실" https://news.v.daum.[...] 2022-06-28
[192] 웹사이트 憲法裁判所>全メニュー>検索(事件番号 https://www.ccourt.g[...] 2022-06-21
[193] 웹사이트 盧 "행정수도.청와대 충청 이전" https://n.news.naver[...] 2022-06-20
[194] 웹사이트 '수도이전' 헌법소원 오늘 접수 https://n.news.naver[...] 2022-06-20
[195] 웹사이트 청와대·국회 뺀 `행정특별시` 추진 https://n.news.naver[...] 2022-06-20
[196] 웹사이트 박근혜, 승자인가 패자인가 https://n.news.naver[...] 2022-06-20
[197] 웹사이트 [세종시 수정안 발표] 청와대 “후속 대책 점검” https://www.seoul.co[...] 2022-06-20
[198] 웹사이트 출장만 3년간 87만건…세종시 '길과장' 언제까지? https://news.mt.co.k[...] 2023-03-11
[199] 웹사이트 세종시 공무원 '고난의 서울 출장' https://www.fnnews.c[...] 2023-03-11
[200] 웹사이트 이재명 대표 "민주당, 세종시 행정수도 자리잡도록 지원 할 터" https://daily.hankoo[...] 2023-03-11
[201] 기타
[202] 기타
[203] 뉴스 대한민국 '평균 이상'이 사는 3개 지역…어디? https://news.mt.co.k[...] 머니투데이 2019-12-23
[204] 웹사이트 중부편 지명 - 서울특별시 https://terms.naver.[...] 2020-08-31
[205] 웹사이트 소리를 빌릴 것인가, 뜻을 빌릴 것인가 https://terms.naver.[...] 2002-04-20
[206] 뉴스 발언대/중국서도 'seoul'로 읽게 해야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4-05-06
[207] 웹사이트 서울 http://alldic.daum.n[...] 2017-07-30
[208] 뉴스 <8.15 64주년> '서울특별시' 명칭 유래는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8-13
[209] 뉴스 '서울특별시' 명칭 유래는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9-08-13
[210] 서적 서울도시계획사 1 현대 이전의 도시계획 (서울역사총서 12) https://lib.seoul.go[...] 서울역사편찬원 2021-11-30
[211] 저널 대한제국 한성 도시개조사업의 재평가: 근대도시계획의 보편적 특성을 중심으로 http://kpaj.or.kr/_c[...] 2015
[212] 법률 군정법률 제106호 서울특별시의설치 1946-09-18
[213] 백과사전 한강 이남 지역의 서울시 관할 변천
[214] 백과사전 서울의 임야
[215] 백과사전 서울의 지형
[216] 웹인용 서울 地質圖幅說明書 (서울 지질도폭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2
[217] 웹인용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18] 웹인용 뚝섬 (纛島) 地質圖幅說明書 (뚝섬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1
[219] 저널 Whole-rock Rubidium-Strontium Age of the Seoul Granite 서울 화강암의 Rb-Sr방법에 의한 암석년대 측정) https://www.dbpia.co[...] 1972-09
[220] 저널 Rock Mechanical Analysis of the Granite Joints in Seoul Area 岩石力學的으로 考察한 서울花崗岩의 節理에 關한 硏究) https://www.dbpia.co[...] 1975-12
[221] 저널 추가령단층대 주요 단층의 백악기 이후 재활동 연대 (Reactivated Timings of Some Major Faults in the Chugaryeong Fault Zone since the Cretaceous Period) https://www.dbpia.co[...] 2014
[222] 저널 기흥저수지 지역의 지반조사를 통한 신갈단층대 확인 (Identification of the Singal Fault Zone in the Kiheung Reservoir Area by Geotechnical Investigations) https://www.dbpia.co[...] 2012
[223] 백과사전 서울의 자연
[224] 서적 기후학 시그마프레스 2006
[225] 웹사이트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http://koeppen-geige[...]
[226] 백과사전 서울 기상 관측소 위치 변천
[227]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서울(108) https://data.kma.go.[...] 기상청 2024-04-21
[228]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서울(108) https://data.kma.go.[...] 기상청 2024-04-21
[229] 뉴스 110일만에 서울-충청 '나쁨'… '초미세먼지 습격'시작되나 : 뉴스 ... https://www.donga.co[...]
[230]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231] 웹사이트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https://web.archive.[...] 2020-02-20
[232] 백과사전 서울의 인구
[233]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1970년대편 1권 인물과사상사 2002
[234] 서적 시민을 위한 서울역사 2000년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235] 웹인용 지역내총생산(GRDP) http://www.index.go.[...] 통계청 2016-07-08
[236] 웹사이트 서울특별시 홈페이지 자료 http://www.seoul.go.[...]
[237] 백과사전 서울의 공업
[238] 백과사전 서울의 상업
[239] 백과사전 서울의 사회·문화
[240] 웹인용 서울통계 > 교육 > 학교총괄 https://web.archive.[...] 2010-02-17
[241]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www.gugak.go.[...]
[242]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s://www.ntok.go.[...]
[243]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www.sac.or.kr[...]
[244] 웹인용 홈페이지 http://www.olympicpa[...] 2018-04-26
[245] 웹인용 홈페이지 https://web.archive.[...] 2018-11-23
[246] 웹인용 홈페이지 https://www.jogyesa.[...] 2018-04-26
[247]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chungdong.org[...]
[248] 웹인용 홈페이지 http://www.fgtv.com/ 2018-04-26
[249] 웹인용 홈페이지 https://sev.iseveran[...] 2018-04-26
[250] 뉴스 2016 프로야구와 프로축구는 모두 ‘서울의 봄’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016-11-07
[251] 일반
[252] 뉴스 콜택시 20日부터 運行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70-04-14
[253] 뉴스 中型택시 운행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8-04-15
[254] 뉴스 모범택시, 오늘 서울에서 첫 선 http://imnews.imbc.c[...] MBC 뉴스데스크 1992-12-23
[255] 뉴스 서울 소형 택시 운행 첫날…시민 반응은? http://news.kbs.co.k[...] KBS 2011-12-03
[256] 뉴스 일반 택시보다 요금 싼 '소형택시' 퇴출 위기 https://news.naver.c[...] SBS 2013-10-03
[257] 뉴스 [수도권] 도마에 오른 吳시장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9-29
[258] 웹인용 자매도시 현황 http://economy.seoul[...] 서울특별시 2013-12-2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