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종연구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종연구소는 1983년 12월 1일 문교부 산하 재단법인 일해재단으로 설립되어, 외교, 안보, 통일 관련 연구 및 교육 사업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싱크탱크이다. 일해연구소, 세종재단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연구 사업, 세종국가전략교육 프로그램 운영, 도서 및 학술지 발행 등의 활동을 한다. 또한, 1983년 랑군 폭탄 테러 희생자 유족 지원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싱크탱크 - 여의도연구원
    여의도연구원은 역대 이사장과 원장 목록을 제공하며, 이 목록은 여의도연구소와 여의도연구원의 역대 직책자들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싱크탱크 -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대한민국의 국책 연구기관으로 경제 개발 계획 수립 및 정책 연구를 수행하며, 국제개발협력 및 북한경제 연구 분야를 확장하고 정책 전문가를 양성하는 기관이다.
  • 대한민국의 연구소 -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는 일제강점기 친일파 규명과 잔재 청산을 목표로 설립되어 친일인명사전 편찬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으나, 선정 기준 논란 및 편향성 논란 등으로 보수 진영과 갈등을 겪는 연구기관이다.
  • 대한민국의 연구소 - 헌법재판연구원
    헌법재판연구원은 헌법재판소가 헌법재판 관련 연구 및 교육을 위해 설립한 기관으로, 헌법 및 헌법재판 제도 연구, 국내외 이론 및 판례 연구, 헌법 교육 등을 수행하며 연구교수부와 기획행정과로 구성된다.
세종연구소
기본 정보
기관명세종연구소
한자 표기世宗硏究所
로마자 표기Sejong yeonguso
조직
설립일1983년
유형외교 및 안보 정책 연구소
소장백학순
위치성남시, 대한민국
웹사이트www.Sejong.org

2. 연혁

1983년 11월 25일 창립총회를 통해 정관이 제정되었고, 같은 해 12월 1일 문교부(현 교육부) 산하 재단법인 일해재단으로 설립되었다.[9] 초대 이사장은 최순달이었다.[9] 1984년 7월 2일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에서 재단 업무를 개시하였으며,[9] 같은 해 10월 26일 소관 부처가 문교부에서 외무부(현 외교부)로 이관되었다.[9]

1985년 2월 1일 장학생 선발을 시작으로 장학사업을 개시하고 경기도 성남시 시흥동(현 수정구 시흥동)에 재단 부지를 확보하였다.[9] 같은 해 3월 20일 이정오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으며,[9] 8월 30일에는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 유가족 자녀에 대한 해외 유학 지원을 시작하였다.[9]

1986년 1월 18일 재단 부설 '평화안보연구소'가 개소하였고,[9] 2월 16일 '일해연구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9] 2월 19일에는 김기환이 이사장 겸 초대 연구소장으로 취임하였다.[9] 1987년 8월 27일 법인 명칭이 '재단법인 일해재단'에서 '재단법인 일해연구소'로 변경되었고,[9] 9월 28일 정주영이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9]

2. 1. 일해재단 설립 (1983-1987)

1983년 11월 25일 창립총회를 통해 정관이 제정되었고, 같은 해 12월 1일 문교부(현 교육부) 산하 재단법인 일해재단으로 설립되었다.[9] 초대 이사장은 최순달이었다.[9] 1984년 7월 2일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에서 재단 업무를 개시하였으며,[9] 같은 해 10월 26일 소관 부처가 문교부에서 외무부(현 외교부)로 이관되었다.[9]

1985년 2월 1일 장학생 선발을 시작으로 장학사업을 개시하고 경기도 성남시 시흥동(현 수정구 시흥동)에 재단 부지를 확보하였다.[9] 같은 해 3월 20일 이정오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으며,[9] 8월 30일에는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 유가족 자녀에 대한 해외 유학 지원을 시작하였다.[9]

1986년 1월 18일 재단 부설 '평화안보연구소'가 개소하였고,[9] 2월 16일 '일해연구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9] 2월 19일에는 김기환이 이사장 겸 초대 연구소장으로 취임하였다.[9] 1987년 8월 27일 법인 명칭이 '재단법인 일해재단'에서 '재단법인 일해연구소'로 변경되었고,[9] 9월 28일 정주영이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9]

2. 2. 일해연구소 시기 (1987-1988)

1983년 11월 25일 창립총회를 통해 정관이 제정되었고, 12월 1일 재단법인 일해재단이 설립(문교부)되면서 최순달이 초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9] 1984년 7월 2일 서울시 종로구 삼청동에서 재단 업무를 개시하였고,[9] 10월 26일에는 소관 부처가 문교부에서 외무부로 이관되었다.[9] 1985년 2월 1일 장학생 선발을 시작으로 장학사업을 개시하고 경기도 성남시 시흥동에 재단 부지를 확보하였다.[9] 같은 해 3월 20일에는 이정오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9]

1986년 1월 18일 재단 부설 '평화안보연구소'가 개소되었고, 2월 16일 '일해연구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9] 2월 19일에는 김기환이 이사장 겸 초대 연구소장으로 취임하였다.[9] 1987년 8월 27일 법인 명칭이 '재단법인 일해재단'에서 '재단법인 일해연구소'로 변경되었고,[9] 9월 28일 정주영이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9] 1988년 3월 20일부터 아웅산 유가족 소득지원사업을 시작하였고, 5월 4일에는 현재의 명칭인 '세종연구소'로 변경되었다.[9]

2. 3. 세종연구소 시기 (1988-현재)

1988년 5월 4일, '재단법인 일해연구소'에서 '재단법인 세종연구소'로 법인 명칭이 변경되었다.[9] 1989년 7월 5일 이용희가 이사장 겸 연구소장으로 취임하였고,[9] 1991년 4월 16일에는 정일영이 연구소장으로 취임하였다.[9] 1993년 6월 21일 정원식이 이사장으로 취임하였고,[9] 1994년 4월 1일에는 한배호가 연구소장으로 취임하였다.[9]

1996년 9월 19일, 법인 명칭이 '재단법인 세종연구소'에서 '재단법인 세종재단'으로 변경되었다.[9] 1997년 7월 4일 강영훈이 이사장으로, 한배호가 연구소장으로 취임하였으며,[9] 1999년 3월 15일에는 김달중이 연구소장으로 취임하였다.[9] 1999년 안보연구실, 남북한관계연구실, 지역연구실, 국제정치경제연구실로 조직이 정비되었다.[9]

2000년 11월 27일 오기평 이사장과 백종천 연구소장이 취임하였고,[9] 2004년 11월 27일에는 임동원이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9] 2005년 세종 국정과제 연수과정이 운영되기 시작했다.[9] 2007년 1월 26일 박기덕이 연구소장으로 취임하였고,[9] 2008년 11월 27일 공로명이 세종재단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9] 2009년 1월 1일 송대성이 연구소장으로 취임하였다.[9]

2011년 11월 8일 권철현이 이사장으로 취임하였으며,[9] 2013년 1월 1일 송대성이 연구소장으로 재취임하였다.[9] 2015년 2월 2일 박준우가 이사장으로 취임하였고,[9] 2015년 6월 1일 진창수가 연구소장으로 취임하면서 법인 명칭이 '재단법인 세종재단'에서 '재단법인 세종연구소'로 다시 변경되었다.[9]

2018년 2월 12일 백종천이 이사장으로 취임하였고,[9] 2018년 6월 1일 백학순이 연구소장으로 취임하였다.[9] 2021년 2월 12일 문정인이 이사장으로 취임하였으며,[9] 2021년 6월 1일 이상현이 연구소장으로 취임하였다.[9]

3. 조직

4. 주요 사업

4. 1. 연구 사업

세종연구소는 외교전략연구부, 안보전략연구부, 통일전략연구부의 세 개 연구부서를 운영한다.

4. 2. 교육 사업

세종연구원은 세종국가전략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3] 10개월 동안 정부기관, 정부 투자 기관, 민간 부문의 리더들이 참여하여 초청 강사와 세종연구원 연구원들의 강의를 듣는다.[3] 또한, 외교, 안보, 통일 분야 차세대 리더를 육성하기 위해 대학(학부 및 대학원)생을 위한 젊은 리더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시작했다.[3]

4. 3. 기타 사업

세종연구소는 도서 및 학술지를 발행하는데, 여기에는 중장기 정책 연구, 종합 연구, 과제 연구, 분기별 국가 전략 보고서를 포함한 공동 및 개별 연구 결과물이 포함된다.[4] 또한, 웹 기반 이메일 서비스로 세종 코멘터리(Sejong Commentary), 현안 및 정책(Current Issues & Policies), 세종 정책 브리프(Sejong Policy Brief)를 제공한다.[4] 세종연구원은 연차 보고서를 통해 연구원의 최신 소개와 연간 연구 성과를 요약하여 제시한다.[5]

세종학당재단은 1983년 랑군 폭탄 테러 희생자 유족들에게 재정 지원과 장학금을 제공하고 있다.[6][7][8] 희생자는 북한 테러리스트들에 의해 사망한 17명의 고위 외교관과 대통령 수행원 등이다.[6]

5. 전·현직 주요 인사

참조

[1]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www.sejong.or[...] Sejong 2020-10-30
[2] 웹사이트 Organization http://www.sejong.or[...] Sejong 2020-10-30
[3] 웹사이트 Academy for Young Leaders http://www.sejong.or[...] 2020-10-30
[4] 웹사이트 Sejong Institute http://www.sejong.or[...] Sejong.org 2020-10-30
[5] 웹사이트 Annual Report http://www.sejong.or[...] 2020-10-30
[6] 웹사이트 On This Day {{!}} When a North Korean Bombing Rocked Yangon https://www.irrawadd[...] 2023-03-24
[7] 웹사이트 The Rangoon Bombing: North Korea’s 1983 Attempt to Destroy South Korea’s Government https://nationalinte[...] 2024-03-29
[8] 학술지 Revisiting the 1983 Rangoon Bombing: Covert Action in North Korea's Foreign Relations https://www.kci.go.k[...] 2019
[9] 웹사이트 History http://www.sejong.or[...] Sejong 2020-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