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원식은 일제강점기 황해도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육군 장교로 복무했다. 미국 유학 후 서울대학교 교수를 거쳐 교육부 장관, 국무총리 서리를 역임했다. 문교부 장관 재직 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을 불법화하고 강경 대응하여 논란이 되었으며, 국무총리 서리 시절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밀가루와 계란 세례를 받기도 했다. 1991년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남북기본합의서 채택에 기여했으며, 1995년 서울특별시장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령군 출신 - 변영립
변영립은 김일성종합대학에서 물리학 학위를 취득하고 교육 및 과학 분야의 요직을 거쳐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서기장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을 역임한 북한 정치인이다. - 재령군 출신 - 나석주
나석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동양척식주식회사 등 일제의 식민지 수탈 기관 파괴를 위해 폭탄 투척 후 자결했으며,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대한적십자사 관련자 - 김규식
김규식은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교육자, 학자로서, 미국 유학 후 독립운동과 교육에 헌신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에 참여하여 조국의 통일과 독립을 위해 노력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다. - 대한적십자사 관련자 - 손정도
손정도는 일제강점기 감리교 목사이자 독립운동가로, 3·1 운동 후 상하이 망명, 임시정부 참여, 독립운동 자금 마련, 만주 지역 독립군 양성 및 민족 교육에 힘썼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 대한민국의 심리학자 - 표창원
표창원은 경찰대 졸업 후 범죄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고 경찰청 및 경찰대학 교수를 지냈으며, 국정원 여론 조작 사건 비판 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을 거쳐 현재 표창원 범죄과학연구소를 운영하며 방송 활동을 하는 정치인이자 범죄심리학자이다. - 대한민국의 심리학자 - 이수정 (심리학자)
이수정은 연세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범죄심리학 전문가로 활동하며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교수, 정부 및 공공기관 위원회 위원, 방송 출연, 저술 활동, 그리고 국민의힘 소속으로 국회의원 선거 출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심리학자이다.
정원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존칭 | 각하 |
이름 | 정원식 |
원어 이름 | 鄭元植 |
로마자 표기 | Jeong Wonsik |
한자 표기 | 鄭元植 |
출생일 | 1928년 8월 5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조선 황해도 재령군 서호면 신환포리 95번지 |
사망일 | 2020년 4월 12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 |
본관 | 진주 |
별칭 | 호 서호 (西湖) |
학력 | |
학력 | 서울대학교 교육학 학사 |
대학원 | 조지피바디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학 박사 |
서울대학교 | 서울대학교 (학사) |
밴더빌트 대학교 | 밴더빌트 대학교 (석사, 박사) |
직위 | |
직위 | 대한민국 국무총리 |
임기 시작 | 1991년 5월 24일 |
임기 종료 | 1992년 10월 8일 |
대통령 | 노태우 |
전임자 | 노재봉 |
후임자 | 현승종 |
경력 | |
경력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
경력 | 문교부 장관 |
가족 | |
배우자 | 임학영 |
자녀 | 슬하 4녀 |
종교 및 소속 | |
종교 | 개신교 |
정당 | 무소속 |
2. 생애
1951년부터 1955년까지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복무했으며, 이후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문교부 장관을 거쳐 1991년 노태우 대통령에 의해 국무총리로 임명되었다.[3] 1995년 서울특별시장 선거에 민주자유당 후보로 출마하기도 했다.[4] 2020년 4월 12일 신장 질환으로 사망했다.[5]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28년 8월 5일 일제강점기 황해남도 재령군 서호면 신환포리 95번지에서 태어났다. 그는 모태 신앙인으로, 부모는 미국인 선교사들을 만나 일찍부터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어머니는 독실한 신자였으며 그가 목회자가 되기를 원했으나 그는 교육자의 길을 선택했다.해방 후 1947년 7월 해주동중(海州東中)을 졸업했다. 같은 해 가을 경성제국대학(서울대학교 전신) 예비과정에 입학했으며, 이듬해인 1948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에 입학했다.
2. 1. 1. 군 복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재학 중이던 1951년 군에 입대하여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군 복무 중인 1954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을 졸업했으며, 1955년 육군 대위로 예편했다.2. 1. 2. 유학
1956년 공무원에 임용되어 중앙교육연구소 연구원으로 발령받았다. 1957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조지 피바디 대학교 교육대학원 심리학과에 입학했다.2. 2. 교육 활동
1958년 미국 조지 피바디 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심리학 석사학위를 받고 귀국했다. 1960년 8월 문교부 장관 오천석의 비서관과 문교부 장학관을 지냈다. 1961년 5·16 군사 정변 이후 모교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어 부교수를 거치며 교편을 잡았다.1964년 조지 피바디 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과정에 다시 진학하여 1966년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귀국 후 1970년 한국교육학회 교육심리연구회 회장, 1972년 카운슬러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1974년부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활동했으며, 1979년에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학장에 임명되었다.
2. 3. 사회 활동
1979년부터 조선일보 등에 칼럼을 기고했으며, 같은 해 조선일보에 '머리를 써서 살아라'라는 제목으로 유대인의 가정 교육을 소개하는 글을 연재했다. 이 내용을 엮어 출간한 단행본은 수십만 부가 팔리는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또한, 1979년부터 월간 샘터에서 발행하는 유아 잡지 「엄마랑 아기랑」에 '정박사와 의논하세요'라는 상담 칼럼을 맡아 1994년까지 15년 동안 꾸준히 기고했다.1983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학장에서 물러난 뒤 평교수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사회 활동에도 참여했다. 1984년부터 1986년까지 한국교육학회장을 지냈고, 1985년에는 한국교육개혁심의회 위원, 사랑의 전화 재단 이사장, 방송심의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위촉되었다. 같은 해 한국 도서잡지주간신문 윤리위원회 위원장에도 선임되었으며, 1985년부터 1987년까지 교육개혁심의회 교육발전분과위원장을 맡았다.
2. 4. 정계 입문
1951년부터 1955년까지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복무했으며, 이후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1988년 2월 노태우 정부에서 한국방송심의위원회 위원장에 선임되었다. 같은 해 12월 5일에는 문교부 장관으로 발탁되었다. 그가 문교부 장관이 되자 일부 학생운동가들은 군사 정권에 타협하였다며 비난과 시위를 벌였다. 문교부 장관 재직 당시의 구체적인 활동과 이후 국무총리 임명 등은 하위 문단에서 상세히 다룬다.2. 4. 1. 문교부 장관 시절
: 1988년 12월 문교부 장관 취임사
이후 부패 교사와 촌지 등 교단 비리를 대대적으로 단속하였다. 그 뒤 그는 교직원 노조 결성 움직임이 보이자, 교원 노조 활동을 단호하게 반대하였다. 부패 교원, 부패 교수 단속 외에 학생 운동에 대해서도 엄한 단속을 벌여나갔다. 학생 운동권 적발과 전교조 해임 등에 반발하여, 그가 문교부 장관으로 재직 중 부산대학교와 세종대학교를 방문했을 때 강의 중 학생들에게 감금을 당하거나 타고 있던 승용차에 학생들이 돌을 던지고 달려들어 차량이 찌그러지는 등의 봉변을 당하기도 했다.
2. 4. 2. 전교조 강경 대응
문교부 장관으로 재직하던 1989년 5월 28일, 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창립되었다. 당시 대통령 노태우는 담화를 통해 전교조를 불법 단체로 선포했다. 문교부 장관이었던 정원식 역시 전교조를 불법 단체로 규정하고, 관련 교사들에 대한 구속, 해임 등 강경한 조치를 취하여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다.정원식은 한 인터뷰에서 전교조 교사들이 스스로를 노동자로 전락시켜 교권을 실추시켰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교조를 인정하지 않는 이유로 '첫째, 전교조는 불법단체', '둘째, 교사는 공무원이므로 교직원노동조합은 인정할 수 없다'는 원칙을 내세웠다. 그러면서도 '충분히 교직원노조가 나올만한 상황이었다'고 보았고 '전교조에 가입한 교사들의 심정도 잘 이해'하고 있다고 언급했으며, 전교조 교사 검거 과정에서 발생한 폭력에 대해 '주무장관으로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또한, 그는 전교조 교사들이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의식화' 교육을 시킨다고 비판하였다. 이러한 입장을 바탕으로 문교부 장관 재직 중 인사명령을 통해 전교조 가입자와 주동자들에 대한 대규모 해임 및 파면 조치를 단행했다.
이후 일부 언론 등에서 전교조 가입으로 해직된 교사들에 대한 복직 여론이 일었으나, 정원식은 전교조 교사들이 '결국 정치세력화했고 정권퇴진투쟁에 나서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미 정치세력화한 그들을 다시 교직에 받아들이기는 어렵다'는 이유로 복직 요청을 단호하게 거절하였다.
2. 4. 3. 총리 서리 시절
1990년 12월 26일 문교부 장관직에서 물러난 후, 사랑의 전화 재단 이사장을 맡았고 덕성여자대학교와 한국외대 등에서 겸임교수 및 강사로 활동했다.[6] 1991년에는 민자당 정책평가위원으로도 선출되었다. 교육부 장관 재직 시절 강직하다는 평가를 받았다.[2]아프리카 대륙 순방 중이던 1991년 5월 24일, 노태우 대통령에 의해 국무총리 서리로 임명되었다.[3][6]
2. 4. 4. 한국외국어대학교 계란 투척 사건
1991년 6월 3일, 국무총리서리로 지명된 정원식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마지막 강의를 마치고 나오던 중 학생들로부터 밀가루와 달걀 세례를 받았다.[7][8][9] 이 사건 이전에도 그는 세종대, 덕성여대, 부산대 등에서 학생들의 심한 조롱과 야유를 겪었으며, 한국외대 방문 전 학생들이 테러를 준비 중이라는 소문이 퍼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의 정당성을 주장하며 별도의 수행원이나 가족 동반 없이 홀로 강단에 섰다.강의를 마친 정원식은 분노한 학생들과 마주쳐야 했다.[6] 당시 학생들은 정원식을 향해 '전교조 선생님과 귀정이를 죽인 살인마', '귀정이 살려내라', '전교조 선생님들을 살려내라', '대통령 특사로 외국을 돌아다니며 남한의 유엔 단독가입을 구걸하러 돌아다닌 분단고착화의 원흉' 등의 구호를 외치며 계란, 페인트, 밀가루를 던졌다. 정원식은 밀가루와 계란 세례를 받은 뒤 황급히 학교를 빠져나갔다.[6]
이 사건의 배경에는 정원식이 문교부 장관 재직 시절 전교조를 불법 단체로 규정하고 관련 교사들을 구속하거나 불이익을 준 것에 대한 학생 운동권의 강한 반발이 있었다. 정원식 교수가 계란을 맞은 사건이 알려지자, 당시 사회 일각에서는 '군사부일체'라는 논리가 터져 나와[10] 큰 사회적 파문을 일으켰다. 이는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군사정권의 영향과 유교적 권위주의, 성리학적인 가치관이 일부 잔존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정원식 계란 투척 사건은 외신에도 보도되어, 국내외에 한국의 학생운동권에 대한 외신 여론이 악화되는 원인이 되었다. 2006년 12월 14일, 그에게 밀가루와 계란을 투척했던 당시 한국외국어대 학생들은 명예회복 조치 되었다.[11]
2. 4. 5. 국무총리 시절
노태우 대통령은 1991년 5월 24일 정원식을 국무총리 서리로 임명했다.[3] 당시 교육부 장관으로서 비교적 강직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으나,[2] 학생운동가들과 야당 인사들의 반발로 인해 임명 과정에서 낙마가 예상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1년 7월 3일 국회에서 인준안이 가결되었고, 같은 해 7월 8일 정식으로 국무총리에 취임했다.[3]총리 재직 중이던 1991년부터 1992년까지 남북고위급회담의 한국 측 수석대표를 맡아 세 차례 북한 평양을 방문했다. 이 방문 기간 동안 북한의 김일성 주석과 면담하기도 했다. 이러한 남북 간 회담의 결과로, 이후 남북 관계의 중요한 틀이 된 남북기본합의서가 채택되었다. 정원식은 관련 국제회의에도 참석하여 남북기본합의서 채택 과정에 기여했다.
1992년 10월 7일 총리직에서 사퇴했다.
2. 5. 퇴임 이후
1992년 말 민주자유당 대통령선거대책위원장에 임명되었다. 민주자유당의 김영삼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자, 1993년 2월 제14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정권 인수를 담당했다. 1993년 세종연구소 이사장에 선임되었으며, 같은 해 3월에는 방송위원회 위원장에 내정될 것이라는 설이 돌기도 했다. 이후 체육청소년부 산하 재단법인 '청소년 대화의 광장' 이사장, 안중근 의사 숭모회 이사장을 지냈으며, 1995년에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명예교수로 위촉되었다. 2020년 4월 12일 신장 질환으로 향년 91세에 사망하였다.[5]2. 5. 1. 1995년 서울특별시장 선거
1995년 4월 28일 6.27 지방 선거를 앞두고 민주자유당 서울 시장 후보로 확정되었다. 이는 당내 경선에서 이명박에게 승리한 결과였다.[12] 그는 서울특별시장 선거에 출마한 후보 중 한 명이었으나,[4] 본선에서 조순 후보와 경쟁하여 패배하였다.[12]2. 6. 2000년대 이후
이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활동했다.[13] 2002년에는 2002 오송국제바이오엑스포조직위원회 조직위원으로 임명되었다.[13] 같은 해 12월 부산 브니엘학원 이사장이 되었으나, 학원 운영 파행으로 인해 9개월 만에 물러났다.[14]2010년 6월 유한재단 이사장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라다이스상위원회 위원장으로 위촉되었다.
2020년 4월 12일 신부전으로 향년 91세로 사망했다.
3. 학력
4. 저서
''인간과 교육'', ''교육환경론'' 등은 100만 권이 팔린 베스트셀러이기도 하다.
- ''인간과 교육'' (배영사, 1991)
- ''한국교육문제론'' (교육과학사, 1999)
- ''생각하는 아이로 키워라:0~6세 교육, 우리아이 미래를 결정한다'' (금성출판사, 2006)
- ''세계의 리더를 키운 유대의 자녀교육'' (샘터, 2007)
- ''변혁의 시대에서'' (기파랑, 2010)
- ''인간의 인지'' (교육과학사, 2010)
- ''교육환경론''
- ''대교육심리학''
- ''생활지도의 원리와 실제''
- ''교육학개론''
- ''교육심리학''
- ''머리를 써서 살아라''
- ''인간의 동기''
- ''인간의 성격''
- ''카운슬링의 이론''
- ''아버지방법, 어머니기술''
- ''박사와 의논하세요''
5. 상훈
6.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배우자 | 임학영(林鶴暎) | 1929년 9월 20일 출생 |
자녀 | 정신애, 정은혜, 정수영, 정현주 | 4녀 |
7.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연도 | 선거 종류 | 직위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결과 |
---|---|---|---|---|---|---|---|
1995년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31대 서울특별시장 | 서울특별시 | 민주자유당 | 1,001,446 (20.67%) | 3위 | 낙선 |
참조
[1]
서적
Profile of Chung Won-shik
https://books.google[...]
[2]
뉴스
Around The World: Premier Named in S. Korea
1991-05-25
[3]
뉴스
South Korean Leader Names Prime Minister
1991-05-24
[4]
논문
Enter the experts: a new breed of politician challenges the old guard
http://0-vnweb.hwwil[...]
1995-06-29
[5]
웹사이트
Ex-Prime Minister Chung passes way at 91
https://en.yna.co.kr[...]
[6]
웹사이트
91년 정원식 전 총리와 05년 이건희는 달라야 한다
http://www.ohmynews.[...]
2005-05-04
[7]
웹사이트
http://media.daum.ne[...]
[8]
웹사이트
http://media.daum.ne[...]
[9]
웹사이트
http://news.khan.co.[...]
[10]
서적
환경주의자들:시사인물사전 12
인물과사상사
2001
[11]
뉴스
[민주화 명예회복 4874명]명예회복 민주화운동 관련 사건 무엇이 있나
http://news.kukinews[...]
2006-12-14
[12]
뉴스
정원식 확장
http://dna.naver.com[...]
1995-04-28
[13]
웹사이트
http://media.daum.ne[...]
[14]
뉴스
'국제반' 논란 정선학원, 이번엔 임원 승인 취소
https://news.naver.c[...]
2014-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