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족문제연구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족문제연구소는 한국 근현대 민족문제 연구와 역사 바로 세우기를 목표로 1991년 설립된 연구 기관이다. 친일인명사전 편찬, 식민지역사박물관 개관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과거사 청산과 민족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친일 인명사전의 선정 기준, 특정 인물에 대한 친일 의혹 제기, 다큐멘터리 제작과 관련하여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족문제연구소 - 이돈명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서 변호사, 인권 운동가, 사회 운동가로 활동한 이돈명은 민청학련 사건을 계기로 인권변호사의 길을 걸으며 주요 시국사건 변론을 맡아 '인권변호사의 대부'로 불렸고, 권위주의 정권에 맞선 변론을 통해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다.
  • 민족문제연구소 - 친일인명사전
    《친일인명사전》은 민족문제연구소가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자 4,776명의 인명과 행적을 기록하여 2009년에 발간한 사전으로, 국민 모금 운동을 통해 예산을 확보하고 법적 분쟁을 극복하며 발간되었으나, 편찬 과정과 수록 인물 선정 기준에 대한 논란과 함께 보수 진영의 비판을 받고 있다.
  • 1991년 설립된 단체 -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운영하는 연구 조직으로, 알고리즘, 하드웨어 개발,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며, 1991년 설립 이후 전 세계 연구소를 통해 기술 혁신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한다.
  • 1991년 설립된 단체 - 아부 사야프
    아부사야프는 1990년대 초 필리핀에서 모로민족해방전선 출신들이 결성한 무장단체로, 초기에는 무장 투쟁을 목표로 했으나 이후 테러 집단으로 변모하여 필리핀과 인근 국가의 안보를 위협하며 국제 사회의 규탄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정치 단체 - 민주화추진협의회
    민주화추진협의회는 1980년대 중반 정치 억압 시대에 김영삼과 김대중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신한민주당 창당을 주도하며 야당 성장에 기여했으나, 대통령 선거 후보 단일화 실패로 분열되어 해체되었지만 한국 민주화 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정치 조직이다.
  • 대한민국의 정치 단체 - 하나회
    하나회는 1951년 육군사관학교 출신 전두환, 노태우 등이 결성한 군내 사조직으로, 12·12 군사 반란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관여했으며, 1993년 김영삼 정부에 의해 해체되었다.
민족문제연구소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민족문제연구소
한글민족 문제 연구소
한자民族問題硏究所
가타카나민조쿠몬제요우구소
영어Institue for Research in Collaborationist Activities
이전 명칭반민족문제연구소
설립일1991년
연구소 정보
웹사이트민족문제연구소 공식 웹사이트
관련 기사
기사 1春川市、親日を理由に徐廷柱と崔南善の詩碑を撤去
기사 2親日派の国立顕忠院埋葬、韓国の市民団体が汚物をまき抗議-Chosun online 朝鮮日報
기사 3【劇場型半島】歯止めなき韓国の「親日」狩り…今度は学校のシンボルツリーが標的
기사 4道路名から詩碑まで…韓国自治体間で加熱する「親日清算」競争-Chosun online 朝鮮日報

2. 설립 목표

민족문제연구소는 설립취지서에서 다음과 같은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 한국 근현대사의 쟁점과 과제를 연구하고 밝혀내며, 한일 간의 역사 문제 해결을 통해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는다.
  • 친일인명사전 편찬 등 일제강점기 잔재 청산을 위한 활동을 추진하여 한국 사회에 남아있는 "일제 파시즘"의 잔재를 없앤다.


민족문제연구소는 “민족 문제 해결의 근본에는 왜곡된 민족 역사의 청산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바른 역사 교육을 통해 민족의 자긍심을 회복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3. 연혁

1989년 임종국의 빈소에서 연구소 설립을 논의한 것을 시작으로, 1991년 반민족문제연구소로 설립되었다. 1995년 사단법인 반민족문제연구소가 되었고, 2001년 통일시대민족문화재단을 별도 단체로 발족시키고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를 설립하였다.[5]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주요 활동
1989년임종국 빈소에서 연구소 설립 논의
1990년연구소 설립준비위원회 발족
1991년반민족문제연구소 설립
1993년제3회 윤상원상 학술연구부문 단체상 수상
1994년친일인명사전 출간계획 발표 기자회견
1995년민족문제연구소로 개칭(이사장 이돈명). 지부·지회 조직 건설 시작
2000년박정희기념관반대국민연대 발족(247개 단체), 사무국 설치. 강제동원진상규명시민연대 발족, 사무국 설치.
2001년통일시대민족문화재단 창립.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출범, 주간연구소 겸 사무국
2003년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사무국 유치
2004년친일인명사전 편찬 국민의 힘으로 모금운동 전개.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등에관한특별법 통과.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시민연대 출범. 제16회 심산상 수상.
2005년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 출범(회장 장병화). 제19회 단재상 수상. 제1회 임종국상 시상(매년).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1차 명단 발표. 야스쿠니 신사 문제 다큐 <안녕, 사요나라> 제작, 부산국제영화제 운파펀드·서울독립영화제 대상 수상. 제17회 안종필자유언론상 특별상 수상.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의국가귀속에관한특별법 통과.
2015년군함도의 세계유산 등재 저지 로비 활동.[5]
2017년『항일음악 330곡집』 출판[6][7]
2018년8월 29일 서울특별시 용산구식민지역사박물관 개관[8]
2019년반민족문제연구소 규정 친일파 작곡 교가 폐지, 지방 정부의 새로운 교가 제정 예산 투입[9][10]


3. 1. 연구소 설립 및 초기 활동

1989년 임종국 빈소에서 연구소 설립이 논의되었고, 1990년 연구소 설립준비위원회가 발족되었다.[5] 1991년 반민족문제연구소가 설립되었으며,[5] 1993년 제3회 윤상원상 학술연구부문 단체상을 받았다. 1994년 친일인명사전 출간 계획 발표 기자회견을 가졌고, 1995년 민족문제연구소로 이름을 바꾸고(이사장 이돈명) 지부·지회 조직 건설을 시작했다.[5]

2000년 박정희기념관반대국민연대(247개 단체)와 강제동원진상규명시민연대를 발족하고 사무국을 설치했다. 2001년 통일시대민족문화재단을 창립하고,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를 출범하여 주간연구소 겸 사무국으로 삼았다.[5] 2003년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사무국을 유치했다.

2004년 '친일인명사전 편찬 국민의 힘으로' 모금운동을 전개하고,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등에관한특별법 통과를 이끌어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시민연대를 출범시켰으며, 제16회 심산상을 받았다. 2005년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를 출범하고(회장 장병화), 제19회 단재상과 제1회 임종국상을 시상했다(매년).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1차 명단을 발표하고, 야스쿠니 신사 문제 다큐멘터리 <안녕, 사요나라>를 제작하여 부산국제영화제 운파펀드와 서울독립영화제 대상을 받았다. 제17회 안종필자유언론상 특별상을 받았으며,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의국가귀속에관한특별법 통과를 이끌어냈다.[5]

2015년 군함도의 세계유산 등재를 막기 위해 세계유산위원회 회의가 열린 독일 본 등에서 로비 활동을 했다.[5] 2017년 『항일음악 330곡집』을 출판했고,[6][7] 2018년 8월 29일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식민지역사박물관을 개관했다.[8] 2019년 반민족문제연구소가 친일파로 규정한 작곡가가 작곡한 교가를 폐지하고, 지방 정부의 새로운 교가 제정 예산 투입을 이끌어냈다.[9][10]

3. 2. 활동 확장 및 사회적 영향력 확대


  • 1993년: 제3회 윤상원상 학술연구부문 단체상을 받았다.
  • 1994년: 친일인명사전 출간 계획 발표 기자회견을 가졌다.
  • 1995년: 민족문제연구소로 이름을 바꾸고(이사장 이돈명), 지부·지회 조직 건설을 시작했다.
  • 2000년: 박정희기념관반대국민연대(247개 단체)를 발족하고 사무국을 설치했다. 강제동원진상규명시민연대를 발족하고 사무국을 설치했다.
  • 2001년: 통일시대민족문화재단을 창립했다.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주간연구소 겸 사무국을 두었다.
  • 2003년: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사무국을 유치했다.
  • 2004년: '친일인명사전 편찬 국민의 힘으로' 모금운동을 전개했다.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등에관한특별법 통과에 기여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시민연대를 출범시켰다. 제16회 심산상을 받았다.
  • 2005년: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를 출범시켰다(회장 장병화). 제19회 단재상을 받았다. 제1회 임종국상을 시상하기 시작했다(매년).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1차 명단을 발표했다. 야스쿠니 신사 문제를 다룬 다큐멘터리 <안녕, 사요나라>를 제작하여 부산국제영화제 운파펀드와 서울독립영화제 대상을 받았다. 제17회 안종필자유언론상 특별상을 받았다.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의국가귀속에관한특별법 통과에 기여했다.
  • 2015년: 군함도의 세계유산 등재를 막기 위해 세계유산위원회 회의가 열린 독일 본 등에서 로비 활동을 했다.[5]
  • 2017년: 『항일음악 330곡집』을 출판했다.[6][7]
  • 2018년: 8월 29일 서울특별시 용산구식민지역사박물관을 개관했다.[8]
  • 2019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친일파로 규정한 작곡가가 작곡한 교가를 폐지하고, 지방 정부의 새로운 교가 제정 예산 투입을 이끌어냈다.[9][10]

3. 3. 최근 활동

4. 학술활동(심포지엄)

연도심포지엄 제목
1992년식민지배 청산 문제의 민족사적 이해
1993년한국 현대사와 친일파 청산 문제
1995년친일 협정, 30년 동안의 굴욕
1996년보훈 정책, 무엇이 문제인가
1997년민족사적 관점에서 본 역대 정권의 대일 정책 비교
1999년친일 논리의 역사적 변천과 식민 유제의 청산 방향. 한국군과 식민 유산
2002년강요된 부역인가 내재된 신념인가 - 문화예술계의 친일 논리와 성격
2003년일제의 민족 분열 정책과 친일 세력의 구조와 논리. 무엇을 기억하고 기념할 것인가 - 한국 기념사업의 현주소
2004년21세기 한국 사회와 친일 청산 문제. 일제의 민족 분열 정책과 친일 세력의 구조와 논리
2005년식민지 시대 예술 다시 읽기 - 친일 예술의 내적 논리
2006년세계의 눈으로 야스쿠니를 본다 - 문명과 야만 사이
2007년효창원 성역화 문제 어떻게 할 것인가. 강제성이란 무엇인가 - 일본군 위안부 문제. 인권·문명·평화의 눈으로 야스쿠니 신사를 본다. 식민지 경제사의 쟁점과 과제. 기업 재판에 대한 한국·일본 법원의 판단과 전후 보상
2009년일제의 사법 침탈과 안중근 의거. 관동 조선인 학살 - 식민지 범죄, 일본의 국가적 책임을 묻는다. 식민지기 재일 조선인 사회의 형성과 단체 활동의 전개.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한일 양국의 문서 공개로 본 1965년의 한일협정과 청구권 문제


5. 주요 활동 및 주장

민족문제연구소는 국립현충원에 반민족 행위자가 묻혀 있어 묘지를 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19년 6월 6일에는 김창룡, 김석범의 묘소에 오물을 투척하여 형사 고소되는 사건이 발생했다.[13]

한편, 민족문제연구소가 제작한 친일인명사전의 친일 기준이 자의적이고 좌파적이며 공정성이 없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4][14][15][16]

5. 1.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 관련 주장

2017년 11월, 민족문제연구소는 일본의 강제동원진상규명네트워크와 공동으로 가이드북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과 강제노동」을 제작하였다. 이 책에서 산업혁명 유산의 등록 신청이 종래의 문화청 주도가 아닌 관저 주도로 추진되었다는 점을 특징으로 꼽으며, "자랑스러운 역사만을 기억한다는 반성 없는 역사 인식은 다시 일본을 전쟁을 할 수 있는 나라로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와 연동되어 있습니다.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의 이야기도 이것의 일환으로 보입니다."라고 주장하였다.[11]

또한,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에 포함된 요시다 쇼인쇼카손주쿠에 대해 "일본은 쇼카손주쿠를 산업화를 추진하는 인물을 길러낸 곳으로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에 포함시켰습니다. 그러나 쇼카손주쿠는 아시아 침략의 사상과 역사를 정당화하는 역사관이 형성된 곳이며, 산업혁명 유산이 아닙니다."라고 주장하였다. 아울러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 정보센터의 도쿄 설치에 반대하며, 2017년 7월에 "희생자를 기억하기 위한 정보센터의 설치"를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12]

6. 이사장

대수이사장
제1대이돈명
제2대조문기
제3대김병상
제4대함세웅


7. 소장

대수소장
제1대김봉우
제2대한상범
제3대임헌영


8. 해외연구협력기관

기관명대표
고려박물관히구치 유이치
고베청년학생센터히다 유이치
문화센터아리랑강덕상
오사카국제교육이해센터정조묘
재일한인역사자료관강덕상
히로시마한국조선사회연구회이동석
한일의 여성과 역사를 생각하는 회스즈키 유코


9. 논란

민족문제연구소는 여러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주요 논란은 다음과 같다.


  • '''백년전쟁 논란''': 이승만, 박정희 두 전직 대통령에 관한 다큐멘터리 "백년전쟁"을 제작, 방영하였으나 자료 신뢰성 및 짜깁기 논란이 일었다. 2013년 3월 13일 박근혜 대통령과 국가원로 12명의 오찬에서 "'백년전쟁' 영상물이 인터넷에 퍼져 젊은이들이 많이 보고 있어 걱정"이라는 우려가 나왔다.[19] 2013년 7월 25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백년전쟁'에 대해 편향성을 이유로 징계를 내렸으나,[21][22] 2019년 11월 21일 대법원은 이 징계가 부당하다고 판결했다.
  • '''친일인명사전 논란''': 친일인명사전 인물 선정에 대해 보수주의 단체와 충돌이 있었다. 2019년 6월 6일 민족문제연구소 관계자들이 국립현충원에 안장된 김창룡, 김석범의 묘지에 오물을 투척, 훼손하여 형사 고소되는 사건이 발생했다.[13]
  • '''친일파 매도 논란''':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인 독립운동가 이갑성에게 친일 의혹을 제기했으나, 이는 근거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24][25]
  • '''박정희 혈서 논란''': 박정희 전 대통령의 혈서 작성 여부를 두고 논란이 있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박정희가 혈서를 썼다고 주장하며, 이를 부정하는 측과 법적 분쟁을 벌였으나, 법원은 혈서 진위 여부에 대한 판단을 유보했다.[26]

9. 1. 백년전쟁 논란

민족문제연구소는 이승만, 박정희 두 전직 대통령에 관한 다큐멘터리 "백년전쟁-두 얼굴의 이승만"과 "백년전쟁-프레이저 보고서(제1부)"를 제작하여 방송하였다. 그러나 이 동영상은 자료의 신뢰성 및 짜깁기 논란으로 보수와 진보 간의 갈등을 일으켰다.[18]

2013년 3월 13일, 박근혜 대통령과 김시중, 남덕우, 박상증, 박영식, 백선엽, 서영훈, 안병직, 이만섭, 이배용, 이인호, 이홍구, 조순 등 '국가원로' 12명이 참석한 오찬에서, 이인호 아산재단이사장은 "'백년전쟁' 영상물이 인터넷에 퍼져 젊은이들이 많이 보고 있어 걱정"이라며,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 때 일을 왜곡하고 있어 국가안보 차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19]

2013년 3월 26일, 한겨레신문은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자 조선일보 등 보수 언론이 현대사에 대한 논란을 키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희완 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은 “뉴라이트가 역사 문제를 제기하고 보수 언론이 이를 확대·재생산하는 패턴이 계속되고 있다. 친일·민족 문제를 모두 좌파의 공작으로 몰아붙이려는 시도야말로 역사 왜곡”이라고 비판했다.[20]

2013년 7월 25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백년전쟁'이 현대사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균형 있게 반영하지 않고 특정 자료만으로 편향된 내용을 방송하여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제9조(공정성)제1항․제2항, 제14조(객관성), 제20조(명예훼손 금지)제2항을 위반했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해당 채널이 시청자 참여(public access) 프로그램 방송 채널임을 감안하여 ‘해당 방송프로그램 관계자에 대한 징계’ 및 ‘경고’ 처분을 내렸다.[21][22]

2014년 8월 28일, '백년전쟁'을 방영하여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징계를 받았던 시민방송 RTV는 징계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했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4부는 사회적 쟁점이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된 사안을 다루면서 공정성과 균형성을 유지하지 못했다고 판결했다. 재판부는 "방송 내용이 이승만에 대한 부정적인 사례와 평가만으로 구성되었고, 제작 의도와 달리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은 의도적으로 배제하여 사실을 왜곡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승만을 '악질 친일파, A급 민족반역자, PLAY BOY, 하와이 깡패, 돌 대가리' 등 저속한 표현으로 묘사했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박정희의 경우 동료를 밀고하여 살아남았다는 내용과 무고한 언론인을 재판으로 살해한 것처럼 구성했다"며, "박정희를 'SNAKE PARK'로 표현하고 뱀 사진과 함께 편집하거나 꼭두각시 인형으로 표시하는 등 사자의 명예를 훼손했다"고 덧붙였다.[23]

2019년 11월 21일,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백년전쟁'에 대한 방송통신위원회의 징계가 부당하다고 판단했다. 대법원은 시민방송 RTV가 방송통신위원회를 상대로 낸 제재조치명령 취소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 판결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9. 2. 친일인명사전 논란

친일인명사전 인물 선정에 대해 보수주의 단체와 충돌이 있었다.

2017년 11월, 민족문제연구소는 일본의 강제동원진상규명네트워크와 공동으로 가이드북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과 강제노동」을 제작했다. 이 책에서 민족문제연구소는 산업혁명 유산 등록 신청이 문화청 주도가 아닌 관저 주도로 추진되었으며, "자랑스러운 역사만을 기억한다는 반성 없는 역사 인식은 다시 일본을 전쟁을 할 수 있는 나라로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와 연동되어 있습니다.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의 이야기도 이것의 일환으로 보입니다."라고 주장했다.[11] 또한,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에 포함된 요시다 쇼인쇼카손주쿠에 대해 "일본은 쇼카손주쿠를 산업화를 추진하는 인물을 길러낸 곳으로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에 포함시켰습니다. 그러나 쇼카손주쿠는 아시아 침략의 사상과 역사를 정당화하는 역사관이 형성된 곳이며, 산업혁명 유산이 아닙니다."라고 주장했다.[12] 민족문제연구소는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 정보센터의 도쿄 설치에 반대하며, 2017년 7월에 “희생자를 기억하기 위한 정보센터의 설치”를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12]

민족문제연구소는 국립현충원의 묘지에 “반민족 행위자가 묻혀 있으므로 묘지를 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19년 6월 6일, 김창룡, 김석범의 묘지를 오물로 훼손하는 행위를 하여, 형사 고소되는 사태가 되었다.[13] 민족문제연구소가 제작한 친일인명사전의 친일 기준은 자의적이고, 좌파적이며, 공정성이 없다고 지적되고 있다.[4][14][15][16]

9. 3. 친일파 매도 논란

민족문제연구소는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었던 독립운동가 이갑성에 대해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 경무국 촉탁 역임, 미쓰비시주식회사 신경출장소장 역임 등을 이유로 친일 의혹을 제기했다. 2005년 3.1절 특집 뉴스추적에 출연한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장은 이갑성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통해 서훈을 취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갑성의 친일 의혹은 모두 근거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고, 오히려 일본 측의 요시찰인(要視察人)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써 1980년대부터 정치적 의도로 친일파 공격을 받았던 이갑성은 친일 누명을 벗게 되었다.[24][25]

2017년 11월, 민족문제연구소는 일본의 강제동원진상규명네트워크와 공동으로 가이드북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과 강제노동」을 제작했다. 이 책에서 민족문제연구소는 산업혁명 유산 등록 신청이 문화청 주도가 아닌 “관저 주도로 추진되었으며, 자랑스러운 역사만을 기억한다는 반성 없는 역사 인식은 일본을 다시 전쟁할 수 있는 나라로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와 연동되어 있다.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 이야기도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보인다”라고 주장했다.[11] 또한,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에 포함된 요시다 쇼인쇼카손주쿠에 대해 “쇼카손주쿠는 아시아 침략 사상과 역사를 정당화하는 역사관이 형성된 곳으로, 산업혁명 유산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더불어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 정보센터의 도쿄 설치에 반대하며, 2017년 7월 “희생자를 기억하기 위한 정보센터 설치”를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12]

민족문제연구소는 국립현충원에 “반민족 행위자가 묻혀 있으므로 묘지를 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19년 6월 6일에는 김창룡, 김석범의 묘지에 오물을 투척하여 훼손하는 행위를 벌여 형사 고소되는 사태가 발생했다.[13] 민족문제연구소가 제작한 친일 인명 사전의 친일 기준은 자의적이고 좌파적이며 공정성이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4][14][15][16]

9. 4. 박정희 혈서 논란

민족문제연구소는 박정희가 혈서를 썼다고 주장하였다.[26]

이후 민족문제연구소는 강용석 전 의원, 정미홍 정의실현국민연대 상임대표 등 11명을 상대로 민·형사상 책임을 묻는 소송을 제기했다. 그 중 사과문을 쓰며 형사조정에 응한 포레OO의 명예훼손 혐의는 공소권 없음 처분을 받았고, 북두000은 합의가 안 된 상황이지만 법리적으로 혐의가 인정되지 않아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26] 강용석도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강용석이 공개한 소장[27]에 따르면, 민족문제연구소의 주장은 법리적으로 역사적 진실로 보기 힘들다는 것이 검찰의 판단이며, 사법부는 이를 기각한 것이 정당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재판부는 혈서의 진위 여부와 친일인명사전 등재 여부에 대해서는 “이 재판의 쟁점이 아니다”라며 말을 아꼈다.

참조

[1] 웹사이트 春川市、親日を理由に徐廷柱と崔南善の詩碑を撤去 http://www.chosunonl[...] 2019-05-03
[2] 웹사이트 親日派の国立顕忠院埋葬、韓国の市民団体が汚物をまき抗議-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archive.is/K[...] 2019-06-08
[3] 웹사이트 【劇場型半島】歯止めなき韓国の「親日」狩り…今度は学校のシンボルツリーが標的 https://www.sankei.c[...] 2019-07-04
[4] 웹사이트 道路名から詩碑まで…韓国自治体間で加熱する「親日清算」競争-Chosun online 朝鮮日報 https://archive.is/3[...] 2019-03-20
[5] 웹사이트 民族問題研究所「世界遺産登録有力な日本の徴用施設に強制労働の事実明記すべき」 http://japan.hani.co[...]
[6] 웹사이트 ソウル市教育庁が全学校に「抗日音楽集」配布へ、高額予算に疑問も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日本語版 2019-01-27
[7] 웹사이트 [주문 안내] 항일음악 330곡집 https://www.minjok.o[...] 민족문제연구소 2017-08-17
[8] 웹사이트 韓国“親日派狩り”の象徴か 徴用工裁判めぐり前最高裁長官逮捕 http://bunshun.jp/ar[...] 文春オンライン 2019-02
[9] 웹사이트 韓国で桜まで排斥の動き、文政権の「親日清算」で(ニュースソクラ) https://headlines.ya[...]
[10] 웹사이트 【コラム】反日感情の助長は三・一精神に背く=韓国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s://japanese.joi[...]
[11] 뉴스 「徴用工」に注がれる科研費 前文部科学事務次官の前川喜平氏は韓国と同調 http://www.sankei.co[...] 2017-12-13
[12] 뉴스 「徴用工」に注がれる科研費 前文部科学事務次官の前川喜平氏は韓国と同調 http://www.sankei.co[...] 2017-12-13
[13] 웹사이트 親日派の国立顕忠院埋葬、韓国の市民団体が汚物をまき抗議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06-07
[14] 웹사이트 【社説】基準も公平性も失った親日名簿発表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s://japanese.joi[...]
[15] 웹사이트 反日に拘る韓国政権 南北統一で日本を金ヅルにしたいという思惑も? https://news.livedoo[...]
[16] 웹사이트 【コラム】恣意的に作られた親日人名辞典 Joongang Ilbo 中央日報 https://japanese.joi[...]
[17] 웹사이트 우리는 지금 '역사 전쟁'의 한복판에 놓여있다 http://www.pressian.[...] 2012-11-29
[18] 웹사이트 연합뉴스TV http://www.news-y.co[...] 2013-03-15
[19] 뉴스 元老들이 우려한 좌파의 인터넷 다큐 '백년전쟁' http://news.chosun.c[...] 2013-03-15
[20] 뉴스 다큐 ′백년전쟁′ 맞선 조선일보 ′좌파 딱지 붙이기′ http://www.hani.co.k[...] 2013-03-26
[21] 웹사이트 방통심의위, '너목들' 욕설-'오로라' 저속표현 징계 조치 http://tvdaily.mk.co[...] 2013-07-26
[22] 웹사이트 지상파텔레비전심의팀, 유료방송심의1팀, 유료방송심의2팀 http://www.kocsc.or.[...] 2013-07-25
[23] 뉴스 法 "다큐멘터리 '백년전쟁', 이승만·박정희 명예훼손"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14-08-28
[24] 뉴스 SBS '뉴스추적' 3.1절 특집 '누가 변절자인가' https://news.naver.c[...] 2005-02-28
[25] 뉴스 (역사 속의 인물) '친일파 오해' 독립운동가 이갑성 https://news.naver.c[...] 2010-03-25
[26] 웹사이트 http://news1.kr/arti[...]
[27] 블로그 http://blog.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