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의 국방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련의 국방상은 소련의 군사 조직을 관할하는 직책으로, 여러 차례 명칭과 조직 개편을 거쳤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군사해사인민위원회가 설치되어 레프 트로츠키, 미하일 프룬제,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등이 역임했다. 1934년에는 국방인민위원회로 개편되었고, 이오시프 스탈린이 겸직하기도 했다. 이후 해군인민위원회가 분리되었다가 군무인민위원회로 통합되었으며, 군무장관, 전쟁장관, 해군장관을 거쳐 1953년 국방장관으로 통합되었다. 국방장관은 니콜라이 불가닌, 게오르기 주코프, 드미트리 야조프 등 주요 인물들이 역임했으며, 1991년 소련 붕괴 시점까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국방상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소련의 국방상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클리멘트 보로실로프는 러시아 혁명과 소련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러시아 내전에서 활약하고 스탈린 시대에 군사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으나, 전쟁 초기 부실한 지휘와 대숙청 관여로 비판받았으며, 스탈린 사후 국가원수를 역임했으나 흐루쇼프 집권기에 몰락했다. - 각료 목록 -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경제 및 재정 정책 수립과 예산 관리 등 기획재정부의 주요 업무를 관장하는 국무위원이다. - 각료 목록 - 제1해군경
제1해군경은 영국 해군의 최고위 장교로서, 1771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왔으며, 1868년부터는 해군의 운영과 전략을 책임지고 있으며, 국방참모총장을 보좌한다.
| 소련의 국방상 | |
|---|---|
| 직책 개요 | |
| 직책 명칭 | 소련 국방부 장관 |
| 관할 부서 | 국방부 |
| 보고 대상 | 총리 |
| 임명권자 | 정치국 |
| 직책 종류 | 폐지됨 |
| 약칭 | 해당 없음 |
| 비공식 명칭 | 해당 없음 |
| 창설일 | 1917년 11월 8일 |
| 폐지일 | 1992년 2월 14일 |
| 전신 | 육군성 |
| 후신 | CIS 연합군 총사령관 (1992–1993) 국방부 |
| 역대 장관 | |
| 최장 임기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1925년 11월 6일 – 1940년 5월 7일 |
| 초대 | 전쟁 및 해군 문제 평의회 |
| 마지막 | 예브게니 샤포시니코프 |
![]() | |
| 깃발 | |
2. 군사해사인민위원 (1917년-1934년)
러시아 혁명 직후, 볼셰비키 정부는 군 통수권 확립을 위해 군사 및 해군 문제 인민위원회를 설치했다. 이 위원회는 1917년 11월 8일 블라디미르 안토노프-오브세옌코, 파벨 디벤코, 니콜라이 크릴렌코를 위원으로 하는 집단 지도 체제로 창설되었다.[1] 이후 여러 차례 개편을 거치면서 명칭과 구성원이 변경되었다.
1917년 11월 15일부터 1918년 3월 13일까지는 니콜라이 포드보이스키가, 1918년 3월 13일부터 1925년 1월 15일까지는 레프 트로츠키가 군사해사인민위원을 역임했다. 트로츠키는 혁군평의회 주석을 겸임하며 군사 부문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1925년 1월 15일 미하일 프룬제가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10월 31일 사망하면서 짧은 재임 기간을 마쳤다. 이후 1925년 11월 6일부터 1934년 6월 20일까지는 클리멘트 보로실로프가 군사해사인민위원을 역임했다.
2. 1. 군사 및 해군 문제 인민위원회 (1917년)
1917년 11월 8일 창설된 군사 및 해군 문제 인민위원회는 블라디미르 안토노프-오브세옌코, 파벨 디벤코, 니콜라이 크릴렌코 3인으로 구성된 집단지도체제로 운영되었다.[1]| 순서 | 초상화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 1 | ![]() | 위원회 (블라디미르 안토노프-오브세옌코, 파벨 디벤코, 니콜라이 크릴렌코) | 1917년 11월 8일 ~ 1917년 11월 15일 |
2. 2. 군사해사인민위원 (1917년-1934년)
(1880년–1948년)
(1879년–1940년)
(1885년–1925년)
(1881년–1969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