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셰비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셰비키는 1903년 블라디미르 레닌의 주도로 결성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의 한 분파로, '다수파'를 의미한다. 소수 정예의 전문 혁명가 중심의 중앙 집권적인 전위당을 통해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목표로 했으며, 1917년 10월 혁명을 통해 권력을 장악했다. 볼셰비키는 '빵, 토지, 평화'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러시아 내전을 거쳐 소비에트 연방 수립을 주도했다. 이후 당명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1952년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으로 최종 개명되었다. 볼셰비즘은 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하며, 다양한 내부 계파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3년 설립된 정당 - 멘셰비키
멘셰비키는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분열되어 형성된 파벌로, 당 구성원의 자격을 폭넓게 인정하고 개량주의적 경향을 보였으나,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와의 갈등으로 세력이 약화되어 불법화되었으며, 율리 마르토프가 주요 지도자이다. - 1903년 설립된 정당 - 알자스-로렌 지역당
알자스-로렌 지역당에 대한 정보는 아직 제공되지 않았다. - 소련 공산당 - 역사적 유물론
역사적 유물론은 칼 마르크스에 의해 정립되어 물질적 생산력과 생산 관계의 변화를 통해 사회 발전을 설명하며, 경제적 토대가 상부구조를 결정하고 생산력과 생산 관계의 모순이 계급 투쟁과 사회 변혁을 야기한다고 보는 관점이다. - 소련 공산당 - 장징궈
장징궈는 중화민국의 정치인이자 군인, 장제스의 아들이며, 권위주의 통치로 경제 성장을 이끌고 말년에는 민주화 기틀을 마련했으나, 비밀경찰 운영과 반체제 인사 탄압은 논란이 되는 1978년부터 1988년까지 중화민국 총통을 지낸 인물이다. - 전체주의 - 마르크스-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마르크스의 사상을 레닌과 후계자들이 재해석하고 발전시킨 이념으로, 생산수단의 공동소유와 계급투쟁을 중시하며 공산당 주도의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평등 사회를 목표로 했으나, 권위주의 통치, 냉전, 소련 붕괴 등으로 영향력이 감소했고 현재 일부 국가에서만 권력을 유지하며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 전체주의 - 자코뱅주의
자코뱅주의는 프랑스 혁명 당시 자코뱅 클럽에서 시작된 급진 좌파 이념 및 운동으로, 로베스피에르의 지휘 아래 혁명 독재, 중앙집권화, 징병제, 공포정치를 시행하고, 경제 개입과 세속주의를 추진했으며, 이후 여러 좌우파 운동과 정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볼셰비키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명칭 | 볼셰비키 |
로마자 표기 | bol'sheviki |
러시아어 표기 | большевики |
문화어 표기 | 볼쉐비키 |
어원 | '다수파'를 의미하는 러시아어 "большинство" (볼신스트보)에서 유래 |
창립 | 1903년 |
해산 | 1952년 |
전신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
후신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
기관지 | 프라우다 |
청소년 조직 | 피오네르 |
청년 조직 | 콤소몰 |
당원 | 약 2만 명 (1916년), 약 30만 명 (1917년), 약 145만 명 (1937년), 약 249만 명 (1941년), 약 550만 명 (1950년) |
주요 인물 | 블라디미르 레닌, 이오시프 스탈린 |
지도자 | 블라디미르 레닌 (1903년 ~ 1924년), 이오시프 스탈린 (1924년 ~ 1952년) |
서기장 | 엘레나 스타소바 (1917년 ~ 1918년), 이오시프 스탈린 (1922년 ~ 1952년) |
표어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 | |
정치 및 이념 | |
이념 | 공산주의, 레닌주의 (1912년 ~ 1927년), 마르크스-레닌주의 (1927년 ~ ), 정예주의, 중앙 집권, 폭력 혁명 |
스펙트럼 | 극좌 |
준군사 조직 | 노동자 적위대 (~1918년) |
국제 조직 | |
국제 조직 | 제2인터내셔널 (1912년 ~ 1914년), 코민테른 (1919년 ~ 1943년), 코민포름 (1947년 ~ 1952년) |
선거 결과 (1950년) | |
연방 회의 의석 | 580/678석 |
민족 회의 의석 | 519/638석 |
기타 | |
주요 활동 | 헌법 제정 의회 선거 |
2. 역사
블라디미르 레닌은 1902년 소책자 『무엇을 할 것인가?』를 통하여 당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다수가 갖고 있던 투쟁 방식을 비판하였다. 레닌은 특히 노동자가 주로 진행하는 임금 투쟁만으로는 혁명을 이룰 수 없다고 하였다. 그리고 노동자의 임금 투쟁에 의존하는 운동이 결국에는 독일 사회민주당의 사례와 같이 개량적이고 기회주의적인 경향을 낳을 수 있다고 경고하였고 이러한 임금 투쟁이 어떠한 혁명적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주된 원인이 될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46]
이와 더불어 레닌은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의 주요 이론가들이 독일 사회민주당의 합법주의에 빠져 있는 것을 강력히 비판하였다. 러시아 제국은 1861년 3월 3일 농노 해방령을 통하여 일부 자본주의적 소유 구조를 도입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봉건적 사회 구조를 유지하고 있었다. 농노 해방령 이후 노동자의 수는 증가하였고 명목상 노동조합 성립이 합법으로 되었으나, 노동자의 단체 행동권은 전혀 보장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독일식 합법주의에 기초한 사회주의자들은 노동자의 단체 행동권, 파업권 보장 등과 같은 자유주의 정책이 들어서게 되면 노동자들은 임금 투쟁을 더욱 가열차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모든 것이 해결될 것이라고 여기고 있었다. 이런 이유로 인해 당시 수많은 사회주의자들은 러시아 제국 정부에 유화적인 태도로 노동자의 권리를 보장할 것을 요구한 것이다.
레닌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자 투쟁이 합법적으로 보장받는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자본가의 권력이 유지되는 선에서만 허용될 것이라고 하였다. 그는 단순히 합법적 활동을 모두 부정하는 방법론만으로는 혁명을 이룰 수는 없다는 것을 강조하였지만, 마르크스주의자는 합법의 영역과 비법(非法)의 영역을 나눠놓고, 매 상황에 따라 변칙적으로 이를 적용하여 최대한 혁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활동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하여 레닌은 그것의 기반이 정당으로서 의회 내에서 투쟁하는 것보다는, 노동자 하위 조직을 단단히 조직하고 이러한 조직에서 마르크스주의를 널리 설파하여 노동자의 계급의식화를 강력히 형성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이 바탕이 되어야 의회 투쟁도 의미가 생긴다는 것이 『무엇을 할 것인가?』의 주된 논점이었다. 하지만 독일 사회민주당의 이론가인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의 영향을 받은 사회주의자들은 오로지 합법적 임금 투쟁과 의회 활동에 주력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시간이 흐를수록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의 흐름은 크게 합법투쟁을 중점으로 하여 투쟁을 진행하자는 의견을 신봉하는 쪽, 그리고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투쟁을 진행하자는 의견을 신봉하는 쪽, 두 가지로 나눠졌다.[47]
1917년 10월 혁명 이전부터 활동했던 사람들은 특히 구(舊)볼셰비키라고 불린다. 볼셰비키는 멘셰비키나 사회혁명당에 비해 소수파였지만, 인사와 요직을 장악했기 때문에 "다수파"를 자칭했다. 폭력혁명을 주장하고, 철저한 중앙집권에 의한 조직 통제가 특징이며, 이는 후신인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으로 그대로 계승되었다.
독일에서는 볼셰비즘이 첫번째 의미로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를 가리키며, 독일 제국부터 나치스 시대에는 독일의 사회민주주의보다 더욱 급진적인 "급진파"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30]
러시아 혁명 당시에는 "빵·토지·평화"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이는 평화를 갈망하는 대중의 여론을 존중해야 한다는 트로츠키의 의견이 반영된 결과였다.
=== 1903년 ~ 1905년: 분열의 시작 ===
1902년 블라디미르 레닌은 『무엇을 할 것인가?』를 통해 노동자 중심의 임금 투쟁과 합법주의에 의존하는 사회주의 운동을 비판하고, 전문 혁명가 중심의 강력한 전위당을 통한 혁명을 주장했다.[51] 레닌은 경제주의자들에 반대하며 노동 인구를 당의 대의명분 뒤에 결집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5]
1903년 8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2차 당대회에서 레닌과 율리 마르토프는 당원 자격 문제를 놓고 대립했다.[3] 레닌은 당의 명령에 복종하는 엄격한 당원 자격을 주장한 반면,[51] 마르토프는 당 강령을 인정하고 당 조직의 지도 아래 재정적 지원과 정기적인 개인적 지원으로 당을 지지하는 모든 사람을 당원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3] 이 과정에서 레닌 파벌은 '다수파'라는 뜻의 볼셰비키, 마르토프 파벌은 '소수파'라는 뜻의 멘셰비키로 불리게 되었다.[8] 그러나 실제로는 1905년 기준으로 볼셰비키는 전체 당원의 약 22%를, 멘셰비키는 45%를 차지하여 볼셰비키는 소수였다.[49] 레닌은 당 운영에 관한 투표에서 자신의 의견을 따르는 중앙위원회 위원이 다수라는 점을 이용해 자파를 다수파로 명명하여 정치적 이점을 챙겼다.[50]
게오르기 플레하노프는 초기에는 레닌을 지지했지만, 1904년에 그와 결별했다.[13] 레온 트로츠키는 처음에는 멘셰비키를 지지했지만, 1904년 9월 러시아 자유주의자들과의 연합과 레닌과의 화해를 반대하는 멘셰비키를 떠났다.[13] 1904년 트로츠키는 레닌을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라고 비판하였다.[53]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 이후, 러시아 각지에 노동자와 빈민의 자치 기구인 소비에트가 형성되었고, 볼셰비키는 소비에트 내에서 영향력을 확대했다.
=== 1906년 ~ 1917년: 분열의 심화와 혁명 준비 ===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 이후 러시아 제국은 의회를 설치하고 선거를 허용하였다. 1906년 첫 국가 두마 총선에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은 10석을 얻었으나, 곧 보이콧을 선언했다.[54] 레닌은 이후 의회 전술을 수정하여 참여로 전환하였다. 1907년 제2차 국가 두마 총선에서는 65석을 얻었으나,[54] 니콜라이 2세가 6월 쿠데타를 일으켜 의회를 강제 해산하면서 좌절되었다.[54] 니콜라이 2세는 선거 제도를 수정하여 좌익 세력의 의석 확보를 어렵게 만들었다. 같은 해 10월에 실시된 선거에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은 19석을 얻는 데 그쳤다.[55]
1906년 스톡홀름과 1907년 런던에서 각각 열린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4차 대회와 제5차 대회에서 멘셰비키와의 통합이 시도되었으나, 국회에 대한 의견 차이로 인해 결렬되었다. 레닌은 『농업문제와 소위 '마르크스비판’』(1907)을 통해 소농, 영세농과의 동맹을 주장하며 농민의 혁명성을 인정하지 않는 멘셰비키와 대립하였다.
1908년 이후 볼셰비키는 블라디미르 레닌을 따르는 중앙파와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를 따르는 전진파로 분열되었다. 중앙파는 의회와 소비에트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비합법적 활동도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전진파는 의회 보이콧과 비합법 투쟁을 주장했다. 보그다노프는 『경험일원주의』를 통해 마르크스주의를 기계론적 경험주의로 해석했다. 레닌은 1909년 『유물론과 경험비판론』을 통해 보그다노프의 철학이 조지 버클리와 에른스트 마하의 영향을 받은 사이비 마르크스주의라고 비판하며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반영론적 해석을 고수하였다.[56]
1910년 러시아 제국 공안질서수호국(Охрана)의 탄압으로 볼셰비키와 멘셰비키 모두 어려움을 겪자, 통합 논의(8월 블록)가 이루어졌다. 볼셰비키 내에서는 빅토르 노르긴이 통합을 주도했으나, 레닌은 멘셰비키와의 통합에 반대하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57] 통합 시도는 러시아 제국 공안질서수호국의 개입과 양측의 의견 차이로 실패했다.[57] 1912년 볼셰비키는 프라하 당대회를 통해 멘셰비키와 완전히 결별하고 독립적인 정당을 선언하였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볼셰비키는 전쟁에 반대하며 혁명 운동을 전개했다. 멘셰비키와 사회혁명당이 전쟁에 대해 통일된 입장을 갖지 못한 반면, 볼셰비키는 러시아 내에서 가장 공식적인 반전주의 정당으로 여겨졌다. 볼셰비키는 "빵, 토지, 평화를!"라는 구호를 내걸고[30] 전쟁과 가난에 지친 대중의 지지를 얻었다. 러시아 제국 공안질서수호국은 볼셰비키를 독일의 간첩 집단으로 매도했으나, 전쟁으로 인한 고통이 커지면서 대중의 지지를 막지 못했다.
년도 | 의석 수 | 득표수 | 득표율 | 참여 여부 |
---|---|---|---|---|
1906년 | 10 | - | - | (멘셰비키와 합동) |
1907년 2월 | 65 | - | - | (멘셰비키와 합동) |
1907년 10월 | 19 | - | - | (멘셰비키와 합동) |
1912년 | 7 | - | - | (멘셰비키와 분리) |
1917년 | 180 | 10,661,000 | 24% |
=== 1917년: 10월 혁명과 권력 장악 ===
1917년 3월 혁명(2월 혁명)으로 차르 체제가 붕괴하고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볼셰비키는 레닌이 발표한 '4월 테제'를 통해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시 정부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소비에트 내 볼셰비키의 영향력은 증대되었고, 결국 1917년 10월 혁명을 통해 권력을 장악했다.
볼셰비키는 "빵, 토지, 평화"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이는 평화를 갈망하는 대중의 여론을 존중해야 한다는 트로츠키의 의견이 반영된 결과였다.
1917년 11월 총선에서 멘셰비키는 2.6%를 득표하였고, 볼셰비키는 24%를 득표하였다. 그러나 레닌은 불공정한 선거 제도 등을 이유로 의회를 강제 해산했다.
년도 | 의석 수 | 득표수 | 득표율 | 참여 여부 |
---|---|---|---|---|
1906년 | - | - | - | 불참(멘셰비키와 합동) |
1907년 2월 | 65 | - | - | 참여(멘셰비키와 합동) |
1907년 10월 | 19 | - | - | 참여(멘셰비키와 합동) |
1912년 | 7 | - | - | 참여(멘셰비키와 분리) |
1917년 | 180 | 10,661,000 | 24% | 의회 해산 |
10월 혁명 이전부터 활동했던 사람들은 특히 구(舊)볼셰비키라고 불린다. 볼셰비키는 멘셰비키나 사회혁명당에 비해 소수파였지만, 인사와 요직을 장악했기 때문에 "다수파"를 자칭했다. 폭력혁명을 주장하고, 철저한 중앙집권에 의한 조직 통제가 특징이며, 이는 후신인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으로 그대로 계승되었다.
독일에서는 볼셰비즘이 첫번째 의미로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를 가리키며, 독일 제국부터 나치스 시대에는 독일의 사회민주주의보다 더욱 급진적인 "급진파"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30]
=== 1918년 ~ 1924년: 내전과 소비에트 연방 수립 ===
1918년 3월 볼셰비키는 독일과 단독 강화 조약을 맺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하였다. 이 조약으로 우크라이나, 폴란드, 핀란드를 독립시키고, 발트 3국을 독일에 할양하였다. 이는 사회주의 정권 수호를 위한 조치였으나,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등 연합국의 개입을 불러 일으켰고, 러시아 내전은 더욱 큰 규모로 확대되었다.
1918년 7월 17일 볼셰비키는 러시아 반혁명 세력인 백파(白派)가 니콜라이 2세를 정치적으로 이용할 것을 우려하여 황제 일족을 모두 처형했다.
1919년 3월 2일 코민테른(제3인터내셔널)을 조직하여 공산주의의 국외 전파를 시도하였다. 스파르타쿠스 동맹 봉기 진압,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붕괴, 바르샤바 진공 실패 후 유럽 혁명에 회의감을 갖게 된 볼셰비키는 1920년 코민테른 극동서기처(동양비서부)를 건립, 아시아 지역 혁명에 주력하였다. 그 첫 대상으로 중국 국민당을 지원, 1921년 중국 공산당 성립에 직접 관여하였다.
1920년 이후 극심해진 파업을 막기 위해 노동조합을 국가에 귀속시키고 파업을 금지했다. 이 조치는 러시아 내 사회주의자 및 아나키스트 집단의 거센 비판을 받았으며, 1921년 3월 7일 크론시타트 반란이 발발했다. 볼셰비키는 군대를 보내 이들을 제압하고, 다른 사회주의자들도 탄압했다. 볼셰비키 수뇌부는 반란의 원인이 경제난에 있다고 판단, 1921년 신경제정책(NEP)을 실시하여 경제 회복을 도모했다.
1922년 10월 25일 러시아 내전에서 승리한 볼셰비키는 동유럽 및 유라시아 지역의 소비에트 공화국을 병합하여 소비에트 연방 수립을 주도했다.
=== 1925년 ~ 1952년: 스탈린 시대와 당명 변경 ===
1928년 10월 1일부터 이오시프 스탈린의 지도를 통하여 본격적인 경제 계획을 주도하였는데, 이것이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다. 이렇게 하여 볼셰비키는 소비에트 연방 경제의 대대적인 국유화 작업을 착수하였으며, 토지와 산업을 급진적으로 국유화하기 시작하였다.[59] 1937년 대숙청을 주도하여 소비에트 연방에 잠입한 첩자 및 당내에 존재하는 기회주의자, 수정주의자를 대규모로 제거하였다.
1938년 10월 1일에는 『볼셰비키당사』(Краткий курс истории ВКП-б)를 출판하였다. 이 서적은 볼셰비키당의 역사와 사상을 공식적 차원에서 규정하는 책자이다. 이 서적에서 볼셰비키당의 공식 이념을 ‘마르크스-레닌주의’로 정하였다.
1939년 8월 23일에는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을 통하여 나치 독일과 불가침 조약을 맺었다. 1941년 6월 22일 나치 독일의 기습 공격으로 독일-소련 전쟁이 발발하였으나, 볼셰비키는 이 전쟁에서 승리하여 1945년 전반을 걸쳐 동유럽 및 아시아 지역의 수많은 공산국가 성립을 주도하였다.
1952년 10월 14일 제19차 당대회를 통하여 당명을 공식적으로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이라 하여 볼셰비키라는 명칭은 공식적으로 소비에트 연방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년도 | 의석 수 | 득표수 | 득표율 |
---|---|---|---|
1937년 | 461 | 89,844,271 | 99.3% |
1946년 | 576 | 100,621,225 | 99.2% |
1950년 | 580 | 110,788,377 | 99.7% |
년도 | 의석 수 | 득표수 | 득표율 |
---|---|---|---|
1937년 | 409 | 89,063,169 | 99.4% |
1946년 | 509 | 100,603,567 | 99.2% |
1950년 | 519 | 110,782,009 | 99.7% |
2. 1. 1903년 ~ 1905년: 분열의 시작
1902년 블라디미르 레닌은 『무엇을 할 것인가?』를 통해 노동자 중심의 임금 투쟁과 합법주의에 의존하는 사회주의 운동을 비판하고, 전문 혁명가 중심의 강력한 전위당을 통한 혁명을 주장했다.[51] 이 팸플릿은 독일에서 출판되었으나 러시아 제국에서는 출판과 배포가 금지되었다.[48] 레닌은 경제주의자들에 반대하며 노동 인구를 당의 대의명분 뒤에 결집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5]1903년 8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2차 당대회에서 레닌과 율리 마르토프는 당원 자격 문제를 놓고 대립했다.[3] 레닌은 당의 명령에 복종하는 엄격한 당원 자격을 주장한 반면,[51] 마르토프는 당 강령을 인정하고 당 조직의 지도 아래 재정적 지원과 정기적인 개인적 지원으로 당을 지지하는 모든 사람을 당원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3] 이 과정에서 레닌 파벌은 '다수파'라는 뜻의 볼셰비키, 마르토프 파벌은 '소수파'라는 뜻의 멘셰비키로 불리게 되었다.[8] 그러나 실제로는 1905년 기준으로 볼셰비키는 전체 당원의 약 22%를, 멘셰비키는 45%를 차지하여 볼셰비키는 소수였다.[49] 레닌은 당 운영에 관한 투표에서 자신의 의견을 따르는 중앙위원회 위원이 다수라는 점을 이용해 자파를 다수파로 명명하여 정치적 이점을 챙겼다.[50]
게오르기 플레하노프는 초기에는 레닌을 지지했지만, 1904년에 그와 결별했다.[13] 레온 트로츠키는 처음에는 멘셰비키를 지지했지만, 1904년 9월 러시아 자유주의자들과의 연합과 레닌과의 화해를 반대하는 멘셰비키를 떠났다.[13] 1904년 트로츠키는 레닌을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라고 비판하였다.[53]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 이후, 러시아 각지에 노동자와 빈민의 자치 기구인 소비에트가 형성되었고, 볼셰비키는 소비에트 내에서 영향력을 확대했다.
2. 2. 1906년 ~ 1917년: 분열의 심화와 혁명 준비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 이후 러시아 제국은 의회를 설치하고 선거를 허용하였다. 1906년 첫 국가 두마 총선에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은 10석을 얻었으나, 곧 보이콧을 선언했다.[54] 레닌은 이후 의회 전술을 수정하여 참여로 전환하였다. 1907년 제2차 국가 두마 총선에서는 65석을 얻었으나,[54] 니콜라이 2세가 6월 쿠데타를 일으켜 의회를 강제 해산하면서 좌절되었다.[54] 니콜라이 2세는 선거 제도를 수정하여 좌익 세력의 의석 확보를 어렵게 만들었다. 같은 해 10월에 실시된 선거에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은 19석을 얻는 데 그쳤다.[55]1906년 스톡홀름과 1907년 런던에서 각각 열린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제4차 대회와 제5차 대회에서 멘셰비키와의 통합이 시도되었으나, 국회에 대한 의견 차이로 인해 결렬되었다. 레닌은 『농업문제와 소위 '마르크스비판’』(1907)을 통해 소농, 영세농과의 동맹을 주장하며 농민의 혁명성을 인정하지 않는 멘셰비키와 대립하였다.
1908년 이후 볼셰비키는 블라디미르 레닌을 따르는 중앙파와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를 따르는 전진파로 분열되었다. 중앙파는 의회와 소비에트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비합법적 활동도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전진파는 의회 보이콧과 비합법 투쟁을 주장했다. 보그다노프는 『경험일원주의』를 통해 마르크스주의를 기계론적 경험주의로 해석했다. 레닌은 1909년 『유물론과 경험비판론』을 통해 보그다노프의 철학이 조지 버클리와 에른스트 마하의 영향을 받은 사이비 마르크스주의라고 비판하며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반영론적 해석을 고수하였다.[56]
1910년 러시아 제국 공안질서수호국(Охрана)의 탄압으로 볼셰비키와 멘셰비키 모두 어려움을 겪자, 통합 논의(8월 블록)가 이루어졌다. 볼셰비키 내에서는 빅토르 노르긴이 통합을 주도했으나, 레닌은 멘셰비키와의 통합에 반대하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57] 통합 시도는 러시아 제국 공안질서수호국의 개입과 양측의 의견 차이로 실패했다.[57] 1912년 볼셰비키는 프라하 당대회를 통해 멘셰비키와 완전히 결별하고 독립적인 정당을 선언하였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볼셰비키는 전쟁에 반대하며 혁명 운동을 전개했다. 멘셰비키와 사회혁명당이 전쟁에 대해 통일된 입장을 갖지 못한 반면, 볼셰비키는 러시아 내에서 가장 공식적인 반전주의 정당으로 여겨졌다. 볼셰비키는 "빵, 토지, 평화를!"라는 구호를 내걸고[30] 전쟁과 가난에 지친 대중의 지지를 얻었다. 러시아 제국 공안질서수호국은 볼셰비키를 독일의 간첩 집단으로 매도했으나, 전쟁으로 인한 고통이 커지면서 대중의 지지를 막지 못했다.
년도 | 의석 수 | 득표수 | 득표율 | 참여 여부 |
---|---|---|---|---|
1906년 | 10 | - | - | (멘셰비키와 합동) |
1907년 2월 | 65 | - | - | (멘셰비키와 합동) |
1907년 10월 | 19 | - | - | (멘셰비키와 합동) |
1912년 | 7 | - | - | (멘셰비키와 분리) |
1917년 | 180 | 10,661,000 | 24% |
2. 3. 1917년: 10월 혁명과 권력 장악
1917년 3월 혁명(2월 혁명)으로 차르 체제가 붕괴하고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으나, 볼셰비키는 레닌이 발표한 '4월 테제'를 통해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시 정부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소비에트 내 볼셰비키의 영향력은 증대되었고, 결국 1917년 10월 혁명을 통해 권력을 장악했다.볼셰비키는 "빵, 토지, 평화"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이는 평화를 갈망하는 대중의 여론을 존중해야 한다는 트로츠키의 의견이 반영된 결과였다.
1917년 11월 총선에서 멘셰비키는 2.6%를 득표하였고, 볼셰비키는 24%를 득표하였다. 그러나 레닌은 불공정한 선거 제도 등을 이유로 의회를 강제 해산했다.
년도 | 의석 수 | 득표수 | 득표율 | 참여 여부 |
---|---|---|---|---|
1906년 | - | - | - | 불참(멘셰비키와 합동) |
1907년 2월 | 65 | - | - | 참여(멘셰비키와 합동) |
1907년 10월 | 19 | - | - | 참여(멘셰비키와 합동) |
1912년 | 7 | - | - | 참여(멘셰비키와 분리) |
1917년 | 180 | 10,661,000 | 24% | 의회 해산 |
10월 혁명 이전부터 활동했던 사람들은 특히 구(舊)볼셰비키라고 불린다. 볼셰비키는 멘셰비키나 사회혁명당에 비해 소수파였지만, 인사와 요직을 장악했기 때문에 "다수파"를 자칭했다. 폭력혁명을 주장하고, 철저한 중앙집권에 의한 조직 통제가 특징이며, 이는 후신인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으로 그대로 계승되었다.
독일에서는 볼셰비즘이 첫번째 의미로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를 가리키며, 독일 제국부터 나치스 시대에는 독일의 사회민주주의보다 더욱 급진적인 "급진파"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30]
2. 4. 1918년 ~ 1924년: 내전과 소비에트 연방 수립
1918년 3월 볼셰비키는 독일과 단독 강화 조약을 맺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탈하였다. 이 조약으로 우크라이나, 폴란드, 핀란드를 독립시키고, 발트 3국을 독일에 할양하였다. 이는 사회주의 정권 수호를 위한 조치였으나,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등 연합국의 개입을 불러 일으켰고, 러시아 내전은 더욱 큰 규모로 확대되었다.1918년 7월 17일 볼셰비키는 러시아 반혁명 세력인 백파(白派)가 니콜라이 2세를 정치적으로 이용할 것을 우려하여 황제 일족을 모두 처형했다.
1919년 3월 2일 코민테른(제3인터내셔널)을 조직하여 공산주의의 국외 전파를 시도하였다. 스파르타쿠스 동맹 봉기 진압,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붕괴, 바르샤바 진공 실패 후 유럽 혁명에 회의감을 갖게 된 볼셰비키는 1920년 코민테른 극동서기처(동양비서부)를 건립, 아시아 지역 혁명에 주력하였다. 그 첫 대상으로 중국 국민당을 지원, 1921년 중국 공산당 성립에 직접 관여하였다.
1920년 이후 극심해진 파업을 막기 위해 노동조합을 국가에 귀속시키고 파업을 금지했다. 이 조치는 러시아 내 사회주의자 및 아나키스트 집단의 거센 비판을 받았으며, 1921년 3월 7일 크론시타트 반란이 발발했다. 볼셰비키는 군대를 보내 이들을 제압하고, 다른 사회주의자들도 탄압했다. 볼셰비키 수뇌부는 반란의 원인이 경제난에 있다고 판단, 1921년 신경제정책(NEP)을 실시하여 경제 회복을 도모했다.
1922년 10월 25일 러시아 내전에서 승리한 볼셰비키는 동유럽 및 유라시아 지역의 소비에트 공화국을 병합하여 소비에트 연방 수립을 주도했다.
2. 5. 1925년 ~ 1952년: 스탈린 시대와 당명 변경
1928년 10월 1일부터 이오시프 스탈린의 지도를 통하여 본격적인 경제 계획을 주도하였는데, 이것이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다. 이렇게 하여 볼셰비키는 소비에트 연방 경제의 대대적인 국유화 작업을 착수하였으며, 토지와 산업을 급진적으로 국유화하기 시작하였다.[59] 1937년 대숙청을 주도하여 소비에트 연방에 잠입한 첩자 및 당내에 존재하는 기회주의자, 수정주의자를 대규모로 제거하였다.1938년 10월 1일에는 『볼셰비키당사』(Краткий курс истории ВКП-б)를 출판하였다. 이 서적은 볼셰비키당의 역사와 사상을 공식적 차원에서 규정하는 책자이다. 이 서적에서 볼셰비키당의 공식 이념을 ‘마르크스-레닌주의’로 정하였다.
1939년 8월 23일에는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을 통하여 나치 독일과 불가침 조약을 맺었다. 1941년 6월 22일 나치 독일의 기습 공격으로 독일-소련 전쟁이 발발하였으나, 볼셰비키는 이 전쟁에서 승리하여 1945년 전반을 걸쳐 동유럽 및 아시아 지역의 수많은 공산국가 성립을 주도하였다.
1952년 10월 14일 제19차 당대회를 통하여 당명을 공식적으로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이라 하여 볼셰비키라는 명칭은 공식적으로 소비에트 연방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년도 | 의석 수 | 득표수 | 득표율 |
---|---|---|---|
1937년 | 461 | 89,844,271 | 99.3% |
1946년 | 576 | 100,621,225 | 99.2% |
1950년 | 580 | 110,788,377 | 99.7% |
년도 | 의석 수 | 득표수 | 득표율 |
---|---|---|---|
1937년 | 409 | 89,063,169 | 99.4% |
1946년 | 509 | 100,603,567 | 99.2% |
1950년 | 519 | 110,782,009 | 99.7% |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생성된 계파인 볼셰비키는 1910년대 초반을 기점으로 내부 분파가 형성되었다. 혁명 전에는 레닌의 입장을 전적으로 지지하는 ‘중앙파’의 비율이 압도적이었기에 사실상 커다란 의미가 없었으며, 분파로서 기능하지 못 했다. 혁명 후에는 레닌의 건강이 악화된 1920년대 초반부터 권력 투쟁의 시작과 함께 거대한 분파도 일시적으로 형성됐다. 이 시기 분파는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니콜라이 부하린, 레프 카메네프, 레프 트로츠키, 이오시프 스탈린 사이의 권력 투쟁이라는 성격을 갖고 있었다. 1926년 이후에는 당내 분파 활동이 사실상 금지가 되었다. 대숙청 시기에 분파 행위 가담자는 종파 및 해당 행위자로 간주되어 숙청 대상이 되었다.
3. 내부 계파
3. 1. 중앙파
볼셰비키 내에서 레닌의 입장을 지지하는 계파는 비공식적으로 ‘중앙파’라고 불렸다. 볼셰비키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레닌의 입장을 지지하는 계파를 의미하기도 했으나, 볼셰비키 당내 의회 전술에 관한 입장에서 여러 이론가들 사이에 논쟁이 오갔고, 1909년을 기점으로 분파가 형성되었는데, 이후 레닌의 입장을 지지하는 분파를 중앙파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중앙파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볼셰비키당 중앙위원회 위원 대다수가 레닌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레닌 사후 권력 투쟁에서 스탈린은 스스로가 중앙파를 계승하였음을 주장했으나, 이에 대한 학술적 논쟁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1925년 이후 이러한 주장이 오랫동안 압도적인 지위를 갖춘 사실로 여겨진 이유는, 스탈린이 레닌과 대립을 거의 하지 않았으며, 우익반대파와 좌익반대파의 주요 일원이 레닌과 상당한 대립을 했다는 사실이 당시에 널리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1923년 이후 스탈린의 입장은 우익반대파와 좌익반대파의 입장이 섞여 있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스탈린은 마르크스주의를 기계론의 틀에 맞춰 해석하는 데에 반대했으며, 신경제정책(NEP)에 대해 혁명의 수호를 위한 일시적인 조치라는 생각을 가졌다는 점에서 우익반대파와 상반된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동시에 스탈린은 혁명에서 승리한 한 나라에서 사회주의 건설이 가능하다는 일국사회주의를 내세웠고, 사회주의 건설에서 노농동맹의 강화는 필수라고 여겼다는 점에서 좌익반대파와 상반된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스탈린은 협동조합을 기초 세포로 하는 농업 집산화를 통하여 산업 발전의 토대를 쌓자는 독자적인 주장을 했는데, 이는 좌익반대파 이론가였던 예브게니 프레오브라첸스키의 중공업 우선주의 이론과는 다른 것이었다. 프레오브라첸스키는 농업을 산업 발전의 필수적인 요소라고 생각하지 않아 농업 생산력과 관계없이 급속한 중공업 발전을 계획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스탈린은 농업 집산화를 통해 농업 부문을 안정화하고 이 기초 위에서 중공업 우선주의를 채택해야 한다는 독자적인 비전을 제시하였다.
3. 2. 전진파 (1908년 ~ 1917년)
전진파(Vperyod/Вперёдru)는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를 지지하는 집단과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최후통첩파'(Ультиматисты)의 통합으로 형성된 분파이다.[60] 이들은 일체의 비합법 투쟁을 목표로 하고 의회의 전면적인 보이콧을 주장했는데, 이는 의회를 전략적으로 이용해야 한다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입장과 갈등을 빚었다.[60] 1908년부터 1912년까지 당내 논쟁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의견을 낼 정도로 알려져 있었다.[60]
1904년부터 레닌과 보그다노프 사이에는 긴장감이 존재했다.[16] 레닌은 발렌티노프가 자신에게 에른스트 마흐의 경험비판주의를 소개한 후 발렌티노프와 불화를 겪었는데, 이는 보그다노프가 경험일원론으로 탐구하고 발전시킨 관점이었다.[16]
1907년 중반 혁명의 실패와 새로운 선거법 채택으로 볼셰비키들은 제3두마로 알려진 새로운 의회를 보이콧할지 여부에 대한 논쟁을 시작했다.[17] 레닌,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레프 카메네프 등은 두마에 참여할 것을 주장한 반면, 보그다노프,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 미하일 포크롭스키 등은 두마의 사회민주주의 파벌을 소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7]
1908년 중반 차이가 해결 불가능해졌을 때, 레닌은 철학자로서 보그다노프의 명성을 훼손하는 데 집중했다. 1909년 그는 ''유물론과 경험비판론(Materialism and Empirio-criticism)''(1909)이라는 책을 출판하여 보그다노프의 입장을 공격하고 그를 관념론으로 비난했다.[19][18] 전진파는 인식론적으로 마르크스주의를 기계론적 경험주의의 틀에 맞춰서 해석하는 입장을 갖고 있었는데, 레닌은 이 책을 통해 이 입장을 혹독하게 비판했다.[60]
1909년 6월 보그다노프는 볼셰비키 잡지 ''프롤레타리(Proletary)'' 편집부가 파리에서 조직한 볼셰비키 소규모 회의에서 프롤레타리아 대학교로서의 당 학교 설립을 제안했다. 그러나 이 제안은 채택되지 않았고 레닌은 보그다노프를 볼셰비키 파벌에서 축출하려고 했다.[20] 그 후 보그다노프는 1909년 8월부터 12월까지 카프리 당 학교를 운영한 ''브페레트(Vpered)'' 설립에 참여했다.[21] 전진파는 1912년에 이미 소멸 단계에 이르렀으나, 1917년 3월이 되어서야 공식적으로 중앙파에 완전히 흡수되었다.[60]
3. 3. 좌익공산주의파 (1918년 ~ 1923년)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의 여파로 생겨난 '좌익공산주의파'(Левые коммунисты)는 조약에 반대하였다.[61] 이들은 로자 룩셈부르크의 주장과 유사하게 농민과의 동맹 철회 및 급진적인 산업화를 주장하였다.[61] 1918년 이후 사회주의 경제 조직 형성 과정에서 좌익공산주의파는 협동조합을 통한 점진적인 국유화를 주장한 블라디미르 레닌의 중앙파와 달리, 협동조합 과정을 생략한 전면적이고 급진적인 국유화를 주장하였다.[61] 또한 레닌은 '중농에 대한 중립화 정책'을 통해 중농과 동맹해야 한다고 보았지만, 좌익공산주의파는 빈농을 제외한 모든 농민을 수탈하여 사회주의 달성을 위한 본원적 축적을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1] 레닌은 『좌익공산주의라는 소아병』(Детская болезнь "левизны" в коммунизме)을 통해 이들을 맹렬히 비판하였다.[61]
레프 트로츠키도 좌익공산주의파에 속했으나, 좌익공산주의파 다수가 군사반대파를 흡수하는 것에는 반대하였다.[61] 트로츠키는 군사반대파의 의견에 반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군사반대파와의 통합 당시에 남았던 잔류파는 1923년에 좌익반대파를 결성하였다.[61]
3. 4. 군사반대파 (1919년 ~ 1920년)
군사반대파(Военная оппозиция)는 러시아 노농적군에 대한 통제력을 볼셰비키당이 확실히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던 분파였다. 이 분파 일원의 대다수는 좌익 공산주의자로, 러시아 노농적군 내에 구 러시아 제국 군대의 장교를 참가시키는 것을 완강히 거부했으며, 정치장교 권한의 대대적인 강화를 주장했다.[62] 군사반대파 다수는 좌익공산주의파에 가담하였으며, 민주집중파로 통합됐다.[62]
3. 5. 노동자반대파 (1919년 ~ 1922년)
‘노동자반대’(Рабочая оппозиция)는 알렉산드르 실라프니코프와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주도로 결성된 분파이다.[63] 레닌과 트로츠키의 권위주의적 기업 운영 모델에 반대하고, 기업을 노동자가 자주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했다.[63] 국제적으로는 서유럽 노동조합과 적극적인 교류를 하여, 노동조합 위주의 혁명을 이어나가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었으며, 노동조합의 국가 기관화라는 트로츠키의 주장에 격렬하게 반대하였다.[63] 볼셰비키 내에서 극소수를 점하고 있었으며, 좌익공산주의파와 부하린 일파와는 일절 연합을 하지 않았기에 독립적인 성향이 강하였다.[63]
3. 6. 민주집중파 (1919년 ~ 1926년)
1919년 3월, 좌익공산주의파 다수는 군사반대파를 흡수하여 ‘민주집중’(데모크라티체스코보 첸트랄리즈마/демократического централизмаru)이라는 분파를 구성하였다.[64] 1921년에는 신경제정책을 반대하였으며, 전시공산주의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보였다.[64] 1923년 러시아 공산당 내 권력 투쟁에서 민주집중파 다수는 좌익반대파로 나아갔고, 극소수는 여러 분파로 흩어졌다.[64] 권력 투쟁에서 승리한 스탈린이 이 분파에 속한 당원의 대대적인 추방 및 출당 조치를 실시하였고 1926년에 공식적으로 소멸하였다.[64]
3. 7. 우익반대파 (1921년 ~ 1930년대)
우익반대파(Правая оппозиция)는 볼셰비키 우익으로, 민주집중파에 대항하기 위해 형성된 분파이다. 이들은 사회주의 건설, 농업 생산 문제, 인식 이론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주장을 펼쳤다. 유럽으로 혁명을 확대하지 않아도 한 국가에서 사회주의 건설이 가능하다는 입장이었으며, 이를 위해 농업 부문의 부분적 자유화를 통해 안정적인 농업 생산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농업 부문의 자유화는 노농동맹을 강화하여 사회주의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으며, 농민의 보수적인 요구를 볼셰비키당이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식 이론에서는 기계론의 입장을 견지했는데, 이는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의 경험주의 이론과 유사했다.[65]
우익반대파의 주요 이론가는 니콜라이 부하린과 알렉세이 리코프였으며, 1921년 신경제정책(NEP) 실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레닌과의 대립은 좌익공산주의파에 비해 훨씬 적었으나, 장기적인 경제 운용에서는 입장 차이가 존재하였다. 1923년 트로츠키에 대항하는 과정에서 스탈린은 우익반대파와 연합하였다.
1926년 스탈린은 당내 분파 활동을 금지하고 대다수의 분파를 해산했으나, 우익반대파는 “볼셰비키당 내부의 지도부 야당 역할을 해야 한다.”는 목적 아래 해산하지 않았고, 코민테른 내에서도 일정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1928년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에서 우익반대파 일부와 스탈린 중앙파는 몇 가지 의견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농업 집산화 부문에서 많은 갈등이 있었다. 니콜라이 부하린은 1928년 9월 30일 『어느 경제학자의 일기』를 통해 스탈린의 농업 집산화에 반대하며 부농을 옹호했다. 그러나 당시 우익반대파는 통일된 입장을 갖고 있지 않았다. 스탈린은 1929년 11월 17일 부하린을 전연방 공산당 정치국원에서 제명하였다.[65] 이후 우익반대파는 영향력이 급속도로 약해졌으며, 1930년대 말에 완전히 소멸하였다.
3. 8. 좌익반대파 (1923년 ~ 1927년)
좌익반대파(러시아어: 레바야 오포지치야/Левая оппозицияru)는 1923년 이후 소비에트 연방의 국가 운영 논쟁에서 좌익공산주의파의 입장을 계승한 볼셰비키의 분파이다. 레프 트로츠키가 결성한 것은 아니었으나, 주요 주장이 트로츠키의 주장으로 쏠리면서 실질적으로 트로츠키가 이끄는 분파가 되었다.[66] 주요 요구는 1918년에 형성된 좌익공산주의파의 입장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여기에 '관료주의 타파'와 '유럽으로의 혁명 전선 확대'라는 트로츠키의 입장이 가미된 상태였다.
권력 투쟁 시기에 좌익반대파는 스탈린, 지노비예프, 카메네프가 당을 관료주의로 이끌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스탈린의 분파가 거대해지자 지노비예프와 카메네프는 1926년에 좌익반대파에 가담하여 스탈린을 견제했으나, 때는 이미 늦었다. 스탈린은 같은 해 말에 분파 활동을 금지하였기에 좌익반대파는 공식적으로 1926년에 해산되었다.[66] 그러나 당내 몇몇 인사는 트로츠키를 중심으로 암묵적인 파벌을 형성한 상태였다. 실질적으로 해산된 시점은 좌익반대파 지도자였던 트로츠키가 '극악한 종파 행위'에 가담한 죄로 당에서 제명당한 1927년이다.[66]
4. 사상
볼셰비키의 사상적, 정치적 입장은 '''볼셰비즘'''(볼셰визм[31] 또는 большевизм[32][33])이라고 불리며, 정확하게는 다르지만 광의로는 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와 동의어로 취급되는 경우가 있다.[32][34]
원래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좌파의 사상으로, 독일 사회민주당과 같은 대중 정당을 목표로 했던 멘셰비키와는 달리, 조직 원칙으로 소수 정예주의적인 전문 혁명가를 중심으로 하는 중앙 집권형 전위당의 지도하에 혁명적인 투쟁을 통해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목표로 하였고, 노농 동맹을 내세워 마르크스주의를 러시아에 적용하려고 했다.[32][33] 멘셰비키가 러시아 혁명을 부르주아 혁명이라고 한 것에 반해, 볼셰비키는 부르주아 혁명에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으로의 연속적 전환 이론을 주장했고, 소비에트 연방에 의해 지도되는 볼셰비즘은 코민테른을 중심으로 러시아식 운동론, 조직론을 전개했다.[32]
볼셰비키 사상의 근원은 1860년대에 러시아에서 활동했던 인텔리겐차의 경향인, 유물론적, 공리주의적, 실증주의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실천 중시의 가치관으로 여겨진다.[35]
5. 명칭
볼셰비키는 1903년 8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볼셰비키(Российская социал-демократическая рабочая партия-большевиковru)로 시작하였다.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RSDLP) 내에서 레닌 지지자들은 "강경파", 마르토프 지지자들은 "온건파"로 불렸는데, 제2차 당대회 투표에서 레닌 파벌이 다수표를 얻어 "볼셰비키"로 알려지게 되었다.[8] 1907년 이후 영어 기사에서는 때때로 "볼셰비키"를 "극대주의자(Maximalist)"라고 부르기도 했지만, 이는 사회혁명당 내에도 "극대주의자" 파벌이 존재했기 때문에 혼란을 야기했다.[9]
1918년 3월 러시아 공산당 볼셰비키(Российская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ая партия-большевиковru)로 개명하였고,[67] 1925년 12월에는 전연방 공산당 볼셰비키(Всесоюзная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ая партия-большевиковru)로 다시 개명하였다.[68] 1952년 10월, 볼셰비키라는 명칭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고,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ая па́ртия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ru)으로 개명되었다.
볼셰비키는 10월 혁명을 통해 러시아에서 권력을 장악하고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을 건국했으며, 러시아 내전에서 승리한 후 소비에트 연방의 주요 구성국이 되었다.
"볼셰비키(Bolshevik)"라는 단어는 러시아 내전 당시 적군에 대항하여 개입한 영국군 장교들에 의해 경멸적인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36] 아돌프 히틀러와 요제프 괴벨스 등 나치 지도자들은 코민테른에 의해 조정된 세계적인 정치 운동을 가리킬 때 이 단어를 사용했다.[37] 냉전 중 영국에서는 노동조합 지도자들과 다른 좌파 인사들이 때때로 ‘볼시(Bolshie)’라고 조롱받았으며,[38] 이는 미국에서 “코미”, “레드”, “핑크”에 해당한다.
6. 평가 및 영향
볼셰비키(Bolshevik)라는 단어는 러시아 내전 당시 적군에 대항하여 개입한 북러시아 원정대 영국군 장교들에 의해 볼셰비키를 가리키는 경멸적인 표현으로 사용되었다.[36] 아돌프 히틀러와 요제프 괴벨스 등 나치 지도자들도 코민테른에 의해 조정된 세계적인 정치 운동을 가리킬 때 이 단어를 사용했다.[37]
냉전 중 영국에서는 노동조합 지도자들과 다른 좌파 인사들이 때때로 '볼시(Bolshie)'라고 조롱받았다. 이러한 용법은 미국에서 "코미", "레드", "핑크"에 해당한다. 이후 "볼시"라는 용어는 반항적이고 공격적이거나 난폭한 사람들을 가리키는 속어로도 사용되었다.[38]
6. 1. 한국과의 관계
7. 관련 음모론
제1차 세계 대전 시기 볼셰비키는 러시아 제국 내에서 가장 과격하게 반전을 내세웠으며, 소비에트에서 영향력을 빠르게 넓히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러시아 제국 공안질서수호국은 볼셰비키를 독일의 첩자 및 러시아의 매국노 집단으로 만들기 위해 여러 음모론을 퍼트렸다. 대표적인 음모론으로는 “볼셰비키는 미국 유대 자본의 지원을 받는 유대인의 하수인들이다.”(반유대주의 선전), “볼셰비키는 독일 제국에서 만든 비밀 조직이며, 레닌은 독일 제국 전쟁 수뇌부의 요원이다.” 등이 있다.[69] 이러한 음모론적 프로파간다는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에도 유럽 내에 상당히 퍼지게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시기까지 존재했다.[69] 아돌프 히틀러는 반유대주의에 관련된 음모론을 굳게 믿고 있었으며, 볼셰비키 정부를 유대인의 세계 정복 야욕의 결과라고 봤다.
그러나 이후 역사에서 드러난 것처럼, 볼셰비키당과 이들이 세운 소비에트 연방은 미국에 대항했음은 물론, 중동 전쟁 시기에는 범아랍주의 세력을 도와 반(反)이스라엘 정책을 펴는 등, 오히려 음모론과 상반되는 행보를 이어갔다.
“볼셰비키(Bolshevik)”라는 단어는 러시아 내전 당시 적군에 대항하여 개입한 북러시아 원정대 영국군 장교들에 의해 볼셰비키를 가리키는 경멸적인 표현으로 사용되었다.[36] 아돌프 히틀러와 요제프 괴벨스 등 나치 지도자들도 코민테른에 의해 조정된 세계적인 정치 운동을 가리킬 때 이 단어를 사용했다.[37]
냉전 중 영국에서는 노동조합 지도자들과 다른 좌파 인사들이 때때로 ‘볼시(Bolshie)’라고 조롱받았다. 이러한 용법은 미국에서 “코미”, “레드”, “핑크”에 해당한다. 이후 “볼시”라는 용어는 반항적이고 공격적이거나 난폭한 사람들을 가리키는 속어로도 사용되었다.[38]
참조
[1]
문서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2]
뉴스
Bolsheviki Seize State Buildings, Defying Kerensky
https://www.nytimes.[...]
2013-12-22
[3]
서적
Lenin : a biography
Pan
2010
[4]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Vintage Books
1990
[5]
서적
Revolutionary Russia, 1891–1991: A History
Metropolitan Books
2014
[6]
간행물
Martov: A Political Biography of a Russian Social Democr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Bolsheviks)
https://www.marxists[...]
2018-05-03
[8]
서적
To the Finland Station
Fontana
1977
[9]
서적
Bolshevik Russia
A. A. Knopf
[10]
간행물
The Revolution of 1905
[11]
간행물
Lenin and the Revolutionary Party
[12]
간행물
The Russian Revolution
[13]
웹사이트
Book] History of the Bolshevik Party: Bolshevism – The Road to Revolution
https://www.marxist.[...]
2022-10-10
[14]
서적
Bolshevism The Road to Revolution
[15]
간행물
Autocracy, capitalism, and revolution in Russia
[16]
서적
Alexander Bogdanov, left-Bolshevism and the Proletkult 1904–1932
University of East Angla
1989
[17]
서적
Three Who Made a Revolution
Penguin
1966
[18]
간행물
Materialism & Empiriocriticism
http://www.marxists.[...]
Zveno Publishers
2006-03-25
[19]
간행물
Bolshevism: The Road to Revolution
Wellred
2006-03-25
[20]
간행물
A Documentary History of Communism in Russia
UPNE
[21]
저널
Alexander Bogdanov, Vpered, and the Role of the Intellectual in the Workers' Movement
Blackwell
1990-07
[22]
웹사이트
The Constituent Assembly
http://www.jewhistor[...]
2003
[23]
간행물
St. Petersburg Between the Revolutions: workers and revolutionaries, June 1907 – February 1917
Yale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Prophet: The Life of Leon Trotsky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5
[25]
웹사이트
Naval History
2012-06-14
[26]
서적
Collins Mini Dictionary
1998
[27]
웹사이트
bolshie
http://www.thefreedi[...]
2014-03-08
[28]
웹사이트
ボリシェヴィキとは
https://kotobank.jp/[...]
2022-02-01
[29]
서적
図説 ソ連の歴史
河出書房新社
[30]
서적
現代独和辞典
三修社
[31]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
https://kotobank.jp/[...]
2018-09-15
[32]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https://kotobank.jp/[...]
2018-09-15
[33]
웹사이트
大辞林 第三版
https://kotobank.jp/[...]
2018-09-15
[34]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https://kotobank.jp/[...]
2018-09-15
[35]
서적
ロシア近現代史 ピョートル大帝から現代まで
ミネルヴァ書房
[36]
웹사이트
Naval History
2012-06-14
[37]
서적
Collins Mini Dictionary
1998
[38]
웹사이트
bolshie
http://www.thefreedi[...]
2024-06-27
[39]
서적
볼셰비키전통
사계절
1983
[40]
서적
볼셰비키전통
사계절
1983
[41]
서적
Марксизм // Философия: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Гардарики
2004
[42]
웹인용
The Harder They Fall
http://www.dlc.org/n[...]
Democratic Leadership Council
[43]
서적
볼셰비키 당조직론
두리
1986
[44]
서적
볼셰비키전통
사계절
1983
[45]
웹사이트
1952년 19차 당 대회 결정문 요약
https://encyclopedia[...]
[46]
서적
The Soviet Tragedy: A History of Socialism in Russia, 1917–1991
https://archive.org/[...]
Free Press
1994
[47]
웹인용
The Origins of Bolshevism and What Is To Be Done?
http://www.wsws.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Fourth International
2005-09-06
[48]
문서
1907년을 기점으로 볼셰비키는 다시 내부에 소수 분파가 생겼으나 커다란 의미가 존재하지는 않았다.
[49]
서적
The Revolution of 1905
[50]
서적
Autocracy, capitalism, and revolution in Russia
[51]
서적
Lenin : a biography
Pan
2010
[52]
서적
The Lenin Anthology
1975
[53]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
1995
[54]
뉴스
Russia
The Times
1907-03-02
[55]
서적
Отечественная история с древнейших времён до 1917 года
Great Russian Encyclopedia
1994
[56]
웹사이트
Materialism & Empiriocriticism
http://www.marxists.[...]
Zveno Publishers
1909-05
[57]
서적
(서적 제목 미상)
1995
[58]
웹인용
The Constituent Assembly
http://www.jewhistor[...]
2003
[59]
서적
The Sword and the Shield: The Mitrokhin Archive and the Secret History of the KGB
2000
[60]
웹사이트
ЛУНАЧАРСКИЙ О ЛЕНИНЕ НАКАНУНЕ ВОЗВРАЩЕНИЯ В РОССИЮ (март — апрель 1917 г.) - Луначарский Анатолий Васильевич
http://lunacharsky.n[...]
[61]
웹인용
В. И. Ленин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том 36 В. И. ЛЕНИН стр. 10
http://vilenin.eu/t3[...]
2012-06-04
[62]
서적
Мгновения - на всю жизнь. (В.И. Ленин и Прикамье: Кн.2)
Пермское 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91
[63]
웹사이트
Коминтерн: страницы истории
Знание. Понимание. Умение
2008
[64]
서적
Группа демократического централизма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65]
웹사이트
Обвиняются в шпионаже. Гл. 6. Сталин и Зорге.
http://www.e-reading[...]
ОЛМА-ПРЕСС Образование
2004
[66]
서적
Троцкий и товарищи: левая оппозиция и политическая культура РКП(б), 1923–1924 годы
Изд-во Европей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в Санкт-Петербурге
2017
[67]
웹사이트
Диктатура пролетариата
http://revarchiv.nar[...]
1918
[68]
서적
Стенографический отчёт XIV съезда ВПК(б)
ГИЗ
1926
[69]
서적
Alfred Rosenberg
München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