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속폐쇄근신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속폐쇄근신경은 허리엉치신경얼기에서 시작되는 신경으로, L5, S1, S2 척수신경의 앞가지에서 갈라져 나온다. 큰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을 떠나 위쌍동근의 뒷면 위쪽으로 주행하며 위쌍동근에 가지를 내고, 궁둥뼈가시를 가로질러 작은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으로 다시 들어가 속폐쇄근의 골반 쪽 표면을 관통하며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반신의 신경 - 폐쇄신경
    폐쇄신경은 허리신경얼기에서 시작하여 골반을 거쳐 넓적다리 안쪽으로 연결되는 신경으로, 다리 안쪽 피부 감각과 다리 모음근의 운동 기능을 담당하며, 무릎이나 요도 수술 시 신경 차단술에 활용되고, 일부 사람들에게는 부폐쇄신경이 존재할 수 있다.
  • 하반신의 신경 - 얕은종아리신경
    얕은종아리신경은 다리의 피부 감각과 근육 운동을 담당하는 말초신경으로, 안쪽발등피부신경과 중간발등피부신경으로 나뉘어 발등 피부 감각을 담당하며, 긴종아리근과 짧은종아리근을 지배하고 손상 시 발등 젖힘 능력 상실 및 감각 저하를 유발하여 낙상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속폐쇄근신경
개요
이름속폐쇄근신경
라틴어 이름nervus musculi obturatorii interni
영어 이름obturator internus nerve
구조
기원엉치신경얼기
분포속폐쇄근, 위쌍동근
기타
관련 항목폐쇄신경

2. 구조

속폐쇄근신경은 허리엉치신경얼기에서 시작된다.[5] 구체적으로는 L5, S1, S2 척수신경앞가지에서 갈라져 나온다.[5][6]

허리엉치신경얼기에서 갈라져 나온 이후로는 궁둥구멍근 아래의 큰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을 떠나고, 위쌍동근의 뒷면 위쪽으로 주행하며 위쌍동근에 가지를 낸다.

그 후에는 궁둥뼈가시를 가로질러 작은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으로 다시 들어가고 속폐쇄근의 골반 쪽 표면을 관통하며 분포한다.

2. 1. 기원

속폐쇄근신경은 허리엉치신경얼기에서 시작된다.[5] 구체적으로는 L5, S1, S2 척수신경앞가지에서 갈라져 나온다.[5][6]

허리엉치신경얼기에서 갈라져 나온 이후로는 궁둥구멍근 아래의 큰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을 떠나고, 위쌍동근의 뒷면 위쪽으로 주행하며 위쌍동근에 가지를 낸다. 그 후에는 궁둥뼈가시를 가로질러 작은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으로 다시 들어가고 속폐쇄근의 골반 쪽 표면을 관통하며 분포한다.

2. 2. 주행 경로 및 관계

속폐쇄근신경은 허리엉치신경얼기에서 시작된다.[5] L5, S1, S2 척수신경앞가지에서 갈라져 나온다.[5][6]

허리엉치신경얼기에서 갈라져 나온 후에는 궁둥구멍근 아래의 큰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을 떠나고, 위쌍동근의 뒷면 위쪽으로 주행하며 위쌍동근에 가지를 낸다. 궁둥뼈가시를 가로질러 작은궁둥구멍을 통해 골반으로 다시 들어가고 속폐쇄근의 골반 쪽 표면을 관통하며 분포한다. 좌골극의 바닥을 돌아[2] 속음부동맥 및 신경의 가쪽으로 이동한다.

참조

[1] 서적 Nerves and Nerve Injuries Academic Press
[2]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Wolters Kluwer
[3] 간행물 Chapter 7 - The Nerve to Obturator Internus https://www.scienced[...] Elsevier 2021-02-06
[4] 서적 Abdominal and Pelvic Anatomy Elsevier 2018-01-01
[5] 인용 Surgical Anatomy of the Sacral Plexus and Its Branches https://www.scienced[...] Elsevier
[6] 서적 Abdominal and Pelvic Anatomy Elsevier 201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