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쇼엔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엔왕은 1469년부터 1476년까지 류큐 왕국을 통치한 제2 쇼 왕조의 초대 국왕이다. 그는 이젠섬의 농민 출신으로, 쇼 타이큐 왕자의 신하로 발탁되어 재무관과 우치마 영주를 거쳐 왕실의 실세가 되었다. 쇼 토쿠 왕 사후 쿠데타를 통해 왕위에 오른 그는 명나라로부터 성씨를 하사받아 제2 쇼 왕조를 열었으며, 왕실 권위를 강화하고 관료 시스템을 정비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류큐는 중국과의 조공 무역을 강화하고 사찰을 건립하는 등 번영을 이루었으며, 사후에는 동생 쇼센이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15년 출생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이자 수학자로, 수학적이고 기하학적인 구성과 심리 표현이 특징이며, 《참십자가의 역사》, 《그리스도의 세례》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수학적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415년 출생 - 정의공주
    태종과 소헌왕후의 둘째 딸이자 세종의 동생인 정의공주는 1428년 안맹담에게 시집갔으며, 세조 즉위 후 특별한 대우를 받았고, 사후 남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장보살본원경을 간행하고 정인지, 한확 등과 혼인으로 복잡한 인척 관계를 맺은 4남 2녀를 두었다.
  • 1476년 사망 - 레기오몬타누스
    레기오몬타누스는 15세기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 빈 대학교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하고 이탈리아에서 연구하며 《알마게스트》 요약, 《삼각형에 대하여》 저술, 뉘른베르크 과학 출판 인쇄소 설립, 천문 관측 및 역법 개혁 기여, 천문표 제작 등으로 탐험가들에게 활용되었다.
  • 1476년 사망 - 블라드 3세 체페슈
    블라드 3세 체페슈는 15세기 왈라키아 공국의 보이보드로서 "드라큘라"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며 잔혹한 통치로 "체페슈"라고도 불리며 오스만 제국에 맞섰으나 체포되어 유폐 후 전사했고 그의 통치는 과장되어 흡혈귀 드라큘라 신화의 원형이 되었으며 왈라키아 역사와 국제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세기 일본 사람 - 아시카가 요시마사
    아시카가 요시마사는 무로마치 막부의 제8대 쇼군으로, 오닌의 난 발발의 원인 제공자 중 하나로 지목되지만 히가시야마 문화를 꽃피우는 데 기여하기도 했다.
  • 15세기 일본 사람 - 고코마쓰 천황
    고코마쓰 천황은 남북조 시대 혼란을 종식시키고 북조 황통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으나, 남북조 교대 약속을 어기고 아들에게 양위하여 비판받은 일본 제100대 천황이다.
쇼엔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바시가와 초안이 그린 쇼엔왕의 공식 왕실 초상화.
고바시가와 초안이 그린 쇼엔왕의 공식 왕실 초상화.
이름쇼엔 (尚圓)
본명우치마 카네마루 (内間金丸)
아명우미투쿠가니 (思徳金)
신호카나마루아지소헤스웨쯔기와우니세 (金丸按司添末続王仁子)
왕조
왕가제2 쇼씨 왕조
생애
출생1415년
출생지오키나와, 이제나섬
사망1476년 7월 28일
사망지류큐 왕국, 슈리
매장지미야기무이우타키, 슈리 (1476년)
개장다마우둔, 슈리 (1501년)
가족
아버지쇼 쇼쿠
어머니즈이 운
배우자오기야카 (우자카) (요소이돈/유시이우둔)
측실기미키요라 노 아지가나시
마무타 오야부 노 이모우토 우치마 노로
아다니야 노로
헨잔 노로
자녀쇼 신, 구메-나카구스쿠 왕세자
오토치토노모-카네 공주
우치마 우후야
아다니야 와카마츠
야마우치 쇼신
통치
즉위1469년
퇴위1476년
전임쇼 토쿠
후임쇼 센이

2. 생애

신숙주는 《해동제국기》에서 쇼엔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가나마루(金丸)는 훗날 쇼엔왕으로 즉위하여 제2쇼씨 왕조를 열었다. 그는 이젠섬의 농민 출신으로, 젊은 시절 부모를 여의고 가족을 부양해야 했다.[5] 가뭄 때 물을 훔쳤다는 누명을 쓰고 고향을 떠나 류큐 왕국의 수도 슈리로 이주, 쇼 타이큐 왕자의 신하가 되었다.[3][4] 쇼 타이큐 왕 즉위 후 왕실 재무관[5], 외교 및 무역 담당 직책[4]을 맡는 등 요직을 거치며 능력을 인정받았다.

쇼 토쿠 왕과의 의견 대립으로 잠시 은퇴하기도 했으나, 쇼 토쿠 왕 사후 고위 관료들의 추대로 왕위에 올랐다.[4] 조지 H. 커는 공식 역사가 쇼 엔의 후계자들에 의해 쓰여졌다는 점을 들어 쇼 토쿠의 죽음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5]

쇼엔왕은 즉위 후 제2쇼씨 왕조를 개창하고, 이전 왕조와 차별화되는 정책을 펼쳤다. 아버지의 추존, 노로 제도 정비 등 왕실의 권위를 높이는 한편, 관료제를 강화하여 왕 중심의 통치 체제를 확립해 나갔다.

몇 년간의 통치 후 1476년 사망하였으며, 왕위는 동생 쇼센이를 거쳐 아들 쇼신에게 이어졌다.

2. 1. 초기 생애와 출세

가나마루는 오키나와현 이젠섬의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3][4] 이젠섬은 오키나와섬 북서쪽 해안에 위치한 작은 섬이다. 1415년, 이헤야 이제나 제도의 이제나섬 쇼켄촌(현재 행정구역상 시마지리군 이제나손 쇼켄)에서 아버지 쇼쇼쿠(尚稷)와 어머니 즈이운(瑞雲)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7] 어린 시절 이름은 우미토쿠가네(思徳金)였다. 약 20세 무렵에 부모를 여의고 숙모, 숙부, 남동생(후일의 쇼센이왕), 여동생, 그리고 어린 나이에 결혼한 아내를 부양했다고 한다.[5]

섬에 심각한 가뭄이 든 해, 가나마루 가족의 논만 물이 가득한 것을 보고 물을 훔쳤다는 혐의를 받아 고향을 떠나게 되었다. 그는 아내와 동생을 데리고 오키나와섬 북부 지역(쿠니가미(쿠니가미) 지역)의 기나마로 갔다.[3][4] 당시 그는 24세(1438년)였다. 그러나 이 전설은 쇼하시왕의 조부인 사메가와 오오누시(鮫川大主/佐銘川大主) 전설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있으며, 후대에 만들어진 이야기라는 설도 있다.

기나마에서 수년을 보낸 후, 가나마루와 이웃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다.[5] 그는 27세(1441년)에 기나마를 떠나 류큐 왕국의 수도인 슈리로 가서 쇼 타이큐 왕자의 신하가 되었다. 수리에 도착하자마자 당시 왕숙이었던 고자이 왕자(후일의 쇼타이큐왕)에게 발탁된 것이다.

류큐국 금마루 세주 서장(1471년)


처음에는 하급 관리였으나, 곧 두각을 나타내어 38세(1452년)에 황관(黃冠)에 올랐다. 관직 제도는 후일 가정(嘉靖) 3년(1524년)에 제정되었으므로, 황관이라는 사서의 기록은 후대에 덧붙인 것일 가능성이 높지만, 자관(紫冠)에 해당하는 벼슬이 없던 당시에는 황관이 최고의 지위였으므로, 수리에 재이주하여 관직에 오른 지 10년도 안 되어 고관으로 발탁된 셈이다. 쇼 타이큐가 왕위에 오른 1454년, 가나마루는 왕실 재무관[5]이 되었고, 1459년[4]에는 외교와 무역을 담당하는 직책을 받았다. 그는 또한 영토를 하사받았다.[3][4] 쇼타이큐왕 즉위 후, 경태 5년(1454년)에 니시하라 마치(間切)의 우치마 영주에 임명되어, 관직 생활 14년 만에 자신의 영지(채지)를 가지게 되었다.

그 후에도 승승장구하여 천순(天順) 3년(1459년)에는 어물성어쇄측관(御物城御鎖側官, 무역 장관)에 취임했다. 이 직책은 동시에 왕의 심복 역할을 맡는 것이었고, 왕에게 상소하는 것은 반드시 금마루를 거쳐야 함을 의미했다. 쇼타이큐왕의 신임이 매우 두터웠음을 알 수 있다.

1461년 쇼 타이큐의 뒤를 이어 왕이 된 쇼 토쿠[3][4]와 가나마루 사이에 의견 차이가 발생했는데, 아마도 왕의 기카이섬에서의 값비싼 군사적 노력에 대한 것이었을 것이다.[5] 이로 인해 가나마루는 슈리를 떠나 우치마로 은퇴했다.[3][4] 그러나 쇼 토쿠가 얼마 지나지 않아 죽자, 후계자를 선택하기 위한 고위 관료들의 논의에서 가나마루가 여론에 따라 선출되어 쇼 엔이라는 왕명을 받고 왕위에 올랐다.[4] 그러나 역사가 조지 H. 커는 그 후 몇 세기 동안 편찬된 공식 역사는 쇼 엔의 후계자들의 후원으로 쓰여졌다는 점, 그리고 쇼 토쿠의 죽음을 둘러싼 상황은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 있으며, 전통적인 기록은 단순히 귀족과 관료들 사이에서 가나마루에 대한 충성심의 변화를 나타내거나, 가나마루를 지지하는 세력이 고왕을 지지하는 세력보다 수적으로 우세했음을 시사할 뿐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5]

2. 2. 쿠데타와 즉위

가나마루는 오키나와현 이젠섬의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3][4] 섬에 심각한 가뭄이 든 해, 가나마루 가족의 논에만 물이 가득한 것을 보고 물을 훔쳤다는 혐의를 받아 고향을 떠나 오키나와섬 북부 지역(쿠니가미(쿠니가미) 지역)의 기나마로 갔다.[3][4]

1441년, 류큐 왕국의 수도인 슈리로 가서 쇼 타이큐 왕자의 신하가 되었다. 쇼 타이큐가 1454년 왕이 된 후, 가나마루는 왕실 재무관[5]이 되었고, 1459년[4]에는 외교와 무역을 담당하는 御物城御鎖側|오모노구스쿠 오사스 노 소바일본어 직책을 받았다. 그는 또한 영토를 하사받고 内間御殿|우치마-우둔일본어이 되었다.[3][4]

1461년 쇼 타이큐의 뒤를 이어 왕이 된 쇼 토쿠[3][4]와 가나마루 사이에 의견 차이가 발생했는데, 아마도 왕의 기카이섬에서의 값비싼 군사적 노력에 대한 것이었을 것이다.[5] 이로 인해 가나마루는 슈리를 떠나 우치마로 은퇴했다.[3][4] 그러나 쇼 토쿠가 얼마 지나지 않아 죽자, 후계자를 선택하기 위한 고위 관료들의 논의에서 가나마루가 여론에 따라 선출되어 쇼 엔이라는 왕명을 받고 왕위에 올랐다.[4]

1469년 4월, 상덕왕이 승하하자, 삼사관은 그 세자를 즉위시키고자 중신들을 소집하여 회의를 열었다. 그러나 세자의 국왕으로서의 자질에 의문이 제기되었고, 그 자리에서 김환(가나마루)을 차기 왕으로 추대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김환은 은둔처에서 수리로 맞이되어 즉위하여 '''상원'''이라 칭하였다.[8] 여기서부터 제2상씨 왕통이 시작되었다.

이 왕조 교체극은 쿠데타가 일어났다는 것은 틀림없다. 하지만 이 음모에 김환 자신이 적극적·주도적으로 관여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며, 단지 사후 신하들의 추대를 받아, 일단 은둔했던 신분이었으나 어쩔 수 없이 왕위를 받았다는 형식이다.

2. 3. 통치와 업적

쇼엔은 명나라(후대의 청나라)가 류큐 왕에게 하사한 명예로운 성씨를 사용하여 제2 쇼 왕조를 건설했다. 그는 전 쇼 왕조의 구성원들이 고위 관직에 오르거나 새로운 왕실과 결혼하는 것을 금지하고 자신의 가문의 위신을 높이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그의 아버지는 이제나 왕으로 추앙받게 되었고, 쇼엔의 부모를 위한 공식적인 묘소가 이제나섬에 건설되었다. 쇼엔은 또한 그의 누이를 이제나의 대사제, 즉 "노로"로 임명했으며, 그녀의 후손인 대사제 계보는 20세기까지 이어졌다.[5]

그의 통치는 왕이라는 카리스마적이거나 재능 있는 개인 지도자에 의한 통치에서 왕을 중심으로 한 관료적 시스템으로의 제도적 변화의 시작을 알렸다.

쇼엔의 어린 시절 아내는 그가 슈리에서 명성을 얻기 전에 사망했거나 가나마루와 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그는 두 번째 아내인 요소이돈과의 사이에 첫째 아들을 낳았다. 쇼엔은 몇 년간 통치한 후 1476년에 사망했고, 요소이돈의 분함 속에 그의 동생 쇼센이가 계승했다. 현재, 고왕과 요소이돈의 딸인 대사제는 쇼센이가 그의 조카이자 쇼엔의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줘야 한다는 신의 계시를 받았고, 그는 이후 쇼신으로 즉위했다.

덴노지(天王寺)·류후쿠지(龍福寺)·숭원사를 건립하였다.

또한, 중국과의 조공무역의 진공 간격을 2년 1진공으로 하였다.

3. 가족


  • 아버지: 쇼쇼쿠
  • 어머니: 스이운(瑞雲)
  • 왕비: 세스에오미오마에가나시 겟코(世添大美御前加那志 月光, 아명은 오기야카)
  • 자녀:
  • * 장남: 쇼신왕
  • * 장녀: 기코에오오기미가나시 쇼씨 게쓰세이(聞得大君加那志 尚氏月清, 아명은 오토치토노모가네)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library.[...]
[2] 웹사이트 http://ir.lib.u-ryuk[...]
[3] 서적 Okinawa rekishi jinmei jiten (沖縄歴史人名事典, "Encyclopedia of People of Okinawan History") Okinawa Bunka-sha
[4] 뉴스 Okinawa konpakuto jiten (沖縄コンパクト事典, "Okinawa Compact Encyclopedia") http://ryukyushimpo.[...] Ryukyu Shimpo (琉球新報) 2003-03-01
[5] 서적 Okinawa: The History of an Island People Tuttle Publishing
[6] 서적 琉球・沖縄史 東洋企画
[7] 문서 伊是名には童名は松金だったという伝承がある。
[8] 문서 明との朝貢貿易が琉球経済の柱であり、この関係を認められるためには、王統の継続を装うことが必要であった。尚巴志も、父の思紹は武寧の子であると称して明に遣使している。
[9] 문서 安里大親は男性神職であったと言う
[10] 서적 沖縄の歴史と文化 中央公論新社
[11] 서적 士族門中家譜 球陽出版
[12] 웹인용 http://ir.lib.u-ryuk[...] 2021-05-23
[13] 웹인용 https://www.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