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공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의공주는 조선의 제4대 왕인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 둘째 딸로, 1415년에 태어났다. 1428년 정의공주로 책봉되었으며, 안맹담에게 하가했다. 세조 대에 후한 대우를 받았고, 남편 안맹담 사후에는 지장보살본원경을 간행하여 보물로 지정되기도 했다. 1477년에 사망했으며, 묘소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다. 정의공주는 총명하고 지혜로웠으며, 세종은 춘추 고사를 예시로 들며 질문을 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77년 사망 - 조석문
조석문은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성종실록의 사신에게 천성이 요사스럽고 아첨에 능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조효문, 조계문 형제와 민설의 딸을 어머니로 두고 안숭선과 채하정의 딸과 혼인했다. - 1477년 사망 - 영해군 (왕족)
세종과 신빈 김씨의 다섯째 아들인 영해군은 1442년 영해군에 봉해졌고 임천군부인 평산 신씨와 혼인하여 영춘군 이인, 길안도정 이의, 박승약에게 시집간 딸을 두었으며 시호는 안도이다. - 1415년 출생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이자 수학자로, 수학적이고 기하학적인 구성과 심리 표현이 특징이며, 《참십자가의 역사》, 《그리스도의 세례》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수학적 이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415년 출생 - 김국광
김국광은 조선 초 세조의 측근 문신으로, 《경국대전》 편찬에 기여하고 이시애의 난 토벌에 공을 세워 광산군에 봉해졌으며, 병조판서, 우의정을 역임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여 사후 불천지위의 은전을 받았다. - 조선 세종의 자녀 - 임영대군
세종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은 무예에 능했으며, 총통과 화차 제작에 참여했고,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와 세조 즉위에 공을 세운 왕실의 수장격 인물이다. - 조선 세종의 자녀 - 안평대군
안평대군은 조선 전기의 왕자로서 학문과 예술에 능했으며 안견, 박팽년 등과 교류하며 몽유도원도와 같은 서화 작품을 남겼으나, 계유정난으로 유배 후 사사되었고 후에 복권되었다.
정의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조선 세종의 공주 |
별칭 | 연창공주(延昌公主) |
혼인 정보 | |
배우자 |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 |
자녀 | 4남 2녀 안여달 · 안온천 · 안상계 · 안빈세, 정광조의 처 · 한치례의 처 |
가계 | |
아버지 | 세종 |
어머니 | 소헌왕후 심씨 |
출생 및 사망 | |
출생일 | 1415년 9월 27일 |
사망일 | 1477년 3월 5일 (양력) |
묘소 | |
능묘 | 안맹담 · 정의공주 묘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 63-1 |
2. 생애
1462년(세조 8년) 3월, 안맹담의 여종인 양의장과 양의장의 어머니인 삼월이 안맹담을 해치려고 도모하다가 발각되어 국문을 받고 처형되는 일이 발생하였다.[4]
2. 1. 초기 생애
1415년(태종 15년), 태종의 셋째 아들 충녕대군(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1428년(세종 10년) '''정의공주'''(貞懿公主)로 책봉되고, 관찰사 안망지의 아들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과 혼인하였다.[1]
2. 2. 세조 대의 행적
세조 즉위 후, 정의공주는 후한 대우를 받았다. 1456년(세조 2년) 강원도 고성의 온천으로 목욕하러 갈 때 세조가 교자와 담부를 내려주었다.[2] 정의공주가 병을 앓자 세조는 정희왕후와 함께 공주 집에 들러 여러 차례 문병하기도 하였고, 정의공주가 황해도 배천으로 목욕하러 가자, 황해도 관찰사에게 명하여 잔치를 베풀기도 했다.[3] 공주에게 전토, 쌀과 곡식, 노비를 하사하고, 아들과 사위의 벼슬을 높여주기도 하였다.1462년(세조 8년) 12월, 남편 안맹담과 사별하였다.[5]
1467년(세조 13년), 안맹담과 정의공주의 종이었던 사방지가 양성인간으로 밝혀져 풍기를 문란하게 한 죄로 외방으로 쫓겨났다.[6]
2. 3. 불교 관련 활동
1469년(예종 1년), 정의공주는 남편 안맹담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장보살본원경 상·중·하를 간행하였는데, 이는 보물 제966호로 지정되어 있다.[7][8]2. 4. 사망
1477년(성종 8년) 2월 11일 졸하였다.[9] 묘소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다. 성종실록에 정의공주의 졸기가 실려 있다.3. 가족 관계
정의공주와 안맹담 부부는 4남 2녀를 낳았다. 정인지, 한확, 효령대군 등과 이중, 삼중의 혼인관계를 맺었다.[14]
정인지의 아들과 결혼한 장녀 안씨와[14] 둘째 아들 안온천은 정의공주 생전에 사망하였다. 셋째 아들 안상계는 세조의 계유정난에 동조하지 않고 저자도에 은거하였다가 예종 대에 복관하였으며, 넷째 아들 안빈세는 정의공주가 병들자 세조가 특명을 내려 벼슬을 7계급 올려 동부승지에 임명하였다.[15]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조부 | 태종 | 1367년 - 1422년 | |
조모 | 원경왕후 민씨 | 1365년 - 1420년 | |
아버지 | 세종 | 1397년 - 1450년 | |
외조부 | 심온 | 1375년 - 1418년 | 청천부원군 |
외조모 | 순흥 안씨 | ? - 1444년 | 삼한국대부인 |
어머니 | 소헌왕후 심씨 | 1395년 - 1446년 | |
언니 | 정소공주 | 1412년 - 1424년 | |
오빠 | 문종 | 1414년 - 1452년 | |
동생 | 세조 | 1417년 - 1468년 | |
동생 | 안평대군 | 1418년 - 1453년 | |
동생 | 임영대군 | 1420년 - 1469년 | |
동생 | 광평대군 | 1425년 - 1444년 | |
동생 | 금성대군 | 1426년 - 1457년 | |
동생 | 평원대군 | 1427년 - 1445년 | |
동생 | 영응대군 | 1434년 - 1467년 | |
부마 | 안맹담 | 1415년 - 1462년 | 연창위 |
장남 | 안여달 | 1438년 - ? | |
며느리 | 광주 안씨 | 안기(安耆)의 딸 | |
손자 | 안원경 | 1464년 - ? | |
손녀 | 죽산 안씨 | 선조 비 인목왕후의 외고조모 | |
장녀 | 죽산 안씨 | 1440년 - 1456년 | |
사위 | 정광조 | ? - 1457년 | 정인지의 아들 |
차남 | 안온천 | 1442년 - 1463년 | |
며느리 | 전주 이씨 | 효령대군의 증손녀, 회의도정(懷義都正) 이추(李菆)의 딸 | |
손자 | 안방언 | 1457년 - ? | 성종의 5남 회산군의 장인 |
손녀 | 정경부인 안씨 | 1459년 - 1521년 | 정상조(鄭尙祖)[16]의 처(妻)이자 선조의 외증조모[17] |
손녀 | 죽산 안씨 | 1462년 - ? | |
3남 | 안상계 | 1444년 - 1496년 | |
며느리 | 순흥 안씨 | 안훈(安訓)의 딸 | |
며느리 | 언양 김씨 | 김경장(金慶長)의 딸 | |
손자 | 안방열 | ||
손자 | 안방형 | 1465년 - ? | 계림군의 장인 |
4남 | 안빈세 | 1445년 - 1478년 | |
며느리 | 성주 이씨 | 1446년 - 1520년 | 이계현(李繼賢)의 딸 |
손자 | 안윤성, 극성, 처성, 자성 | 서출 | |
차녀 | 죽산 안씨 | 1448년 - 1492년 | 성종의 외숙모[18] |
사위 | 한치례 | 1441년 - 1499년 | 한확의 아들이자 인수대비의 남동생 |
4. 기타
정의공주는 불교를 숭상하여 남편 안맹담과 자주 불사를 행하였으며, 세종의 명복을 빌기 위해 안맹담과 문수사(文殊寺)를 중창하였다.[11]
4. 1. 춘추 고사
세종이 《춘추》를 읽다가 정의공주에게 춘추 시대 옹희(雍姬)와 옹규(雍糾) 부부의 고사를 이야기하며 "아버지에게 알리면 남편이 죽고, 알리지 않으면 아버지가 죽게 될 경우, 너 같으면 어찌하겠느냐?"하고 물었다. 정의공주는 "차라리 제가 먼저 죽을지언정, 그 변은 못 보겠습니다." 하고 답하여 세종을 감탄시켰다.[10]4. 2. 자녀 이름
첫째 아들인 안여달(安如獺)과 셋째 아들인 안상계(安桑鷄)의 이름은 이들의 외조부인 세종이 직접 지어주었는데, 여달과 상계는 세종이 지어준 어릴 적 이름을 어른이 되어서도 개명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다.4. 3. 저자도와 낙천정
세종은 정의공주에게 한강의 저자도(楮子島)와 낙천정(樂天停)을 하사하였는데, 정의공주는 이를 막내 아들인 안빈세(安貧世)에게 물려주었다.[12][13] 안빈세는 그 위에 정자를 짓고 화공에게 그림을 그리게 하였으며, 정인지의 서문이 전해진다.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드라마 《대왕 세종》에서 이주현이 정의공주 역을 맡았고, 한소진의 소설 《정의공주》가 해냄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1]
5. 1. 드라마
2008년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 《대왕 세종》에서 이주현이 정의공주 역을 맡았다.5. 2. 소설
한소진의 소설 《정의공주》는 2011년 해냄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참조
[1]
서적
세종실록
[2]
서적
세조실록
[3]
서적
세조실록
[4]
서적
세조실록
[5]
서적
세조실록
[6]
서적
세조실록
[7]
웹인용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정의공주
http://people.aks.ac[...]
2012-05-25
[8]
뉴스
훈민정음 '숨은 뒷 이야기' 재해석
https://news.naver.c[...]
2018-03-20
[9]
서적
성종실록
[10]
서적
성종실록
[11]
서적
문종실록
[12]
서적
동국여지지
[13]
서적
신증동국여지승람
[14]
서적
안맹담 묘비명
[15]
서적
세조실록
[16]
문서
정인지의 아들
[17]
계보
[18]
서적
성종실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