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숏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숏폼은 짧은 형식의 동영상을 의미하며, 제작 방식에 따라 오리지널형과 재가공형으로, 콘텐츠 생성 방식에 따라 담론형-하향식, 담론형-상향식, 대화형-하향식, 대화형-상향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2012년 스냅챗이 짧은 동영상 공유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바인, 인스타그램, 틱톡, 유튜브 쇼츠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숏폼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숏폼은 600~10000단어 사이의 짧은 글을 지칭하기도 한다.

2. 숏폼 동영상의 분류

숏폼 동영상은 제작 방식과 콘텐츠 생성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제작 방식에 따라 오리지널형과 재가공형으로, 콘텐츠 생성 방식에 따라 담론형-하향식, 담론형-상향식, 대화형-하향식, 대화형-상향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1][2]

2. 1. 제작 방식에 따른 분류

숏폼 동영상은 제작 방식에 따라 오리지널형과 재가공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1]

콘텐츠 생성 방식을 기준으로도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다.

구분설명
담론형-하향식기존 롱폼 콘텐츠와 비슷하다.
담론형-상향식콘텐츠 생성 과정에 수신자가 직간접적으로 개입한다.
대화형-하향식수신자의 참여가 있어야만 콘텐츠가 생성되는 방식으로, 참여형 캠페인이나 브랜딩 콘텐츠가 대표적이다.
대화형-상향식이용자들이 자신만의 메시지를 동영상 형식으로 제작하고 공유하며, 이러한 정보가 축적되어 다양한 흐름과 현상을 만들어 낸다.

[2]

2. 1. 1. 오리지널형 숏폼 동영상

처음부터 숏폼 형태로 기획하고 제작하는 콘텐츠를 말한다.[1]

2. 1. 2. 재가공형 숏폼 동영상

기존에 있던 콘텐츠를 편집 및 재가공하여 숏폼 형태로 만드는 콘텐츠이다.[1]

2. 2. 콘텐츠 생성 방식에 따른 분류

숏폼 동영상은 콘텐츠 생성 방식을 기준으로 담론형-하향식, 담론형-상향식, 대화형-하향식, 대화형-상향식의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2]

2. 2. 1. 담론형-하향식

기존 롱폼 콘텐츠와 비슷하게 제작자가 주도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이다.[2]

2. 2. 2. 담론형-상향식

콘텐츠 생성 과정에서 수신자가 직간접적으로 개입하는 방식이다.[2]

2. 2. 3. 대화형-하향식

수신자의 참여가 있어야만 콘텐츠가 생성되는 방식으로, 주로 참여형 캠페인이나 브랜딩 콘텐츠에 활용된다.[2]

2. 2. 4. 대화형-상향식

이용자들 자신만의 메시지를 동영상 형식으로 제작하고 공유하며 이와 같은 정보가 축적되어 다양한 흐름과 현상을 만들어 내는 방식이다.[2]

3. 숏폼 동영상의 역사

숏폼 동영상은 2010년대부터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인스타그램은 2013년 15초 동영상 공유 기능을 추가하였으며, 이후 릴스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동영상 기능을 확장했다.[6] 2017년 바인이 서비스를 종료한 후,[8] 3년 뒤인 2020년에 바인의 공동 설립자 돔 호프만은 바인의 후속작인 Byte(나중에 Clash로 이름을 바꾼 후 Huddles로 변경)를 출시했다.[9]

3. 1. 2010년대 초반: 스냅챗과 바인

스냅챗은 2012년부터 10초짜리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했다.[3] 2013년에 출시된 바인은 동영상 길이를 최대 6초로 제한하여 짧은 형식의 동영상이 유행이 되도록 도왔다.[4][5]

3. 2. 2010년대 후반 ~ 현재: 틱톡과 유튜브 쇼츠

2018년 틱톡Musical.ly와 합병한 후, 숏폼 동영상 플랫폼의 선두 주자가 되었다.[7]

2021년 유튜브는 틱톡에 대응하여 유튜브 쇼츠를 출시하며 숏폼 동영상 시장 경쟁에 합류했다.[10] 유튜브 쇼츠는 출시 6개월 만에 5조 건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11]

4. 숏폼 글

숏폼 형태의 글은 블로그, 소셜 미디어, 선집 등에 주로 등장하며 일반적으로 600 단어에서 10,000 단어 사이라면 숏폼인 글로 지칭한다.[12]

참조

[1] 잡지 중국과 미국의 짧은 동영상 콘텐츠 고품질화 시도 http://m.moazine.com[...]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2018-05
[2] 저널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 https://www.kci.go.k[...] 2020
[3] 웹인용 Snapchat Adds Video, Now Seeing 50 Million Photos A Day https://www.forbes.c[...] 2012-12-14
[4] 웹인용 Vine and the art of 6-second comedy http://www.dailydot.[...] The Daily Dot 2013-07-05
[5] 뉴스 Twitter is shutting down Vine https://www.business[...] 2018-11-12
[6] 웹인용 Instagram Video Taking a Swing at Vine: Study https://www.cnbc.com[...] CNBC 2013-06-23
[7] 웹인용 Top 8 Best Short-Form Video Android Apps – Updated August 2022 https://www.androidh[...] 2022-08-15
[8] 웹인용 Twitter Is Shutting Down Vine https://variety.com/[...] 2016-10-27
[9] 웹인용 Vine co-founder plans to launch successor Byte in Spring 2019 https://techcrunch.c[...] 2018-11-08
[10] 웹인용 YouTube Shorts Beta Hits U.S., Video Giant Lays Out Road Map for TikTok Rival https://variety.com/[...] 2021-03-18
[11] 웹인용 YouTube Shorts Tops 5 Trillion Views to Date, Platform to Test Shopping and Branded Content for TikTok-Style Videos https://variety.com/[...] 2022-01-25
[12] 웹인용 SHORT-FORM VS. LONG-FORM WRITING https://gosparkpress[...] sparkpress 2018-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