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기상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기상청은 대한민국 기상청 소속으로, 수도권 지역의 기상 예보를 총괄하고 기상 관측 및 기후 정보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예보 생산, 자료 수집 및 분석, 기상 산업 진흥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을 관할한다. 1949년 서울측후소 설치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15년 현재의 수도권기상청으로 승격되었으며, 인천기상대를 소속 기관으로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기상청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 대한민국 기상청 - 대전지방기상청
대전지방기상청은 충청남도, 충청북도, 세종특별자치시의 기상업무를 총괄하는 기상청 산하 지방기상청으로, 기상 예보 및 특보 발표, 기상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청주기상지청과 홍성기상대 등을 관할한다. - 수원시 소재의 관공서 - 수원지방법원
수원지방법원은 경기도 남부 지역을 관할하며 수원시 영통구에 본원을 두고 성남, 여주, 평택, 안산, 안양에 지원을 두어 여러 시·군 법원을 통해 관할 지역의 사법 사무를 처리하는 지방법원이다. - 수원시 소재의 관공서 - 경기도청
경기도청은 경기남부와 경기북부를 관할하는 기관으로, 수원시에 본청, 의정부시에 북부청사를 두고 있으며, 도지사 직속 부서와 31개 시·군을 산하에 두고 2018년 기준 21조 원이 넘는 예산으로 운영된다. - 2015년 설립 - 주한 타지키스탄 대사관
주한 타지키스탄 대사관은 서울에 위치한 타지키스탄의 외교 공관으로, 1992년 한-타지키스탄 수교 이후 2015년 설립되어 양국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 2015년 설립 - 창원 다이노스
창원 다이노스는 NC 다이노스의 퓨처스리그 팀으로, 고양에서 활동하며 퓨처스리그 상위권 성적을 기록, 스폰서십 마케팅과 유료 관중제를 도입하는 등 노력했으나, 2017년 시즌 후 창원으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수도권기상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수도권기상청 |
현지어 이름 |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Meteorology |
설립일 | 2015년 1월 6일 |
전신 | 수원기상대 |
소재지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호로 149 |
기관장 직책 | 청장 |
상급 기관 | 대한민국 기상청 |
조직 | |
산하 기관 | 소속기관 1 |
지도 정보 |
2. 직무
- 관할 지역의 기상 예보를 종합하고 조정하며, 예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 관할 지역의 예보[2]와 특보[3]를 생산하고 통보하며, 사후 분석을 수행한다.
- 소속 기관의 예보 자료 생산을 지원한다.
- 지역 예보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한다.
- 기상 관련 상담 업무를 수행한다.
- 관할 지역의 기상 관측 및 기후 정보 업무를 지도한다.
- 지역 기상 관측 업무 및 위탁 관측 업무를 관리한다.
- 지역 기상 자료를 수집하고 분배하며, 기후 자료를 통계 처리한다.
- 지역 기상 산업 진흥 관련 사항을 담당한다.
- 기상 자료의 증명, 제공 및 보급을 담당한다.
- 기상 관측[4], 예보, 전산, 통신 장비의 검정, 운영 및 유지 관리를 담당한다.
- 지방 종합 기상 정보망을 관리하고 운영한다.
- 국지 기상 자료의 전산 처리 및 전산 기법을 개발한다.
- 기후 정보를 생산하고 보급하며, 기상 지식을 보급한다.
- 보안, 문서 관리, 인사, 예산 회계, 물품 및 국유 재산 관리에 관한 사항을 담당한다.
- 소속 기관에 대한 업무를 지휘하고 감독한다.
3. 연혁
3. 1. 서울측후소 및 농업기상관측소 시기 (1949년 ~ 1982년)
- 1949년 12월 16일: 국립중앙관상대 소속으로 서울측후소가 설치되었다.[5]
- 1959년 1월 1일: 서울측후소는 폐지되고 인천측후소가 설치되었다.[6]
- 1963년 2월 12일: 중앙관상대 소속으로 변경되었다.[7]
- 1964년 5월 27일: 중앙관상대 소속으로 농업기상관측소가 설치되었다.[8]
- 1968년 12월 19일: 농업기상관측소는 수원농업기상관측소로 개편되었다.[9]
- 1970년 7월 18일: 수원농업기상관측소 소속으로 강화·양평·이천·화성·안성분실이 설치되었다.[10]
- 1978년 4월 15일: 화성·안성분실은 폐지되었다.[11]
- 1982년 1월 1일: 인천·수원측후소는 중앙기상대 소속으로 변경되었다.[13]
3. 2. 지방기상청 소속 시기 (1982년 ~ 2015년)
- 1982년 1월 1일: 인천·수원측후소를 중앙기상대 소속으로 변경.[13]
- 1987년 12월 15일: 인천·수원측후소를 대전지방기상대 소속으로 변경.[14]
- 1990년 12월 27일: 기상청 소속으로 변경.[15]
- 1992년 3월 13일: 인천·수원측후소를 대전지방기상청 소속 인천·수원기상대로 개편.[16]
- 1996년 12월 31일: 대전지방기상청 소속으로 동두천기상대 설치.[17]
- 2000년 7월 27일: 대전지방기상청 소속으로 백령도고층레이더기상대 설치.[18]
- 2001년 12월 6일: 대전지방기상청 소속으로 문산기상대 설치.[19]
- 2002년 6월 1일: 백령도고층레이더기상대를 백령도기상대로 개편.[20]
- 2008년 10월 22일: 이천기상관측소를 이천기상대로 개편하고 강화·양평기상관측소 폐지.[21]
- 2013년 10월 16일: 문산기상대를 파주기상대로 개편.[22]
- 2015년 1월 6일: 이천·동두천기상대 폐지. 수원기상대를 기상청 소속 수도권기상청으로 승격시키고 인천·파주·백령도기상대를 소속기관으로 편입.[23]
3. 3. 수도권기상청 승격 (2015년 ~ 현재)
2015년 1월 6일, 이천기상대와 동두천기상대가 폐지되고 수원기상대가 기상청 소속 수도권기상청으로 승격되었다. 이와 함께 인천기상대, 파주기상대, 백령도기상대가 수도권기상청 소속기관으로 편입되었다.[23] 2015년 6월 9일, 파주기상대와 백령도기상대가 폐지되었다.[24]4. 조직
수도권기상청에는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가 있다.[26]
4. 1. 청장
수도권기상청에는 기획운영과[25], 예보과[26], 관측과[26], 기후서비스과[26][27]가 있다.4. 2. 소속기관
인천기상대[25]5. 관할 구역
참조
[1]
법령
기상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11조제1항
[2]
기타
고조를 포함한다.
[3]
기타
지진해일은 제외한다.
[4]
기타
지진관측을 포함한다.
[5]
대통령령
제240호
[6]
대통령령
제1425호
[7]
각령
제1208호
[8]
대통령령
제1826호
[9]
대통령령
제3675호
[10]
대통령령
제5202호
[11]
대통령령
제8944호
[12]
대통령령
제11719호
[13]
대통령령
제10681호
[14]
대통령령
제12318호
[15]
대통령령
제13188호
[16]
대통령령
제13614호
[17]
대통령령
제15250호
[18]
과학기술부령
제20호
[19]
과학기술부령
제35호
[20]
과학기술부령
제36호
[21]
환경부령
제306호
[22]
환경부령
제520호
[23]
법령
대통령령 제26002호 및 환경부령 제591호
[24]
환경부령
제605호
[25]
기타
행정사무관·공업사무관·기상사무관·시설사무관·전산사무관 또는 방송통신사무관으로 보한다.
[26]
기타
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27]
기타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