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두로이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두로이섬은 페로 제도 남쪽에 위치한 섬으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17세기에는 해적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 섬의 인구는 1970년대 이후 감소 추세이며, 주요 마을로는 트뵈로이리, 포암진 등이 있다. 수두로이섬은 지형이 험준하며, 글루가르니르 산이 최고봉이다. 또한, 조류 지역으로 지정되어 다양한 바닷새의 번식지 역할을 한다. 섬의 교통은 페리와 버스, 헬리콥터 등을 이용하며, 여러 개의 터널이 도로망을 형성하고 있다. 수두로이섬은 풍력, 수력 발전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고 있으며, 축구, 수영, 조정 등의 스포츠 활동이 활발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로 제도의 섬 - 산도이섬
    산도이섬은 페로 제도에 속하며, 비옥한 토양에서 감자 재배가 이루어지고, 중요 조류 지역으로 지정되어 다양한 바닷새의 번식지 역할을 하며, 여러 마을과 호수가 위치해 있다.
  • 페로 제도의 섬 - 에스투로이섬
    에스투로이섬은 페로 제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 험준한 지형과 슬라타라틴두르 봉우리를 포함한 많은 산봉우리, 다리와 터널로 연결된 스트레이모이섬, 그리고 푸글라피요르두르와 루나비크 등의 주요 정착지를 가지고 있는 문화적 중심지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수두로이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위치페로 제도
면적163.7 km2
최고점610 m
일반 정보
위치 좌표 설명
행정 구역
자치체 소재지
우편 번호
웹사이트
인구
총 인구4601http://statbank.hagstova.fo/pxweb/en/H2/H2__IB/
인구 조사 기준 시점2020년 1월
인구 밀도자동

2. 역사

Víkarbyrgi와 Akraberg는 과거 수두로이섬에 존재했던 정착지이다. Víkarbyrgi는 1990년대 후반에 버려졌고, Akraberg는 1350년경 흑사병으로 인해 버려졌다. Akraberg 주민들은 프리슬란트 출신이었으며, 전설에 따르면 Sumba의 Hørg 사람들은 이 정착지의 후손이라고 한다.[2]

17세기, 수두로이섬은 북아프리카 해적의 반복적인 공격을 받았다. 당시 북아프리카는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기 때문에 페로 제도 사람들은 이들을 튀르크인이라 불렀다. 수두로이섬 노예 습격은 이 시기 발생한 대표적인 사건으로, 해적들은 여러 여성과 아이들을 납치했다. 이로 인해 기근이 발생하여 섬 주민 다수가 굶어 죽었다. 1615년, 해적 피해를 입은 Hvalba는 덴마크 군함 2척에 의해 구조되었으나, 해적들은 덴마크 함대 도착 14일 전에 이미 출항한 뒤였다.

19세기에는 Sandvík 마을이 재건되었고, 2010년에는 Vágur가 확장되면서 Fámara가 다시 정착했다. 20세기 초중반, Vágur 북서쪽의 Botni와 Øravík 남동쪽 만의 Tjaldavík에 새로운 정착지가 형성되었지만, 두 곳 모두 다시 버려졌다.

1970년대 이후 수두로이섬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1985년 5,881명에서 2019년 4,591명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2]

2. 1. 초기 정착

Víkarbyrgi라는 고대 정착지는 1990년대 후반에 버려졌다. 또 다른 정착지인 Akraberg는 1350년경 흑사병으로 인해 버려졌는데, 당시 그곳에 살던 사람들은 프리슬란트 출신이었다. 전설에 따르면 Sumba의 Hørg 사람들은 섬의 최남단에 위치한 이 정착지의 후손이라고 한다.[2]

17세기에 수두로이섬은 북아프리카 해적의 반복적인 공격을 받았다. 북아프리카가 오스만 제국에 속해 있었을 때 페로 제도에서 이들을 튀르크인으로 불렀다. 잘 알려진 사건 중 하나는 수두로이섬 노예 습격으로, 해적들은 여러 여성과 아이들을 납치했다. 기근이 발생했고 섬 주민 중 다수가 굶어 죽었다. 1615년, 해적의 피해를 입은 Hvalba는 봄에 2척의 덴마크 군함에 의해 구조되었다. Hvalba를 일종의 기지로 사용하던 해적들은 불행히도 덴마크 함대가 도착하기 14일 전에 출항했다.

Sandvík 마을은 19세기에 재건되었다. Fámara는 2010년, Vágur가 원래 마을 경계를 넘어 확장되면서 다시 정착했다. 20세기 초중반에는 Vágur 북서쪽에 있는 Botni와 Øravík 남동쪽 만에 있는 Tjaldavík, 두 개의 정착지가 더 시작되었으나 두 곳 모두 다시 버려졌다.

2. 2. 중세 및 근세

Víkarbyrgi라는 고대 정착지는 1990년대 후반에 버려졌다. 또 다른 정착지인 Akraberg는 1350년경 흑사병으로 인해 버려졌는데, 당시 그곳에 살던 사람들은 프리슬란트 출신이었다. 전설에 따르면 Sumba의 Hørg 사람들은 섬의 최남단에 위치한 이 정착지의 후손이라고 한다.

17세기에는 수두로이섬이 북아프리카 해적의 반복적인 공격을 받았다. 당시 북아프리카가 오스만 제국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페로 제도에서는 이들을 튀르크인으로 불렀다. 그중 잘 알려진 사건 중 하나는 수두로이섬 노예 습격으로, 여러 여성과 아이들이 납치되었다.[2] 기근이 발생했고 섬 주민 중 다수가 굶어 죽었다. 1615년, 해적의 피해를 입은 Hvalba는 봄에 2척의 덴마크 군함에 의해 구조되었다. Hvalba를 일종의 기지로 사용하던 해적들은 불행히도 덴마크 함대가 도착하기 14일 전에 출항했다.

2. 3. 근현대

Víkarbyrgi라는 고대 정착지는 1990년대 후반에 버려졌다. 또 다른 정착지인 Akraberg는 1350년경 흑사병으로 인해 버려졌는데, 당시 그곳에 살던 사람들은 프리슬란트 출신이었다. 전설에 따르면 Sumba의 Hørg 사람들은 이 정착지의 후손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데, 이 정착지는 섬의 최남단에 위치해 있었다.

17세기에 수두로이섬은 북아프리카 해적의 반복적인 공격을 받았다. 이들은 페로 제도에서 북아프리카가 오스만 제국에 속해 있었을 때 튀르크인으로 불렸다. 그러한 사건 중 잘 알려진 사건 중 하나는 수두로이섬 노예 습격이다. 당시 해적들은 여러 여성과 아이들을 납치했다.[2] 기근이 발생했고 섬 주민 중 다수가 굶어 죽었다. 1615년, 해적의 피해를 입은 Hvalba는 봄에 2척의 덴마크 군함에 의해 구조되었다. Hvalba를 일종의 기지로 사용하던 해적들은 불행히도 덴마크 함대가 도착하기 14일 전에 출항했다.

Sandvík 마을은 19세기에 재건되었다. Fámara는 2010년, Vágur가 원래 마을 경계를 넘어 확장되면서 다시 정착했다. 20세기 초중반에는 Vágur 북서쪽에 있는 Botni와 Øravík 남동쪽 만에 있는 Tjaldavík, 두 개의 정착지가 더 시작되었으나 두 곳 모두 다시 버려졌다.

수두로이섬의 인구는 1970년대 이후 점차 감소하고 있다. 1985년에는 섬에 5,881명의 주민이 있었지만, 2019년에는 4,591명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2]

3. 지리

수두로이섬의 최고 지점은 글루가르니르 산이며, 가장 유명한 봉우리는 수바 마을 북서쪽에 있는 베이니스뵈르 산이다. 수두로이섬은 섬 자체와 근처의 섬, 암초를 모두 합쳐 총 263개로, 페로 제도에서 가장 많은 섬과 암초를 가지고 있다.[4] 외라비크, 트롱기스보르, 포암진, 오바구르, 흐발바의 만은 ''그린'' 만으로 지정되었다.[5]

수두로이(남쪽 섬, 단수)라는 이름과 대조적으로, 수두로이그자르(남부 섬, 복수)라는 이름은 스코틀랜드아우터헤브리디스를 지칭한다. 스코푸나르피오르드 남쪽에 있는 섬들을 지칭하기 위해, 구어체로는 "선난피오르스"라고 하거나 공식적으로 수두르외키트라고 할 수 있다.

3. 1. 지형 및 자연

수두로이섬의 최고 지점은 글루가르니르 산(610m)이며,[3] 가장 유명한 봉우리는 수바 마을 북서쪽에 있는 베이니스뵈르 산이다. 베이니스뵈르와 그 풍경은 현지 시인 폴 F. 요엔센(1898–1970)뿐만 아니라 다른 페로 제도 시인들의 찬사를 받았다. 수두로이섬은 가장 많은 과 암초를 가지고 있는 섬으로, 섬 자체와 근처의 섬, 암초를 모두 합쳐 총 263개이다.[4]

수두로이섬 서쪽은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으로 지정되었는데, 특히 바닷새의 번식지로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풀머갈매기 (100,000쌍), 유럽 슴새 (2,500쌍), 유럽 가마우지 (200쌍), 검은발 갈매기 (39,000쌍), 대서양 바다오리 (20,000쌍), 바다오리 (31,900 개체), 검은바다오리 (400쌍) 등이 있다.[6]

3. 2. 주요 마을

수두로이섬의 거주지는 북쪽에서 남쪽 순으로 다음과 같다.

  • 산드비크
  • 흐발바
  • 프로바
  • 트뵈로이리
  • 트롱기스보르
  • 외라비크
  • 포암진
  • 호브
  • 포르케리
  • 네스
  • 오바구르
  • 파마라
  • 아크라르
  • 로프라
  • 수바


수두로이섬은 페로 제도에서 탄광이 있는 유일한 섬이며, 그 중 하나는 여전히 운영되고 있다. 이 탄광은 터널 근처 흐발바에 있다. 다른 탄광은 트롱기스보르의 랑가보트누르(트롱기스보스피오르드 남쪽)와 포암진에 있었다. 외라비크, 트롱기스보르, 포암진, 오바구르, 흐발바의 만은 ''그린'' 만으로 지정되었다.[5]

3. 3. 환경 보존

수두로이섬 서쪽은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IBA)으로 지정되었는데, 특히 바닷새의 번식지로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풀머갈매기 (100,000쌍), 유럽 슴새 (2,500쌍), 유럽 가마우지 (200쌍), 검은발 갈매기 (39,000쌍), 대서양 바다오리 (20,000쌍), 바다오리 (31,900 개체), 검은바다오리 (400쌍) 등이 있다.[6]

4. 교통 및 인프라

수두로이섬의 교통은 크게 해상, 육상, 항공으로 나뉜다.


  • 해상 교통: MS 스미리호가 토르스하운과 수두로이섬 사이를 하루 2~3회 운항하며, 트롱기스바스피오르 피오르 남쪽의 크람바탕기 페리 항구에서 출발한다. 항해 시간은 2시간이다.
  • 육상 교통: 섬에는 두 개의 국립 버스 노선이 있다. 700번 노선은 트뵈로이리에서 순바까지, 701번 노선은 파민에서 산드비크까지 운행한다. 도로는 5개의 도로 터널을 포함하여 섬 전체를 연결한다. 터널은 산드비카르투닐린(1969년), 구/신 흐발비아르투닐린 (1965년, 2021년), 호브스투닐린(2007년), 숨비아르투닐린(1997년)이 있다. 파민스투닐린은 2022년에 착공될 예정이다. 수두로이아르투닐린이 건설되면 스쿠보이 및 산도이와 연결되어 ''스미리''호를 대체할 것이다.
  • 항공 교통: 프로바에는 토르스하운과 보아르 공항으로 가는 헬리포트가 있다.


1921년에 건설된 3.3MW 보트누르 수력 발전소


수두로이섬의 전력망은 보아르 디젤 발전소(13MW),[7] 풍력 터빈(6.3MW), 보트누르 수력 발전소(3.3MW)에 의존하며, 다른 섬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8] 2019년 순바에 태양광 발전소(250kW)가 설치되어[9] 하루 최대 2MWh를 생산한다.[10] SEV는 풍력 터빈 2기(900kW)가 디젤 연료비를 연간 600만덴마크 크로네 절감할 것으로 계산했으며,[11] 2020년 포르케리 산맥에 Enercon 풍력 터빈 7기(총 6.3MW)가 설치되어 석유 소비를 줄였다.[10] 전력망 안정을 위해 배터리 저장 발전소(6MW/7.5MWh)[12]와 동기 보상기가 계획되어 있다.[13]

4. 1. 해상 교통

MS ''스미리''는 토르스하운과 수두로이섬 사이를 하루에 2~3번 운항하며, 트롱기스바스피오르 피오르의 남쪽에 있는 새로운 페리 항구 크람바탕기에서 출발한다. 항해 시간은 2시간이다. 수두로이섬에는 두 개의 국립 버스 노선이 있는데, 700번 노선은 트뵈로이리에서 순바 (남부 노선) 사이를, 701번 노선은 파민에서 산드비크 (북부 노선) 사이를 운행한다. 프로바에는 토르스하운과 보아르 공항으로 가는 항공편이 있는 헬리포트가 있다.

4. 2. 육상 교통

MS ''스미리''는 토르스하운과 수두로이섬 사이를 하루에 2~3번 운항하며, 트롱기스바스피오르 피오르의 남쪽에 있는 새로운 페리 항구 크람바탕기에서 출발한다. 항해 시간은 2시간이다. 수두로이섬에는 두 개의 국립 버스 노선이 있는데, 700번 노선은 트뵈로이리에서 순바 (남부 노선) 사이를, 701번 노선은 파민에서 산드비크 (북부 노선) 사이를 운행한다.

도로망은 5개의 도로 터널을 포함하여 섬 전체를 관통한다. 산드비카르투닐린(1969), 구 및 신 흐발비아르투닐린 (1965 및 2021), 호브스투닐린(2007) 및 숨비아르투닐린(1997)이 있다. 파민스투닐린은 2022년에 착공될 예정이다. 제안된 수두로이아르투닐린은 섬을 스쿠보이와 산도이와 연결하여 페리 ''스미리''를 대체할 것이다.

4. 3. 항공 교통

MS ''스미리''는 토르스하운과 수두로이섬 사이를 하루에 2~3번 운항하며, 트롱기스바스피오르 피오르의 남쪽에 있는 새로운 페리 항구 크람바탕기에서 출발한다. 항해 시간은 2시간이다. 수두로이섬에는 두 개의 국립 버스 노선이 있는데, 700번 노선은 트뵈로이리에서 순바 (남부 노선) 사이를, 701번 노선은 파민에서 산드비크 (북부 노선) 사이를 운행한다. 프로바에는 토르스하운과 보아르 공항으로 가는 항공편이 있는 헬리포트가 있다.

4. 4. 에너지



수두로이섬의 전력망은 보아르 디젤 발전소 (13MW),[7] 풍력 터빈 (6.3MW)과 보트누르 수력 발전소 (3.3MW)에 의존한다. 섬은 다른 섬과 연결되어 있지 않다.[8] 2019년 순바에 태양광 발전소 (250kW)가 설치되었으며,[9] 최대 2MWh/일을 생산한다.[10] 전력 공급 기관 SEV는 풍력 터빈 2기 (900kW)가 디젤 연료비를 연간 600만덴마크 크로네 절감할 수 있다고 계산했으며,[11] 2020년에는 포르케리 산맥에 Enercon 풍력 터빈 7기 (총 6.3MW)가 설치되어 석유 소비를 줄였다.[10] 배터리 저장 발전소 (6MW/7.5MWh)[12]와 동기 보상기가 전력망을 안정화하기 위해 계획되어 있다.[13]

5. 문화 및 관광

수두로이섬의 주요 문화 공간인 SALT는 페리 터미널 근처 외라비카르리드에 있다. 이곳은 과거 소금 창고를 재활용하여 2017년에 극장으로 문을 열었다.[14][15]

트뵈로이리와 보어에서는 매년 6월 시민 축제인 요안쇠카를 번갈아 개최한다. 이 축제는 토르스하운에서 열리는 올라브쇠카의 소규모 버전으로, 요안쇠카 주말 토요일에는 조정 경기가 열린다.[1]

5. 1. 주요 명소

에갸르나르에서 바라본 풍경


오르제이디는 남쪽으로 200m 높이의 절벽이 있는 곳이지만, 도로는 해안가에 있으며, 암초는 헬트나르나르, 오르제이디의 절벽은 뮬라탕기라고 불린다.

보그스피외르두르 남쪽의 에갸르베구르 길은 에갸르나르로 이어지며, 남쪽의 베이니쇼르와 북쪽의 오르제이디를 조망할 수 있는 수직 절벽 위에 200m 위치해 있다. 에갸르나르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군의 관측소였던 두 개의 콘크리트 벙커를 찾아볼 수 있다. 1970년대 중반에 폐쇄된 버려진 로란-C 레이더 기지도 있다.

에갸르나르 남쪽에는 해수면에서 약 50m 높이에 있는 로프라의 지협인 로프란세이디가 있다. 로프란세이디 절벽에서 불과 몇 미터 떨어진 곳에는 로프란스홀무르라는 작은 섬이 있다. 베이니쇼르 절벽은 로프란세이디 남쪽에 있으며, 그 사이에 1742년 네덜란드 선박 SS 웨스터베이크가 난파된 몇 개의 암초가 있다. 배가 좌초되면서 선원 84명 중 3명이 사망했고, 1명은 절벽을 오르려다 떨어져 죽었지만, 80명은 살아남았다. 생존자들은 수직 절벽을 기어 올라야 했고, 절벽에서 설 수 있는 곳을 찾아 부러진 돛대를 통해 배에서 절벽으로 기어 올라갔다.

Fámjin은 수두로이섬에서 가장 높은 산들로 둘러싸여 있다. 왼쪽에 있는 호수는 키르크유바튼이다.


Fámjin은 쉼바와 함께 수두로이섬 서해안에 위치한 두 마을 중 하나이다. 다른 모든 마을은 동해안에 위치해 있다. Fámjin에는 만 중앙에 특별한 암초가 있어 썰물 시에는 만을 막고, 어선이 어업을 할 수 있도록 사람들이 만든 항해 채널만 남겨둔다. 작은 어항은 이 암초 안에 있다. 마을 바로 위에는 키르크유바튼이라는 호수가 있으며, 길은 교회 근처에서 시작된다. Fámjin의 또 다른 명소는 프레스트교그브(Preistgjógv, 사제 협곡)라고 불리는 마을 서쪽의 절벽과 협곡이다. Fámjin 교회 안에는 페로 제도의 원래 국기인 메르키드와 룬 문자가 새겨진 Fámjin 석비가 있다. 메르키드는 1919년 코펜하겐에서 유학한 옌스 올리버 리스베르를 포함한 일부 페로 제도 학생들이 만들었다. 이 국기는 페로 제도가 영국에 의해 점령되고 덴마크가 독일에 의해 점령되어 섬에 자체 국기가 필요했던 제2차 세계 대전까지 페로 제도의 공식 국기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 이후로 메르키드는 페로 제도의 공식 국기가 되었다.

트뵈로이리에서는 Hvannhagi라고 불리는 계곡으로 가는 산길이 매력적이다. 이 계곡과 Lítla Dímun, Stóra Dímun 및 바다를 내려다볼 수 있다. 이 계곡으로 이어지는 도로는 없다.

페리 터미널 근처의 외라비카르리드에는 섬의 주요 문화 공간인 SALT가 과거 소금 창고에 자리 잡고 있다. 1980년에 버려졌다가 재활용되어 2017년에 극장으로 문을 열었다.[14][15]

5. 2. 지역 축제

트뵈로이리와 보어는 매년 6월에 시민 축제인 요안쇠카를 번갈아 가며 개최한다. 이 축제는 토르스하운에서 열리는 올라브쇠카의 소규모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요안쇠카는 6월 말, 6월의 마지막 주말에 열리며, 조정 경기는 항상 요안쇠카 주말의 토요일에 열린다.[1]

6. 스포츠

파로 제도에서 가장 오래된 스포츠 클럽인 트보로이야르 볼트펠라그(TB)는 1892년 5월 13일 트보로이리에 설립되었다. 수두로이섬에는 보아스 볼트펠라그(VB), 활바의 로인, 수바 축구 클럽이 있었지만, VB 보아르와 수바는 2005년에 VB/수바로 합병되었다. 2010년 1월 1일, 수두로이섬에 새로운 축구 클럽 FC 수두로이가 설립되었다.

폴 요엔센


2010년 6월 보그르에서 열린 요안쇠카의 노젓기 대회.


수두로이섬은 최근 국제 수영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바구르 출신의 폴 요엔센은 2010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 남자 1500m 자유형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6] 수두로이섬의 두 수영 클럽인 "Vágs Svimjifelag"와 "Tvøroyrar Svimjifelag"는 2007년 9월 6일에 합병하여 섬 전체를 위한 Susvim을 창설했다.

수두로이섬에는 보아그스의 Vágs Kappróðrarfelag과 트뵈로이리와 Trongisvágsfjørður(피오르) 주변 마을의 Froðbiar Sóknar Róðrarfelag 두 조정 클럽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1] 숨바와 흐발바에도 조정 클럽이 있었으나, 현재는 활동이 없거나 제한적이다.[1]

Vágs Kappróðrarfelag과 Froðbiar Sóknar Róðrarfelag가 소유한 보트는 다음과 같다.[1]

클럽명보트 종류보트 이름
Vágs Kappróðrarfelag5-mannafarRoyndin Fríða
6-mannafarSmyril
8-mannafarToftaregin
10-mannafarVágbingur
Froðbiar Sóknar Róðrarfelag5-mannafarFirvaldur (나비를 의미), Firildur, Hulda
6-mannafarTvørábáturin
10-mannafarSuðringur, Tvørábáturin (트뵈로이리에서 온 보트를 의미하며 두 척이 있음)


6. 1. 축구

파로 제도에서 가장 오래된 스포츠 클럽인 트보로이야르 볼트펠라그(TB)는 1892년 5월 13일 트보로이리에 설립되었으며, 덴마크 왕국에서 9번째로 오래된 축구 클럽이다. 수두로이섬에는 보아스 볼트펠라그(VB), 활바의 로인 그리고 수바 축구 클럽 등 3개의 축구 클럽이 더 있었지만, VB 보아르와 수바는 2005년에 VB/수바로 합병되었다.(1995 시즌에 수바/VB라는 이름으로 유사한 합병이 시도되었지만, 이 한 시즌만 지속되었다.) 2010년 1월 1일, 수두로이섬에 새로운 축구 클럽이 설립되었으며, FC 수두로이라고 불리며 현재 이전의 VB/수바로 구성되어 있다.

TB 트보로이리는 현재(2013년) 최고의 파로 제도 축구 리그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FC 수두로이는 두 번째로 좋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TB 트보로이리와 VB 보아르는 모두 파로 제도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경험이 있으며(TB는 7번, 마지막은 1987년, VB는 2000년), 최근 몇 년 동안 성적이 좋지 않아 4개 팀을 하나로 합병하는 것에 대한 논쟁이 커지고 있다.(앞서 언급했듯이, VB와 수바는 2005년부터 이미 연합했다). 로인 활바는 2013년 3부 리그에서 뛰고 있다.

6. 2. 수영

수두로이섬은 최근 국제 수영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수두로이섬의 두 수영 클럽인 "Vágs Svimjifelag"와 "Tvøroyrar Svimjifelag"는 2007년 9월 6일에 합병하여 섬 전체를 위한 Susvim을 창설했다. 바구르 출신의 Pál Joensen은 지금까지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 그는 2008 유럽 주니어 수영 선수권 대회 쇼트 코스 남자 400m, 800m, 1500m 자유형에서 3관왕을 차지했다. 2년 후 그는 2010 유럽 수영 선수권 대회 남자 1500m 자유형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6] Susvim의 다른 수영 선수들도 페로 제도, 덴마크, 기타 국가, 그리고 아일랜드 게임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6. 3. 조정

수두로이섬에는 보아그스의 Vágs Kappróðrarfelag과 트뵈로이리와 Trongisvágsfjørður(피오르) 주변 마을의 Froðbiar Sóknar Róðrarfelag 두 조정 클럽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1] 숨바와 흐발바에도 조정 클럽이 있었으나,[1] 숨바의 "Broddur" 보트는 수년 동안 활동이 없고, 흐발바의 "Snopprikkur" 보트는 수두로이섬 역사(Suðuroyar Sagnir)에서 유명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

Vágs Kappróðrarfelag과 Froðbiar Sóknar Róðrarfelag가 소유한 보트는 다음과 같다.[1]

클럽명보트 종류보트 이름
Vágs Kappróðrarfelag5-mannafarRoyndin Fríða
6-mannafarSmyril
8-mannafarToftaregin
10-mannafarVágbingur
Froðbiar Sóknar Róðrarfelag5-mannafarFirvaldur (나비를 의미), Firildur, Hulda
6-mannafarTvørábáturin
10-mannafarSuðringur, Tvørábáturin (트뵈로이리에서 온 보트를 의미하며 두 척이 있음)


참조

[1] 웹사이트 Statistical Database http://statbank.hags[...]
[2] 웹사이트 Changes in population by born, dead, migrated, village and month (1985-2020) https://statbank.hag[...]
[3] 웹사이트 us.fo http://www.us.fo/Def[...] 2015-07-15
[4] 웹사이트 US.fo http://www.us.fo/Def[...] 2013-10-21
[5] 웹사이트 Hvalvágir góðkendar http://heimabeiti.fo[...] 2020-08-20
[6] 간행물 Important Bird Areas factsheet: Suduroy http://www.birdlife.[...] BirdLife International 2012-02-24
[7] 웹사이트 Vágsverkið https://www.sev.fo/u[...]
[8] 웹사이트 Sustainable energy in the Faroe Islands - the role of hydropower http://cdn.lms.fo/me[...] Faroese Prime Minister's Office 2005-12
[9] 웹사이트 Sólorka https://www.sev.fo/u[...]
[10] 웹사이트 40% green energy in the first half-year of 2021 https://www.sev.fo/e[...] 2021-07-15
[11] 웹사이트 SEV recommends wind turbines for Suðuroy http://www.sev.fo/De[...] SEV (company) 2014-10-02
[12] 웹사이트 Hitachi Energy 7.5MWh BESS project to help Faroe Islands towards 100% renewables by 2030 https://www.energy-s[...] 2021-12-16
[13] 웹사이트 Vindmyllulund í Porkerishaganum https://www.sev.fo/u[...]
[14] 웹사이트 History of SALT https://www.salt.fo/[...]
[15] 서적 Fólk á ferð: Strandferðslan 100 ár https://www.ssl.fo/f[...] Strandfaraskip Landsins
[16] 웹사이트 Swimmingworldmagazine.com http://www.swimmingw[...] 2012-08-19
[17] 웹사이트 Drekin.fo http://drekin.fo/?Pa[...] 2011-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