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르스하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르스하운은 페로 제도의 수도로, "토르의 항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9세기 바이킹 시대에 팅가네스에 의회가 설립되면서 도시의 역사가 시작되었고, 이후 노르웨이 왕실의 무역 독점소 설치, 자유 무역 도입, 시의회 설립 등을 거치며 페로 제도의 행정 중심지로 발전했다. 현재는 주변 마을을 통합하여 페로 제도의 정치, 경제, 문화, 스포츠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쾨펜 기후 분류상 아극지 해양성 기후를 나타낸다. 토르스하운은 덴마크, 아이슬란드 등과 국제 페리 서비스로 연결되며, 페로 제도 내 버스 및 페리 노선도 운행된다. 주요 관광지로는 팅가네스, 토르스하운 대성당, 스칸신 요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로 제도의 도시 - 스비노이
- 페로 제도의 도시 - 콜투르
콜투르는 위키백과에서 내용이 채워지지 않은 문서를 의미하며, 내용 추가 방법, 문제점, 편집 지침, 문의 방법 등을 안내한다. - 유럽에 위치한 수도 - 스톡홀름
스톡홀름은 발트해와 멜라렌호 사이에 위치한 스웨덴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14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정치, 문화,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유럽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 중 하나이다. - 유럽에 위치한 수도 - 마드리드
마드리드는 스페인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메세타 고원에 위치하여 풍부한 역사와 문화, 밤문화, 미술관, 스포츠 클럽으로 유명하며 국제기구 본부가 위치한 국제적인 도시이다.
토르스하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공식 명칭 | 토르스하운 |
별칭 | 하운 |
위치 | 페로 제도 스트레이모이 섬 |
행정 구역 | |
국가 | 덴마크 왕국 |
구성국 | 페로 제도 |
지방 자치체 | 토르스하운 지방 자치체 |
정부 | |
시장 | 헤딘 모르텐센 |
소속 정당 | 야브나다르플로쿠린 |
설립 | |
설립일 | 9세기 |
시권 획득 | 1909년 |
면적 | |
인구 | |
인구 (2024년 1월 기준) | 14,099명 |
도시 인구 | 23,194명 |
지리 | |
해발 고도 | 24m |
시간대 | |
시간대 | WET |
협정 세계시 (UTC) 오프셋 | ±00:00 |
하계 시간 (DST) | WEST |
협정 세계시 (UTC) 오프셋 (DST) | +01:00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FO-100, FO-110 |
기후 | Cfc |
웹사이트 | 토르스하운 공식 웹사이트 |
2. 어원
토르스하운은 북유럽 신화의 신 토르의 이름과 항구를 뜻하는 '하운(havn)'이 합쳐진 이름으로, "토르의 항구"라는 의미를 가진다. 도시의 문장 역시 토르가 사용하는 망치인 묠니르를 형상화한 것이다.
노르웨이 왕국의 하랄 1세의 압정을 피해 9세기에 이주가 시작되었으며, 바이킹들은 825년 팅가네스에 독자적인 의회(ting)를 설립했다. 바이킹 시대가 끝난 1035년 이후 이곳은 시장이 들어서 무역 중심지로 변모했고, 1271년에는 노르웨이 왕실의 무역 독점소가 설치되어 베르겐과의 무역 거점이 되었다.
3. 역사
1539년에는 프로테스탄트 개혁 운동이 일어났고, 잦은 해적 약탈에 대응하기 위해 1590년 항구 북쪽에 요새가 건설되었다. 17세기에는 덴마크 정치가 크리스토퍼 괴벨 가문의 억압적인 통치 시기를 겪었으며, 1709년 무역이 왕실 관리로 돌아왔으나 같은 해 천연두 창궐로 도시 인구 대부분이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18세기 후반 영불 전쟁 시기 영국과의 밀수를 통해 재건의 기반을 마련했다.
1856년 자유 무역 시대가 열리면서 페로 제도의 경제 중심지로 발돋움했으며, 1866년 시의회가 설립되어 행정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확립했다. 1909년에는 덴마크 본토 도시와 같은 시장 제도가 도입되었고, 1927년에는 현대적인 항만 시설이 건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의 덴마크 침공 이후 영국의 발렌타인 작전에 따라 영국군 점령 하에 놓였다. 전후에는 주변 마을들을 합병하며 현재의 모습으로 성장했다.
3. 1. 초기 역사
페로 제도의 최초 정착민으로 추정되는 아일랜드 수도승들이 토르스하운 지역에 관심을 가졌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9세기에 이르러 노르웨이 왕국의 하랄 1세 통치를 피해 온 바이킹들이 페로 제도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섬 곳곳에 '팅(주민총회)'이라는 자체 의회를 세웠는데, 특정 지역에 이점이 쏠리는 것을 막기 위해 전통적으로 중립적이고 사람이 살지 않는 곳에서 팅을 열었다. 페로 제도의 주요 팅은 825년 토르스하운의 팅아네스(Tinganes)[3]에서 처음 소집되었다고 전해진다. 팅아네스는 항구를 동쪽의 에이스타라바우그(Eystaravág)와 서쪽의 베스타라바우그(Vestaravág)로 나누는 반도이다.
바이킹 정착민들은 섬의 중심부인 팅아네스의 평평한 바위에서 매년 여름 회의를 열었다. 당시 팅아네스에는 사람이 살지 않았는데, 이는 의회의 중립성을 지키기 위함이었다. 페어링가 사가(Færeyinga Saganon)에는 "페로 제도인들의 팅 장소는 스트레이모이(Streymoy)에 있었고, 그곳에 토르스하운이라 불리는 항구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바이킹 시대는 1035년에 막을 내렸고, 이후 팅이 열리던 장소에는 시장이 들어서 점차 상설 무역 중심지로 발전했다.
중세 시대 내내 바다로 뻗은 좁은 팅아네스 반도가 토르스하운의 중심이었다. 이 땅은 두 농부가 공동으로 소유했으며, 다른 페로 제도 마을들과 달리 토르스하운은 자급자족하는 농업 공동체가 아니었다. 12세기에는 노르웨이와 페로 제도, 그리고 서쪽의 다른 섬들 간의 모든 무역이 베르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1271년 노르웨이 왕실은 토르스하운에 왕실 무역 독점권을 설정했다. 기록에 따르면 당시 두 척의 배가 정기적으로 베르겐과 토르스하운 사이를 오가며 소금, 목재, 곡물 등을 실어 날랐다. 이로 인해 토르스하운은 다른 마을보다 외부 세계와의 교류가 활발했다. 노르웨이와 이후 덴마크의 지배 아래 정부 관리들이 토르스하운에 거주하게 되면서, 팅의 중심지라는 점과 더불어 도시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539년에는 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루터교가 도입되었다. 16세기 후반 잦은 해적의 약탈에 대응하기 위해 1590년 항구 북쪽 끝에 작은 요새 스칸신(Skansin)이 건설되었다. 토지 없는 빈민층이 식량과 의복을 제공받는 대가로 경비 업무를 맡았다.
1655년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3세 국왕은 페로 제도를 정치가 크리스토퍼 가벨(Christoffer Gabelda)과 그의 사위 페테르 레세르Peter Leisserda에게 봉토로 하사했다. 가벨 가문은 섬 주민들을 억압하고 무역 이익을 독점했으며 수입품 가격을 인상하는 등 착취를 일삼았다. 이에 대한 불만이 쌓여 1673년에는 주민들이 봉기하여 팅아네스의 창고 건물이 불타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1709년 왕실이 무역 독점권을 회수하면서 섬은 안정을 되찾는 듯했다. 코펜하겐에서 1년에 세 차례 생필품을 실은 배가 들어왔다. 하지만 같은 해 천연두가 크게 유행하여 토르스하운 주민 300명 중 250명이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도시는 18세기 후반에 들어서야 본격적인 재건을 시작했다. 특히 나폴레옹 전쟁 시기 영국과의 밀수를 통해 상당한 이익을 얻으면서 수산물 중심의 무역 기반을 다지게 되었다. 1856년 마침내 왕실 무역 독점제가 폐지되면서 페로 제도는 자유 무역 시대를 맞이했다.
1866년 토르스하운 시의회가 설립되었고, 페로 제도의 뢰그팅(Løgting)이 이곳에 자리 잡으면서 명실상부한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1909년에는 덴마크 본토 도시들과 같은 지위를 인정받아 시장(Mayor) 제도가 도입되었다. 1927년에는 대대적인 항만 확장 공사를 통해 현대적인 항구 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1940년 4월 나치 독일이 덴마크를 점령하자, 영국은 발렌타인 작전(Operation Valentineeng)을 통해 전략적으로 중요한 페로 제도를 선제적으로 점령했다. 이로써 토르스하운을 포함한 페로 제도는 전쟁 기간 동안 영국의 군정 하에 놓였다.
3. 2. 중세 시대
9세기 노르웨이 왕국의 하랄 1세의 통치를 피해 페로 제도로 이주한 바이킹 정착민들은 섬 곳곳에 '팅(Thing)'이라 불리는 자체 의회를 세웠다. 페로 제도의 주요 팅은 825년 토르스하운의 팅아네스[3](Tinganes)에서 처음 소집되었다고 전해진다. 팅아네스는 항구를 동쪽의 에이스타라바우그(Eystaravág)와 서쪽의 베스타라바우그(Vestaravág)로 나누는 반도이다. 당시 바이킹들은 특정 지역에 이점을 주지 않기 위해 중립적이고 사람이 살지 않는 곳에서 팅을 열었는데, 팅아네스 역시 섬의 중심부에 위치했지만 정착촌은 없었다. 바이킹 정착민들은 매년 여름 이곳의 평평한 바위에 모여 회의를 열었다. 페어링가 사가(Færeyinga Saga)에는 "페로 제도인들의 팅 장소는 스트레이모이(Streymoy)에 있었고, 그곳에 토르스하운이라 불리는 항구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1035년 바이킹 시대가 끝나면서 팅이 열리던 장소에는 시장이 들어섰고, 점차 영구적인 무역 지역으로 발전했다. 중세 시대 내내 바다로 뻗은 이 좁은 반도가 토르스하운의 중심이었으며, 이 땅은 두 농부가 공동으로 소유했다. 다른 페로 제도 마을들과 달리 토르스하운은 독립적인 농업 공동체는 아니었다.
12세기에 들어서면서 노르웨이와 페로 제도, 그리고 서쪽의 다른 섬들 사이의 모든 무역은 노르웨이의 베르겐(Bergen)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1271년 노르웨이 왕실은 토르스하운에 왕실 무역 독점권을 설정했다. 같은 해 기록에 따르면, 두 척의 배가 정기적으로 베르겐에서 토르스하운으로 소금, 목재, 곡물 등을 실어 날랐다. 이로 인해 토르스하운은 다른 마을보다 외부 세계와의 교류가 활발했다. 이후 노르웨이와 덴마크의 지배를 받으면서 정부 관리들이 토르스하운에 거주하게 되었고, 이곳이 페로 제도 팅의 중심지였다는 점과 맞물려 도시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3. 3. 16세기 ~ 18세기
1539년 종교 개혁 이후까지 토르스하운에 건물이 집중된 지역이 있었다는 기록은 없다. 1580년경 페로 제도의 해군 영웅이자 상인인 마그누스 헤이나손(Magnus Heinason)이 항구 북쪽 끝에 작은 요새인 스칸신(Skansin)을 건설했으며, 이후 팅가네스(Tinganes)에도 소규모 요새가 들어섰다.
1584년 토르스하운의 인구는 101명이었다. 인구는 농부와 그 가족 및 하인, 무역 및 정부 관리, 그리고 토지가 없어 다른 소유물도 거의 없는 사람들로 구성된 세 개의 거의 같은 크기의 집단으로 나뉘었다. 이 마지막 집단에는 일자리를 찾아 토르스하운으로 온 마을 출신의 토지 없는 프롤레타리아도 포함되었다. 그들은 무보수로 스칸신에서 경비 임무를 맡았고, 의류와 음식은 농부들의 지원에 의존해야 했다.
1655년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3세는 페로 제도를 그의 총애받는 정치가 크리스토퍼 가벨(Kristoffer Gabel)에게 하사했다. 가벨 가문(von Gabel Family)의 통치(1655년~1709년)는 ''가블라티딘(Gablatíðin)''으로 알려져 있으며, 토르스하운 역사상 가장 어두운 시기로 평가받는다. 가벨 행정부는 여러 방법으로 섬 주민들을 억압했다. 무역 독점권은 가문이 장악했으며, 페로 제도 사람들의 필요는 고려되지 않았다. 전국에서 사람들이 상품을 도시로 가져왔지만 정당한 가격을 받지 못했고, 수입품은 제한적이고 비쌌다. 토르스하운의 행정에서 불공정한 대우를 받았다는 섬 주민들의 불만이 상당했으며, 이는 독점 무역 담당자뿐 아니라 집정관 등에게도 향했다. 이 시기인 1673년에는 팅가네스에 보관된 화약이 폭발하여 화재가 발생했고, 많은 오래된 집과 함께 가벨의 문서 및 오래된 페로 제도 기록들이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다.
1709년 무역 독점이 덴마크 왕실 무역 독점으로 전환되면서 토르스하운의 상황은 다소 개선되었다. 왕실 무역 독점은 1년에 세 번 코펜하겐에서 물품을 공급받았다. 그러나 같은 해 토르스하운은 천연두 전염병의 타격을 입어 거의 모든 인구가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전염병 발생 전 도시 인구는 300명에 달했으나, 250명의 주민이 이 질병으로 사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세기 후반에 토르스하운은 작은 도시로 다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는 닐스 뤼베르그(Niels Ryberg)가 무역 독점을 담당했던 시기와 맞물린다. 1768년부터 20년 동안 뤼베르그는 프랑스와 영국 간의 분쟁 상황을 이용하여 주로 영국으로의 밀수에 기반한 중개 무역을 활발히 벌였다. 이 시기 토르스하운의 창고는 상품으로 가득 찼다고 전해진다. 뤼베르그는 또한 이후 페로 제도의 가장 중요한 경제 요인이 되는 어업에서 재정적 이익을 얻으려는 시도를 처음으로 한 인물이다. 그는 소금에 절인 대구와 청어 생산을 실험했지만, 당시에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토르스하운 대성당은 1788년에 처음 건설되었고, 이후 1865년에 부분적으로 재건축되었다. 1990년부터는 페로 제도 교회의 주교좌 성당이 되었다.
3. 4. 19세기 ~ 현재
1808년 3월 30일, 영국-덴마크 포함 전쟁 중에 영국 해군의 클리오호(HMS Clio)가 토르스하운에 진입하여 스칸신(Skansin) 요새를 잠시 점령했다. 상륙대가 접근하자 요새는 저항 없이 항복했고, 클리오호 선원들은 요새의 18파운드포 8문을 파손하고 다른 소구경포와 무기를 모두 가져간 후 철수했다. 같은 해 5월 6일 직후에는 "바론 폰 험페슈(Baron von Hompesch)"라는 이름을 사용한 독일 사략선이 방비가 허술해진 도시를 약탈하고 덴마크 왕실 독점 재산을 압류하기도 했다.
1856년, 페로 제도에 자유 무역이 도입되면서 세계와의 교류가 활발해졌고, 이는 페로 제도 경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토르스하운은 이러한 변화의 중심지가 되었다.[4]
1866년에는 토르스하운 시의회가 설립되었고, 이때부터 토르스하운은 페로 제도의 수도가 되었다. 1909년에는 덴마크의 시장 마을과 같은 지방 자치 헌장을 가진 시장 마을로 지정되었다. 1913년, 덴마크 국회(Folketing)는 토르스하운 항구 건설을 위해 81만 크로네를 지원했다. 당시 현지 파도는 3m 높이였고, 수역은 얼지 않았으며 조수 간만의 차는 0.3m였다. 서쪽에서 불어오는 폭풍은 산의 완만한 동쪽 경사면 덕분에 완화되었다. 다른 항구들도 총 건설비의 80%에 해당하는 160만 크로네의 지원을 받았다.[5] 1927년, 토르스하운에는 현대식 항구가 건설되어 더 큰 선박들이 정박할 수 있게 되었다.[6]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이 페로 제도를 점령(발렌타인 작전)했을 때, 스칸신 요새는 영국 해군 사령부의 본부로 사용되었으며, 이전에 퓨리어스호(HMS Furious)에 탑재되었던 5.5인치 함포 2문이 배치되었다.[7]
전후 토르스하운은 행정 구역을 확장하며 성장했다. 1974년에는 인근 마을인 호이비크(Hoyvík)와 흐비타네스(Hvítanes)가 토르스하운 시에 편입되었다. 이후에도 여러 지방 자치 단체들이 합류했는데, 1978년에는 칼드바크(Kaldbak), 1997년에는 아르기르(Argir), 2001년에는 콜라피외르뒤르(Kollafjørður), 그리고 2005년에는 키르큐뵈르(Kirkjubøur), 헤스투르(Hestur), 놀쇠(Nólsoy)가 차례로 토르스하운 시에 통합되었다. 현재 토르스하운은 이러한 주변 마을 합병을 통해 활기찬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4. 기후
토르스하운은 아극지 해양성 기후 (Cfc)를 보이며, 북대서양 해류 (특히 멕시코 만류의 영향)로부터 강한 온화 효과를 받는다.[21][22][23] 겨울에는 아이슬란드 저기압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흐리고 폭풍우 치는 날씨가 잦다. 구름이 많고 주변 바다가 얼지 않아 겨울 기온이 위도에 비해 매우 온화하며, 낮 기온은 보통 6°C 정도이다. 그러나 여름 기온은 비슷한 위도의 스칸디나비아에서 발견되는 기온보다 훨씬 낮으며, 가장 더운 달의 일일 최고 기온은 13°C를 겨우 넘는다. 온화한 기후 때문에 기온 차도 매우 작다. 1961년부터 2021년까지 기록된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의 차이는 33°C에 불과하다. 영하의 기온은 여름이 아닌 달에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지만, 겨울에도 일평균 최저 기온은 0°C를 웃돈다.
월평균 강수량은 아이슬란드 저기압의 활동으로 인해 가을과 겨울에 가장 높으며, 1월에 최고치를 기록한다. 반면 5월, 6월, 7월은 현저하게 건조하지만 여전히 상당한 강수량을 기록한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해수 온도 °C | 7°C | 6.6°C | 6.8°C | 7°C | 7.6°C | 8.5°C | 9.8°C | 10.5°C | 10.4°C | 9.8°C | 8.8°C | 8°C | 8.4°C |
출처: Seatemperature.net[11] |
5. 정치와 행정
토르스하운은 페로 제도의 수도로서, 자치 정부의 중심지이다. 페로 제도 정부는 지방 행정에 대한 권한을 가지며, 정부 청사의 일부와 총리실은 토르스하운의 팅가네스 반도에 자리 잡고 있다. 과거 내무부도 이곳에 있었으나 2013년에 폐쇄되었다. 다른 정부 부처들은 토르스하운 시내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보건부[12]와 사회복지부[13]는 에이라르가르뒤르의 페로 제도 병원 근처에 있으며, 재무부는 아르기르의 크비그야르툰 거리에 위치한 알베르트 홀 건물에 있다.[14] 원래 팅가네스에 있던 의회인 뢰팅은 1856년 바글리드 시청 광장으로 이전했다.
토르스하운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관 및 시설들이 있다.
기관/시설 | 설명 |
---|---|
뢰팅(Løgtingið)과 란스튀리(Landstýrið) | 페로 제도의 의회 및 정부 (모든 국가 기관 포함) |
크링바르프 푀로야(Kringvarp Føroya) | 페로 제도의 공영 방송국 (TV 및 라디오) |
페뢰 제도 대학교(University of the Faroe Islands) | 국가 기록 보관소, 항해 학교, 교원 양성 대학 등과 인접 |
포스트베르크 푀로야(Postverk Føroya) | 페로 제도의 우정청 |
총영사관 | 여러 국가, 특히 모든 북유럽 국가와 다수 EU 국가[17] |
푀로야 스투덴타스쿠리 오그 HF-스케이(Føroya Studentaskúli og HF-Skeið) | 페로 제도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고등학교 (토르스하운 외곽 위치) |
5. 1. 토르스하운 시장
wikitext번호 | 시장 (정당) | 임기 | |
---|---|---|---|
style="background-color:;" | | 1. | 폴 미켈센 (A) | 1980-1991 |
style="background-color:;" | | 2. | 리스베스 L. 페테르센 (B) | 1991-1997 |
style="background-color:#C8D300;" | | 3. | 레이부르 한센 (E) | 1997-2001 |
style="background-color:;" | | 4. | 얀 크리스티안센 (A) | 2001-2005 |
style="background-color:;" | | 5. | 헤딘 모르텐센 (C) | 2005-2016 |
style="background-color:;" | | 6. | 아니카 올센 (A) | 2016-2020 |
style="background-color:;" | | 7. | 헤딘 모르텐센 (C) | 2020-2024 |
style="background-color:#C8D300;" | | 8. | 엘사 베르그 (E) | 2024- |
6. 스포츠
수도인 토르스하운은 페로 제도의 스포츠 중심지이다. 가장 큰 스포츠 센터는 토르스하운의 군다달루르 지역에 있다. 또한, 가장 큰 축구 경기장인 토르스뵈이뤼르도 이곳에 있으며 6,000명의 관중을 수용할 수 있다. 이 경기장은 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된다. 도시 주변에는 축구장 두 곳, 실내 테니스장, 배드민턴장 및 수영장도 있다.
토르스하운에는 여러 축구 클럽이 있으며, 그중 HB 토르스하운, B36 토르스하운, 아르가 볼트펠라그 세 팀은 페로 제도 프리미어리그 소속이다. 그 외 축구 클럽으로는 놀쇠를 연고로 하는 FF 기자, FC 호이비크, 운드리드 FF 등이 있다.
핸드볼은 토르스하운에서 두 번째로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이 도시의 핸드볼 팀으로는 킨딜, 네이스틴, 이트로트펠라기드 H71이 있으며, 페로 제도 남자 핸드볼 국가대표팀도 이곳에서 훈련한다.
팀 | 창립 연도 | 홈페이지 |
---|---|---|
Kyndil | 1956 | 홈페이지 |
Neistin | 1978 | 홈페이지 |
H71 | 1971 |
토르스하운에는 하브나르 로드라르펠라그와 로드라르펠라기드 크뇌뤼르 등 여러 조정 클럽도 있다.[15]
매년 7월에는 페로 제도 전역에서 도로 자전거 경주인 페로 제도 투어가 열린다. Kring Føroyar|크링 푀로이알르fo(페로 제도 일주)라고 불리는 이 경주는 클락스빅에서 시작하여 토르스하운에서 끝난다.[16]
7. 교통
토르스하운 항구는 스미릴 라인(Smyril Line)이 운항하는 국제 페리 서비스를 통해 덴마크와 아이슬란드와 연결된다. 또한, 항구는 페로 제도 내에서 란드시나 스트란드파라스키프(Strandfaraskip Landsins)가 운영하는 국내 페리 서비스에도 이용되며, 주로 트뵈로이리(Tvøroyri) 노선이 운행된다.
도시에는 부슬레이딘(Bussleiðin)이라는 지역 버스 네트워크가 운행되며, 빨간색 차량으로 쉽게 알아볼 수 있다. 부슬레이딘은 총 5개의 노선을 운영하며, 군두르스 부사르 P/F(Gundurs Bussar P/F)가 계약 하에 운영하고 있다. 토르스하운 내 버스는 2007년부터 무료로 운행되고 있다. 이 외에도 해안가에는 헬리패드가 있다.
토르스하운이 위치한 스트레이모이 섬에는 공항이 없으며, 인근 보알 섬에 있는 보알 공항을 이용해야 한다. 두 섬 사이에는 해저터널이 완공되어 있어 차량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8. 관광
- 팅아네스: 도시의 구시가지로, 여전히 잔디 지붕으로 덮인 작은 목조 주택들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오래된 주택은 500년 전의 것이다.
- 토르스하운 대성당: 1788년에 설립되어 1865년에 재건된 교회로, 페로 제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되었다. 1990년부터 루터교 토르스하운 주교좌가 설치되어 있다.
- 토르스하운 항구.
- 스칸신 요새: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적인 유적지이다.
- 리스트사븐 푀로야(Listasavn Føroya): 페로 제도 미술관이다.
- 베스투르키르칸: 한스 파울리 올센(Hans Pauli Olsen)의 야외 예술 작품이 있는 교회이다.
- 페로 제도 노르딕 하우스: 페로 제도에서 가장 중요한 문화 기관 중 하나이다.
- 역사 박물관: 호이비크에 위치하며 다양한 역사적 보물들을 소장하고 있다.
- 자연사 박물관: 150여 종의 페로 제도 식물이 있는 작은 식물원을 갖추고 있다.
- 닐스 핀센 거리(Niels Finsens gøtafo): 토르스하운 유일의 보행자 전용 거리이다.
9. 자매 도시
토르스하운의 자매 도시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municipalities and villages
https://hagstova.fo/[...]
[2]
웹사이트
Tórshavn Municipality
http://www.torshavn.[...]
[3]
웹사이트
Sightseeing
http://old.visitfaro[...]
2021-04-08
[4]
웹사이트
History and politics
https://www.studyinf[...]
2022-06-26
[5]
간행물
Havne paa Færøerne
http://www.e-pages.d[...]
Ingeniøren
1913-09-27
[6]
서적
Tórshavn, vár miðstøð og borg II. Tekningar úr Havn
Forlagið í Støplum
[7]
웹사이트
British 5.5"/50 (14 cm) BL Mark I
http://www.navweaps.[...]
[8]
웹사이트
Monthly means and extremes 1961–1990 and 1981–2010 for air temperature, atmospheric pressure, hours of bright sunshine and precipitation–Denmark, The Faroe Islands and Greenland
http://www.dmi.dk/fi[...]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11-01
[9]
웹사이트
Klimanormaler for Færøerne
http://www.dmi.dk/ve[...]
2021-11-25
[10]
웹사이트
Normales et records pour la période 1991-2020 à Thorshavn
https://www.infoclim[...]
2021-11-25
[11]
웹사이트
Tórshavn Sea Temperature
https://seatemperatu[...]
2023-04-25
[12]
웹사이트
Ministry of Health Affairs
http://www.governmen[...]
[13]
웹사이트
Ministry of Social Affairs
http://www.governmen[...]
[14]
웹사이트
Ministry of Finance
http://www.governmen[...]
[15]
웹사이트
ISF.fo Faroese confederation of sports and Olympic committee
http://www.isf.fo/?p[...]
[16]
웹사이트
Effo Kring Føroyar (Tour de Faroe)
http://tsf.fo//tour+[...]
[17]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EmbassyPages.com
https://www.embassyp[...]
2023-12-27
[18]
뉴스
Daniel J Danielsen – a pioneering humanitarian who helped Roger Casement expose the horror of Belgian rule in the Congo
http://www.irishtime[...]
2014-12-14
[19]
웹사이트
Torshavn.fo, Vina- og samstarvsbýir
http://www.torshavn.[...]
[20]
웹사이트
Mariehamns stads vänorter
http://www.mhbibl.al[...]
[21]
웹사이트
Monthly means and extremes 1961–1990 and 1981–2010 for air temperature, atmospheric pressure, hours of bright sunshine and precipitation–Denmark, The Faroe Islands and Greenland
http://www.dmi.dk/fi[...]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15-01-18
[22]
웹사이트
TORSHAVN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2-11-15
[23]
웹사이트
Sunshine data for Tórshavn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2-11-15
[24]
웹인용
Monthly means and extremes 1961–1990 and 1981–2010 for air temperature, atmospheric pressure, hours of bright sunshine and precipitation–Denmark, The Faroe Islands and Greenland
http://www.dmi.dk/fi[...]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15-01-18
[25]
웹인용
DMI Report 18–19: Climatological Standard Normals 1981–2010 Denmark, The Faroe Islands and Greenland Based on Data Published in DMI Reports 18–08, 18–04 and 18–05
https://www.dmi.dk/f[...]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19-02-09
[26]
웹인용
The Climate of The Faroe Islands with Climatological Standard Normals, 1961–1990
https://www.dmi.dk/f[...]
Da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2019-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