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박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박풀(Hibiscus trionum)은 높이 20~50cm까지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흰색 또는 노란색 꽃에 보라색 중심부를 가지고 있다. 꽃은 타가 수분과 자가 수분을 통해 씨앗을 맺으며, 꽃의 줄무늬가 무지갯빛을 생성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수박풀이 가시적이고 측정 가능한 무지갯빛을 띠며, 파란색 후광 효과를 통해 곤충의 먹이 획득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궁화족 - 부용
부용은 8~10월에 연분홍색 또는 흰색의 큰 꽃을 피우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무궁화와 비슷하지만 꽃과 잎이 더 크고 시간에 따라 꽃 색깔이 변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과거에는 섬유 자원으로도 이용되었다. - 무궁화족 - 무궁화속
무궁화속은 아욱과에 속하는 속씨식물로, 전 세계 열대, 아열대,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다채로운 색깔의 꽃과 함께 관상용, 식용, 약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무궁화, 부용, 미국부용, 로젤 등의 종이 있다. - 이스라엘의 식물상 - 아네모네
아네모네 코로나리아는 지중해 연안 원산의 미나리아재비과 다년생 구근 식물로, 다양한 색상의 꽃이 피어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이스라엘의 국화이자 팔레스타인을 상징하는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이스라엘의 식물상 - 알레포소나무
알레포소나무는 지중해 연안에 자생하며 붉은 나무껍질과 얇은 잎을 가진 6~25m 크기의 침엽수로, 방풍림 조성이나 레치나 와인 향료로 쓰이나 일부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 - 레바논의 식물상 - 아네모네
아네모네 코로나리아는 지중해 연안 원산의 미나리아재비과 다년생 구근 식물로, 다양한 색상의 꽃이 피어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이스라엘의 국화이자 팔레스타인을 상징하는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레바논의 식물상 - 알레포소나무
알레포소나무는 지중해 연안에 자생하며 붉은 나무껍질과 얇은 잎을 가진 6~25m 크기의 침엽수로, 방풍림 조성이나 레치나 와인 향료로 쓰이나 일부 지역에서는 외래종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
| 수박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학명 | Hibiscus trionum L. |
| 이명 | Hibiscus dissectus Wall. Hibiscus vesicarius Cav. Ketmia trionum (L.) Scop. Trionum annuum Medik. Trionum trionum (L.) Wooton & Standl. |
| 다른 이름 | 꽃 한 시간, 방광 히비스커스 |
| 한국어 이름 | 수박풀 |
2. 식물학적 특징
수박풀은 타가 수분과 자가 수분이 모두 가능하다. 개화 후 처음 몇 시간 동안은 암술머리가 꼿꼿하게 서 있어 다른 식물로부터 꽃가루를 받기 쉽지만, 꽃가루를 받지 못하면 암술이 구부러져 같은 꽃의 수술과 접촉하여 자가 수분을 한다.[3] 타가 수분이 자가 수분보다 더 잘 자라는 경향이 있지만,[4] 이러한 자가 수분 능력은 수박풀이 다양한 환경에서 번성하는 데 기여했을 수 있다.[5]
초기 연구에서는 꽃 표면의 인공 복제품에서 벌이 인식할 수 있는 무지갯빛이 나타난다고 보았으나,[6] 이후 연구에서는 식물 세포와 표면 불규칙성으로 인해 줄무늬의 주기성이 불규칙하여 뚜렷한 무지갯빛을 생성하지 못한다고 제안했다.[7][8] 따라서 무지갯빛은 사람과 꽃을 찾는 곤충에게 보이지 않는다고 보았다.[9][10]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이 꽃이 가시적이고 측정 가능한 무지갯빛을 띤다는 증거를 제시하며,[11] 줄무늬가 특히 짧은 파장에서 강한 빛 산란을 생성하여 약한 무지갯빛과 '파란색 후광' 효과를 만들어낸다고 설명한다.[12] 이 파란색 산란은 실험 환경에서 뒤영벌의 먹이 획득 효율을 증가시키지만,[12] 이것이 실제 자연 환경에서 어떤 이점을 주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1][11]
2. 1. 형태 및 크기
수박풀은 높이가 20cm에서 50cm까지 자라며, 때로는 80cm를 넘기도 한다. 흰색 또는 노란색 꽃에 보라색 중심부를 가지고 있다. 꽃의 깊게 색소 침착된 중심부에는 줄무늬가 있는데, 이는 회절 격자 역할을 하여 무지개빛을 생성하는지에 대한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수분된 씨방은 동양식 종이 등불처럼 보이며, 너비가 25mm 미만이고, 옅은 녹색에 보라색 하이라이트가 있다.[3]
2. 2. 수분
수박풀(''Hibiscus trionum'')은 타가 수분과 자가 수분을 모두 할 수 있는 식물이다. 꽃이 피고 처음 몇 시간 동안은 암술머리가 꼿꼿하게 서 있어 다른 식물의 꽃가루를 받기 쉽다. 만약 이 때 꽃가루를 받지 못하면 암술이 구부러져 같은 꽃의 수술과 접촉하여 자가 수분을 한다.[3] 타가 수분을 하는 식물이 자가 수분을 하는 식물보다 더 잘 자라지만,[4] 이러한 자가 수분 기능은 수박풀이 다양한 환경에서 번성하는데 기여했을 것으로 보인다.[5]2. 3. 광학적 특성
수박풀 꽃잎의 줄무늬는 불규칙하여 약한 무지갯빛과 '파란색 후광' 효과를 만들어낸다.[12] 이 파란색 산란은 실험 환경에서 뒤영벌의 먹이 획득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12] 이것이 실제 자연 환경에서 어떤 이점을 주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1][11]2. 3. 1. 무지갯빛 논란
초기 연구에서는 꽃 표면의 인공 복제품에서 벌이 인식할 수 있는 무지갯빛이 나타난다고 보고했다.[6]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는 식물 세포와 표면의 불규칙성 때문에 줄무늬의 주기성이 너무 불규칙하여 뚜렷한 무지갯빛을 생성하지 못한다고 제안했다.[7][8] 따라서 이러한 무지갯빛은 사람과 꽃을 찾는 곤충에게 보이지 않는다고 보았다.[9][10]하지만 더 최근의 논문에서는 이 꽃이 가시적이고 측정 가능한 무지갯빛을 띤다는 증거를 제시했다.[11] 줄무늬가 특히 짧은 파장에서 강한 빛 산란을 생성할 만큼 불규칙하여 약한 무지갯빛과 '파란색 후광'(후광이 주요 가시적 효과)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2] 또한 파란색 산란이 실험 환경에서 뒤영벌의 먹이 획득 효율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입증되었지만,[12] 이 효과가 실제 현장에서 의미 있는 이점으로 이어지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11]
2. 3. 2. 파란색 후광 효과
초기 연구에서는 꽃 표면의 인공 복제품에서 벌이 인식할 수 있는 무지갯빛이 나타난다고 보고했다.[6]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는 식물 세포와 표면의 불규칙성 때문에 줄무늬의 주기성이 너무 불규칙하여 뚜렷한 무지갯빛을 생성하지 못한다고 제안했다.[7][8] 따라서 이러한 무지갯빛은 사람과 꽃을 찾는 곤충에게 보이지 않는다고 보았다.[9][10]최근 연구에서는 이 꽃이 가시적이고 측정 가능한 무지갯빛을 띤다는 증거를 제시하며,[11] 줄무늬가 특히 짧은 파장에서 강한 빛 산란을 생성할 만큼 불규칙하여 약한 무지갯빛과 '파란색 후광'(후광이 주요 가시적 효과)을 만들어낸다고 설명했다.[12] 또한, 파란색 산란이 실험 환경에서 뒤영벌의 먹이 획득 효율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입증되었지만,[12] 이 효과가 실제 자연 환경에서도 의미 있는 이점으로 이어지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11]
3. 사진
이 섹션에서는 수박풀의 다양한 모습을 담은 사진 자료를 볼 수 있다. 이 사진들은 대부분 튀르키예 안탈리아에서 촬영되었으며, 일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촬영되었다.
3. 1. 식물 형태

3. 2. 꽃
3. 3. 열매
수박풀의 열매는 부풀어 오른 꽃받침 안에 있으며, 성숙하면 여러 조각으로 나뉜다.
3. 4. 잎
수박풀의 잎은 윗면과 아랫면을 가지고 있다. 꽃의 옆면에는 밑부분의 작은꽃받침과 윗부분의 잎이 보인다.3. 5. 줄기
수박풀은 한해살이풀로 줄기 밑부분에 거친 털이 있다.참조
[1]
웹사이트
The Plant list: 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http://www.theplantl[...]
[2]
GRIN
2018-01-02
[3]
학술지
Reversible curvature of style branches of Hibiscus trionum L., a pollination mechanism
[4]
학술지
Delayed autonomous selfing and inbreeding depression in the Australian annual Hibiscus trionum var. Vesicarius (Malvaceae)
[5]
학술지
Delayed selfing and low levels of inbreeding depression in Hibiscus trionum (Malvaceae)
[6]
학술지
Floral Iridescence, Produced by Diffractive Optics, Acts As a Cue for Animal Pollinators
[7]
서적
Nature's Palette: The Science of Plant Colo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7
[8]
학술지
Iridescent flowers? Contribution of surface structures to optical signaling
https://www.research[...]
[9]
학술지
Comment on "Floral Iridescence, Produced by Diffractive Optics, Acts As a Cue for Animal Pollinators"
[10]
학술지
Is floral iridescence a biologically relevant cue in plant-pollinator signaling?
https://www.research[...]
[11]
학술지
The flower of Hibiscus trionum is both visibly and measurably iridescent
https://www.reposito[...]
[12]
학술지
Disorder in convergent floral nanostructures enhances signalling to bees
https://www.reposit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