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레포소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레포소나무는 시리아의 알레포 지역에서 이름을 따온 소나무의 한 종류이다. 지중해 연안의 건조하고 더운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모로코, 스페인, 프랑스, 그리스 등지에 걸쳐 자생한다. 키는 6~25m, 나무줄기 지름은 최대 1m까지 자라며, 붉은색 수피와 얇은 잎을 가지고 있다. 멸종 위기에 처하거나 생태계를 교란하는 지역도 있으며, 방풍림, 관상수 등으로 재배된다. 목재보다는 땔감이나 숯으로 사용되며, 나뭇진은 향료로, 열매는 식재료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알레포소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분류
식물계
구과식물문
소나무강
소나무목
소나무과
소나무속
아속소나무아속
우산소나무절
아절해안소나무아절
알레포소나무
학명Pinus halepensis
학명 명명자Mill., 1768
일반 정보
영어 이름Aleppo Pine
그리스 수니온 자연공원의 알레포소나무
그리스 수니온 자연공원의 알레포소나무
보존 상태LC (최소 관심)
분포
분포 지도
분포 지도
이명

2. 이름

이름은 시리아 북부의 도시인 알레포에서 따왔다. 종소명 "할레펜시스(halepensis)"는 알레포의 아랍어 이름인 "할랍(حَلَب|할랍ar)"에서 유래했다.

3. 분포

건조하고 더운 지중해 연안 지역 바닷가의 양지바른 언덕이나 비탈에 분포한다.[19] 보통 수준원점에서 해발 200m 사이의 저고도 지대에 분포하지만, 스페인 남부에서는 해발 1000m, 크레타에서는 해발 1200m, 모로코와 알제리, 튀니지에서는 해발 1700m에 이르는 지역에까지 분포하기도 한다.[20]

알레포소나무의 자생지는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스페인에서 북쪽으로 남부 프랑스, 몰타,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알바니아까지 뻗어 있으며 동쪽으로는 그리스까지 이어진다. 시리아, 레바논, 남부 터키, 요르단, 이스라엘팔레스타인에도 외곽 개체군이 존재한다.

포르투갈의 알가르브와 스페인의 코스타브라바에서는 멸종위기에 처해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생태계를 교란하는 외래종이다. 지중해 지역의 모든 기질과 거의 모든 생물기후에서 자랄 수 있다.

4. 생태와 특징

알레포소나무는 키가 6~25m 정도 되는 침엽 소교목 또는 교목으로, 나무줄기 지름은 보통 60cm 정도이며, 아주 크게는 1m 정도에 이른다. 나무껍질은 붉은 색을 띠며, 줄기 아랫쪽에서는 깊은 균열이 생기고 윗쪽 가지에서는 얇게 벗겨진다.[20][21]

잎은 아주 얇으며, 길이는 5~12cm이고 연두색이나 밝은 녹색을 띤다. 마주나거나 드물게 3장씩 뭉쳐난다.[20][21]

암수한그루로, 암꽃과 수꽃이 같은 나무에 달린다. 열매는 반폐쇄성 구과로, 따뜻하고 산불이 없을 때만 열린다. 닫혀있을 때 길이 5~12cm, 너비 2~3cm 정도로 비교적 가늘다. 처음에는 녹색을 띠다가 24개월가량 지나면 적갈색으로 익는다. 이후 몇 년에 걸쳐서 천천히 열리는데, 다 열리면 너비가 5~8cm에 이른다. 는 길이가 5~6mm 정도이며, 길이 20mm 정도 되는 날개가 달려 있어 바람으로 수분된다.[20][21]

내한성이 약하며, 빗자루병에 걸리기 쉽다.

알레포소나무의 솔방울

5. 근연종

브루티아소나무(터키 소나무), 카나리아소나무, 해안소나무(해송)와 근연관계가 있으며, 여러 특징을 공유한다.[22] 일부 학자들은 브루티아소나무를 알레포소나무의 아종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별개의 종으로 간주된다.[7][8][4][6] 알레포소나무는 비교적 변이가 적은 종으로, 형태학적 특징이 전체 분포 범위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7]

6. 재배와 이용

토양 침식을 막아주는 방풍림으로 조성되며, 분재정원 가꾸기 등에 사용되는 왜성 품종을 개발하는 데도 이용된다.

목재로는 잘 쓰이지 않고, 주로 땔감으로 쓰거나 을 만든다.[21] 과거에는 갱목이나 침목, 전봇대로도 쓰였다.

나뭇진은 향료로 쓰기도 한다. 그리스에서는 나뭇진 포도주인 레치나를 만들 때 알레포소나무 진으로 향미를 낸다.

과 비슷한 열매가 식재료로 쓰이기도 한다. 튀니지에서는 후식인 아시다 즈꾸꾸를 만들 때 사용되는데, "즈꾸꾸(زقوقو|즈꾸꾸ar)"는 현지에서 알레포소나무를 부르는 이름이다. 몰타의 디저트 ''프린졸라타''에도 사용된다.

이스라엘에서는 알레포소나무가 유대 민족 기금(JNF)에 의해 널리 심어졌으며, 특히 네게브 북부의 야티르 숲에서 성공적으로 조림되었다.[12] 하지만, 일부에서는 자연적인 참나무 관목지와 가리지를 대체하여 "생태 사막"을 만들고, 이 지역의 종 구성을 크게 바꾸었다는 비판도 제기한다.[13]

알레포소나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유용하지만 침입종으로 간주된다. 남호주의 에어 반도에서는 통제 프로그램이 시행 중이다.

알레포소나무는 관상수로 인기가 많으며, 남부 캘리포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카루와 같이 덥고 건조한 지역의 정원, 공원 등에 널리 심어지고 있는데, 알레포소나무의 상당한 내열성, 가뭄 내성, 빠른 성장 속도, 미적 특성이 높이 평가받고 있다. 알제리와 모로코의 숲에서는 가장 주요한 수종 중 하나로 널리 식재되고 있다.

7. 문화

폴 세잔엑상프로방스에 있는 자신의 정원에 알레포소나무를 심었으며, 이는 그의 그림 《큰 나무》의 영감이 되었다.[15] 2005년 기준으로 그 나무는 여전히 세잔의 정원에 자라고 있다.[15]

참조

[1] 간행물 Pinus halepensis 2013
[2] 논문 Ontogeny of pine cone opening behaviour in the black rat, Rattus rattus https://dx.doi.org/1[...] 1992-08-01
[3] 웹사이트 The Gardener's Dictionary https://www.biodiver[...] biodiversitylibrary.org
[4] 문서 Le Pin d'Alep (Pinus halepensis Miller). Étude taxonomique, phytogéographique, écologique et sylvicole. 1962
[5] 문서 Gymnospermae 1997
[6] 서적 Ecology and Biogeography of Pinu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7] 서적 Pines. Drawings and Descriptions of the genus Pinus Brill, Leiden 2005
[8] 서적 Trees of Britain and Europe Collins 1999
[9] 웹사이트 Aleppo pine – Invasive Species South Africa https://invasives.or[...] null
[10] 논문 Aleppo and Brutia pines - Pinus halepensis/Pinus brutia http://www.euforgen.[...] 2003
[11] 논문 Classification of the Mediterranean lowland to submontane pine forest vegetation https://onlinelibrar[...] 2021-01
[12] 웹사이트 Development Site: Forestry - Aleppo pine https://web.archive.[...] 2006-10-02
[13] 논문 "Are Pinus halepensis plantations useful as a restoration tool in semiarid Mediterranean areas?" Elsevier 2004
[14] 웹사이트 Reducing Tear Out when Wood Planing http://www.evenfalls[...]
[15] 문서 Visions 2005-12
[16] 웹사이트 Pinus halepensis http://www.iucnredli[...] 1998
[17] 문서 The Gardeners Dictionary: eighth edition no. 8 1768
[18] 저널 https://dx.doi.org/1[...]
[19] 저널 http://www.euforgen.[...]
[20] 서적 https://archive.org/[...]
[21] 저널
[22] 서적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