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풀밭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숲풀밭쥐는 2010년 자야 등의 연구에 기초한 남아메리카밭쥐속에 속하는 종이다. 숲풀밭쥐 분지군에는 숲풀밭쥐, 폴롭풀밭쥐, 볼리비아풀밭쥐, 스페가찌니풀밭쥐가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1년 기재된 포유류 - 메데인작은귀땃쥐
- 1921년 기재된 포유류 - 술라웨시땃쥐
술라웨시땃쥐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북부와 중부에 서식하는 흰이땃쥐류 중에서 가장 작은 종 중 하나로, 해발 1,000m 이하의 열대 우림에서 주로 서식하며 IUCN에 의해 "관심 필요"로 평가되었다. - 목화쥐아과 - 단색올드필드쥐
- 목화쥐아과 - 계곡오시쿠도
계곡오시쿠도는 2008년 동물학자들이 학술적으로 명명한 설치류의 일종으로, 아르헨티나 투쿠만 주에서 발견된 LMC 7247 모식표본을 통해 알려졌다. - 올드필드 토머스가 명명한 분류군 - 티티원숭이
티티원숭이는 신세계원숭이의 소형 영장류로, 다양한 털 색깔을 지니고 물가 숲에 서식하며, 일부일처제 가족 무리를 이루고, 과일을 주식으로 섭취하며, 듀엣 소리로 의사소통하고, 과거 *Callicebus*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세 개의 속으로 나뉘며 종 수가 증가하였다. - 올드필드 토머스가 명명한 분류군 - 다산저녁쥐
| 숲풀밭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분류 | |
| 상태 | 최소 관심 (LC) |
| 상태 기준 | IUCN 3.1 |
| 학명 | Akodon sylvanus |
| 명명자 | Thomas, 1921 |
![]() | |
| 학문적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쥐목 |
| 아목 | 쥐아목 |
| 상과 | 쥐상과 |
| 과 | 비단털쥐과 |
| 아과 | 목화쥐아과 |
| 족 | 남아메리카밭쥐족 |
| 속 | 남아메리카밭쥐속 |
| 종 | 숲풀밭쥐 (A. sylvanus) |
| 학명 명명 | Thomas, 1921 |
| 기타 | |
| MSW3 Muroidea ID | 13000580 |
| 분포 | |
2. 계통 분류
남아메리카밭쥐속(`Akodon`)의 계통 분류는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7]를 통해 상세히 밝혀졌다. 이 연구는 유전 및 형태학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속 내 종들의 복잡한 진화적 관계를 제시하며, 남아메리카밭쥐속이 여러 분지군으로 나뉘어 진화해왔음을 보여준다.
해당 연구에 따른 구체적인 계통수와 각 분지군에 대한 설명은 하위 종 섹션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2. 1. 하위 종
남아메리카밭쥐속에는 다양한 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복잡한 계통 관계를 형성한다.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따르면, 이 속의 종들은 여러 분지군으로 나눌 수 있다.[7] 각 분지군과 소속 종들의 구체적인 계통 관계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다룬다.남아메리카밭쥐속에 포함되는 주요 종은 다음과 같다.[7]
- 테스피아풀밭쥐
- 코차밤바풀밭쥐
- 부딘풀밭쥐
- 흰배풀밭쥐
- 변덕풀밭쥐
- 타르타갈풀밭쥐
- 글라우키누스풀밭쥐
- 흰목풀밭쥐
- 부드러운털풀밭쥐
- 융가스풀밭쥐
- 운무림풀밭쥐
- 엘도라도풀밭쥐
- 콜롬비아풀밭쥐
- 파타고니아풀밭쥐
- 데이풀밭쥐
- 차코풀밭쥐
- 몰리나풀밭쥐
- 코르도바풀밭쥐
- 카파라오풀밭쥐
- 린드버그풀밭쥐
- 필립마이어스풀밭쥐
- 아자라풀밭쥐
- 저산대풀밭쥐
- 레이그풀밭쥐
- 파라나풀밭쥐
- 커서풀밭쥐
- 후닌풀밭쥐
- 코포드풀밭쥐
- 스모키풀밭쥐
- 알티플라노풀밭쥐
- 푸노풀밭쥐
- 단색풀밭쥐
- 숲풀밭쥐
- 폴롭풀밭쥐
- 볼리비아풀밭쥐
- 스페가찌니풀밭쥐
2. 1. 1. 테스피아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테스피아풀밭쥐는 코차밤바풀밭쥐와 부딘풀밭쥐로 이루어진 분기군과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다.[7] 이 분류에서 코차밤바풀밭쥐와 부딘풀밭쥐는 서로 가장 가까운 자매종 관계를 형성하며, 이 두 종을 합친 그룹이 테스피아풀밭쥐와 자매 그룹을 이룬다.[7]2. 1. 2. 흰배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반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7], 흰배풀밭쥐는 다음 4종으로 이루어진 분지군과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2. 1. 3. 부드러운털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부드러운털풀밭쥐 분지군은 부드러운털풀밭쥐, 융가스풀밭쥐, 운무림풀밭쥐, 엘도라도풀밭쥐, 콜롬비아풀밭쥐로 구성된다.[7] 이 분지군 내에서 운무림풀밭쥐와 엘도라도풀밭쥐는 서로 자매군 관계를 형성하며, 이 그룹은 부드러운털풀밭쥐, 융가스풀밭쥐, 콜롬비아풀밭쥐와 함께 해당 분지군을 이룬다.[7]2. 1. 4. 파타고니아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7], 파타고니아풀밭쥐 분지군은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를 형성한다. 이 분지군 내에서 파타고니아풀밭쥐가 가장 먼저 분기한다. 그 다음으로 데이풀밭쥐가 분기하며, 이후 차코풀밭쥐가 분기한다. 마지막으로 몰리나풀밭쥐와 코르도바풀밭쥐가 자매군을 이루며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2. 1. 5. 카파라오풀밭쥐 분지군
카파라오풀밭쥐 분지군은 카파라오풀밭쥐와 린드버그풀밭쥐 두 종으로 구성된다.[7]2. 1. 6. 필립마이어스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7], 필립마이어스풀밭쥐와 아자라풀밭쥐는 서로 가장 가까운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2. 1. 7. 저산대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7], 저산대풀밭쥐는 레이그풀밭쥐와 파라나풀밭쥐가 함께 이루는 분기군과 가장 가까운 관계이다. 이 세 종으로 이루어진 그룹은 커서풀밭쥐와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2. 1. 8. 후닌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후닌풀밭쥐 분지군은 다음과 같은 종들을 포함한다.[7] 이 분지군 내에서 후닌풀밭쥐는 코포드풀밭쥐와 스모키풀밭쥐로 이루어진 그룹과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2. 1. 9. 알티플라노풀밭쥐 분지군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알티플라노풀밭쥐 분지군은 다음과 같은 종들로 구성된다.[7] 이 분지군 내에서 알티플라노풀밭쥐가 가장 먼저 분기했으며, 푸노풀밭쥐와 단색풀밭쥐는 서로 가장 가까운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2. 1. 10. 숲풀밭쥐 분지군
다음은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서[7] 숲풀밭쥐 분지군에 해당하는 부분이다.참조
[1]
간행물
Akodon sylvanus
2016
[2]
논문
2010
[3]
논문
2005
[4]
간행물
Akodon sylvanus
[5]
기타
The Akodon boliviensis species group (Rodentia: Cricetidae: Sigmodontinae) in Argentina: species limits and distribution,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entity
http://www.mapress.c[...]
2010
[6]
서적
MSW3 Muroidea
[7]
논문
The Akodon boliviensis species group (Rodentia: Cricetidae: Sigmodontinae) in Argentina: species limits and distribution,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entity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