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커서풀밭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커서풀밭쥐는 몸길이 11~13cm, 꼬리 길이 8~11cm의 설치류로, 브라질 동부에서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북부에 걸쳐 분포한다. 겉모습이 유사한 저산대풀밭쥐와 구별하기 어려우나, 쓸개 유무와 핵형 분석, PCR 기반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잡식성 동물로 절지동물, 식물 씨앗 등을 먹으며, 육상 생활을 한다. 한타바이러스의 숙주이며, 세포주는 생의학 연구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8년 기재된 포유류 - 키트여우
    키트여우는 북아메리카 건조 지대에 서식하는 작은 여우로, 큰 귀를 가진 기회주의적 잡식성이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는 종이다.
  • 1888년 기재된 포유류 - 꽃얼굴박쥐
  • 목화쥐아과 - 단색올드필드쥐
  • 목화쥐아과 - 계곡오시쿠도
    계곡오시쿠도는 2008년 동물학자들이 학술적으로 명명한 설치류의 일종으로, 아르헨티나 투쿠만 주에서 발견된 LMC 7247 모식표본을 통해 알려졌다.
커서풀밭쥐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상태관심 필요
상태 기준IUCN 3.1
남아메리카밭쥐속
커서풀밭쥐 (Akodon cursor)
학명 명명자빙에, 1888
일반 정보
학명Akodon cursor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쥐목
아목쥐아목
상과쥐상과
비단털쥐과
아과목화쥐아과
남아메리카밭쥐족
남아메리카밭쥐속
커서풀밭쥐

2. 특징

커서풀밭쥐는 상당히 큰 설치류로 몸길이가 11~13cm, 꼬리 길이가 8~11cm이다. 수컷이 암컷보다 크며, 암컷 43g에 비해 평균 54g이다. 짧은 수염과 그루터기 발톱이 있는 일반적인 쥐를 닮은 모습을 갖고 있다. 몸 대부분은 짙은 갈색부터 황금색 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배 쪽은 희미한 회색 또는 누르스름한 색을 띤다. 일부는 귀 사이에 희끄무레한 반점이 있지만, 모든 개체에 보이는 것은 아니다.[18]

커서풀밭쥐는 커서풀밭쥐군에 속하고, 다른 종들과 겉모습이 아주 유사하다. 특히 서식지 바로 남쪽 근처 지역에서 서식하는 근연종 저산대풀밭쥐로부터 쉽게 구별할 수 없다. 커서풀밭쥐는 평균적으로 저산대풀밭쥐보다 약간 크지만 서로 구별할 정도로 신뢰성 있는 안내가 되기에는 분포 지역이 많이 중첩된다. 대신에 커서풀밭쥐에만 쓸개가 존재하고(저산대 종에는 없다), 핵형 분석을 통하거나 PCR 기반 기술에 의해 가장 쉽게 구별할 수 있다.[18][19][20][21]

2. 1. 형태적 특징

커서풀밭쥐는 상당히 큰 설치류로 몸길이가 11~13cm, 꼬리 길이가 8~11cm이다. 수컷이 암컷보다 크며, 암컷 43g에 비해 평균 54g이다. 짧은 수염과 그루터기 발톱이 있는 일반적인 쥐를 닮은 모습을 갖고 있다. 몸 대부분이 짙은 갈색부터 황금색 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배 쪽은 희미한 회색 또는 누르스름한 색을 띤다. 일부는 귀 사이에 희끄무레한 반점이 있지만, 모든 개체에 보이는 것은 아니다.[18]

커서풀밭쥐는 커서풀밭쥐군에 속하고, 다른 종들과 겉모습이 아주 유사하다. 특히 서식지 바로 남쪽 근처 지역에서 서식하는 근연종 저산대풀밭쥐로부터 쉽게 구별할 수 없다. 커서풀밭쥐는 평균적으로 저산대풀밭쥐보다 약간 크지만 서로 구별할 정도로 신뢰성 있는 안내가 되기에는 분포 지역이 많이 중첩된다. 대신에 커서풀밭쥐에만 쓸개가 존재하고(저산대 종에는 없다), 핵형 분석을 통하거나 PCR 기반 기술에 의해 가장 쉽게 구별할 수 있다.[18][19][20][21]

3. 분포 및 서식지

커서풀밭쥐의 정확한 분포 지역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브라질 동부 파라이바주부터 파라나 주까지 서식하는 것은 확실히 알려져 있으며, 해수면부터 해발 최대 1170m까지 지역의 열대 대서양림과 레스팅가 관목지대 여기 저기에서 서식한다.[22] 좀더 남쪽인 브라질 남단 그리고 파라과이 동부, 아르헨티나 북부에서 발견되기도 한다.[7] 이 후자의 자료들은 확인된 개체들에 대한 명확한 유전자 분석이 부족하며, 산악풀밭쥐와 같은 다른 종의 구성원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 알려진 아종은 없다.

4. 생태 및 습성

커서풀밭쥐는 잡식성 동물이다. 주요 먹이는 작은 절지동물 특히 딱정벌레, 거미로 이루어져 있다. 부가적으로 케크로피아속(''Cecropia'') 식물 씨앗과 다른 식물을 먹기도 한다.[23] 식물 덮개집과 군데군데 울창한 숲 속에서 먹이를 구하고, 철저히 육상 생활을 한다.[24][25] 한 마리의 행동 영역 면적은 0.1~0.7ha이고, 수컷 영역이 암컷보다 넓다.[26] 행동권 범위의 크기는 변하지 않지만 우기철에 곤충이 아주 풍부해지기 때문에 커서풀밭쥐의 개체수 밀도가 상당히 높아진다.[27]

커서풀밭쥐는 연중 번식을 하지만 대부분 6월과 9월 사이의 건기 동안에 대부분 새끼를 낳는다. 임신한 암컷은 둥글게 구형으로 둥지를 만들고 23일간의 임신 기간 이후에 2~9마리, 평균 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8][28] 한타바이러스의 숙주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공중 보건에서 특히 중요하다.[29] 커서풀밭쥐의 지방육종에서 채취한 세포주는 생의학 과학자들이 잡종 세포에서 사람 염색체의 동정을 위한 패널 제작을 위해 사용된다.[30]

4. 1. 행동권 및 번식

커서풀밭쥐는 잡식성 동물로, 주로 작은 절지동물 특히 딱정벌레, 거미를 먹는다. 부가적으로 케크로피아속(''Cecropia'') 식물 씨앗과 다른 식물을 먹기도 한다.[23] 식물 덮개집과 군데군데 울창한 숲 속에서 먹이를 구하고, 철저히 육상 생활을 한다.[24][25] 한 마리의 행동 영역 면적은 0.1~0.7ha이고, 수컷 영역이 암컷보다 넓다.[26] 행동권 범위의 크기는 변하지 않지만 우기철에 곤충이 아주 풍부해지기 때문에 커서풀밭쥐의 개체수 밀도가 상당히 높아진다.[27]

커서풀밭쥐는 연중 번식을 하지만 대부분 6월과 9월 사이의 건기 동안에 대부분 새끼를 낳는다. 임신한 암컷은 둥글게 구형으로 둥지를 만들고 23일간의 임신 기간 이후에 2~9마리, 평균 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8][28] 한타바이러스의 숙주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공중 보건에서 특히 중요하다.[29] 커서풀밭쥐의 지방육종에서 채취한 세포주는 생의학 과학자들이 잡종 세포에서 사람 염색체의 동정을 위한 패널 제작을 위해 사용된다.[30]

5. 계통 분류

다음은 2010년 자야(Jayat)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31]

{| class="wikitable"

|-

| 남아메리카밭쥐속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테스피아풀밭쥐

|-

|



|}

|-

|

{| class="wikitable"

|-

| 흰배풀밭쥐

|-

|



|-

|

{| class="wikitable"

|-

| 부드러운털풀밭쥐

|-

| 융가스풀밭쥐

|-

|



|-

| 콜롬비아풀밭쥐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파타고니아풀밭쥐

|-

|

{| class="wikitable"

|-

| 데이풀밭쥐

|-

|

{| class="wikitable"

|-

| 차코풀밭쥐

|-

|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저산대풀밭쥐

|-

|



|}

|-

| 커서풀밭쥐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후닌풀밭쥐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알티플라노풀밭쥐

|-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

|}

|}

|}

6. 인간과의 관계

커서풀밭쥐는 잡식성 동물이다. 주로 작은 절지동물을 먹는데, 특히 벌목, 딱정벌레류, 거미류를 먹으며, ''Cecropia''와 기타 식물의 씨앗으로 식단을 보충한다.[8] 낙엽과 무성한 초목 덤불 속에서 먹이를 찾고, 완전히 육상 생활을 한다.[9][10]

개체는 0.1에서 0.7 헥타르의 행동권을 가지며, 수컷의 행동권이 암컷보다 더 넓다.[11] 행동권의 크기는 변하지 않지만, 곤충이 가장 풍부한 우기 동안 커서풀밭쥐의 개체 밀도는 현저히 높아진다.[12]

일년 내내 번식하지만, 대부분의 출산은 6월에서 9월 사이의 건기에 발생한다. 임신한 암컷은 둥근 둥지를 짓고, 23일의 임신 기간을 거쳐 평균 4마리의 새끼를 2~9마리 낳는다.[3][13]

이 종은 한타바이러스 저장소로 추정되어 공중 보건에 특히 중요하다.[14] 커서풀밭쥐의 지방육종에서 파생된 세포주는 하이브리드 세포에서 인간 염색체의 식별을 위한 패널을 구성하는 데 생물의학 과학자에 의해 사용되었다.[15]

참조

[1] 간행물 Akodon cursor https://www.iucnredl[...] 2009-02-09
[2] 서적 MSW3 Muroidea
[3] 논문 Akodon cursor (Rodentia: Cricetidae)
[4] 논문 Presence or absence of gall bladder in some Akodontini rodents (Muridae, Sigmodontinae)
[5] 논문 Detection of two morphologically cryptic species from the cursor complex (Akodon spp; Rodentia, Cricetidae) through the use of RAPD markers
[6] 논문 The use of PCR-RFLP as an identification tool for three closely related species of rodents of the genus Akodon (Sigmodontinae, Akodontini)
[7] 논문 The genus Akodon (Muroidea: Sigmodontinae) in Misiones, Argentina http://sedici.unlp.e[...]
[8] 논문 Diet of small mammals in the Atlantic Forest fragments in southeastern Brazil http://www.editorauf[...]
[9] 논문 Influence of habitat structure on a streamside small mammal community in a Brazilian rural area
[10] 논문 Effects of forest fragmentation on small mammals in an Atlantic Forest landscape
[11] 논문 Home range of Philander frenata and Akodon cursor in a Brazilian Restinga (coastal shrubland) http://www.sarem.org[...]
[12] 논문 Population dynamics of small rodents in a grassland among fragments of Atlantic Forest in southern Brazil
[13] 논문 Inheritance of litter size at birth in the Brazilian grass mouse (Akodon cursor, Sigmodontinae, Rodentia)
[14] 논문 Evidence of hantavirus infection in wild rodents captured in a rural area of the state of São Paulo, Brazil
[15] 논문 In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poxanthine-phosphoribosyltransferase (Hprt−) deficient cell lines of Akodon cursor (Rodentia, Sigmodontinae)
[16] 간행물 Akodon cursor 2009-02-09
[17] 서적 MSW3 Muroidea
[18] 논문 Akodon cursor (Rodentia: Cricetidae)
[19] 논문 Presence or absence of gall bladder in some Akodontini rodents (Muridae, Sigmodontinae)
[20] 논문 Detection of two morphologically cryptic species from the cursor complex (Akodon spp; Rodentia, Cricetidae) through the use of RAPD markers
[21] 논문 The use of PCR-RFLP as an identification tool for three closely related species of rodents of the genus Akodon (Sigmodontinae, Akodontini)
[22] 논문 The genus Akodon (Muroidea: Sigmodontinae) in Misiones, Argentina
[23] 논문 Diet of small mammals in the Atlantic Forest fragments in southeastern Brazil http://www.editorauf[...]
[24] 논문 Influence of habitat structure on a streamside small mammal community in a Brazilian rural area
[25] 논문 Effects of forest fragmentation on small mammals in an Atlantic Forest landscape
[26] 논문 Home range of Philander frenata and Akodon cursor in a Brazilian Restinga (coastal shrubland) https://www.research[...]
[27] 논문 Population dynamics of small rodents in a grassland among fragments of Atlantic Forest in southern Brazil
[28] 논문 Inheritance of litter size at birth in the Brazilian grass mouse (Akodon cursor, Sigmodontinae, Rodentia)
[29] 논문 Evidence of hantavirus infection in wild rodents captured in a rural area of the state of São Paulo, Brazil
[30] 논문 In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poxanthine-phosphoribosyltransferase (Hprt−) deficient cell lines of Akodon cursor (Rodentia, Sigmodontinae)
[31] 문서 The Akodon boliviensis species group (Rodentia: Cricetidae: Sigmodontinae) in Argentina: species limits and distribution,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ent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