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이트레인 엑스포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카이트레인 엑스포선은 캐나다 밴쿠버와 주변 지역을 운행하는 도시 철도 노선이다. 1980년대 선형 유도 기술 시범 사업으로 시작되어, 1985년 워터프런트역에서 뉴웨스트민스터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연장을 거쳐 현재 킹 조지역까지 운행한다. 엑스포선은 워터프런트역에서 캐나다선, 시버스, 웨스트 코스트 익스프레스와, 커머셜-브로드웨이역에서 밀레니엄선과 환승할 수 있으며, 컬럼비아역에서 로히드 지선으로 분기된다. 2029년 개통을 목표로 킹 조지역에서 랭리 시티 센터까지의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카이트레인 엑스포선 - 패터슨역
패터슨역은 1985년 개통한 스카이트레인 엑스포선의 역으로, 더갈드 캠벨 패터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로 엑스포선 열차가 운행하고, 주변에 센트럴 파크가 있으며 버스 노선과 연결되어 있다. - 스카이트레인 엑스포선 - 29번로역
29번로역은 1985년 엑스포선 개통과 함께 문을 연 스카이트레인 역으로, 섬식 승강장 1면 2선 구조로 엑스포선 열차가 운행하며, 버스 환승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스카이트레인 (밴쿠버) - 랑가라-49번 애비뉴역
랑가라-49번 애비뉴역은 2009년에 개통한 스카이트레인 캐나다선의 역으로, 역명은 위치한 49번로와 랑가라 공동체에서 유래했으며, 캠비가와 49번로 북동쪽 모퉁이에 위치하여 다양한 버스 노선과의 환승을 지원한다. - 스카이트레인 (밴쿠버) - 마린 드라이브역
마린 드라이브역은 2009년에 개업한 캐나다 라인 고가역으로,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며, 밴쿠버 시내 유일의 지상역으로 주거 지역과 상업 시설 주변에 위치하고, 트롤리버스 및 버스 노선과 환승 가능하다. - 198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8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고양시를 연결하는 49.6km 광역철도로, 1985년 개통 이후 일산선 직결, 구간 연장, 환승역 개통 등을 통해 확장되었으며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출퇴근 시간 혼잡이 심하다.
스카이트레인 엑스포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에키스포 선 |
![]() |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운영 체계 | 스카이트레인 |
위치 | 메트로 밴쿠버, 브리티시 컬럼비아 |
기점 | 워터프런트 |
종점 | 킹 조지 프로덕션 웨이-유니버시티 |
역 수 | 24 |
일일 승객 수 | 288,000명 (2022년) |
개통일 | 1985년 12월 11일 |
소유주 | 트랜스링크 (사우스 코스트 브리티시 컬럼비아 교통 당국) |
운영자 | 브리티시 컬럼비아 고속 철도 회사 |
차량 | ICTS Mark I, 열차당 6량 ART Mark II/III, 열차당 4량 |
노선 길이 | 36.4 km |
선로 수 | 2 |
전기화 | 제3궤조 방식 (선형 전동기) |
최고 속도 | 80 km/h |
추가 정보 |
2. 역사
현재 스카이트레인으로 알려진 이 시스템은 밴쿠버와 전 세계의 다른 잠재 도시들에 새로 개발된 선형 유도 추진 기술을 선보이기 위한 시범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스카버러 RT가 1985년에 엑스포선보다 먼저 완공되었지만, ICTS 시범 사업은 스카이트레인 기술을 사용한 최초의 시스템이었다. 중간 수송 능력 시스템(ICTS) 시범 사업은 도시 교통 개발 공사(현재 봄바디어의 일부)에서 개발한 첨단 급행 수송 (ART) 기술을 사용하여 건설되었다.
메인 스트리트역은 쇼케이스 역이었기 때문에, 이후 엑스포선의 다른 역과는 다른 초기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역의 디자인에 유리가 사용되었지만, 엑스포 부지에 연결되어 있었던 스타디움역(현재 스타디움-차이나타운)을 제외하고는 다른 엑스포선 역에는 유리가 사용되지 않았다. 메인 스트리트-사이언스 월드역은 다른 역보다 3년 먼저 지어졌기 때문에 눈에 띄게 오래되었으며, 2014년에 역에 대한 대대적인 개조 공사가 완료되기 전에 녹과 마모의 징후가 나타났다.[2]
쇼케이스 노선의 가이드웨이는 터미널 애비뉴 위를 지나가는 역의 동쪽으로 뻗어 있는 직선 구간이었다. 이 노선은 과거 터미널에 위치했던 브뤼셀 초콜릿 공장 맞은편에서 끝났다. 밴시티 본사가 현재 위치해 있는 플랫폼의 서쪽 끝에서 트랙이 바로 끝났기 때문에 역의 서쪽에는 가이드웨이가 없었다.
ICTS 가이드웨이는 엑스포선의 다른 부분과는 다르게 건설되었다. 특히 가이드웨이와 연결되는 방식에서 기둥이 달랐다. 두 트랙 사이의 보도는 엑스포선과는 다른, 또한 열등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가이드웨이의 노후화로 인한 녹의 흔적이 나타나고 있다.
북쪽 서행 트랙에는 단일 2량 열차가 운행되었다. 승객들이 탑승한 후, 시험 가이드웨이의 끝을 향해 동쪽으로 달렸다. 동쪽 끝에서 열차는 정지한 후 잠시 멈췄다가 방향을 바꿔 역으로 돌아왔다. 스위치가 없었기 때문에 북쪽 트랙만 사용되었고, 열차는 같은 트랙을 왕복했다. 또한 현재 동행 플랫폼인 남쪽 플랫폼에는 단일 차량 모형이 주차되어 있었다. 이 차량은 작동하지 않았다. 2량 열차와 단일 차량 모형은 모든 생산형 마크 I 열차와는 다른 독특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다. 빨간색 미등은 헤드라이트 옆 하단에 위치해 있었고, 상단에 위치해 있지 않았다. 끝문과 창문은 다른 디자인이었다. 또한 문 양쪽에는 생산 열차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검은색 패널이 있었다. 이 열차들의 행방은 알려지지 않았다.
ICTS 가이드웨이는 밀레니엄 라인 건설 중에 더 무거운 마크 II 차량을 수용하기 위해 개조되었다. 이는 가이드웨이를 지지하는 기둥에 추가적인 강철 보강 콘크리트 보를 추가하여 수행되었다. 이는 가이드웨이 아래의 터미널 애비뉴를 운전하거나 걸을 때 뚜렷하게 보인다. 원래의 ICTS 가이드웨이를 제외하고, 엑스포선의 다른 부분은 마크 II 차량을 수용하기 위한 강도 개조가 필요하지 않았다.
1983년 시범 운영이 종료된 후, 단일 쌍의 시범 차량은 온타리오로 다시 보내졌으며, 이후 UTDC의 시험 열차로 사용되었다. 엑스포를 위해 주문된 후속 열차는 표준화된 부품 부족, 그리고 열차 운행을 위한 자동화된 컴퓨터 기술 도입에 대한 바람과 같은 문제로 인해 시범 열차 세트와 약간 다르게 설계되었다.
1990년대 초까지 유료 운행 초기 몇 년 동안, 모든 열차는 카펫으로 덮여 있었고, 열차 문은 자동으로 열리지 않고 역에 정차했을 때 열차 내부와 외부에 있는 버튼을 눌러야 열렸다. 이 온디맨드 시스템은 밴쿠버가 대규모 인구 증가를 경험하기 전 스카이트레인의 작은 규모의 탑승률을 반영했다. 카펫을 꾸준히 유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1992년과 1993년 사이에 같은 색상의 왁스 바닥이 설치되었다.
원래 노선을 계획할 때, 바운더리 로드와 킹스웨이에 미래 역, 즉 "바운더리역"을 포함하여 BCTel 직원을 위해 사용하도록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제안은 주로 역이 지역으로 범죄를 유치하고 소음 문제를 야기할 것이라는 우려로 인해 폐기되었다.
2. 1. 개통 배경
1986년 밴쿠버 국제 교통 박람회에 맞춰 1985년에 밴쿠버의 워터프론트 역에서 킹 조지 역까지를 잇는 스카이트레인이 개통되었다.[1] 2002년 밀레니엄 라인이 완성되기 전까지는 노선명 없이 '스카이트레인'으로 불렸다.[1] 이 노선은 밴쿠버 중심가에서 대규모 쇼핑 센터가 있는 메트로타운, 고층 주택이 늘어선 버나비, 역사적인 도시 뉴 웨스트민스터를 지나 밴쿠버 최대 위성 도시인 서리까지 연결한다.[1]2. 2. 연혁
현재 스카이트레인으로 알려진 이 시스템은 밴쿠버와 전 세계의 다른 잠재 도시들에 새로 개발된 선형 유도 추진 기술을 선보이기 위한 시범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1982년 3월 1일에 건설이 시작되어 1983년 초에 완공되었다. 이 시범 사업은 단 하나의 역과 스위치가 없는 약 1km의 가이드웨이로 구성되었으며, 1985년에 메인 스트리트역으로 개통되었다.[2]이후 1983년 중반에 밴쿠버와 뉴웨스트민스터 사이의 엑스포선 1단계 건설이 시작되었고, 1985년 12월 11일, 스카이트레인은 무료 주말 운행을 시작했으며, 1986년 1월 3일에 완전 유료 운행을 시작했다.[3][4] 1단계는 워터프론트역에서 시작하여 뉴웨스트민스터역에서 끝났다.[5]
1987년에는 뉴웨스트민스터 시에 가이드웨이를 추가하는 2단계 공사가 시작되었고, 1989년 2월 14일에 컬럼비아역이 개통되었다. 1990년 3월 16일에는 서리에 있는 스콧 로드 역이 개통되었다.
다음은 엑스포선의 주요 연혁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 | 사건 |
---|---|
1985년 | 엑스포선 워터프론트역에서 뉴웨스트민스터역 구간이 개통[35] |
1989년 | 콜롬비아역까지 연장 개통[36] |
1990년 | 스코트 로드역까지 연장 개통[37] |
1994년 | 킹 조지역까지 연장 개통[38] |
엑스포선은 워터프런트역에서 스타디움-차이나타운역까지 던스뮤어 터널을 통해 지하로 이동한다. 이 터널은 캐나다 태평양 철도에서 버라드만을 따라 주 노선을 펄스강의 이전 차량기지에 연결하는데 사용되었다.
엑스포 선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3. 노선
스타디움-차이나타운역에서 뉴웨스트민스터역 구간은 대부분 고가로 운행되지만, 이스트밴쿠버의 나나이모역과 조이스-콜링우드역 사이, 버나비의 에드먼즈 역 스카이트레인 차량기지 주변은 짧은 지상 구간이다.
뉴웨스트민스터역과 컬럼비아역 사이는 짧은 지하 구간이다. 컬럼비아역 동쪽에서 본선(킹 조지역 방면)과 지선(프로덕션 웨이-유니버시티역 방면)이 분기한다. 본선은 스카이브리지를 통해 프레이저강을 건너 서리로 이어진다.
나나이모역과 뉴웨스트민스터역 사이 구간은 1890년부터 1950년대 초까지 운행된 BC 일렉트릭의 센트럴 파크선을 일부 활용했다.
4. 역 목록
역 개통 도시 환승 노선 위치 워터프론트 1985년 밴쿠버 그래닛빌과 시모어 사이의 코르도바 버라드 1985년 밴쿠버 멜빌과 던스뮤어 사이의 버라드 그래닛빌 1985년 밴쿠버 조지아와 던스뮤어 사이의 그래닛빌, 퍼시픽 센터 인접 스타디움–차이나타운 1985년 밴쿠버 던스뮤어의 비티, 로저스 아레나 인접, BC 플레이스 및 차이나타운 근처 메인 스트리트–사이언스 월드 1985년 밴쿠버 퍼시픽 센트럴 터미널의 메인, 사이언스 월드 근처 커머셜–브로드웨이 1985년/2002년커머셜-브로드웨이 역은 원래 브로드웨이 역과 커머셜 드라이브 역, 두 개의 별도 역으로 건설되었다. 브로드웨이 역은 1985년에 완공되었고, 커머셜 드라이브 역은 2002년에 완공되었으며, 2009년에 두 역이 통합되었다. 밴쿠버 브로드웨이의 커머셜 나나이모 1985년 밴쿠버 나나이모의 동쪽 24번가 29번가 1985년 밴쿠버 애틀린의 동쪽 29번가 조이스–콜링우드 1985년 밴쿠버 바네스의 조이스 패터슨 1985년 버나비 베레스포드와 센트럴 사이의 패터슨 메트로타운 1985년 버나비 실버와 텔포드 사이의 베레스포드와 센트럴, 메트로폴리스 앳 메트로타운 인접 로얄 오크 1985년 버나비 로얄 오크의 베레스포드 에드몬즈 1985년 버나비 그리피스의 18번가 근처 22번가 1985년 뉴 웨스트민스터 7번가의 22번가 뉴 웨스트민스터 1985년 뉴 웨스트민스터 콜롬비아와 카나본 사이의 8번가, 뉴 웨스트 앳 더 숍와 통합 콜롬비아 1989년 뉴 웨스트민스터 콜롬비아와 카나본 사이의 4번가, 지선 분기 스콧 로드 1990년 서리 킹 조지 대로 근처의 스콧 로드 게이트웨이 1994년 서리 유니버시티 드라이브의 108번가 서리 센트럴 1994년 서리 시티 파크웨이의 센트럴 애비뉴, 센트럴 시티 인접 킹 조지 1994년 서리 홀랜드 커먼스의 킹 조지 대로, 킹 조지 허브 인접 사페르톤 2002년 뉴 웨스트민스터 브루네트의 스프루스, 로열 컬럼비안 병원 인접 브레이드 2002년 뉴 웨스트민스터 브레이드의 브루네트, 1번 고속도로 근처 루히드 타운 센터 2002년 버나비 오스틴의 루히드 고속도로, 더 시티 오브 루히드 쇼핑 센터 인접 프로덕션 웨이–대학교 2002년 버나비 SFU 프로덕션 웨이의 루히드 고속도로
1994년 3월 28일, 4km의 3단계 연장 구간이 개통되었다.[7] 이 연장으로 퀠리에 게이트웨이, 서리 센트럴, 킹 조지 3개의 역이 추가되었으며, 킹 조지 역은 엑스포 선의 현재 동쪽 종착역 중 하나가 되었다. 이 역들은 지역 사회의 주변 사업체와의 민간 파트너십을 통해 건설되어, 나머지 엑스포 선과 다른 외관을 갖게 되었다.
4. 1. 본선 (워터프런트 - 킹 조지)
시버스
웨스트 코스트 익스프레스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버라드 Burrard 그랜빌 Granville 스타디움-차이나타운 Stadium–Chinatown 메인 스트리트-사이언스 월드 Main Street–Science World 커머셜-브로드웨이 Commercial–Broadway 밀레니엄선 너나이모 Nanaimo 29번로 29th Avenue 조이스-콜링우드 Joyce–Collingwood 패터슨 Patterson 버너비 메트로타운 Metrotown 로열 오크 Royal Oak 에드먼즈 Edmonds 22번가 22nd Street 뉴웨스트민스터 뉴웨스트민스터 New Westminster 컬럼비아 Columbia 프로덕션 웨이-유니버시티 방면 스콧 로드 Scott Road 서리 게이트웨이 Gateway 서리 센트럴 Surrey Central 킹 조지 King Geor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