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쿠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쿠네는 과거 일본에서 사용된 칭호 또는 성씨로, "足尼" 또는 "足禰" 한자로 표기되었다. 이나리야마 검에서 "多加利足尼"라는 명문으로 가장 오래된 사용례를 찾아볼 수 있으며, 《고쿠조 혼기》에는 스쿠네 칭호를 가진 야마토 조정 관료가 다수 등장한다. 『고사기』에는 오네 칭호와 함께 부여된 사례가 나타나며, 소가씨, 오토모씨, 하타씨 등을 포함한 여러 씨족이 스쿠네를 성으로 사용했다. 5세기 이전에는 주로 기내 지방의 호족이 사용했으며, 덴무 천황 13년(684년)에 성(姓)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 (씨성제) - 팔색성
팔색성은 684년 덴무 천황이 씨족 제도를 개혁하고 관료제를 창조하기 위해 제정한 신분 제도로, 새로운 성을 부여하여 황족의 지위를 높이고 중앙 귀족과 지방 호족을 구별했다. - 아스카 시대 - 다이호 율령
다이호 율령은 701년 일본에서 당나라 율령을 토대로 제정된 법전으로, 율은 당나라 것을 따르고 령은 일본 실정에 맞게 수정되었으며, 천황 중심의 중앙 집권 체제 확립과 행정 효율성 및 투명성 증진, 그리고 통일 국가 건설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지만, 원문은 전해지지 않고 양로령을 바탕으로 복원 중이다. - 아스카 시대 - 야마토 시대
야마토 시대는 4세기 초 일본 긴키 지방을 중심으로 성립되어 오키미를 중심으로 한 귀족 계급이 형성되었으며, 쇼토쿠 태자가 국내 체제를 혁신하고 아스카 문화를 꽃피우다가 710년 헤이조쿄 천도로 나라 시대로 이어진 시대이다.
스쿠네 | |
---|---|
개요 | |
한자 표기 | 宿禰 |
로마자 표기 | Sukune |
정의 | 고대 일본의 세습 귀족 칭호 |
설명 | 스쿠네(宿禰, すくね)는 고대 일본의 야마토 시대에 오미와 함께 카바네의 하나였다. 684년에 카바네가 개정되기 전에는 오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위계였다. 무사시 국조, 히타치 국조, 시나노 국조, 고즈케 국조 등 지방 호족에게 많이 주어졌다. |
상세 정보 | |
어원 | 스쿠네의 어원은 '모시는 사람'이라는 의미의 '스쿠히토(承人)'에서 왔다는 설이 있다. |
역사 | 스쿠네는 원래 야마토 정권의 대왕을 모시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칭호였다. 이후 야마토 정권이 세력을 확장하면서 지방 호족들에게도 스쿠네 칭호를 수여하기 시작했다. 684년의 카바네 개정 이후에는 야쿠사 씨, 하타 씨 등 새로운 씨족에게도 스쿠네 칭호가 주어졌다. |
영향력 | 스쿠네 칭호를 받은 씨족은 야마토 정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정치, 군사,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며 야마토 정권의 발전에 기여했다. |
같이 보기 | 카바네 (신분) 오미 (칭호) 무라지 |
2. 어원 및 표기
스쿠네(足尼, 足禰)는 옛날에 '足尼'나 '足禰'라는 한자를 사용했다. 국조본기에는 스쿠네를 칭호 또는 관명으로 하는 인명 또는 씨족명이 20개가 넘는 나라의 수장에게서 보인다고 기록되어 있다. 가이 국조의 시오미노 스쿠네, 호 국조의 토카미노 스쿠네, 아와지 국조의 야구치노 스쿠네 등이 그 예이다. 5세기 이전에는 주로 기내 지방의 호족이 사용했지만, 덴무 천황 13년(684년)에 성(姓)이 되었다.
2. 1. 한자 표기
과거 스쿠네에 사용된 한자 표기는 "足尼" 또는 "足禰"였다. 스쿠네의 가장 오래된 사용례는 "多加利足尼"라는 명문이 새겨진 고대 이나리야마 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쿠니노미야츠코 가문의 계보에 관한 책인 《국조본기》에는 스쿠네 칭호를 가진 20명 이상의 야마토 조정 관료가 등장한다.[1]국조본기에는 20개가 넘는 나라의 수장으로서 스쿠네를 칭호 또는 관명으로 하는 인명 또는 씨족명이 보인다. 가이 국조의 시오미노 스쿠네, 호 국조의 토카미노 스쿠네, 아와지 국조의 야구치노 스쿠네 등이 그 예이다.[1] 5세기 이전에는 주로 기내 지방의 호족이 사용했지만, 성(姓)이 된 것은 덴무 천황 13년(684년)이다.[1]
2. 2. 어원
스쿠네(足尼, 足禰)는 국조본기에 따르면, 옛날에 '足尼'나 '足禰'라는 한자를 사용했다. 20개가 넘는 나라의 수장으로서 스쿠네를 칭호 또는 관명으로 하는 인명 또는 씨족명이 보인다. 가이 국조의 시오미노 스쿠네, 호 국조의 토카미노 스쿠네, 아와지 국조의 야구치노 스쿠네 등이 그 예이다. 5세기 이전에는 주로 기내 지방의 호족이 사용했지만, 덴무 천황 13년(684년)에 성(姓)이 되었다.3. 용례
과거 스쿠네에는 '足尼'나 '足禰'와 같은 한자가 사용되었다. 국조본기에는 스쿠네를 칭호 또는 관명으로 하는 인명 또는 씨족명이 20개 이상 나타난다. 스쿠네는 5세기 이전에는 주로 기내 지방의 호족이 사용했지만, 덴무 천황 13년(684년)에 성(姓)이 되었다.[1]
3. 1. 이나리야마 검
스쿠네에 사용된 한자 표기는 "足尼" 또는 "足禰"였다. 스쿠네의 가장 오래된 사용례는 "多加利足尼"라는 명문이 새겨진 고대 이나리야마 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쿠니노미야츠코 가문의 계보에 관한 책인 《고쿠조 혼기》에는 스쿠네 칭호를 가진 20명 이상의 야마토 조정 관료가 등장한다.3. 2. 고쿠조 혼기(国造本紀)
과거 스쿠네에 사용된 한자 표기는 "足尼" 또는 "足禰"였다. 스쿠네의 가장 오래된 사용례는 "多加利足尼"라는 명문이 새겨진 고대 이나리야마 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쿠니노미야츠코 가문의 계보에 관한 책인 《고쿠조 혼기》에는 스쿠네 칭호를 가진 20명 이상의 야마토 조정 관료가 등장한다.[1] 가이 국조의 시오미노 스쿠네, 호 국조의 토카미노 스쿠네, 아와지 국조의 야구치노 스쿠네 등이 그 예이다. 5세기 이전에는 주로 기내 지방의 호족이 사용했지만, 성(姓)이 된 것은 덴무 천황 13년(684년)이다.[1]3. 3. 고사기(古事記)
스진 천황 치세에 타케이코코로(建胆心命)는 오네 칭호를, 타베(多辨命)는 스쿠네 칭호를 받았다고 전해진다.[3]3. 4. 지역별 용례
국조본기에는 20개가 넘는 나라의 수장으로서 스쿠네를 칭호 또는 관명으로 하는 인명 또는 씨족명이 보인다. 가이 국조의 시오미노 스쿠네, 호 국조의 토카미노 스쿠네, 아와지 국조의 야구치노 스쿠네 등이 그 예이다. 5세기 이전에는 주로 기내 지방의 호족이 스쿠네를 사용했지만, 덴무 천황 13년(684년)에 성(姓)이 되었다.[1]4. 스쿠네를 성(姓)으로 한 씨족
참조
[1]
서적
Sukunahi Kona no Meigi to Honshitsu (スクナヒ コナの名義と本質)
Tokyo Woman's Christian University
[2]
서적
Sendai Kuji Hongi (Kujiki), Volume 10 Kokuzo Hongi
[3]
웹사이트
『先代旧事本紀』の現代語訳 Online text of Kujiki in modern Japanese.
http://www.asahi-net[...]
2021-03-13
[4]
문서
金井清一「スクナヒ コナの名義と本質」1971
[5]
웹사이트
宿禰とは
https://kotobank.jp/[...]
2021-1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