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쿠터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쿠터링은 1999년 접이식 킥보드의 발명에서 시작되어, 스케이트보드와 BMX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 스포츠이다. 초기에는 내구성이 약한 부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적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나사산 없는 포크, 일체형 핸들바, 메탈 코어 휠, 일체형 데크, 압축 시스템 등이 개발되었다. 국제 스쿠터 연맹(ISF)이 주최하는 세계 선수권 대회가 매년 개최되며, 2028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을 논의 중이다. 또한, 온라인 매체 Trendkill Collective에서 매년 '올해의 라이더'를 선정하여 시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롤러 스포츠 - 롤러하키
    롤러하키는 쿼드 스케이트, 스틱, 볼을 사용하여 상대 골대에 득점하는 스포츠이며, 1878년 영국에서 시작되어 세계 롤러스포츠 연맹에서 규칙을 관장한다.
  • 롤러 스포츠 - 스케이트보드
    1950년대 캘리포니아에서 서핑의 대안으로 시작된 스케이트보드는 판자에 바퀴를 달아 타는 스포츠로, 폴리우레탄 바퀴 개발 후 부흥하여 스트릿 스케이트보딩이 주류가 되었고, 2020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는 등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며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
  • 개인 스포츠 - 마라톤
    마라톤은 기원전 490년 마라톤 전투에서 승전보를 전한 전령 이야기에서 유래되어 1896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42.195km 장거리 달리기 경주로, 남녀 경기로 나뉘어 세계 각지에서 개최되며 여성 참여는 20세기 후반에 확대되었다.
  • 개인 스포츠 - 팔씨름
    팔씨름은 두 사람이 팔을 굽혀 손을 잡고 상대방의 손을 테이블에 닿게 하여 승패를 가리는 스포츠로, 에도 시대 일본에서 시작되어 미국에서 전문 스포츠로 발전했으며, 국제팔씨름연맹, 세계팔씨름연맹 등의 단체가 존재하고, 다양한 기술과 전략, 규칙이 적용된다.
스쿠터링
스쿠터링 정보
스쿠터 묘기
스포츠 정보
이름스쿠터링
별칭스쿠팅
추가 정보

2. 역사

프리스타일 스쿠터는 스케이트보드BMX에서 유래되었으며, 접이식 킥보드를 스케이트파크에서 묘기를 부리는 데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서 시작되었다. 1999년, 스위스 은행가이자 마이크로 모빌리티 스위스(Micro-Mobility Switzerland)의 창립자인 빔 오우보터(Wim Ouboter)는 접이식 킥보드를 발명했고, 마이크로 모빌리티 스위스는 이를 생산 및 판매했다.[2] 얼마 지나지 않아 미국에서는 레이저[3],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JD 버그(JD Bug)라는 이름으로 킥보드가 판매되었다. 2000년에 레이저 USA(Razor USA)는 500만 대의 킥보드를 판매하며 시장 점유율의 약 65%를 차지했다.[4]

레이저는 2000년대 초 미국 최고의 라이더들을 포함한 정식 킥보드 라이더 팀을 구성한 최초의 회사였다.[5] '레이저 에볼루션'(2000)과 RVM 시리즈(Razor Scooters Video Magazine)와 같은 비디오는 프리스타일 킥보드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비디오 게임 레이저 프리스타일 스쿠터(Razor Freestyle Scooter)(2000)의 출시로 이어졌다.[7]

초기 프리스타일 스쿠터는 접이식 구조의 취약함으로 인해 프리스타일 라이딩의 충격을 견디지 못하고 부러지는 경우가 많았다. 더 튼튼한 스쿠터 부품의 필요성으로 인해 킥보드 커뮤니티는 자체적인 '개조'를 하게 되었는데, 예를 들어 접이식 메커니즘을 볼트로 고정하거나, 플라스틱 코어 휠에 핫멜트 접착제를 바르고, 스쿠터 포크에 추가 금속 튜브를 삽입하여 강도를 높였다.[8][10]

이후 더욱 발전된 기술들이 적용되었다.


  • 나사산 없는 포크 (Threadless Fork): 초기 스쿠터 포크의 구조적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자전거 포크와 같이 나사산이 없는 스쿠터 포크가 개발되었다.[10]
  • 일체형 핸들바 (One-piece Bars): 조절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제작되었던 초기 핸들바의 흔들림과 불안정함을 해결하기 위해 T바와 Y바와 같은 일체형 핸들바가 개발되었다.
  • 메탈 코어 휠 (Metal Core Wheels): 프리스타일 라이딩의 충격으로 쉽게 부러지던 플라스틱 코어 휠을 대체하기 위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메탈 코어 휠이 등장했다.
  • 일체형 데크 (One-piece Decks): 레이저 스쿠터 데크의 접이식 메커니즘의 흔들림을 제거하고 전반적인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헤드 튜브와 넥을 데크 플레이트에 용접한 일체형 데크가 제작되었다.[6]
  • 압축 시스템 (Compression Systems): 나사산 없는 포크가 도입되면서 스쿠터 부품들을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압축 시스템(SCS, HIC, IHC, Pytel)이 개발되었다.[11]


이 외에도 펜더, 다양한 바퀴 크기, 더 큰 베어링 크기(12 STD),[12] 스쿠터 전용 그립테이프, 스쿠터 브랜드 핸들 그립, 페그/데크 엔드 등 다양한 개선이 이루어졌다.[6][8][10]

2. 1. 초기 역사 (1999년 ~ 2000년대 초반)

1999년, 스위스 은행가이자 마이크로 모빌리티 스위스(Micro-Mobility Switzerland)의 창립자인 빔 오우보터(Wim Ouboter)[2]는 접이식 킥보드를 발명했다. 마이크로 모빌리티 스위스는 이 킥보드를 처음으로 생산 및 판매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마이크로는 JD 스포츠에 라이선스를 허가했고, JD 스포츠는 미국에서는 레이저[3]라는 이름으로,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JD 버그(JD Bug)라는 이름으로 킥보드를 판매했다. 2000년에 레이저 USA(Razor USA)는 500만 대의 킥보드를 판매했으며, 이는 당시 시장 점유율의 약 65%에 해당한다.[4]

스케이트보드BMX에 뿌리를 둔 일부 사람들은 접이식 킥보드가 스케이트파크에서 묘기를 부리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잠재력을 빠르게 알아차렸다.

레이저 킥보드(Razor Scooters)는 2000년대 초 미국 최고의 라이더들을 포함한 정식 킥보드 라이더 팀을 구성한 최초의 회사였다.[5] 이 팀에는 조시 토이(Josh Toy), 존 라드케(John Radtke), KC 코닝(KC Corning) 등의 라이더가 포함되었다.[6] '레이저 에볼루션(Razor Evolution)'(2000)과 RVM 시리즈(Razor Scooters Video Magazine)와 같은 비디오는 프리스타일 킥보드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첫 번째 레이저 A 모델 킥보드 상자에는 RVM1 복사본이 포함되었다. 레이저 킥보드의 인기는 비디오 게임 레이저 프리스타일 스쿠터(Razor Freestyle Scooter)(2000)의 출시로 이어졌다.[7]

2. 2. 발전 과정 (2000년대 중반 ~ 현재)

레이저 킥보드가 2000년대 초 미국 최고의 라이더들로 구성된 정식 킥보드 라이더 팀을 만들면서 프리스타일 킥보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5] '레이저 에볼루션'(2000)과 RVM 시리즈(Razor Scooters Video Magazine) 같은 비디오는 이러한 관심 증대에 기여했고, 비디오 게임 레이저 프리스타일 스쿠터(Razor Freestyle Scooter)(2000)의 출시로 이어졌다.[7]

스턴트 킥보드는 1999년 시작된 이후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다. 스포츠가 발전하면서 킥보드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사업과 시스템이 만들어졌다. 초기 지원 시스템의 예로는 2003년 앤드류 브루사드(Andrew Broussard)가 설립한 ''스쿠터 리소스(Scooter Resource, SR)'' 포럼과[8] 파비앙 델로스(Fabian Delos)가 만든 프랑스 킥보드 커뮤니티를 위한 ''트로티라이더(Trotirider)'' 포럼이 있다.[9] 킥보드가 인기를 얻으면서 더 강력한 애프터마켓 부품과 이를 취급하는 킥보드 매장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최초의 킥보드 대회는 2005년 스위스 몽트뢰(Montreux)에서 개최되었다.[9]

현대의 프리스타일 스쿠터는 1999년에 발명된 접이식 스쿠터와 외관과 성능 모두에서 매우 다르다. 초기 프리스타일 스쿠터의 가장 큰 문제는 접이식 구조의 취약함이었다. 프리스타일 라이딩의 충격을 견디지 못하고 부러지는 경우가 많았다. 접이식 스쿠터는 원래 이동을 위해 만들어졌고 프리스타일 용도가 아니었기 때문에 가볍고 내구성이 약했다.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스쿠터 부품의 필요성으로 인해 킥보드 커뮤니티는 자체적인 '개조'를 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접이식 메커니즘을 볼트로 고정하고, 플라스틱 코어 휠에 핫멜트 접착제를 바르고, 스쿠터 포크에 추가 금속 튜브를 삽입하여 강도를 높였다.[8][10] 이러한 개조는 스쿠터의 수명을 연장했지만, 트릭 스쿠터링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애프터마켓 부품의 필요성이 분명해졌다.

2. 3. 주요 기술 발전

현대의 프리스타일 스쿠터는 1999년에 발명된 접이식 스쿠터와 외관과 성능 모두에서 매우 다르다. 20년이 넘는 세월 동안 트릭 스쿠터는 오늘날과 같은 모습으로 진화해 왔다. 초기 프리스타일 스쿠터의 가장 큰 문제는 스쿠터의 취약한 구조였다. 프리스타일 라이딩의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하고 부러지는 경우가 많았다. 접이식 스쿠터는 간편한 이동을 위해 만들어졌고 프리스타일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아 가볍고 내구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더 튼튼한 스쿠터 부품에 대한 필요성 때문에 스쿠터 커뮤니티는 자체적으로 스쿠터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개조'를 시작했다.[8][10] 이러한 개조는 스쿠터의 수명을 연장했지만, 트릭 스쿠터링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애프터마켓 부품이 필요하다는 것은 분명했다.

스쿠터 개조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종류개조 방법
접이식 메커니즘볼트로 고정
플라스틱 코어 휠핫멜트 접착제 사용
스쿠터 포크추가 금속 튜브를 삽입하여 강도 보강


2. 3. 1. 나사산 없는 포크 (Threadless Fork)

초기 스쿠터의 가장 중요한 구조적 결함은 포크의 강도였다. 생산 및 조립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마이크로(Micro)와 레이저(Razor) 스쿠터에 사용된 포크에는 나사산이 있어 나사산 헤드셋을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나사산 때문에) 포크 튜브의 두께가 나사산이 없는 자전거 포크에 비해 불필요하게 얇다는 것을 의미했다.[10] 이로 인해 스쿠터 라이더이자 스쿠터 리소스(Scooter Resource)의 소유주인 앤드류 브루사드(Andrew Broussard)는 스쿠터 리소스 포크(SR 포크)라고 불리는 최초의 나사산 없는 스쿠터 포크를 만들었다.[10] SR 포크는 강철로 만들어졌으며 레이저의 기본 나사산 알루미늄 포크보다 훨씬 더 육중한 설계로 되어 있어 큰 업그레이드였다.[10]

2. 3. 2. 일체형 핸들바 (One-piece Bars)

초기 Razor와 Micro 스쿠터에 포함된 핸들바는 조절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제작되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주행 시 상당히 흔들리고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했다.[6] 결국 다운튜브와 크로스바만 용접하여 만든 소위 T바를 용접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 다른 유형의 핸들바로 Y바가 있다. Y바는 다운튜브, 지지대, 그리고 하나의 크로스바를 가지고 있으며 Y자 모양을 하고 있어 Y바라고 불린다. 용접기와 강철 튜브만 있으면 누구든지 이러한 핸들바를 만들 수 있었지만, 일체형 핸들바의 최초 대량 생산은 Wee Scooters, RAD, Scooter Resource와 같은 회사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2. 3. 3. 메탈 코어 휠 (Metal Core Wheels)

초기 접이식 스쿠터에는 플라스틱 코어 휠이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프리스타일 라이딩을 할 때 생기는 충격으로 인해 이러한 휠의 플라스틱 스포크는 쉽게 부러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뜨거운 접착제를 사용하여 스포크 사이의 틈을 메워 강도를 높이기도 했다. 이 방법은 번거로웠지만 휠의 수명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되었다. 따라서 마이크로(Micro) 메탈 코어 휠의 등장은 (훨씬 더 비쌌지만) 큰 발전이었다.[6] 곧 이글 스포츠(Eagle Sport), 야크(Yak), 프로토(Proto)와 같은 회사들이 풀 코어와 스포크 코어를 포함한 자체 메탈 코어 휠을 출시했다.[6] 이러한 현대적인 휠은 무게를 줄이기 위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스쿠터 사용자 커뮤니티에 더 좋은 가격과 더 좋은 고품질 휠을 제공하게 되었다.

2. 3. 4. 일체형 데크 (One-piece Decks)

포크, 핸들바, 휠의 개선이 이루어진 후 다음으로 큰 발전은 레이저 스쿠터 데크의 접이식 메커니즘의 흔들림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2009년, TSI는 헤드 튜브와 넥을 데크 플레이트에 용접한 데크를 생산한 최초의 제조업체였다.[6] 접이식 메커니즘 문제를 해결했을 뿐만 아니라, 이 데크는 전반적인 강도가 증가했으며, 특히 대부분의 레이저 데크가 충분히 사용한 후에 금이 가고 부러지는 데크 맨 뒤쪽의 드롭아웃 부분에서 그러했다. 이 데크는 또한 'Flex Fender'라는 스프링이 없는 브레이크를 도입했는데, 이 자체로도 혁신적인 변화였다. Micro와 레이저 스쿠터에 사용되는 기존의 훨씬 복잡한 스프링 브레이크 시스템을 없앤 것이다. TSI가 데크를 출시한 직후, Phoenix Pro Scooters는 자체 버전의 일체형 데크를 출시했다.[6]

2. 3. 5. 압축 시스템 (Compression Systems)

나사산 없는 포크가 도입되면서 스쿠터 부품들을 결합하기 위한 압축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앤드류 브루사드(Andrew Broussard)는 사용 편의성을 높인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포크 튜브 상단의 스타 너트에 볼트와 상단 캡을 사용하여 포크와 핸들바를 함께 조이는 큰 클램프를 고안했다. 이를 통해 조정이 쉬워지고 강도가 향상되었으며, 그는 이것을 표준 압축 시스템(Standard Compression System), 줄여서 SCS라고 명명했다.[11]

이후 무게를 줄이기 위해 SCS만큼 크지 않은 클램프를 사용하는 HIC(Hidden Internal Compression), IHC(Internal Hidden Compression), Pytel 압축 시스템이 추가되었다.[11]

2. 3. 6. 기타 개선 사항

현대 프리스타일 스쿠터 디자인에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개선 사항들이 있다.[6][8][10]

  • 펜더: 데크판과 뒷바퀴 사이에 설치되는 "방패"로, 유연한 브레이크가 필요 없게 한다.
  • 다양한 바퀴 크기: 표준 24mm 바퀴보다 더 넓은 30mm 바퀴와, 표준 110mm 바퀴보다 더 큰 최대 125mm 지름의 바퀴가 있다.
  • 더 큰 베어링 크기 (12 STD): 스쿠터 바퀴를 고정하는 데 8mm 액슬을 사용하는 것이 표준이나, Ethic DTC사는 2016년에 지름 12mm 볼트에 맞는 더 큰 베어링이 장착된 바퀴를 만들었다.[12] 이는 볼트와 베어링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
  • 스쿠터 전용 그립테이프: 스케이트보드와 마찬가지로 스쿠터 데크는 라이더의 신발에 좋은 접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그립테이프로 덮여 있다. 초기 스쿠터 라이더들은 대부분 스케이트보드용 그립테이프를 대형 시트로 구매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스쿠터 전용 그립테이프를 제조하는 여러 회사가 생겨났다.
  • 스쿠터 브랜드 핸들 그립: 그립테이프와 마찬가지로 초기 스쿠터 라이더들은 종종 BMX 자전거용 그립을 구입하여 스쿠터에 장착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스쿠터 회사들이 스쿠터 특유의 세부 사항을 염두에 두고 직접 핸들 그립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 페그/데크 엔드: BMX 자전거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페그는 앞바퀴와 뒷바퀴 모두에 스쿠터 커뮤니티에서 한동안 사용되어 왔다. 최근 몇 년 동안 인기가 데크 엔드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뒷 페그와 같지만 스쿠터 데크의 너비에 맞게 장착된다. 데크 엔드를 사용하면 더 많은 트릭 옵션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쿠터 데크 뒷부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3. 세계 선수권 대회

국제 스쿠터 협회(ISA, 현재 국제 스쿠터 연맹(ISF))[13]가 주최한 첫 스쿠터 세계 선수권 대회가 2012년에 열렸으며, 다코타 슈츠가 우승했다. 그 이후로 세계 선수권 대회는 매년 개최되었으나, COVID-19 범유행으로 인한 제한으로 2020년에는 개최되지 않았다. 2019년부터는 남자 파크, 남자 스트릿, 여자 파크의 세 종목에서 우승자가 가려졌다 (2019년 이전에는 남자 파크 종목만 있었다).[14]

연도남자 파크남자 스트릿여자 파크개최지
2012다코타 슈츠 (미국)없음없음Deeside|디사이드영어 (영국), 에볼루션 익스트림
2013다코타 슈츠 (미국)없음없음Stoneleigh|스톤리영어 (영국), 스쿠트페스트
2014다코타 슈츠 (미국)없음없음Stoneleigh|스톤리영어 (영국), 스쿠트페스트
2015조던 클라크 (영국)없음없음Barcelona|바르셀로나es (스페인), 익스트림 바르셀로나
2016조던 클라크 (영국)없음없음Barcelona|바르셀로나es (스페인), 익스트림 바르셀로나
2017단테 허친슨 (영국)디딘 테르샤그 (프랑스)없음Barcelona|바르셀로나es (스페인), 익스트림 바르셀로나
2018조던 클라크 (영국)없음없음Barcelona|바르셀로나es (스페인), 익스트림 바르셀로나
2019존 마르코 게이도스 (미국)오귀스트 펠로드 (프랑스)베카 오르티즈 (미국)Barcelona|바르셀로나es (스페인), WRG 바르셀로나
2020없음없음없음London|런던영어 (영국), 쿠퍼박스 (취소)
2021조던 클라크 (영국)루카 디멜리오 (프랑스)루시 에반스 (영국)Barcelona|바르셀로나es (스페인), 익스트림 바르셀로나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리는 2028 하계 올림픽에 스쿠터를 새로운 종목으로 포함시키는 것에 대한 논의가 있다.[15]

4. 올해의 라이더 (Rider of the Year)

'''올해의 라이더'''(Rider of the Year, ROTY라고도 함)는 온라인 스쿠터 미디어 매체인 https://www.trendkillcollective.com/ Trendkill Collective가 매년 수여하는 상이다.[16] 이 상은 제작된 영상, 대회/스트릿잼에서의 성적, 전반적인 존재감과 인상 등을 기준으로 그 해 최고이거나 가장 영향력 있는 스쿠터 라이더에게 수여된다. 프리스타일 스쿠터 커뮤니티 회원들이 Trendkill 직원들이 매년 말에 직접 선정한 스쿠터 라이더 목록을 바탕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라이더에게 투표한다. 이 전통은 2019년에 시작되었으며 프리스타일 스쿠터링 커뮤니티에서 유일한 상이다. 2022년에는 프랑스 라이더인 루카스 디멜리오가 ROTY 상을 수상한 최초의 비(非)미국인이 되었다.

연도올해의 라이더
2019리스 도제마 (미국)
2020오스틴 코츠 (미국)
2021데빈 시드로브스키 (미국)
2022루카스 디멜리오 (프랑스)
2023폴 로만 (스페인)


참조

[1] 웹사이트 Revisiting The Brief Reign Of The Razor Scooter https://www.cracked.[...] 2023-01-02
[2] 웹사이트 Travel innovator: Wim Ouboter, inventor of the Micro scooter http://www.theguardi[...] 2022-04-30
[3] 웹사이트 All About Micro https://microkickboa[...] 2022-04-30
[4] 웹사이트 2000: The Year of the Razor https://www.provokem[...] 2023-01-02
[5] 간행물 How Scooters Are Becoming Millennials' Extreme Sport of Choice https://www.rollings[...] 2023-01-02
[6]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COOTERING From the NEK Down! https://www.unitedsc[...] 2022-04-30
[7] 웹사이트 Scootering: A Thrilling and Eco-Friendly Mode of Transportation https://sportycious.[...] 2023-09-06
[8] Youtube Zoned Out Podcast Ep. 7 - Andrew Broussard Full Interview https://www.youtube.[...] 2022-04-30
[9] 웹사이트 INDUSTRY INSIGHT Kevin DeMay – Trendkill Collective https://trendkillcol[...] 2022-04-30
[10] Youtube Tandem Episode 19 Andrew Broussard https://www.youtube.[...] 2023-01-04
[11] 웹사이트 The Vault's Guide to Compression Systems! https://www.thevault[...] 2022-07-09
[12] 웹사이트 Ethic dtc - a new concept. https://www.facebook[...] 2023-02-26
[13] 웹사이트 World Scooter Championships https://worldscooter[...]
[14] 웹사이트 World Scooter Champions https://www.isfscoot[...] 2022-04-30
[15] 웹사이트 JO 2028 : LA TROTTINETTE ET LE ROLLER, NOUVELLES DISCIPLINES OLYMPIQUES AUX JEUX DE LOS ANGELES ? https://www.eurospor[...] 2023-11-18
[16] 웹사이트 Trendkill Collective https://trendkillcol[...] 2022-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