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승교점 경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승교점 경도는 천문학에서 궤도면과 기준면이 교차하는 지점인 승교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각도이다. 지구 중심, 태양 중심, 태양계 외부 궤도 등 다양한 궤도 유형에 따라 기준면과 경도 원점이 다르며, 이중성의 경우 노드의 경도로 표현된다. 승교점 경도는 상태 벡터로부터 계산될 수 있으며, 비경사 궤도에서는 일반적으로 0으로 설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궤도 - 궤도면
    궤도면은 인공위성과 발사체의 궤도를 결정하는 중요 요소로, 지구 중력의 비구형성으로 인해 회전하며, 발사 시점은 목표 궤도면과 발사 기지의 교차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 궤도 - 다체 문제
    다체 문제는 상호작용하는 여러 물체의 운동을 다루는 문제로, 특히 중력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천체들의 운동을 예측하는 문제가 대표적이며, 삼체 문제부터는 해석적 해를 구하기 어려워 섭동 이론이나 수치 해석 등의 방법이 활용된다.
승교점 경도
궤도 요소
기호☊ 또는 Ω
정의기준 평면과 궤도 평면이 교차하는 선이 기준 방향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각도
적용 대상모든 궤도
관련 개념궤도 경사
근일점 인자
설명
정의승교점 경도(昇交點經度, longitude of ascending node, 기호: ☊ 또는 Ω)는 천체의 궤도를 정의하는 궤도 요소 중 하나다. 기준 평면(예: 황도)과 궤도 평면이 교차하는 선(승교선)이 기준 방향(예: 황도 좌표계의 춘분점)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각도다.
측정각도는 기준 방향에서 승교점 방향으로, 0°에서 360° 사이의 값으로 측정한다.
용도승교점 경도는 궤도 경사와 함께 궤도면의 방향을 결정한다.
참고승교점 경도는 행성, 소행성, 혜성, 인공위성 등 모든 궤도에 적용할 수 있다.
관련 요소승교점 경도는 궤도 경사, 근일점 인자와 함께 궤도 요소를 구성한다.

2. 정의 및 유형

승교점 경도는 기준면과 경도 원점에 따라 정의 및 유형이 달라진다.


  • 지구 중심 궤도의 경우, 기준면은 지구적도면이고 경도 원점은 춘분점이다. 경도는 승교점의 적경(RAAN) 또는 승교점의 지방시(LTAN)로 표현된다.
  • 태양 중심 궤도의 경우, 기준면은 황도이고 경도 원점은 춘분점이다.
  • 태양계 외부 궤도의 경우, 기준면은 천구면이고 경도 원점은 천구 북극 방향을 천구면에 수직 투영한 것이다.


이중성의 경우, 관측만으로는 승교점과 강교점을 구분할 수 없어, 노드의 경도(☊)는 0도에서 180도 사이의 값으로 표현된다.[5] [4]

2. 1. 지구 중심 궤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준면과 경도 원점은 다음과 같다.

  • 지구 중심 궤도의 경우, 기준면은 지구적도면이고 경도 원점은 춘분점(FPA)이다. 이 경우, 경도는 '''승교점의 적경'''(RAAN)이라고도 한다. 이 각도는 춘분점에서 노드까지 동쪽(또는 북쪽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된다.[3][2] 다른 방법으로는 우주선이 적도를 통과하는 평균 지방시를 기반으로 한 '''승교점의 지방시'''(LTAN)가 있다. 다른 행성을 도는 위성의 경우에도 유사한 정의가 존재한다(행성 좌표계 참조).

2. 2. 태양 중심 궤도

태양 중심 궤도의 경우, 기준면은 황도이고 경도 원점은 춘분점이다. 이 각도는 춘분점에서 노드까지 황도의 북쪽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된다.[3]

2. 3. 태양계 외부 궤도

태양계 외부 궤도의 경우, 관심 지점에서 천구에 접하는 평면(이를 ''천구면''이라고 함)을 기준면으로 하고, 북쪽(즉, 관찰자에서 천구 북극 방향을 천구면에 수직 투영한 것)을 경도 원점으로 한다. 이 각도는 북쪽에서 노드까지 동쪽(또는 관찰자가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된다.[4] [5]

시각 관측만으로 알려진 이중성의 경우, 어떤 노드가 승교점이고 어떤 노드가 강교점인지 알 수 없다. 이 경우 기록되는 궤도 매개변수는 단순히 '''노드의 경도'''(☊)로 표시되며, 경도가 0도에서 180도 사이인 노드의 경도를 나타낸다.[5] [4]

2. 4. 이중성 궤도

이중성의 경우, 시각 관측만으로는 어떤 노드가 승교점이고 어떤 노드가 강교점인지 알 수 없다. 이 경우 기록되는 궤도 매개변수는 단순히 '''노드의 경도'''(☊)로 표시되며, 경도가 0도에서 180도 사이인 노드의 경도를 나타낸다.[4], p. 72.[5], chap. 17;

3. 상태 벡터로부터의 계산

천체역학에서 승교점 경도는 비선형 상대 각운동량 벡터 '''h'''로부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begin{align}

\mathbf{n} &= \mathbf{k} \times \mathbf{h} = (-h_y, h_x, 0) \\

\Omega &= \begin{cases}

\arccos { {n_x} \over { \mathbf{\left |n \right |}}}, &n_y \ge 0; \\

2\pi-\arccos { {n_x} \over { \mathbf{\left |n \right |}}}, &n_y < 0.

\end{cases}

\end{align}

여기서 '''n''' = ⟨''n''x, ''n''y, ''n''z⟩는 승교점을 가리키는 벡터이다. 기준 평면은 ''xy'' 평면으로 가정하며, 경도의 원점은 양의 ''x''축으로 간주한다. '''k'''는 (0, 0, 1)인 단위 벡터이며, 이는 ''xy'' 기준 평면에 대한 법선 벡터이다.

궤도 경사가 0인 비경사 궤도의 경우 ☊는 정의되지 않는다. 계산을 위해 관례적으로 0으로 설정한다. 즉, 승교점은 기준 방향에 배치되며, 이는 '''n'''이 양의 ''x''축을 향하도록 하는 것과 같다.

4. 한국의 관련 연구 및 활용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결과물도 없으므로, '승교점 경도' 문서의 '한국의 관련 연구 및 활용' 섹션 내용을 작성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Parameters Describing Elliptical Orbits http://www.lns.corne[...] 2007-05-17
[2] 웹사이트 Keplerian Elements Tutorial http://www.amsat.org[...] 2007-05-17
[3] 웹사이트 Orbital Elements and Astronomical Terms http://www.physics.n[...] Robert A. Egler, Dept. of Physic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007-05-17
[4] 서적 The Binary Stars New York: Semi-Centennial Publication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1918
[5] 웹사이트 Celestial Mechanics http://astrowww.phys[...] 2007-05-17
[6] 웹사이트 昇交点黄経 http://www.bao.city.[...] 美星天文台 2015-09-24
[7] 서적 理科年表 第88冊(平成27年) 丸善 2014-11-30
[8] 웹인용 昇交点黄経 http://www.bao.city.[...] 美星天文台 2015-09-24
[9] 서적 理科年表 第88冊(平成27年) 丸善 2014-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