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분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춘분점은 천문학에서 태양이 적도와 황도가 교차하는 지점으로, 태양의 황경이 0°일 때를 의미한다. 지구의 세차 운동으로 인해 춘분점은 서쪽으로 이동하며, 현재는 물고기자리에 위치한다. 춘분점은 천문학, 항해, 점성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며, 특히 춘분점의 위치 변화는 시대별 별자리의 변화와 관련하여 다양한 해석을 낳았다. 기독교에서는 춘분점이 물고기자리에 있었던 점을 들어 물고기자리를 신성하게 여기기도 하며, 뉴에이지 운동에서는 춘분점이 위치하는 별자리를 시대의 상징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현대 천문학에서는 춘분점을 적경과 황경의 기준으로 사용하며, 국제천문연맹은 ICRS를 도입하여 춘분점 정의를 변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월의 행사 -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는 일본 고등학교 야구 연맹과 마이니치 신문이 주최하는, 매년 3월에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열리는 전국 고등학교 야구 토너먼트 대회로, 가을 토너먼트를 거친 32개교가 출전하며 지역별 배정, 21세기 팀, 메이지 진구 대회 우승팀 등의 선발 방식을 통해 출전 학교가 결정되고, 고교 야구 선수들의 꿈의 무대이자 학교와 지역의 명예를 건 경쟁의 장으로 여겨진다. - 3월의 행사 - 도쿄 국제 애니메이션 페어
도쿄 국제 애니메이션 페어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 도쿄 빅사이트에서 개최된 일본의 대표적인 애니메이션 행사로, 비즈니스 데이와 퍼블릭 데이로 나뉘어 애니메이션 관련 상품 판매, 코스프레 이벤트, 시상식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으나 2014년 AnimeJapan으로 통합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구면천문학 - 동지점
동지는 태양 황경이 270°인 시점으로 북반구에서 낮이 가장 짧고, 여러 문화권에서 축제와 풍습이 행해지며, 한국에서는 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는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날이다. - 구면천문학 - 추분점
추분점은 천문학에서 태양이 적도에 위치하고 황경이 180°가 되는 지점을 의미하며, 지구 궤도 섭동을 고려하여 태양의 황경이 180°일 때를 추분점으로 정의하고 현재는 처녀자리에 위치한다. - 태양계동역학 - 황도
황도는 지구가 태양을 공전함에 따라 지구에서 보이는 태양의 연중 겉보기 운동 경로로, 천구 적도에 대해 약 23.4° 기울어져 천문학과 점성술에서 기준면으로 사용되며, 춘분점, 추분점 결정과 일식, 월식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태양계동역학 - 지점
지점은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로 인해 발생하는 계절 변화의 중요한 시점으로, 하지와 동지를 포함하며, 태양 직하점의 위치와 낮과 밤의 길이 변화, 문화적 의미를 갖는다.
춘분점 | |
---|---|
천문학적 위치 | |
별자리 | 물고기자리 (주로) |
황도 좌표 | 경도 0° |
기호 | ♈ |
적경 | 00h 00m 00s |
적위 | 0° 0′ 0″ |
개요 | |
설명 | 태양이 천구의 적도를 남쪽에서 북쪽으로 가로지르는 지점 |
위치 | 춘분날 태양이 천구상에 나타나는 위치 |
관련 | 춘분, 황도, 천구 |
문화적 의미 | |
상징 | 새로운 시작, 봄의 시작 |
관련 축제 | 춘분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적 축제 |
기타 명칭 | |
영어 | First Point of Aries |
중국어 | 春分点 (Chūnfēn diǎn) |
일본어 | 春分点 (しゅんぶんてん, Shunbunten) |
참고 사항 | |
위치 변화 | 세차 운동으로 인해 이동함 |
중요성 | 천문학적 좌표계의 기준점 |
2. 정의
천문학에서 춘분점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하지만, 달과 기타 행성들의 섭동 때문에 지구가 정확한 타원 궤도를 돌지 않으므로, 공식적으로는 태양의 적위가 0°가 아니더라도 태양의 황경이 0°일 때를 춘분점으로 정의한다.[10] 춘분점은 별칭으로 '''백양궁의 원점'''(the first point of Aries)이라고도 한다.
3. 역사
춘분점은 고대부터 천구상에서 태양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기준점으로 중요하게 여겨졌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3월 춘분점을 한 해의 시작점으로 선택했는데, 이는 힐라리아 축제와 관련이 있었고 농업 활동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시기였다.[1] 바빌론 황도대에서는 춘분점이 양자리에 위치했으며, 이는 청동기 시대에 플레이아데스 성단과 일치하는 것으로 표시되었다. 히파르코스는 기원전 130년에 양자리의 첫 번째 점을 정의했는데, 이는 당시 춘분점이 양자리의 서쪽 경계에 있었기 때문이다.
3. 1. 세차 운동
지구의 세차 운동으로 인해 춘분점은 약 72년에 1도씩 서쪽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이는 히파르코스 시대 이후 하늘에서 약 30° 이동했으며, 현재는 물고기자리 내에 위치하며, 물병자리와의 경계 근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 태양은 현재 4월 말부터 5월 중순까지 양자리에 나타나지만, 이 별자리는 여전히 북반구의 봄의 시작과 관련이 있다.[1]춘분점의 세차 운동은 천문학, 항해, 점성술 분야에서 중요하다. 항해력은 춘분점의 지리적 위치를 항해용 별의 위치를 참조하기 위한 기준으로 기록한다. 주어진 위치에서 특정 시기의 별자리의 천정 관측(위치 위)은 서쪽으로 서서히 이동했다(태양 에포크를 사용하여 드리프트를 알 수 있다). 황도대도 이와 유사하게 영향을 받으며 더 이상 별자리와 일치하지 않는다.[1]
춘분점은 백양궁의 원점(the first point of Aries)이라고도 한다. 이 ''Aries''는 황도 12궁의 백양궁(황경 0°~30°)이며 별자리의 「양자리」를 뜻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원전 2세기에 황도 12궁이 정비되었을 때 「양자리」에 춘분점이 있었기 때문에, 동명의 백양궁이 12궁의 기점이 되었다.[1]
기독교에서는 「물고기자리」를 신성한 별자리로 여겼다. 그것은, '''Ιησους Χριστος, Θεου ‘Υιος Σωτηρ'''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 구세주)의 머리글자 Ι-Χ-Θ-Υ-Σ-를 연결하면 그리스어로 「물고기」를 의미하는 'ιχθυς (ichthys)가 된다는 점과, 그리스도가 태어났을 때 춘분점이 「물고기자리」에 있었기 때문이다. 덧붙여, 춘분점은 현재도 「물고기자리」에 있다.[1]
4. 별자리
현재 춘분점은 물고기자리에 위치한다. 과거 춘분점은 양자리에 위치했으며, '양자리의 첫 번째 점'이라고 불렸다. 히파르코스가 기원전 130년에 춘분점을 정의했을 당시, 춘분점은 양자리의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었고, 별 γ 양자리에 가까웠다. 태양이 일년 내내 하늘을 가로질러 동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양자리의 이 서쪽 끝은 태양이 별자리에 들어가는 지점이었고, 따라서 '양자리의 첫 번째 점'이라는 이름이 붙었다.[1]
지구의 세차 운동으로 인해 이 지점은 약 72년에 1도씩 서쪽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히파르코스 시대 이후 하늘에서 약 30° 이동했으며, 현재는 물고기자리 내에 위치하며, 물병자리와의 경계 근처에 있다. 태양은 현재 4월 말부터 5월 중순까지 양자리에 나타나지만, 이 별자리는 여전히 북반구의 봄의 시작과 관련이 있다.
양자리의 첫 번째 지점은 천문학, 항해, 점성술 분야에서 중요하다. 항해력은 양자리의 첫 번째 지점의 지리적 위치를 항해용 별의 위치를 참조하기 위한 기준으로 기록한다.
기독교에서는 물고기자리를 신성한 별자리로 여겼다.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 구세주를 뜻하는 그리스어 '''Ιησους Χριστος, Θεου ‘Υιος Σωτηρ'''의 머리글자를 연결하면 그리스어로 「물고기」를 의미하는 'ιχθυς (ichthys)가 된다는 점과, 그리스도가 태어났을 때 춘분점이 물고기자리에 있었기 때문이다.
4. 1. 뉴에이지와 춘분점
뉴에이지에서는 춘분점이 위치하는 별자리가 그 시대(하나의 별자리로 약 2천 년)를 상징한다고 여긴다. 춘분점은 서기 1세기부터 20세기까지는 물고기자리에 있었지만, 20세기 말경에 물병자리로 들어섰다고 하며(현재 이행 중이라는 설도 있다), 이를 지지하는 이들은 현대를 "물병자리 시대(the age of Aquarius)"라고 부른다. "물병자리"는 변혁을 상징한다고 여겨지며, 세계적인 변혁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1980년 이후 베를린 장벽 붕괴, 동서독일의 통합, 소련 해체, 동유럽 혁명과 민주화, 유럽 연합의 성립 등 큰 변혁이 이미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아베 정권에서 볼 수 있듯이, 이상 기후나 2008년 리먼 쇼크 등 경제 침체와 함께 세계 각국에서 보호주의, 자유주의에 대한 반동화, 보수화가 일어났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물병자리 시대"는 일부 점성술가들이 주장하기도 하지만, 전통적인 서양 점성술과는 관계가 없다. 실제로 춘분점이 "물병자리"에 진입하는 것은 이보다 500년 이상 뒤의 일이며, 황도 12궁과 달리 별자리의 영역은 불균등하므로, "~자리의 시대"의 기간은 2천 년이 아닐 수도 있다는 비판이 있다. 즉, 황도 12궁과 별자리가 혼동되어 이론적으로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점성술에서의 시대 구분은 춘분점의 이동과는 관계가 없다는 주장도 있지만, 이 경우 점성술에서 시대 구분의 근거 자체가 사라진다.
참고로, '아쿠아리안 에이지(Aquarian age)'를 직역하면 "물병궁 태생의 사람의 시대"라는 의미가 된다.
5. 현대 천문학에서의 춘분점
국제천문연맹은 "IAU2006세차장동 이론"에 의해 ICRS(국제 천문 기준 좌표계, International Celestial Reference System)를 도입하여 황도가 없어도 적경을 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5] ICRS는 아주 먼 거리에 있는 전파 천체(주로 퀘이사)에 의해 정해진다. 이 정의의 변경은 2009년 1월 1일부터 적용되었으며, 새로운 이론에 따른 각 천체의 시황경은 이전 이론보다 항상 50밀리초각 크다(예를 들어 24절기가 시간으로 1.2초 빨라진다).
참조
[1]
서적
The Cults of the Roman Empire
1996
[2]
웹사이트
質問3-1)何年後かの春分の日・秋分の日はわかるの?
https://www.nao.ac.j[...]
[3]
서적
天文学辞典
地人書館
1986
[4]
서적
図説・占星術事典
同学社
[5]
웹사이트
片山他『暦象年表の改訂について』国立天文台報第11巻, 57-67 (2008)
https://www.nao.ac.j[...]
国立天文台
2020-09-22
[6]
웹사이트
Équinoxe de printemps entre 1583 et 2999
http://www.imcce.fr/[...]
[7]
웹사이트
Solstice d’été de 1583 à 2999
http://www.imcce.fr/[...]
[8]
웹사이트
Équinoxe d’automne de 1583 à 2999
http://www.imcce.fr/[...]
[9]
웹사이트
Solstice d’hiver
http://www.imcce.fr/[...]
[10]
웹사이트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태양고도/방위각계산
https://astro.kasi.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