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기하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矢, Sagitta)는 원의 현과 호로 둘러싸인 영역을 의미하며, 기하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현의 길이, 높이(화살거리), 반지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다양한 공식이 존재하며, 특히 화살거리가 반지름에 비해 작을 때 근사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활꼴은 건축, 토목 공학에서 구조물 설계에 활용되며, 물리학에서는 가속 입자의 곡률 반경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중국의 심괄은 활꼴과 관련된 근사 공식을 제시했으며, 곽수경은 이를 발전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시 (기하학) | |
---|---|
개요 | |
![]() | |
정의 | 현의 중점과 원호의 중점 사이의 거리 |
다른 이름 | 애펄라타, 화살 |
공식 | |
공식 명칭 | s = r - √(r² - (ℓ/2)²) |
변수 설명 | s: 시 (sagitta) r: 반지름 ℓ: 현의 길이 |
활용 | |
활용 분야 | 건축학 광학 |
2. 정의
활꼴은 원의 현과 호로 둘러싸인 영역이다. 활꼴에서 현의 길이()는 높이(화살거리,)와 반지름()에 대하여,
:
,
:
의 관계가 있다.
활꼴은 건축, 토목 공학에서 곡선 벽, 아치형 천장, 교량 등 다양한 구조물을 설계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평평해진" 호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3. 공식
활꼴에서 현의 길이()는 높이(화살거리,)와 반지름()에 대해 다음 관계가 있다.
:
:
:
는 시타(호의 깊이 또는 높이)를 나타내고, 은 원의 반지름과 같으며, 은 호의 밑변을 가로지르는 현의 길이를 나타낸다. 과 는 이 빗변인 직각삼각형의 두 변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
이 식을 재배열하여 다른 세 가지를 구할 수 있다.
:
시타는 versine 함수로부터도 계산할 수 있는데, 이 함수는 중심각 2''θ''}}의 각을 가지는 호에 적용되며, 단위원의 versine과 일치한다.
:
4. 근사
활꼴에서 화살거리(s)가 반지름(r)에 비해 매우 작을 때, 다음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2][5]
:
화살거리(s)가 작고, 화살거리, 반지름, 현의 길이가 알려져 있다면,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호의 길이를 추정할 수 있다.
:
여기서 는 호의 길이를 나타낸다.
이 공식은 중국의 수학자 심괄에게 알려졌으며, 2세기 후에 곽수경에 의해 더 정확한 공식이 개발되었다.[3][6]
5. 응용
물리학에서는 시(矢, Sagitta)가 가속 입자의 곡률 반지름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거품 상자 실험에서 붕괴 입자의 운동량을 결정하는 데 활용된다. 역사적으로, 시는 구심 시스템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계산에 사용되었으며, 아이작 뉴턴의 프린키피아에서도 이 방법이 사용되었다.
6. 역사
6. 1. 동아시아
중국의 수학자 심괄(沈括, 1031년 ~ 1095년)은 사깃타, 반지름, 현의 길이를 이용하여 호의 길이를 추정하는 근사 공식을 제시했다.[2][3][5][6] 2세기 후, 곽수경(郭守敬, 1231년 ~ 1316년)은 심괄의 연구를 발전시켜 사깃타를 포함하는 더 정확한 공식을 개발했다.[3][6]
6. 2. 서양
건축가, 엔지니어, 시공업자들은 곡선 벽, 아치형 천장, 다리 등 다양한 구조물에 "평평해진" 활꼴을 만들기 위해 관련 방정식을 활용한다. 처짐(sagitta)은 물리학에서도 사용되는데, 현의 길이와 함께 가속 입자의 곡률 반경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이는 특히 거품 상자 실험에서 붕괴 입자의 운동량을 결정하는 데 활용된다. 역사적으로 처짐은 구심 시스템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계산 매개변수로도 사용되었으며,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1643년 1월 4일 ~ 1727년 3월 31일)은 그의 저서 《프린키피아》에서 이 방법을 사용했다.
7. 한국의 활꼴
참조
[1]
웹사이트
德博士的 Notes About Circles, ज्य, & कोज्य: What in the world is a hacovercosine?
http://www2.hawaii.e[...]
University of Hawaii
2015-11-08
[2]
서적
Geometry - Plane, Solid & Analytic Problem Solver
https://books.google[...]
Research & Education Association
1978-12
[3]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Mathematics and the Sciences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德博士的 Notes About Circles, ज्य, & कोज्य: What in the world is a hacovercosine?
http://www2.hawaii.e[...]
University of Hawaii
2015-11-08
[5]
서적
Geometry - Plane, Solid & Analytic Problem Solver
https://books.google[...]
Research & Education Association
1978-12
[6]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Mathematics and the Sciences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