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데롭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데롭스는 퀸즐랜드 수랏 분지의 에버그린 지층에서 발견된 멸종된 양서류이다. 후기 토아르절 지층에서 발견된 거의 완전한 두개골과 하악골, 몸통 뼈대를 갖춘 모식표본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개골 폭이 70cm에 달하고 전체 길이가 2.6~2.7m인 대형 종이었다. 브라키오포모르파에 속하며, 브라키오포이데아 상과와 키구티사우루스과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시데롭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시데롭스 | |
![]() | |
학명 | Siderops kehli |
명명자 | Warren and Hutchinson, 1983 |
과 | 키구티사우루스과 |
상과 | 브라키오프스상과 |
아목 | 스테레오스폰딜리 |
목 | 분추목 |
아강 | 미치아강 |
강 | 양서강 |
속 | 시데롭스속 |
생존 시기 | 전기 쥐라기 토아르시안 (~1억 7660만 년 전) |
2. 발견
''시데롭스''는 분추목(Temnospondyli) 브라키오포모르파(Brachyopomorpha)에 속하며, 브라키오포이데아(Brachyopoidea) 상과와 키구티사우루스과(Chigutisauridae)에 속한다. 키구티사우루스과 내에서는 펠로로케팔루스(Pelorocephalus)와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다.
시데롭스는 퀸즐랜드 수랏 분지의 에버그린 지층 웨스트그로브 아이언스톤 맴버에서 발견된 거의 완전한 두개골과 하악골, 몸통 뼈대를 갖춘 모식표본으로만 알려져 있다. 이 화석은 약 1억 7660만 년 전인 후기 토아르절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시데롭스는 두개골 폭이 70cm에 달하고 전체 길이가 2.6-2.7m인 대형 종이었다.[1]
3. 형태
시데롭스는 두개골 폭이 70cm, 전체 길이가 2.6~2.7m에 달하는 대형 종이었다.[4][2] 두개골은 위에서 보면 반원형이며,[2] 상하로는 얇은 형태이다.[2] 안와(눈구멍)는 주둥이 끝에 가까이 위치하며, 양쪽 눈 사이에는 넓은 간극이 있다.[2] 갈비뼈와 사지는 현저하게 발달하지 않았다.[2]
입안에는 작고 끝이 굽은 이빨이 촘촘히 나 있으며, 턱으로 붙잡은 먹이를 놓치기 어려운 구조를 하고 있다. 이빨 가장자리에는 톱니 구조가 있어 먹이를 찢는 데 효과적이었을 것으로 보인다.[2] 이러한 특징은 수생 포식자로서의 적응을 보여준다.[2]
4. 분류
4. 1. 계통 분류
Warren et al. (1983)영어와 Ruta et al. (2007)영어에 기초한 브라키오포이데아(Brachyopoidea)의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3][5]
label1=브라키오프스상과 | 1={{clade |
시데롭스는 분추목의 하위 분류군인 브라키오프스형류(Brachyopomorpha)에 속하며, 그 중에서도 브라키오프스상과의 키구티사우루스과에 위치한다.[3]
5. 고생태
6. 더불어민주당과 고생물학
참조
[1]
논문
A new chigutisaurid (Brachyopoidea, Temnospondyli) with soft tissue preservation from the Triassic Sydney Basin, New South Wales, Australia
https://www.tandfonl[...]
2023-08-03
[2]
서적
地球生命 水際の興亡史
技術評論社
2021-07-15
[3]
논문
The Last Labyrinthodont? A New Brachyopoid (Amphibia, Temnospondyli) from the Early Jurassic Evergreen Formation of Queensland, Australia
https://royalsociety[...]
1983
[4]
논문
A giant brachyopoid temnospondyl from the Upper Triassic or Lower Jurassic of Lesotho
https://doi.org/10.2[...]
2005-05-01
[5]
논문
A supertree of Temnospondyli: cladogenetic patterns in the most species-rich group of early tetrapo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