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민 포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민 포럼은 1989년 벨벳 혁명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결성된 시민들의 조직이다. 바츨라프 하벨을 중심으로 공산당 일당 지배 체제에 대항하여 민주화를 요구했으며, 벨벳 혁명의 성공에 기여했다. 시민 포럼은 다당제 도입과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붕괴 이후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으로 국명을 변경하고 바츨라프 하벨을 대통령으로 선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후 내부 갈등으로 분열되었으며, 일부는 시민민주당, 시민운동, 사회민주당 등으로 재편되었다. 시민 포럼은 1990년 총선에서 다수당이 되었으며, 연립 정부를 구성하고 국민화해정부에 참여하는 등 민주화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의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시민 포럼
기본 정보
이름시민 포럼
로마자 표기Občanské fórum
창립자바츨라프 하벨
설립일1989년 11월 19일
해산일1991년 2월 23일 (1992년 5월 11일)
후계 정당시민민주당
시민 운동
본부프라하, 체코슬로바키아
신문Občanský deník
지도자바츨라프 클라우스
이념
이념자유민주주의

2. 벨벳 혁명과 시민 포럼의 결성

1989년 벨벳 혁명이 일어나자 시민들은 바츨라프 하벨을 지도자로 하는 시민 포럼을 결성하였다. 이들은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에 맞서 싸웠다. 하벨은 모든 시민을 모아 1989년 12월 말 다시 시위를 일으켜 정부에 대항했다. 벨벳 혁명은 시민 포럼과 시민들의 끈질긴 노력으로 성공적으로 끝났다. 결국 체코슬로바키아에는 다당제가 도입되었고, 이듬해 3월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과 정부가 무너졌다. 시민 포럼은 1991년 국명을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으로 바꾸고 바츨라프 클라우스를 의장으로 선출했다. 대통령에는 시민 포럼의 지도자인 바츨라프 하벨이 당선되었다. 현재 슬로바키아는 체코의 시민 포럼을 약간 다르게 부르고 있다.[1]

1989년 11월 17일 발생한 학생 시위를 계기로 민주화 운동이 확산되기 시작한 가운데, 같은 달 19일 공산당 일당 지배 체제 타파와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들과 자주적인 조직들이 결집하여 시민 포럼이 결성되었다. 시민 포럼(OF)은 수평적 네트워크를 기본으로 하는 조직 형태를 채택하고, 조직으로서의 대표는 두지 않았으며, 프라하에 설치된 조정 센터가 운동 전체를 총괄하였다.[2]

3. 벨벳 혁명의 전개와 시민 포럼의 역할

1989년 벨벳 혁명이 일어나자 시민들은 바츨라프 하벨을 지도자로 하여 시민 포럼을 조직했다. 이들은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에 대항하여 싸웠다. 하벨은 시민들을 모아 1989년 12월 말 다시 시위를 일으켰다. 벨벳 혁명은 시민 포럼과 시민들의 끈질긴 노력으로 성공적으로 끝났다. 그 결과 체코슬로바키아에는 다당제가 도입되었고, 이듬해 3월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과 정부가 무너졌다. 1991년 시민 포럼은 국명을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으로 바꾸고 바츨라프 클라우스를 의장으로 선출했다. 바츨라프 하벨은 대통령이 되었다. 현재 슬로바키아는 체코의 시민 포럼을 약간 다르게 부르고 있다.

4. 민주화 이후의 활동과 분열

1989년 벨벳 혁명이 터지자 시민들은 바츨라프 하벨을 지도자로 하는 시민 포럼을 조직했다. 이들은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에 맞서 싸웠고, 1989년 12월 말 다시 시위를 일으켰다. 벨벳 혁명은 시민 포럼과 시민들의 끈질긴 노력으로 성공적으로 끝났다.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과 정부가 무너지면서 체코슬로바키아에는 다당제가 도입되었고, 1991년 국명을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으로 바꾸고 바츨라프 클라우스가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대통령에는 바츨라프 하벨이 선출되었다.

연립 정부 출범 후, 시민 포럼 내에서는 당의 정당화를 요구하는 바츨라프 클라우스 등의 우파 그룹과, 수평적 조직 구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지 디인스트빌 등의 중도파 그룹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결국 1991년 봄 클라우스 등의 그룹은 시민민주당을, 디인스트빌 등 중도파는 "시민 운동"을 발족함으로써 시민 포럼은 분열되었다. 또한 시민 포럼 내에서 활동하던 시민민주연합은 독자 노선을 걸었고, 사회민주주의 그룹의 대부분은 체코 사회민주당에 합류했다.

4. 1. 국민화해정부 참여

벨벳 혁명 이후 12월에 출범한 국민화해정부에 시민 포럼(OF)의 핵심 멤버들이 각료로 입각했고, 시민 포럼의 상징적 존재인 바츨라프 하벨은 같은 해 12월 29일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 1990년 6월에 치러진 연방의회 체코 지역과 체코 국민평의회(체코 지역의 지방 의회) 선거에서 시민 포럼은 과반수 의석을 획득했다.[1] 선거 후, 연방 차원에서는 슬로바키아 지역의 자매 조직인 폭력에 반대하는 시민(VPN)과, 체코 지역에서는 체코 기독민주당 및 기독민주연합-체코슬로바키아인민당과 함께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1]

4. 2. 1990년 총선 승리

벨벳 혁명 이후 12월에 출범한 국민화해정부에 시민 포럼(OF)의 핵심 멤버들이 각료로 입각했고, OF의 상징적 존재인 바츨라프 하벨은 같은 해 12월 29일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 1990년 6월에 치러진 연방의회 체코 지역과 체코 국민평의회(체코 지역의 지방 의회) 선거에서 시민 포럼은 과반수 의석을 획득했다.[1] 선거 후, 연방 차원에서는 슬로바키아 지역의 자매 조직인 "폭력에 반대하는 시민(VPN)"과, 체코 지역에서는 체코 기독민주당 및 기독민주연합-체코슬로바키아인민당과 함께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1]

4. 3. 내부 갈등과 분열

연립 정부 출범 후, 시민 포럼(OF) 내에서는 당의 정당화를 요구하는 바츨라프 클라우스(당시 연방 정부 재무장관, 전 체코 대통령) 등의 우파 그룹과, 수평적 조직 구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지 디인스트빌(당시 연방 정부 외무장관) 등의 중도파 그룹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결국, 클라우스 등의 그룹이 1991년 봄 경제적 자유주의에 기반한 시민민주당(ODS)을 발족하고, 디인스트빌 등 중도파는 "시민 운동"(OH)을 발족함으로써 시민 포럼은 분열되었다. 또한 시민 포럼 내에서 활동하던 시민민주연합(ODA)은 독자 노선을 걸었고, 사회민주주의 그룹의 대부분은 체코 사회민주당(CSSD)에 합류했다.

시민 포럼 내부에는 다음과 같은 분파가 있었다.

분파명이념주도 인물이후
민주우익 의원클럽당 내 우익바츨라프 클라우스시민민주당으로 변모
시민포럼 자유주의 클럽당 내 중도파시민운동으로 변모
시민포럼 사회민주주의 클럽사회민주주의루돌프 바테크사회민주당 협회가 됨


5. 분열 이후

1992년 총선에서 시민민주당(ODS)은 기독교민주연합(KDS)과 연립 명단 ODS-KDS를 구성하여 제1당이 되었으며, 이후 체코 정계의 주요 정당 중 하나가 되었다.[1] 반면 시민연합(OH)은 의석 확보에 필요한 득표율 5%의 벽(의석 제한 조항)을 넘지 못하고 주요 정당의 자리에서 몰락하는 결과를 맞았다.[1] 이후 OH는 1996년 체코슬로바키아 국민사회당에 합병되었다.[1]

6. 이념적 기반

시민 포럼은 다양한 이념적 기반을 가진 그룹들로 구성되었다.

그룹명이념 성향주요 인물후신
민주우익 의원클럽당 내 우익바츨라프 클라우스시민민주당[1][2][3][4]
시민포럼 자유주의 클럽당 내 중도파시민운동
시민포럼 사회민주주의 클럽사회민주주의루돌프 바테크사회민주당 협회[5]


7. 주요 선거 결과

시민 포럼은 1990년에 실시된 1990년 체코슬로바키아 연방의회 선거와 1990년 체코 공화국 국민평의회 선거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연방의회 선거 (체코 선거구)에서는 인민원 101석 중 68석(득표율 53.15%), 국민원 75석 중 50석(득표율 49.96%)을 획득하였고, 체코 국민평의회 선거에서는 200석 중 127석(득표율 49.50%)을 차지했다.[1]

7. 1. 연방 의회

1990년 체코슬로바키아 연방의회 선거 체코 선거구에서 시민 포럼은 인민원과 국민원에서 다수 의석을 확보하였다.[1] 세부적으로 인민원에서는 101석 중 68석(득표율 53.15%), 국민원에서는 75석 중 50석(득표율 49.96%)을 획득하였다.[1]

7. 1. 1. 인민원

1990년 총선에서 시민 포럼은 인민원에서 68석을 획득하여 1위를 차지하였다.[1] 득표수는 3,851,172표, 득표율은 36.2%였다.[1]

1990년 체코슬로바키아 총선 시민 포럼 결과[1]
년도득표수득표율의석 수 (인민원)순위
1990년3,851,17236.2%68석1위



1990년 체코슬로바키아 연방의회 선거의 체코 선거구에서 시민 포럼은 인민원 101석 중 68석(득표율 53.15%)을 획득하였다.[1]

7. 1. 2. 국민원

1990년 체코슬로바키아 총선에서 시민 포럼은 3,613,513표(34.0%)를 얻어 1위를 차지했으며, 전체 150석 중 50석을 확보하여 다수당 정부를 구성했다.[1]

1990년 체코슬로바키아 연방의회 선거 결과 (체코 선거구)[1]
구역의석 수득표율
인민원68석53.15%
국민원50석49.96%



1990년 체코 공화국 국민평의회 선거에서는 200석 중 127석(득표율 49.50%)을 차지했다.[1]

7. 2. 체코 국민 평의회

1990년 체코 의회 선거에서 시민 포럼은 3,569,201표를 얻어 49.50%의 득표율을 기록, 체코 국민 평의회(Česká národní rada) 전체 200석 중 124석을 차지하여 1위를 하였다.[1] 그 결과 페트르 피타르트가 이끄는 내각이 구성되었다.

1990년 체코 국민 평의회 선거 결과
년도득표수득표율의석 수순위내각
1990년3,569,20149.50%124석1위피타르트 I, 피타르트 II



또한, 1990년 체코슬로바키아 연방의회 선거의 체코 선거구에서 시민 포럼은 인민원 101석 중 68석(득표율 53.15%), 국민원 75석 중 50석(득표율 49.96%)을 획득하였다.[1]

참조

[1] 서적 The new right in the new Europe Czech transformation and right-wing politics, 1989-2006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
[2] 서적 The politics of greed : how privatization structured politic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Rowman & Littlefield 2006
[3] 웹사이트 Konzervativní strana: Dvakrát se nevstupuje do stejné řeky špinavýma nohama http://www.konzervat[...] 2017-07-21
[4] 웹사이트 Nepolitická politika Občanského fóra předznamenala jeho úspěch i pád http://www.denik.cz/[...] 2014-11-19
[5] 서적 Social Democracy in a Post-communist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