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스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식스맨은 농구에서 선발 선수와 교체되어 투입되는 벤치 멤버를 의미하며, 다른 벤치 멤버보다 출장 빈도가 높다. 주전급 선수를 벤치에서 대기시키거나, 신체적 약점을 가진 선수, 유틸리티 플레이어를 기용하여 팀의 전술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한다. NBA에서는 식스맨의 중요성을 인정하여 NBA 식스맨상을 제정했으며, 존 하블리첵, 케빈 맥헤일, 토니 쿠코치, 마누 지노빌리, 제임스 하든 등이 대표적인 식스맨으로 활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구 용어 - 바이얼레이션
바이얼레이션은 농구 경기에서 발생하는 규칙 위반 행위를 총칭하며, 시간 제한, 행위 관련, NBA 특별 규칙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된다. - 농구 용어 - 슈팅 가드
슈팅 가드는 득점을 주 임무로 하며 뛰어난 슈팅 능력과 돌파력으로 공격을 이끌고, 수비 시에는 상대 가드의 득점을 저지하는 농구 포지션이다. - 명수 6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 명수 6 - 육분의
육분의는 존 해들리와 토마스 고드프리가 개발한 천체의 고도를 측정하는 각도 측정 도구로, 넓은 시야와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며, 특히 해군에서 백업 항해 도구로 사용된다.
식스맨 | |
---|---|
농구에서의 식스맨 | |
역할 | 주요 후보 선수 |
중요성 | 팀의 승리에 기여 |
특징 | 주전 선수와 비슷한 수준의 기량 다양한 포지션 소화 능력 뛰어난 경기 감각 팀 분위기 고조 |
식스맨의 역할 | |
경기 흐름 변화 | 팀의 약점 보완, 공격/수비 강화 |
주전 선수 체력 안배 | 효율적인 선수 운영 |
팀 분위기 전환 | 경기 흐름을 바꾸는 역할 |
식스맨의 중요성 | |
팀 전력 상승 | 식스맨의 활약은 팀의 전체적인 전력 상승에 기여 |
다양한 전략 구사 | 식스맨의 존재는 감독에게 다양한 전략 옵션 제공 |
예상치 못한 변수 창출 | 상대 팀에게 예측 불가능한 요소 제공 |
대표적인 식스맨 | |
NBA | 마누 지노빌리 자말 크로포드 제임스 하든 |
KBL | 김효범 문성곤 최진수 |
식스맨 관련 용어 | |
올해의 식스맨상 | NBA에서 식스맨에게 주는 상 |
식스우먼 | 여자 농구에서의 식스맨 |
2. 식스맨의 특징 및 역할
식스맨은 농구에서 코트에 5명만 뛸 수 있을 때, 스타팅 멤버와 대등하게 활약하는 6번째 선수를 말한다. 식스맨은 단순 후보 선수와는 다르게, 경기 중반 흐름을 유리하게 만드는 등 특별한 역할을 한다.[1] 감독의 전술, 작전에 따라 식스맨의 활용 방식은 달라진다.
보스턴 셀틱스의 레드 아워백 감독이 식스맨이라는 전술 및 역할을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1]
일반적으로 식스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1]
- 먼저 선발 선수와 교체되는 벤치 멤버로서, 다른 벤치 멤버보다 출전 시간이 길다.
- 벤치에서 시작하지만, 선발 멤버와 비슷하거나 더 많은 출전 시간을 기록하기도 한다.
- 여러 포지션을 소화 가능한 유틸리티 플레이어가 식스맨으로 기용되는 경우가 많다.
2. 1. 약점 보완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신장이 작거나, 수비가 약하거나, 스태미나가 부족하여 약점이 있어 선발로 기용하기 어려운 선수들이다. 언더사이즈 스코어러나, 빅 샷을 가진 베테랑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대부분이 이 유형에 해당한다.
2. 2. 주전급 선수 활용
농구에서는 선수 교체가 자유롭게 허용되며, 특히 접전인 경기에서는 선수들의 휴식이 중요한 작전이 된다. 그래서 주전인 선발 선수들을 쉬게 하는 동안 전력 저하를 막기 위해, 주전급 선수를 식스맨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마누 지노빌리
- 제이슨 테리
- 마이크 밀러
2. 3. 유틸리티 플레이어 활용
여러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는 유틸리티 플레이어를 식스맨으로 기용하여,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전술 변화를 꾀할 수 있다.3. 식스맨의 역사와 대표적인 선수
'''식스맨'''이라는 전술·역할은 보스턴 셀틱스의 레드 아워백 감독이 처음 고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NBA는 식스맨의 중요성을 인정하여 NBA 식스맨상을 제정했다.
3. 1. NBA
1960년대 보스턴 셀틱스의 존 하블리첵은 식스맨으로서 셀틱스의 황금기에 기여했다. 뛰어난 선수들이 많았기에 벤치 멤버로 기용되었지만 팀에 대한 기여도는 명백히 높았다. 식스맨임에도 팀에서 가장 많은 출장 시간을 기록했으며, 득점에서도 팀 내 1, 2위를 다퉜다.1980년대 보스턴 셀틱스의 케빈 맥헤일은 인사이더진에 로버트 패리쉬와 세드릭 맥스웰이 있었기 때문에 식스맨으로 기용되어 팀의 승리에 기여했고 NBA 식스맨상을 2회 수상했다.
시카고 불스의 토니 쿠코치는 1995-1998년 불스의 3연패에서 식스맨으로 맹활약했다. 쿠코치는 같은 포지션에 스카티 피펜이 있었던 것과 필 잭슨의 전술에 의해 식스맨이 되었다. 여러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는 쿠코치는 요점마다 팀의 흐름을 바꾸는 플레이를 보여 승리에 기여했다.
2006-07 시즌, NBA 파이널을 제패한 샌안토니오 스퍼스는 과거 우승 당시 중심 선수였던 마누 지노빌리를 식스맨으로 활용하는 전술을 세워 우승했다.
제임스 하든은 2011-2012 시즌, 오클라호마시티 썬더에서 NBA 식스맨상을 수상한 후 휴스턴 로케츠로 이적하여[2], 주전 선수로서 팀의 간판 선수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On and Off the Court
Macmillan
1985
[2]
뉴스
Oklahoma City Thunder trades James Harden to Houston---NewsOK.com
http://newsok.com/ok[...]
NewsOK.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