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진 마이크로 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진 마이크로 버스는 1962년 4월부터 1966년 11월까지 생산된 대한민국 최초의 25인승 소형 버스이다. '노랑차' 또는 '마이클'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높은 판매고를 기록했으며, 당시 여당이었던 민주당의 경제 개발 정책의 일환으로 자동차 산업 육성을 지원받아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1972년에는 토요타 다이나 트럭 새시를 기반으로 2세대 모델이 출시되었으나, 토요타의 한국 철수로 인해 1년도 채 되지 않아 단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진자동차공업의 차종 - 신진 퍼블리카
신진 퍼블리카는 사회과학, 인문학 분야의 서적을 출판하는 대한민국의 출판사이며, 진보적인 시각과 사회 비판적인 내용을 담은 책들을 주로 선보인다. - 신진자동차공업의 차종 - 신진 크라운
- 1962년 도입된 자동차 - 페라리 250 GTO
페라리 250 GTO는 1962년부터 1964년까지 페라리에서 제작한 그룹 3 GT 레이싱 스포츠카로, 셸비 코브라, 재규어 E-타입 등과 경쟁하기 위해 페라리 250 GT SWB의 섀시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2953cc V12 엔진을 탑재하여 약 300마력의 출력을 내는 수작업 차체와 뛰어난 성능을 가진 역사상 가장 가치 있는 자동차 중 하나로, 총 36대가 생산되어 시리즈 I과 II로 나뉜다. - 1962년 도입된 자동차 - 로터스 엘란
로터스 엘란은 1962년부터 1975년까지 생산된 경량 로드스터로, 기술적으로 진보된 1세대 모델과 전륜구동 방식의 2세대 모델이 있었으며, 뛰어난 핸들링으로 호평을 받았다. - 자동차 기업에 관한 - 세아트
세아트는 스페인 정부와 은행, 피아트의 합작으로 1950년 설립되어 피아트 기술 지원으로 성장하다 폭스바겐 그룹 자회사가 되었으며, 현재 스페인 마토렐에 본사를 두고 고성능 브랜드 쿠프라를 강화하고 있다. - 자동차 기업에 관한 - 마쓰다
마쓰다는 1920년 동양코르크공업으로 설립되어 3륜 트럭 생산을 시작, 로터리 엔진 기술을 통해 독자적인 입지를 구축했으며, 스카이액티브 기술과 디자인 철학을 바탕으로 기술 혁신을 지속하고 있는 일본의 자동차 제조 회사이다.
신진 마이크로 버스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신진 마이크로 버스 |
제조사 | 자일대우버스 |
조립 | 부산광역시 |
후속 차량 | 새한 BL |
관련 차량 | 신진 에이스 |
2. 역대 모델
2. 1. 1세대 마이크로 버스 (1962년 4월~1966년 11월)
1962년 1월 덕수궁에서 열린 산업 박람회에서 최초로 공개되었고, 상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1962년 4월부터 양산된 25인승 소형 버스로, 대한민국 최초로 엔진을 실내에 탑재했다.주요 도색은 노란색이었기 때문에 '노랑차' 혹은 '마이클영어' 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높은 판매고를 기록했다. 차체, 엔진, 바퀴 및 파워트레인은 한국 전쟁 직후 생겨난 부품을 활용하였는데, 초기 생산 당시에는 오래된 드럼통 등을 차체 조립에 활용했다.
1965년에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체계 개편으로 파란색과 청록색을 섞은 가로 무늬 페인트칠 차량이 도입되기도 했다.
1966년 11월까지 총 2,600여 대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1세대 신진 마이크로 버스는 당시 여당이었던 민주당의 경제 개발 정책의 일환으로 자동차 산업 육성을 적극 추진하면서 이러한 정책적 지원 속에서 탄생한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평가받는다.
2. 2. 2세대 마이크로 버스 (1972년)
1972년에 신진자동차는 일본의 자동차 제조업체 토요타와 기술을 제휴하고, 토요타 다이나 트럭 새시 (2.5톤급 RU10형)를 이용해 2세대 마이크로 버스를 출시하였다. 엔진은 2000cc급 106마력 토요타 5R 가솔린 엔진을 사용했으며 최고속도는 110km/h 였다. 하지만, 토요타가 저우 4원칙으로 인하여 한국에서 철수하면서 1년도 못채우고 1972년 연말에 단종되었다. 이후 마이크로 버스의 후속 차종은 이스즈의 저니를 기반으로 한 GM코리아 BLD24형 버스였다.2세대 마이크로버스 단종은 당시 박정희 정권의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과 일본과의 외교적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3.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