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현광은 대한민국의 기독교 교육학자이자 목회자이다. 총신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안양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회장 및 학회지 발행인으로 활동했다. 교육목회와 교회성장, 기독교 교육, 상담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회장 - 김누리
김누리는 독일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독일 문학 연구와 저서 집필, 사회적 발언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대한민국의 독일문학자이자 대학교수이다. - 학회장 - 심봉근
심봉근은 한국 청동기 시대 문화를 주요 연구 분야로 하는 고고학자로, 동아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한일 고고학 관계 연구에 기여했으나 일부 연구 결과에 객관성 논쟁이 있다. - 총신대학교 동문 - 전승우
전승우는 1995년 록 밴드 컬트의 드러머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 작사가, 작곡가,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활동하며 S.E.S., 빅뱅, 아이유 등 다양한 가수들의 작품에 참여한 대한민국의 음악가이다. - 총신대학교 동문 - 정준 (배우)
1988년 CF 모델로 데뷔한 정준은 MBC 특채 탤런트 출신으로 영화와 드라마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굿피플 나눔대사로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장 칼뱅 연구가 - 신원균 (신학자)
신원균은 대한민국의 개혁주의 신학자이자 목사로서, 안양대학교와 칼빈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학위를 받았고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한국성경신앙신학회 서기, 웨스트민스터 신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한마음교회 목사로 섬기며 칼빈 신학,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등을 중심으로 저서와 논문을 발표하고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 교단공역본 번역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개혁주의 신학에 기여하고 있다. - 장 칼뱅 연구가 - 칼 바르트
칼 바르트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 중 한 사람으로, 자유주의 신학 비판과 신정통주의 신학 창시, 나치즘 저항, 하나님의 말씀과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 정립, 그리고 에큐메니칼 운동 기여 등으로 알려져 있다.
신현광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신현광 |
원어 이름 | 신현광 (申鉉曠) |
활동 기간 | 1980년 ~ 현재 |
출생일 | 1957년 8월 23일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
직업 | 대학교 교수 저술가 |
학문 및 신앙 | |
언어 | 한국어 영어 |
장르 | 실천신학 목회 저술 |
종교 | 개신교(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
학력 | |
학력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
웹사이트 | |
공식 홈페이지 |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
2. 학력
wikitext
연도 | 학교 | 학위 | 전공 |
---|---|---|---|
1980년 | 총신대학교 | 문학사(B.A.) | 기독교교육 |
1985년 | 총신대학교 대학원 | 문학석사(M.A.) | 기독교교육 |
1986년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 목회학석사(M. Div. Equiv.) | 신학 |
1989년 | 총신대학교 대학원 | 신학석사(Th.M.) | 실천신학 |
1997년 | 총신대학교 대학원 | 신학박사(Ph.D.) | 실천신학 |
2. 1. 총신대학교 학사 및 석사 (기독교교육, 신학)
신현광은 1980년 2월 총신대학교에서 기독교교육학 문학사(B.A.) 학위를 취득했다.[1] 1985년 2월에는 동 대학원에서 기독교교육학 문학석사(M.A.) 학위를 받았다.[1] 1986년 2월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신학 목회학석사(M. Div. Equiv.) 학위를 취득하여 목회자로서 자질을 함양했다.[1] 1989년 8월에는 총신대학교 대학원에서 실천신학 신학석사(Th.M.) 학위를 취득하여 실천신학의 이론적 기반을 다졌다.[1]2. 2. 총신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 (실천신학)
1997년 2월, 총신대학교 대학원에서 실천신학 박사(Ph.D.) 학위를 취득했다.[1]
신현광 박사의 경력은 크게 교단, 교육, 학회 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1985년부터 1987년 2월까지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총회) 교육국 집필간사로 활동했다.[4] 1987년 3월 1일 대한신학교(현 안양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교수로 임용되었으며,[4]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생수〉, 〈대신문화〉 지도교수를, 1991년부터 1992년까지 대학신문사 주간을 맡았다.[4]
3. 경력
1993년에는 6주 동안 캘빈 대학교 헨리 미터 센터(The Henry Meeter Center for Calvin Studies)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4] 2003년 1월부터 2004년 2월까지는 에모리 대학교 캔들러 신학대학(Candler School of Theology)의 방문 학자로 있었다.[4]
2010년 5월부터 2011년 5월까지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회장을 역임했고,[4] 2010년 5월부터 현재까지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학회지 <<복음과 실천신학>> 발행인을 맡고 있다.[4]
3. 1.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총회) 교육국 간사
신현광은 1985년부터 1987년 2월까지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총회) 교육국 집필간사로 활동하며 교단 교육 실무 경험을 쌓았다.[4]
3. 2. 안양대학교 교수
1987년 3월 1일 대한신학교(현 안양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교수로 임용되었다.[4] 1989년 3월부터 1992년 2월까지 대신대학(현 안양대학교) 기독교교육과 학과장을 역임했다.[4]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생수〉, 〈대신문화〉 지도교수를, 1991년부터 1992년까지 대학신문사 주간을 맡았다.[4]
2005년 2월부터 2007년 2월까지, 그리고 2018년 2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안양대학교 교목실장을 역임했다.[4] 2008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장을,[4] 2012년 10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장을 역임했다.[4] 2017년 7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안양대학교 학생지원처장을 맡기도 했다.[4]
3. 3. 캘빈 대학교, 에모리 대학교 연구
신현광은 1993년에 6주 동안 캘빈 대학교 헨리 미터 센터(The Henry Meeter Center for Calvin Studies)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4] 2003년 1월부터 2004년 2월까지는 에모리 대학교 캔들러 신학대학(Candler School of Theology)의 방문 학자로 있었다.[4]
3. 4.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활동
신현광은 2010년 5월부터 2011년 5월까지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4] 또한 2010년 5월부터 현재까지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학회지 <<복음과 실천신학>> 발행인을 맡고 있다.[4] 2012년 10월부터 2014년까지 전국기독교대학교 대학원장협의회 회장을 역임했으며,[4] 2014년부터 2019년까지는 한국실천신학회 교회교육분과 회장을 역임했다.[4]
4. 저서
신현광 박사는 교육목회, 교회 성장, 기독교 교육을 주요 주제로 다루는 저서를 다수 출간했다. 1996년 총신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을 통한 목회와 교회성장에 관한 연구: 한국교회 성장의 새로운 방안으로서의 교육목회적 의의"로 신학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4. 1. 단독 저서
- 『하나님의 언약과 생활 I』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출판부, 1986)
- 『하나님의 언약과 생활 II』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출판부, 1987)
- 『교육목회와 교회성장』 (서울: 민영사, 1997; 2005; 2016)
- 『말씀 · 믿음 · 삶 I』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출판부, 1998)
- 『말씀 · 믿음 · 삶 II』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출판부, 1999)
- 『말씀 · 믿음 · 삶 III』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출판부, 2000)
- 『창세기, 살아 숨쉬다』 (서울: 민영사, 2009)
- 『그리스도인이 보는 세계종교』 (서울: 민영사, 2011)
- 『출애굽기, No Turning Back』 (서울: 민영사, 2013)
4. 2. 공저
- 《Evangelical Preaching|복음주의 설교학영어》 (서울: CLC, 2003)
- 《An Introduction to Practical Theology in the 21st Century|21세기 실천신학개론영어》 (서울: CLC, 2006)
- 《Evangelical Pastoral Theology|복음주의 목회학영어》 (서울: CLC, 2009)
- 《Evangelical Church Growth|복음주의 교회성장학영어》 (서울: CLC, 2012)
- 《Pastoral Theology in the 21st Century|21세기 목회학총론영어》 (서울: 대서, 2019)
4. 3. 번역서
5. 논문
신현광 박사는 교육목회, 교회 성장, 기독교 교육, 상담 등 다양한 주제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다음은 주제별 주요 논문 목록이다.
분야 | 제목 | 발표 연도 | 학위/게재지 |
---|---|---|---|
교육목회 및 교회 성장 | 교육을 통한 목회와 교회성장에 관한 연구: 한국교회 성장의 새로운 방안으로서의 교육목회적 의의 | 1996 | 박사학위(Ph.D.)논문, 총신대학교 대학원 |
교회성장의 성경적 배경 | 2004 | 복음주의실천신학논총 | |
교육목회의 이론제기와 과제에 대한 연구 | 2005 | 복음과 실천 | |
한국교회 성장에 나타난 문제점(1) | 2005 | 복음과 실천 | |
한국교회 성장에 나타난 문제점(2) | 2005 | 복음과 실천 | |
초기 한국교회 성장에 관한 연구 | 2007 | 복음과 실천신학 | |
일제시대 한국교회성장에 관한 연구 | 2007 | 복음과 실천신학 | |
해방 이후 한국교회 100주년 기간의 한국교회성장에 관한 연구 | 2008 | 복음과 실천신학 | |
한국교회 복음전도 방향에 관한 연구 | 2009 | 복음과 실천신학 | |
기독교교육의 입장에서 보는 교회성장 | 2012 | 복음과 실천신학 | |
기독교 교육 | 기독교교육목적에 관한 연구 | 1989 | 신학연구논문집[4] |
인간화를 위한 기독교교육에 대한 우리의 이해 | 1995 | 신학연구 | |
초기 한국교회의 사경회를 통한 신앙교육에 관한 연구 | 1996 | 신학연구[1] | |
예전의 교육목회적 의미 | 1998 | 신학지평 | |
새 천년을 위한 복음주의적 목회의 대안으로서의 교육목회 | 2000 | 성경과 신학 | |
신앙공동체 교육의 적용에 관한 소고 | 2000 | 신학지평 | |
어린이 예배 갱신에 관한 연구 | 2000 | 신학지평 | |
교육목회의 성경적 배경 관한 연구 | 2001 | 실천신학논총 | |
교육목회의 신학적 근거에 관한 연구 | 2001 | 개혁신학논문집 | |
신앙교육 방법으로서의 가정예배에 관한 소고 | 2001 | 신학지평 | |
종교개혁과 칼빈의 교육 | 2002 | 신학지평 | |
청소년과 신앙문답교육 | 2002 | 복음주의실천신학논총[2] | |
교육목회와 선교교육 | 2002 | 복음주의실천신학논총 | |
교육목회와 가정교육에 대한 고찰 | 2003 | 신학지평 | |
Calvin의 교육사상과 교육활동에 관한 연구 | 2004 | 복음과 실천 | |
평신도 훈련에 관한 소고 | 2004 | 신학지평 | |
교회 교육행정의 개선에 관한 연구 | 2006 | 복음과 실천 | |
신앙교육 관점에서의 교회이해 | 2008 | 신학지평 | |
신앙교육의 주요 요소로서의 성찬에 관한 고찰 | 2009 | 복음과 실천신학 | |
칼빈주의 입장에서의 성례와 신앙교육의 이해 | 2009 | 신학지평 | |
코메니우스의 교육신학사상에 관한 연구 | 2011 | 복음과 실천신학[3] | |
코메니우스의 교수방법론에 관한 연구 | 2011 | 신학과 실천 | |
한국교회 복음전도 지평에 관한 연구 | 2011 | 신학지평 | |
교육목회에 있어 교사의 자질과 역할에 관한 연구 | 2012 | 신학과 실천 | |
A Research on Biblical Found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 2012 | Theology and Praxis | |
기독교교육의 성경적 토대에 관한 연구 | 2013 | 신학과 실천 | |
청소년의 신앙문답교육에 관한 연구 | 2013 | 신학과 실천 | |
기독교교육의 신학적 근거에 관한 연구 | 2013 | 복음과 실천신학 | |
한국교회 초기 사경회와 신앙교육 | 2013 | 신학과 실천 | |
A Research on Historical Found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 2013 | Theology and Praxis | |
교육목회에 있어서 목사의 역할에 관한 연구 | 2014 | 신학과 실천 | |
기독교 교육 (계속) | 기독교교육의 철학적 토대에 관한 연구 | 2014 | 신학과 실천 |
Letty M. Russell의 교육론에 대한 연구 | 2014 | 신학과 실천 | |
A Research on the Ministry of Holy Spirit in Teaching and Learning | 2014 | Theology and Praxis | |
기독교교육철학: 기독교교육의 철학적 기초 | 2014 | 신학지평 | |
기독교교육에 있어 교육목적에 관한 연구 | 2015 | 신학과 실천 | |
교육목회와 가정의 신앙교육에 대한 고찰 | 2015 | 신학과 실천 | |
기독교교육과 선교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 2016 | 신학과 실천 | |
기독교 교육 (계속) | A Research on Psychological Found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 2017 | Theology and Praxis |
A Research on Theological Found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 2019 | Theology and Praxis | |
A Research on Aims and Objectives of Christian Education | 2020 | Theology and Praxis | |
기독교 상담 | Gary R. Collins의 제자화 상담에 관한 연구 | 1984 | 석사학위(M.A.)논문, 총신대학교 대학원[1] |
Clyde M. Narramore와 Jay E. Adams의 상담이론 비교연구 | 1992 | 대신대논문집 | |
Gary R. Collins의 상담에 관한 소고 | 1998 | 신학지평 | |
교육목회를 위한 상담에 관한 연구 | 2007 | 신학지평 | |
기타 | 교회청소년과 전도생활 | 1988 | 교사의 벗[2] |
한국교회내의 Shamanism적 요소에 관한 비판적 연구 | 1989 | 석사학위(Th.M.)논문, 총신대학교 대학원[3] | |
기독교상담의 심리학적 기저 | 1990 | 대신연구논문집 | |
생명의 윤리: 성경적 관점에서 | 1991 | 대신연구논문집 | |
상담과 제자훈련의 상관성 연구 | 1991 | 대신대논문집 | |
Van Til과 Edward J. Carnell의 변증방법론의 비교 | 1993 | 대신대논문집 | |
한국교회의 부흥회에 관한 소고 | 1997 | 신학연구 | |
교회는 어떻게 교회다워질 수 있는가? | 1997 | 신학연구 | |
성만찬의 이해와 신앙교육 관련성에 관한 소고 | 1999 | 신학지평 | |
교부시대의 교육에 관한 소고 | 1999 | 신학지평 | |
성경적·실천적 입장에서 본 인간생명의 존엄에 관한 고찰 | 2000 | 한국개혁신학회논문집 |
5. 1. 교육목회 및 교회 성장 관련
신현광은 교육을 통해 목회와 교회 성장을 이루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이는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인 "교육을 통한 목회와 교회성장에 관한 연구"(1996)에서 잘 드러난다. 이 논문에서 그는 교육목회가 한국 교회 성장의 새로운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신현광은 한국 교회의 성장 과정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한국교회 성장에 나타난 문제점(1)"(2005)과 "한국교회 성장에 나타난 문제점(2)"(2005)에서 그는 한국 교회 성장의 이면에 있는 문제점들을 진단했다.
또한, 신현광은 "기독교교육의 입장에서 보는 교회성장"(2012)을 통해 기독교 교육이 교회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바람직한 교회 성장을 위한 기독교 교육의 역할을 탐구하며, 기독교 교육의 관점에서 교회 성장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제목 | 발표 연도 | 발표처 |
---|---|---|
교육을 통한 목회와 교회성장에 관한 연구 | 1996 | 총신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
한국교회 성장에 나타난 문제점(1) | 2005 | 복음과 실천 |
한국교회 성장에 나타난 문제점(2) | 2005 | 복음과 실천 |
기독교교육의 입장에서 보는 교회성장 | 2012 | 복음과 실천신학 |
5. 2. 기독교 교육 관련
신현광은 다음의 논문들을 통해 기독교 교육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초기 한국교회의 사경회를 통한 신앙교육에 관한 연구". 신학연구 1996. 제4집. 607-631.[1]
- "청소년과 신앙문답교육". 복음주의실천신학논총 2002. 제3권. 151-168.[2]
- "코메니우스의 교육신학사상에 관한 연구". 복음과 실천신학 2011. 제23권, 9-41.[3]
위 논문들은 한국 교회 초기 신앙 교육의 역사, 청소년 신앙 교육의 중요성과 실천 방안, 그리고 코메니우스의 교육 사상을 통해 기독교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초기 한국교회의 사경회를 통한 신앙교육에 관한 연구"[1]에서는 한국 교회 초기 신앙 교육의 역사를 다룬다. "청소년과 신앙문답교육"[2]에서는 청소년 신앙 교육의 중요성과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코메니우스의 교육신학사상에 관한 연구"[3]에서는 코메니우스의 교육 사상을 통해 기독교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찾고자 한다.
5. 3. 상담 관련
신현광은 기독교 상담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를 진행했다. 1984년 총신대학교 대학원에서 "Gary R. Collins의 제자화 상담에 관한 연구"라는 제목으로 석사 학위(M.A.) 논문을 발표했다.[1] 이 논문에서는 기독교 상담의 이론적 토대를 탐구했다. 1992년에는 "Clyde M. Narramore와 Jay E. Adams의 상담이론 비교연구"를 「대신대논문집」에 발표하여, 기독교 상담 이론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1998년에는 "Gary R. Collins의 상담에 관한 소고"를 「신학지평」에 발표했고, 2007년에는 "교육목회를 위한 상담에 관한 연구"를 「신학지평」에 발표했다.제목 | 발표 연도 | 학위/게재지 | 비고 |
---|---|---|---|
Gary R. Collins의 제자화 상담에 관한 연구 | 1984년 | 석사학위(M.A.)논문, 총신대학교 대학원 | 기독교 상담 이론적 토대 |
Clyde M. Narramore와 Jay E. Adams의 상담이론 비교연구 | 1992년 | 대신대논문집 | 기독교 상담 이론 비교 분석 |
Gary R. Collins의 상담에 관한 소고 | 1998년 | 신학지평 | |
교육목회를 위한 상담에 관한 연구 | 2007년 | 신학지평 |
5. 4. 기타
1989년 총신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교회내의 Shamanism적 요소에 관한 비판적 연구〉라는 제목으로 신학석사(Th.M.) 학위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은 한국 교회 내 샤머니즘적 요소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담고 있다.[3]2000년 한국개혁신학회 논문집에 〈성경적·실천적 입장에서 본 인간생명의 존엄에 관한 고찰〉을 발표하여 생명 윤리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을 제시했다.
참조
[1]
웹사이트
안양대학교 기독교교육과
http://www.anyang.ac[...]
[2]
뉴스
기독일보
https://www.christia[...]
2020-08-12
[3]
웹인용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http://kept1997.kr/h[...]
2021-04-09
[4]
뉴스
크리스천투데이
https://www.christia[...]
2013-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