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누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누리는 서울대학교에서 독어교육학 학사, 독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독일 브레멘 대학교에서 독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등이 있으며, 동서독 문학, 귄터 그라스 참여문학론 등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헤르만 헤세의 《황야의 이리》를 번역했다. 대학교 시간강사 처우 문제와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자본주의 비판 등 사회적 발언과 활동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문학자 - 김진섭 (1903년)
    김진섭은 청천이라는 호를 사용한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이후의 문학평론가, 수필가, 번역가, 교육자로, 평론, 수필, 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경성방송국 직원,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장, 서울대학교 및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역임했고 한국 전쟁 중 납북되었다.
  • 독문학자 - 에밀 슈타이거
    에밀 슈타이거는 스위스 출신의 독일 문학 연구가로, 취리히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문학 텍스트 자체에 집중하는 비평 스타일로 독일 문학에 기여했고, 고대 및 현대 언어 번역가로 활동하며 여러 저서와 상을 수상했다.
  • 학회장 - 심봉근
    심봉근은 한국 청동기 시대 문화를 주요 연구 분야로 하는 고고학자로, 동아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한일 고고학 관계 연구에 기여했으나 일부 연구 결과에 객관성 논쟁이 있다.
  • 학회장 - 박정자 (교수)
    박정자는 미셸 푸코와 장 폴 사르트르 연구를 통해 인문학 대중화에 기여한 한국의 대표적인 인문학자이며, 푸코를 국내에 처음 소개하고 사르트르 철학 입문서를 저술하는 등 학술적 성과와 대중적 인지도를 동시에 얻었다.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동문 - 심상정
    심상정은 노동운동가 출신으로 구로동맹파업을 주도하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결성에 참여했으며, 민주노동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하여 진보신당, 통합진보당을 거쳐 정의당 창당을 주도하고 고양시 덕양구 갑에서 3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대선에 두 번 출마하고 재벌개혁, 경제민주화, 사회적 약자 보호 등의 진보적 의제를 제기해 온 정치인이다.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동문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김누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누리 교수
이름김누리
분야독문학
언어한국어, 독일어
출생일1960년 10월 24일
학력독일 브레멘대 독문학 박사 학위
경력중앙대학교 독일어문학전공 교수
중앙대학교 교양학부 학부장보
중앙대학교 한독문화연구소 소장
독일 브레멘대 독일문화연구소 상임위원
직업독문학자, 교수
소속 기관중앙대학교
부모김철(부), 윤초옥(모)
형제김한길(둘째 형)

2. 학력

학위내용
학사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독어교육학 학사[1]
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독문학 석사
박사독일 브레멘대 독문학 박사(Deutsch Literatur Dr.)


2. 1. 학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독어교육학 학사[1]

2. 2.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독문학 Magister|마기스터de 학위를 받았다.

2. 3. 박사

독일 브레멘대에서 독문학 박사 학위(Deutsch Literatur Dr.de)를 취득하였다.

3. 저서

김누리는 중앙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로, 다양한 저서와 번역서를 출간했다. 주요 저서로는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통일독일의 문화변동》, 《현대문화 이해의 키워드》, 《한국의 지형》, 《변화를 통한 접근》, 『비유냐 진정성이냐, 귄터 그라스와 크리스타 볼프 비교연구』가 있다. 헤르만 헤세의 소설 Der Steppenwolf|데어 슈테펜볼프de를 번역하여 《황야의 이리》라는 제목으로 출간했다.

3. 1. 저서 목록

제목종류비고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저서
통일독일의 문화변동저서
현대문화 이해의 키워드저서
한국의 지형저서
변화를 통한 접근저서
비유냐 진정성이냐, 귄터 그라스와 크리스타 볼프 비교연구저서
동서독 문학의 통일성에 대하여논문
귄터 그라스 참여문학론논문
헤르만 헤세황야의 이리역서


3. 2. 논문 목록


  • 「동서독 문학의 통일성에 대하여」
  • 「귄터 그라스 참여문학론」

3. 3. 역서 목록

헤르만 헤세의 소설 Der Steppenwolf|데어 슈테펜볼프de를 번역했다.

4. 발언 및 사회적 활동

김누리는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라는 책으로 대학 시간강사 처우 문제를 제기한 김민섭의 주장에 대해 한겨례 칼럼을 통해 대학 사회를 비판했다.[4] 2020년 6월에는 SBS 방송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을 말하다'에 출연해 코로나19가 자본주의 때문에 발생했다고 주장하며, 자본주의를 견제하기 위해 국가가 시장에 개입해야 한다고 말했다.[5]

4. 1. 대학 시간강사 처우 문제 비판

대학교 시간강사 김민섭의 《나는 지방대 시간강사다》가 사회적 반향을 일으키자 한겨례 칼럼을 통해 "학문 세계에 들어온 자가 처음 경험하는 것이 불의와 부조리라면, 처음 느끼는 것이 자괴감과 후회라면, 그 나라의 학문은 이미 죽은 것이다"라며 대학계의 자성을 촉구했다.[4]

4. 2. 코로나19와 자본주의 비판

2020년 6월 SBS 방송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을 말하다'에 출연해 코로나19 피해의 원인이 자본주의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자본주의가 인간을 잡아먹는 야수가 되므로 야수를 견제하기 위해 국가가 개입해야 하며, 시장보다 국가가 효율적일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리고 미래는 자본주의(capitalism)보다는 삶을 중시하는 라이피즘(Lifysm)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5]

참조

[1] 뉴스 김한길 선친 김철 전 사회당 당수 서거 기념 심포지움 20일 개최 https://news.naver.c[...] 뉴스1 2014-11-18
[2] 뉴스인용 조선닷컴 인물DB https://web.archive.[...] 2015-12-29
[3] 뉴스인용 네이버 인물검색 http://people.search[...] 2015-12-29
[4] 뉴스인용 시간강사 문제, 교수들이 나설 때다 / 김누리 http://www.hani.co.k[...] 한겨례 2015-12-29
[5] 웹인용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을 말하다 2회(김누리 교수) - YouTube https://www.youtube.[...] 2020-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