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총신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총신대학교는 1901년 평양에서 개교한 대한민국의 사립 기독교 대학이다.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거부로 폐교되었다가 1945년 재건되었다. 1995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신학, 사범학, 사회과학, 산업교육 관련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한다. 4호선 총신대입구역 역명 논란, 김영우 총장 퇴진 요구 등 비판과 논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작구의 학교 -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는 1916년 중앙유치원으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성장, 발전해 온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서울 동작구의 학교 -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는 1897년 평양에서 시작하여 신사참배 거부로 폐교되었던 기독교 정신의 사립대학교로, 해방 후 재건되어 서울에 위치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와 컴퓨터공학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축구 명문으로도 알려져 있다.
  • 장로교 대학 -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는 1901년 마포삼열이 평양에 설립한 한국 최초의 장로회 신학교로, 한국인 목회자 양성을 목표로 초기에는 평양연합신학교로 불리며 한국 개신교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강요로 폐교된 후 해방 이후 여러 신학교가 그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 장로교 대학 - 대신대학교
    대신대학교는 경상북도 경산시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사립대학교로, 1954년 대구야간신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변경과 통합을 거쳐 1997년 현재의 교명이 되었으며, 4개의 학부와 신학과, 3개의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 용인시의 학교 -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는 1947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로, 죽전캠퍼스와 천안캠퍼스를 운영하며, 생명과학, 정보통신, 문화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운영하며 연구 활동과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 용인시의 학교 - 강남대학교
    강남대학교는 1946년 중앙신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한민국 최초로 사회복지학과를 개설하는 등 사회복지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해왔으며, 현재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사립 종합대학교로서 복지기술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총신대학교
기본 정보
총신대학교
본관 (2017년 11월)
대학 이름총신대학교
영어 이름Chongshin University
한자 표기總神大學校
로마자 표기Chongsin Daehakgyo
평 가나 표기そうしんだいがっこう
가타카나 표기チョンシンデハッキョ
대학 설치 년도1969년
창립 년도1901년
학교 종류사립
설립자새뮤얼 오스틴 모펫(Samuel A. Moffet)
학교 법인학교법인 대항예수교장로회총회신학원
종교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대학 슬로건세상의 빛이 되는 젊은 지성
건학 이념신자가 되라, 학자가 되라, 성자가 되라, 전도자가 되라, 목자가 되라
개교1967년 6월 2일
총장박성규
대학 약칭CSU
위치사당캠퍼스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 143
양지캠퍼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학촌로 110
캠퍼스舎堂 (서울시 동작구)
陽智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웹사이트총신대학교 홈페이지
학부
학부 학생 수1,824명(2022년)
개설 학과신학과
기독교교육과
영어교육과
역사교육과
유아교육과
교회음악과
아동학과
사회복지학과
대학원
대학원 학생 수2,409명(2022년)
개설 대학원신학대학원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선교대학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상담대학원
교직원
교직원 수전임교원: 123명(2022년)
기타교원: 146명(2022년)

2. 연혁


  • 1901년 평양에서 마포삼열(Samuel A. Moffett) 선교사의 자택에서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가 개교하였다.
  • 1908년 미국인 맥코믹(Nettie F.McComick) 여사의 기부금으로 평양시 하수구리 100번지에 교사를 건축하여 이전하였다.
  • 1938년 신사참배 강요에 대한 거부로 일제에 의해 강제로 폐교되었다.
  • 1945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조선신학원이 인준되었다.
  • 1948년 성서비평학을 성서읽기 방법으로 활용한 조선신학교(현재 한신대학교)의 신정통주의 신학 유입에 대한 위기감으로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를 계승한 장로회신학교를 남산에서 개교하였다.
  • 1951년 조선신학교와 장로회신학교를 해체하고 장로회신학교를 대신해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신학교'''의 임시 교사를 대구시 대신동 283번지에 정했다.
  • 1953년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신학교 교사를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 1가 산1번지로 이전하였다.
  • 1960년 교사 위치에 국회의사당 건립이 예정되어 국가시책으로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 2가 319번지 소재의 새 교사로 이전하였다.
  • 1965년 백남조 장로(초대 재단 이사장)의 헌납으로 사당동 산 31-3 소재의 교사를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 1969년 4년제 대학이 설립되었고, 1978년 대학원으로 인가를 받았다.
  • 1995년 총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 1. 설립 초기 (1901년 ~ 1945년)

1901년 평양에서 마포삼열(Samuel A. Moffett) 선교사의 자택에서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가 개교하였다.[2] 초대 교장은 마포삼열 선교사가 맡았다. 최초의 학생은 방기창과 김종섭 두 명이었다.

1908년 미국인 맥코믹(Nettie F.McComick) 여사의 기부금으로 평양시 하수구리 100번지에 교사를 건축하여 이전하였다. 1918년에는 『신학지남』을 발간하여 교재로 사용하였다. 1925년 10월, 제2대 교장에 로버트(R.L. Roberts)가 취임하였다.

1938년 신사참배 강요에 대한 거부로 일제에 의해 강제로 폐교되었다.[3]

2. 2. 해방 이후 (1945년 ~ 현재)

1945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조선신학원이 인준되었다.[2] 1948년 성서비평학을 성서읽기 방법으로 활용한 조선신학교(현재 한신대학교)의 신정통주의 신학 유입에 대한 위기감으로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를 계승한 장로회신학교를 남산에서 개교하였다. 초대 교장에는 박형룡이 취임하였다.[3]

1951년 조선신학교와 장로회신학교를 해체하고 장로회신학교를 대신해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신학교'''의 임시 교사를 대구시 대신동 283번지에 정했다. 1953년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신학교 교사를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 1가 산1번지로 이전하였다. 1960년 교사 위치에 국회의사당 건립이 예정되어 국가시책으로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 2가 319번지 소재의 새 교사로 이전하였다. 1965년 백남조 장로(초대 재단 이사장)의 헌납으로 사당동 산 31-3 소재의 교사를 신축하여 이전하였다.[3]

1969년 4년제 대학이 설립되었고, 1978년 대학원으로 인가를 받았다. 1995년 총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3]

3. 역대 총장

이름재임 기간
마포삼열1901년 ~ 1925년 10월 30일
라부열1925년 10월 30일 ~ 1946년
박형룡1946년 6월 3일 ~ 1951년 5월
박형룡1953년 9월 2일 ~ 1958년 3월
박형룡1960년 9월 27일 ~ 1962년 12월 10일
박형룡1969년 2월 13일 ~ 1972년 2월 29일
감부열1951년 9월 19일 ~ 1953년 8월
이상근1962년 12월 11일 ~ 1963년 12월 10일
박윤선1963년 12월 11일 ~ 1964년 12월 10일
명신홍1964년 12월 11일 ~ 1968년 12월 12일
김희보1972년 3월 1일 ~ 1980년 2월 28일
정성구1980년 3월 1일 ~ 1984년
박영희1985년 5월 27일 ~ 1991년 2월
차영배1992년 3월 ~ 1993년 9월 20일
김의환1995년 3월 3일 ~ 1999년 3월 28일
김의원2000년 9월 26일 ~ 2004년 9월 24일
김인환2004년 11월 25일 ~ 2008년 11월 24일
김삼봉(직무대행)2008년 11월 24일 ~ 2009년 3월 31일
정훈택(직무대행)2009년 4월 1일 ~ 2009년 9월 17일
정일웅2009년 9월 18일 ~ 2013년 9월 17일
김길성(직무대행)2013년 9월 17일 ~ 2013년 12월 29일
길자연2013년 12월 30일 ~ 2015년
김영우2015년 8월 ~ 2018년 10월
심상법(직무대행)2018년 10월 13일 ~ 2018년 10월 15일
김광열(직무대행)2018년 10월 16일 ~ 2019년 1월 13일
정희영(직무대행)2019년 1월 14일 ~ 2019년 2월 10일
박용규(직무대행)2019년 2월 11일 ~ 2019년 5월 24일
이재서2019년 5월 25일 ~ 2023년 5월 24일
박성규2023년 5월 25일 ~ 현재



이 학교는 1901년 한국장로교총회에 의해 신학교로 설립되었다. 당시 평양에 위치해 있었으며, 평양 신학교(Pyongyang Theological Seminary영어)로 알려져 있었다. 초대 총장은 마포삼열(Samuel Austin Moffett)이라는 미국 선교사였다.[2]

4. 교육

총신대학교는 학부 과정으로 사회복지학과, 아동학과, 교회음악과, 유아교육과, 역사교육과, 영어교육과, 기독교교육과, 신학과 등 8개 학과를 제공한다. 대학원은 신학교와 일반대학원으로 나뉘며, 일반대학원에서는 신학 석사(M.Div), 신학 석사(Th.M.), 문학 석사(M.A.), 음악 석사(M.M.), 신학 박사(Th.D.), 철학 박사(Ph.D.) 학위를 수여한다. 이 외에도 교육학, 선교학, 사회복지학 대학원이 별도로 운영된다.

4. 1. 학부

총신대학교는 2022년 기준 신학부, 사범학부, 사회과학학부, 산업교육 학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 본교는 신학과, 기독교교육과, 영어교육과, 역사교육과, 유아교육과, 교회음악과, 아동학과, 사회복지학과 등 8개 학과에서 학부 과정을 제공한다.[1]

학과
신학과
기독교교육과
영어교육과
역사교육과
유아교육과
교회음악과
아동학과
사회복지학과


4. 2. 대학원

총신대학교는 일반대학원과 1개의 전문대학원(목회신학전문대학원), 5개의 특수대학원을 설립하여 석사, 박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1] 일반대학원에서는 신학 석사(M.Div), 신학 석사(Th.M.), 문학 석사(M.A.), 음악 석사(M.M.), 신학 박사(Th.D.), 철학 박사(Ph.D.) 학위를 수여한다.[1]

  • 일반대학원: 신학과, 기독교교육학과, 유아교육학과, 교회음악학과
  • 신학대학원: 목회학과
  • 교육대학원: 기독교교육전공, 영어교육전공, 유아교육전공
  • 선교대학원: 선교학전공
  • 목회신학전문대학원: 설교학전공(석사과정만), 목회상담학전공, 설교학전공(박사과정만), 교회성장학전공(박사과정만), 선교학전공(박사과정만)
  •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상담대학원: 기독교상담학과

4. 3. 교육 방침

대한민국의 교육이념과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총회의 개혁주의 교리에 따라 성경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한 무오하고 절대적인 말씀으로 믿으며, 칼빈주의 혹은 역사적 개혁주의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대·소교리문답의 교리를 바탕으로 학문연구와 영성 및 인성교육을 실시하여 인류사회의 국가 및 교회에 기여할 인재 양성을 사명으로 한다.

5. 학생 자치

총신대학교에는 학생들의 자치 활동으로 언론 단체와 학술지가 운영되고 있다. 언론 단체로는 총신대보, 총신교지, CSBS(총신대학교 방송국)이 있다. 학술지로는 신학지남과 CTJ가 있다. 신학지남은 1918년 3월 20일에 창간된 계간지로 2014년 3월 31일 현재 통권 318호에 이르고 있다.

5. 1. 언론 단체


  • 총신대보
  • 총신교지
  • CSBS(총신대학교 방송국)

5. 2. 학술지


  • 신학지남 : 1918년 3월 20일에 창간된 계간지로 2014년 3월 31일 현재 통권 318호에 이르고 있다.
  • CTJ

6. 비판 및 논란

총신대학교와 관련하여 여러 비판과 논란이 제기되었다. 서울 지하철 4호선 건설 당시 건설비를 지불하여 이수역에 학교 이름을 포함시켰으나,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 이후 남성역이 더 가까워지면서 역명 변경 논란이 발생했다.[5][6] 또한, 김영우 총장의 배임증재 의혹 및 총장·이사장 이중 재직 논란으로 인해 학내 구성원들이 반발하며 농성을 벌이기도 했다.[7][8]

6. 1. 4호선 총신대입구역 역명 논란

4호선 총신대입구역 역명판


7호선 이수역 역명판


총신대학교는 서울 지하철 4호선 건설 당시 건설비를 지불하여, 이를 명목으로 기존 이수역에 학교 이름을 포함시켰다. 그러나 서울 지하철 7호선 개통으로 이수역보다 가까운 남성역이 생기면서, 1997년 서울시 지명위원회는 총신대 명칭을 남성역으로 옮기는 결정을 내렸다.[5] 2000년 7호선 개통과 함께 총신대입구역은 이수역으로, 남성역은 남성(총신대입구)역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환승역인 이수역에 학교 이름이 노출되기를 원했던 대학 측의 강한 반발로, 2001년 역명 재개정을 통해 4호선 이수역은 총신대입구역으로, 7호선 남성(총신대입구)역은 남성역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2006년 '지하철 역명제정 기준 및 절차' 시행으로 5~8호선의 역명은 대학명으로 정하지 않기로 함에 따라, 4호선 총신대입구역과 7호선 이수역이 같은 역임에도 다른 명칭을 사용하는 유일한 역이 되었다.[6]

6. 2. 김영우 총장 퇴진 요구 농성

김영우 총장은 200만 배임증재 의혹과 총장·이사장 이중 재직 논란 등을 빚고 있다. 그는 2017년 9월 검찰에 기소되었으나, 2017년 12월 총장에 재선임돼 논란은 더욱 증폭되었다.[7] 김 총장 측에 반발하는 학내 구성원들이 학교 건물을 점거하면서 2018학년도는 정상적인 학사 운영이 불가능한 실정이며 3월 중순에는 운동장의 천막 강의실이 등장했다.[8]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3-06-22
[2] 웹사이트 Moffett, Samuel Austin (1864-1939) | History of Missiology http://www.bu.edu/mi[...]
[3]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 Education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4] 웹인용 총신대학교 대학정보공시 https://www.academyi[...] 2022
[5] 뉴스 광희문역→청구역, 총신대입구→이수 지하철역·도로 13곳 개명 http://newslibrary.n[...]
[6] 뉴스 서울지하철 4호선 총신대역의 '비밀'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3-04-21
[7] 뉴스 총장 개인 비리에 몸살…개강 1주일 뒤로 밀린 총신대 https://news.naver.c[...] 2018-03-16
[8] 웹인용 총신대 극한 갈등… 총장이 용단 내려야 http://news.kmib.co.[...] 2018-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