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이로릴네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나이로릴네아과는 2003년 세키구치 유지가 ''아나이로릴네아 테르모필라''를 발견하면서 세균 분류학에 추가된 과이다. 아나이로릴네아속, 벨리릴네아속, 렙토릴네아속, 레빌리네아속, 롱길리네아속 등을 포함하며, 16S rRNA와 단백질 마커를 기반으로 한 계통 분류가 제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나이로릴네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과 | 아나이로릴네아과 (Anaerolineaceae) |
명명자 | Yamada et al. 2006 |
분류 | |
역 | 세균 |
문 | 녹만균문 |
강 | 아나이로릴네아강 (Anaerolineae) |
강 명명자 | Yamada et al. 2006 |
목 | 아나이로릴네아목 (Anaerolineales) |
목 명명자 | Yamada et al. 2006 |
속 | |
속 목록 | Anaerolinea Bellilinea Brevefilum Ca. Denitrolinea Desulfolinea Flexilinea Leptolinea Levilinea Longilinea Ornatilinea Pelolinea Thermanaerothrix Thermomarinilinea Ca. Villigracilis |
2. 역사
2003년, 세키구치 유지(Yuji Sekiguchi) 등이 ''아나이로릴네아 테르모필라(Anaerolinea thermophila)''를 처음 발견하였다.[10] 이 종은 통성 혐기성 세균인 ''칼디릴리나 에어로필라(Caldilinea aerophila)''와 함께 분리되었다.[10] 두 표본의 발견은 세균 분류학에 새로운 아문(subphylum)을 추가하는 계기가 되었다.[10]
아나이로릴네아과의 하위 속은 다음과 같다.
3. 하위 속
4. 계통 분류
현재 수용되는 분류는 명명법에 따른 원핵생물 이름 목록(LPSN)과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의 자료를 기반으로 한다.[11]
16S rRNA 기반 LTP_06_2022[12][13][14]와 120개의 단일 복사본 마커 단백질 기반 GTDB 08-RS214[15][16][17]에 따른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16S rRNA 기반 LTP_06_2022 | 120개의 단일 복사본 마커 단백질 기반 GTDB 08-RS214 |
---|---|
style="vertical-align:top| |
참조
[1]
논문
Nomenclature Abstract for Anaerolineaceae Yamada et al. 2006.
[2]
논문
Anaerolineaceae
https://lpsn.dsmz.de[...]
[3]
서적
Biological Treatment of Solid Waste: Enhancing Sustainability
CRC Press
2015
[4]
논문
Anaerolineaceae
https://www.uniprot.[...]
[5]
서적
Thermophilic Microbes in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Biotechnology: Biotechnology of Thermophil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6]
서적
Petroleum Microbial Biotechnology: Challenges and Prospects
Frontiers Media SA
2017
[7]
서적
Deep Subsurface Microbiology
Frontiers Media SA
2015
[8]
웹사이트
Anaerolineaceae
https://www.uniprot.[...]
2022-04-15
[9]
웹사이트
Anaerolineaceae
https://www.research[...]
2022-04-15
[10]
논문
Anaerolinea thermophila gen. nov., sp. nov. and Caldilinea aerophila gen. nov., sp. nov., novel filamentous thermophiles that represent a previously uncultured lineage of the domain Bacteria at the subphylum level
2003-11
[11]
웹사이트
Chloroflexi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4-03-20
[12]
웹사이트
The LTP
https://imedea.uib-c[...]
2023-05-10
[13]
웹사이트
LTP_all tree in newick format
https://imedea.uib-c[...]
2023-05-10
[14]
웹사이트
LTP_06_2022 Release Notes
https://imedea.uib-c[...]
2023-05-10
[15]
웹사이트
GTDB release 08-RS214
https://gtdb.ecogeno[...]
2023-05-10
[16]
웹사이트
bac120_r214.sp_label
https://data.gtdb.ec[...]
2023-05-10
[17]
웹사이트
Taxon History
https://gtdb.ecogeno[...]
2023-05-10
[18]
논문
Anaerolinea thermolimosa sp. nov., Levilinea saccharolytica gen. nov., sp. nov. And Leptolinea tardivitalis gen. nov., sp. nov., novel filamentous anaerobes, and description of the new classes Anaerolineae classis nov. and Caldilineae classis nov. in the bacterial phylum Chloroflexi
[19]
논문
Anaerolinea thermophila gen. nov., sp. nov. And Caldilinea aerophila gen. nov., sp. nov., novel filamentous thermophiles that represent a previously uncultured lineage of the domain Bacteria at the subphylum level
[20]
논문
Bellilinea caldifistulae gen. nov., sp. nov. And Longilinea arvoryzae gen. nov., sp. nov., strictly anaerobic, filamentous bacteria of the phylum Chloroflexi isolated from methanogenic propionate-degrading consortia
[21]
간행물
Family Anaerolineaceae
https://lpsn.dsmz.de[...]
원핵생물명 목록(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PS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