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달베르투스 2세 이브렌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달베르투스 2세 이브렌시스는 이브레아 변경백 베렌가리오 2세의 아들로, 950년 아버지와 함께 이탈리아 왕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로타르 2세의 미망인 아델라이데와의 결혼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오토 1세의 침공으로 이탈리아 왕위를 상실했다. 이후 여러 차례 망명 생활을 거치다 부르고뉴에서 사망했다. 그는 혼란스러운 시대에 왕위를 지키려 했으나 실패한 군주로 평가받으며, 한국의 광종과 비교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브레아가 - 교황 갈리스토 2세
교황 갈리스토 2세는 비엔 대주교 출신으로 서임권 투쟁을 종식시키고 교회의 권위를 회복했으며 유대인 보호 교서를 발표하는 등 사회적 약자 보호에도 힘쓴 12세기 초 교황이다. - 이브레아가 - 아르두이노 디브레아
아르두이노 디브레아는 1002년 오토 3세 사후 롬바르드 귀족들의 지지로 이탈리아 왕이 되었으나, 하인리히 2세와 왕위를 다투며 이탈리아 독립을 지키려 노력했고, 자신의 이름을 딴 교회들을 건립했으며, 사후 이브레아 후작령 분할을 초래했다. - 롬바르디아 분국의 군주 - 베렌가리우스 1세 포로이울리엔시스
베렌가리우스 1세는 9세기 후반 이탈리아 왕국과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였으며, 마자르족 침입과 경쟁자들의 반란으로 통치에 어려움을 겪고 암살당했으며, 외손자인 베렌가리오 2세가 그의 지위를 주장했다. - 롬바르디아 분국의 군주 - 베르나르두스 (이탈리아)
샤를마뉴의 손자인 베르나르두스는 817년 루트비히 1세의 제국 분할령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 후 실명형의 후유증으로 사망하여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 930년 출생 - 미에슈코 1세
미에슈코 1세는 963년 폴란드 공에 즉위하여 폴란드 국가를 건설하고 가톨릭으로 개종했으며, 포메라니아 등을 정복하여 폴란드 왕국의 기반을 다진 인물이다. - 930년 출생 - 다비트 3세
다비트 3세는 팽창 정책과 외교술로 세력을 확장하고 비잔티움 제국과의 관계를 통해 영향력을 키웠으며, 바그라트 3세를 후원하여 조지아 통일 기반을 마련한 타오 공작이다.
아달베르투스 2세 이브렌시스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이탈리아 왕 |
재위 기간 | 950년 – 961년 |
계승자 | 로타르 2세 |
후임자 | 오토 1세 |
배우자 | 제르베르가 |
자녀 | 오토 빌헬름, 부르고뉴 백작 |
왕가 | 앙스카르 가문 |
아버지 | 베렌가리오 2세 |
어머니 | 윌라 디 토스카나 |
출생일 | 932년/936년경 |
사망일 | 971년/975년경 |
사망 장소 | 오툉, 부르고뉴 |
2. 생애
아달베르투스 2세는 932년에서 936년 사이에 이브레아 변경백 베렌가리오 2세와 토스카나 변경백 보소의 딸 빌라 사이에서 태어났다.[1][2] 950년, 아버지와 함께 귀족들에 의해 로타르 2세의 뒤를 이을 왕으로 선출되어 파비아의 산 미켈레 성당에서 공동 대관식을 치렀다.[1] 베렌가리오 2세는 로타르 2세의 미망인 아델라이드에게 아달베르투스와의 결혼을 강요했으나, 아델라이드는 거부하고 카노사로 도망쳤다가 코모에 투옥되었다.[3]
2. 1. 출생과 가계
아달베르투스 2세는 932년에서 936년 사이에 이브레아 변경백 베렌가리오 2세와 토스카나 변경백 보소의 딸 빌라 사이에서 태어났다.[1][2] 그의 어머니 빌라 3세는 프로방스 백작이자 토스카나 변경백인 보소와 부르군디 왕 루돌프 1세의 딸 빌라 2세의 딸이었다.2. 2. 초기 생애
932년에서 936년 사이에 아달베르투스는 이브레아 변경백 베렌가리오 2세와 토스카나 변경백 보소의 딸 빌라 사이에서 태어났다.[1][2] 950년, 아달베르투스는 아버지와 함께 일부 귀족들에 의해 로타르 2세의 뒤를 이을 이탈리아 왕으로 선출되었다.[1] 950년 12월 15일, 아달베르투스와 베렌가리오 2세는 파비아의 산 미켈레 성당에서 함께 대관식을 치렀다.[1]베렌가리오 2세는 로타르 2세의 미망인 아델라이드에게 아달베르투스와 결혼하여 공동 왕권을 굳히도록 강요했으나, 아델라이드는 이를 거부하고 카노사로 도망쳤다. 그러나 곧 붙잡혀 코모에 4개월간 투옥되었다.[3]
951년, 아델라이드는 탈출에 성공하여 레조 주교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이후 카노사 성으로 피신했다. 같은 해 9월, 작센의 오토 1세가 아델라이드의 권리를 주장하며 이탈리아로 진군하여 저항 없이 파비아를 점령했다. 아달베르투스와 베렌가리오 2세는 자신들의 성에 농성했다. 오토 1세는 아델라이드와 결혼하고 밀라노에서 "프랑크와 롬바르디아의 왕" 칭호를 받았다.
3. 이탈리아 왕: 오토 1세와의 갈등
951년, 독일의 오토 1세는 이탈리아 왕국의 왕비 아델라이데를 석방시키고 그녀와 결혼했다.[4] 오토 1세는 아달베르트와 베렌가르를 폐위시키지는 않았지만, 952년 8월 독일 아우크스부르크 제국 회의에서 그들에게 이탈리아 왕국을 공식적으로 수여하여 왕국을 독일에 종속시켰다.
953년에서 956년 사이, 아달베르트와 베렌가르는 아델라이데가 피신했던 카노사의 아달베르토 아초 백작의 성을 포위했다.[1]
956년, 오토 1세의 아들 슈바벤 공작 리우돌프가 이탈리아에 들어왔다. 아달베르트는 군대를 모아 리우돌프를 격파했지만, 리우돌프는 957년 9월에 사망했다. 이후 아달베르트는 토스카나의 휴 공작의 도움으로 스폴레토의 테오발도 2세 공작을 공격했고, 960년에는 로마 공국 영토까지 침범했다.[1]
교황 요한 12세는 아달베르트에 대항하기 위해 독일 왕에게 도움을 요청했다.[5] 961년 오토 1세는 이탈리아에 입성했고, 아달베르트는 베로나에 군대를 소집했지만, 많은 귀족들이 베렌가르의 퇴위를 조건으로 내걸어 효과적으로 맞설 수 없었다.
3. 1. 즉위와 아델라이데와의 갈등
950년 12월 15일, 아달베르투스는 아버지 베렝가리오 2세와 함께 귀족들에 의해 로타르 2세의 뒤를 이을 왕으로 선출되었다. 그들은 파비아의 산 미켈레 성당에서 함께 대관식을 치렀다.[1] 베렌가리오는 로타르의 미망인 아델라이드에게 아달베르투스와 결혼하여 공동 왕권을 굳히도록 강요하려 했으나, 아델라이드는 이를 거부하고 카노사로 도망쳤다. 이후 아델라이드는 추적되어 코모에서 4개월 동안 투옥되었다.[3]951년, 아델라이데는 탈출에 성공하여 레조 주교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레조 주교의 부하인 아달베르토-앗토의 밑에서 난공불락의 카노사 성으로 도망쳤다.[8]
3. 2. 오토 1세의 침공과 이탈리아 왕위 상실
951년, 독일 왕 오토 1세는 아델라이데를 구출하고 그녀와 결혼하기 위해 이탈리아를 침공했다.[4] 아달베르투스와 베렌가리오는 오토 1세에게 굴복해야 했으며, 952년 8월 독일의 아우크스부르크 제국 회의에서 오토 1세는 그들에게 이탈리아 왕국을 공식적으로 수여하여 왕국을 독일에 종속시켰다.[1] 952년 2월에 오토는 단독으로 이탈리아 왕국을 정복한 후, 교황을 파면하고 아달베르토와 베렌가리오에 대한 전쟁을 지속하기 위해 사위 로트링겐 공작 콘라트를 남겨두고 게르마니아로 돌아갔다.[8]961년, 교황 요한 12세는 아달베르트에 대항하기 위해 독일 왕에게 도움을 요청했고,[5] 오토 1세는 이탈리아에 입성했다. 아달베르트는 베로나에 대규모 군대를 소집했지만, 많은 귀족들이 베렌가르가 아들 편을 들면서 퇴위하는 조건으로만 이탈리아 방어에 참여하려 했다. 아달베르트는 독일의 침략에 효과적으로 맞설 수 없었고, 오토 1세는 저항 없이 밀라노로 진격하여 왕으로 즉위했고, 로마에서 교황에게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대관했다.[1]
4. 망명과 최후
951년, 오토 1세가 이탈리아를 침공하여 아델라이드를 석방시키고 그녀와 결혼했다.[4] 베렌가르와 아달베르트는 952년 8월 독일 아우크스부르크 제국 회의에 참석해야 했으며, 오토는 그들에게 이탈리아 왕국을 공식적으로 수여하여 왕국을 독일에 종속시켰다. 956년, 오토의 아들 슈바벤 공작 리우돌프가 아버지의 권위를 주장하기 위해 대군을 이끌고 이탈리아에 들어왔다. 아달베르트는 군대를 모아 대항했으나, 리우돌프가 독일로 돌아가기 전 사망하면서 승리했다. 이후 토스카나의 휴의 도움을 받아 스폴레토의 테오발도 2세를 상대로 원정을 벌였고, 960년에는 로마 공국 영토까지 침범했다.[1]
교황 요한 12세는 아달베르트에 대항하고자 독일 왕에게 도움을 요청했다.[5] 961년 오토가 이탈리아에 입성하자, 아달베르트는 베로나에 군대를 소집했으나, 많은 귀족들이 베렌가르의 퇴위를 조건으로 내걸었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 오토는 저항 없이 밀라노에서 왕위에 올랐고, 962년 2월 3일 교황에게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대관받았다. 아달베르트와 베렌가르는 은신했다.[1]
965년, 이탈리아를 되찾으려 돌아온 아달베르트는 파비아를 점령하려 했으나, 부르카르트 3세에게 패배했다. 6월 25일, 파르마와 피아첸차 사이 전투에서 패배했고, 함께 싸운 콘라트는 오토 1세와 화해, 기는 전사했다.[1]
이후 비잔틴 제국과 협상을 시도했으나 실패, 아내 게르베르가와 부르고뉴 가문 영지로 은퇴했다.[1]
4. 1. 두 차례의 망명
962년 가을, 아달베르토는 이탈리아를 떠나 남부 프락시네툼의 부르고뉴 왕국 아랍인들에게 피신했다.[1][5] 거기서 그는 코르시카로 갔다. 코르시카에서 그는 교황 요한 12세와 협상을 시작하여 오토 1세에 대항하는 공동 작전을 제안했다. 그는 이탈리아로 항해하여 치비타베키아에 상륙했다. 그곳에서 그는 교황의 대표들을 만났고, 그들은 그를 로마로 호송했다. 베렝가리오 2세를 항복시킨 오토 1세는 그 후 로마로 진격했다. 형식적인 방어 이후 아달베르토와 교황은 도망쳤다.[1]아달베르토는 두 번째 망명 생활을 위해 코르시카로 돌아갔다.[1]
4. 2. 부르고뉴에서의 죽음
아달베르투스 2세는 결국 이탈리아 왕위를 되찾지 못하고 부르고뉴에서 생을 마감했다. 왕국을 되찾으려는 두 번째 시도에 실패한 후, 아달베르투스는 오토 1세의 남부 이탈리아 계획에 위협을 느낀 비잔틴 제국과 오랜 협상을 시작했다. 이것이 실패하자 그는 아내 게르베르가와 함께 그녀의 부르고뉴 가문의 영지로 은퇴했다. 아달베르투스는 오툉에서 971년 4월 30일 또는 972년에서 975년 사이에 사망했다.[1][2]5. 가족 관계
Gerberge프랑스어 (젤베르가)와의 사이에서 아들 오토네 구리에르모를 두었다.[5] 젤베르가는 마콘 백작 리에타르 2세와 에르망가르드 드 샬롱의 딸이었다.[5] 아달베르토 2세가 사망한 후, 젤베르가는 부르고뉴 공작 앙리 1세와 재혼했다.[2] 앙리 1세는 오토 윌리엄을 양자로 삼았다.[5]
아달베르토 2세와 젤베르가 사이에는 5명의 자녀가 있었다.[2]
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오토네 구리에르모 | 962년 - 1026년 | 초대 부르고뉴 백작[2] |
지젤라 | ? - 1020년 | 983년 몬페라토 후작 안셀모 1세와 결혼[2] |
알두이노 | ? - 1015년 | [2] |
질베르토 | ? - 1030년 | [2] |
아메데오 | ? | [2] |
6. 평가
아달베르투스 2세는 혼란스러운 시대에 왕위를 지키려 했으나, 결국 오토 1세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이탈리아 왕위를 상실한 군주로 평가된다.[4][1]
6. 1. 역사적 평가
아달베르투스 2세는 혼란스러운 시대에 왕위를 지키려 했으나, 결국 실패한 군주로 평가된다. 그는 오토 1세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고, 이탈리아 왕위를 상실했다.[4][1]951년, 오토 1세는 이탈리아를 침공하여 아델라이드를 석방시키고 그녀와 결혼했다. 아달베르트와 베렌가르는 오토 1세에게 굴복하여 이탈리아 왕국을 독일에 종속시키는 조건으로 왕위를 유지했다.[4][1]
956년, 아달베르트는 슈바벤 공작 리우돌프를 격파하는 데 성공했지만, 교황 요한 12세의 요청으로 오토 1세가 다시 이탈리아를 침공하자 효과적으로 맞서지 못했다. 결국 오토 1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즉위했고, 아달베르트와 베렌가르는 권력을 잃고 숨어야 했다.[1][5]
참조
[1]
간행물
Adalberto, re d'Italia
http://www.treccani.[...]
Istituto dell'Enciclopedia Italiana
1960
[2]
서적
Europäische Stammtafeln: Stammtafeln zur Geschichte der Europäischen Staaten
J. A. Stargardt
1984
[3]
서적
Death and Life in the Tenth Centur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67
[4]
서적
Early Medieval Europe, 300–1000
St. Martin's Press
1999
[5]
서적
Sword, Miter, and Cloister; Nobility and the Church in Burgundy, 980–1198
Cornell University Press
2009
[6]
간행물
I diplomi di Ugo e di Lotario, di Berengario II e di Adalbert
Rome
1924
[7]
논문
On a Very Rare Silver Coin (denaro d'argento) of Berengarius II., King of Italy, with His Son Albertus (Adalbertus) as Coregent, A.D. 950–962
1855-56
[8]
문서
[9]
문서
[1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