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비트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비트 3세는 10세기 타오 지역을 지배했던 조지아 바그라티온 왕조의 일원이다. 그는 비잔틴 제국과의 동맹을 통해 영토를 확장하고, 캅카스 지역에서 영향력 있는 통치자로 부상했다. 다비트는 아르메니아와 조지아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고, 광범위한 건설 사업을 추진했다. 후사가 없었던 그는 조지아의 바그라트 3세를 양자로 입양하여 왕위 계승을 도왔지만, 이후 비잔틴 제국과의 반란에 가담했다가 실패했다. 다비트는 1000년 또는 1001년 귀족들에게 살해당했으며, 그의 사후 비잔틴 제국은 그가 통치하던 영토를 회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오-클라르제티 - 아르다한
    아르다한은 터키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조지아 국경과 인접하며, 다양한 문화권의 영향을 받아 여러 국가의 지배를 거쳐 터키 영토로 확정되었고, 현재는 카샤르 치즈와 거위로 유명하며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 1000년 사망 - 올라프 1세 (노르웨이)
    올라프 1세는 995년부터 1000년까지 노르웨이를 통치한 왕으로, 노르웨이에 기독교를 전파하고 트론헤임을 건설했지만 스볼데르 해전에서 전사했으며 강압적인 기독교 정책에 대한 비판도 있다.
  • 1000년 사망 - 대승명황후
    대승명황후는 딘 왕조의 황후로서 딘 보 린 사후 섭정을 맡았고, 혼란한 정국을 타개하기 위해 레 호안에게 양위 후 재혼하여 전 레 왕조의 황후가 되어 베트남 역사상 두 왕조 황제와 혼인한 유일한 여성이자 사후 숭배받는 인물이다.
다비트 3세
기본 정보
오슈키 수도원의 바스-릴리프에 묘사된 다비트 3세 대왕
다비트 3세 대왕은 오슈키 수도원의 바스-릴리프에 묘사되어 있다. 다비트의 비잔틴 이미지 사용은 이후 두 세기 동안 조지아 왕권의 모습에 영향을 미쳤다.
이름다비트 3세 대왕
로마자 표기Dawit III Didi
통치
상 타오 공작966년–1000/1001년
쿠로팔라테스978년–1000/1001년
스타일더 보기...
이전 통치자바그라트 2세
후임 통치자바그라트 3세
생애
출생930년대
사망1001년
사망 장소타오-클라르제티
가문
가문바그라티오니 왕조
아버지아다르나세 5세
자녀바그라트 3세 (입양)
종교
종교조지아 정교회

2. 역사

다비트는 아다르나세 5세의 아들로, 940년대에 타오의 원래 가문이 단절된 이후부터 타오(역사적인 조지아-아르메니아 국경의 주로 아르메니아인들에게 Tayk로 알려진 지역, 현재 터키의 일부)를 지배했던 조지아 바그라티온 왕조(바그라티드 왕조)의 카르틀리 가문의 지파인 타오의 제2가문의 대표였다.

=== 비잔틴 제국과의 동맹 ===

966년에 다비트는 형인 바그라트 2세의 타오 공작 지위를 계승했다.[14] 다비트는 집권 기간 내내 확장주의 정책을 폈으며 유연한 외교술로 나라들을 불러들여 커다란 왕국을 구성하기 시작했다. 다비트는 야심찬 계획을 성취하기 위해서, 바실 2세(975~1025년) 통치 하에 가장 높은 위상을 떨치던 비잔틴 제국으로부터 반드시 독립권을 보존해야 했다.

비잔티움 동쪽의 이웃 나라인 분열된 아르메니아와 조지아 군주국들은 이따금씩 제국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었지만, 그 나라들은 그들의 영지들을 지나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갈 수 있는 전략적인 국제 무역 통로들을 통제 하고 있었기 때문에 특별히 제국의 관심을 끌었다.[14] 비잔티움은 이미 타론(966년)과 만지케르트(968년)의 왕자국들을 합병했고, 조지아의 타오-클라르제티로 알려진 바그라트조 왕자국들의 성위에 잠재적인 위험을 제기했다.[15] 그러나, 제국은 976년에 아시아 속주들에서 바르다스 크켈로스가 이끈 총-규모의 반란 이후에 제국 자체로의 통합된 상태는 심각한 위협에 저해 있었다. 반란군이 잇따라 승리함으로 콘스탄티노플을 위험에 빠졌다. 상황이 긴박해지자, 젊은 황제 바실은 타오의 다비트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며, 다비트는 즉시 응답했고 그 사건 바로 전에 패배했던 충성스러운 바르다스 포카스 비잔틴 장군의 군대를 증강하기 위해 토르니키오스의 지휘 하에 있는 12,000명의 최정예 기병 부대를 파병했다. 그 덕분에 카에사레아인근에서 벌어진 판칼리아 전투의 승리가 보장되었다.[16]

테오도시오폴리스 또는 카린(조지아어. 가르누-칼라키, 오늘날 터키 에르주룸), 파시아네(조지아어. 바시아니, 아르메니아어. 바세안), 하르크, 아파후니크, 마르달리(마르다그히), 칼도야리치, 초르마이리의 주로 아르메니아 북서부 영토에 있는 도시들로 구성된, 동시대에 조지아어 자료들에서 "그리스의 고지대 영토"(ზემონი ქუეყანანი საბერძნეთისანი)로 알려진 동부 아나톨리아에 대한 평생 통치권이 다비트에게 주어진 보상이었다. 경사스러운 일들을 계기로 그 때에, 다비트는 비잔틴의 높은 칭호인 ''쿠로팔라테스''를 부여 받았다. 또한 바실 2세는 다비트의 군사 지휘관인 토르니키오스의 용맹에 대한 보상으로 아토스산조지아 정교회 수도원에 자금을 대주었다. 현재 그 수도원에는 주로 그리스인 수사들이 거주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오늘날도 "(조지아인을 예로 든) 이베리아의" 이베론으로 알려진다.

그러한 굉장한 횡재들은 다비트를 조지아와 아르메니아 모두에서 왕조 간의 논쟁들을 중재하고 재판할 수 있는 사람이 되게하여 캅카스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통치자로 만들었다.[15] 중세 조지아 작가들은 그를 "타오의 가장 훌륭한 왕"[17]으로 불렀으며, 11세기 아르메니아 연대기 편자 아리스타케스 라스티베르치는 그에 대해서 서술하기를

라며 극찬했다.

다비트는 매우 중요한 상업 중심지들을 통제하게 됐고, 그 지역들이 있는 그의 속국은 남서부 카바스와 동부 아나톨리아를 통해서 지나가는 주요 무역로에서 세금을 거두어 이윤을 얻었다. 다비트는 그렇게 번 총수입을 조지아와 외국에서의 도시들, 요새들, 교회들의 건설과 조지아의 수도원 공동체들, 문화 활동들이 포함된 광범위한 건설 사업에 투자했다.

=== 왕위 계승 문제 ===

다비트는 후사가 없었기에 그의 친척인 카르틀리(이베리아)의 바그라트조 왕위의 계승자인 바그라트 3세 왕자를 양자로 입양했다. 다비트는 조지아의 활동적 귀족인 이오바네 마루시스-드제의 요청으로 그렇게 했다.[19][7] 바그라트는 혈통을 통해 두 개의 왕좌에 앉을 운명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압하스의 테오도시우스 3세 왕의 누이로, 바그라트는 압하스 왕국 영역의 잠재적인 계승자였다.[19][7] 다비트는 모든-조지아 왕국의 생성에 대한 계획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976년 그의 수양-아들을 위해 카르틀리를 점령했고, 조지아의 가장 동쪽에 카케티에서 온 대군을 격퇴하여, 격전지였던 우플리스치케의 바위를 잘라만든 도시와 같이 카르들리의 동부 지구를 점령했다. 2년 후인 978년, 다비트와 마루시스-드제는 데오도시우스 3세를 대신하게 될 바그라트를 위해서 압하스의 왕위를 보존하고 있었다.[19][7]

금세공인 아사트가 제작한 타오의 다비트의 행렬 십자가


987년 다비트는 그의 광대한 소유지가 바그라트조 세습 영지가 될까 염려하여, 그의 오랜 친구 바르다스 포카스와 바실 황제에 대항하는 반란에 가담하게 되었다. 989년에 반란군은 비잔틴-루스군에 의해 패배했고, 바실은 조지아를 응징하기 위해서 칼데아의 조흔이 지휘하는 강력한 군대를 파병했고, 다비트는 황제에게 순종할 수 밖에 없었다. 그는 제국과의 화해를 위해서 990년에 황제를 알현하고 다비트가 죽을 때 사전에 그의 통치권 하에 있던 영토들을 비잔틴 제국에게 반환하겠다고 약조함으로 쿠로팔라테스 칭호를 다시 수여 받았다.[19][7]

같은 해에 압하스의 바그라트가 남 카르틀리의 클르데카리의 라티 공작의 불복종을 처벌하기 위하여 형벌 원정을 계획했을 때, 또 다른 문제가 불거졌다. 다비트는 바그라트가 자신을 죽일 의도를 가졌다고 오해하여, 바그라트의 친부 구르겐이 이끄는 군대를 진압했다. 조지아 연대기에는 "바그라트는 (다비트에게) 다가가 홀로, 그의 발 앞에 엎드려 반드시 라티를 무찌르겠노라고 맹세했다. (다비트는) 너무나도 잘 믿었고 그를 평화롭게 풀어 주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9][7]

=== 무슬림과의 전쟁 ===

황제 및 친족과의 화해 이후, 다비트는 반 호수와 아제르바이잔의 이슬람 토후국 및 트빌리시 토후국을 상대로 일련의 성공적인 습격을 이끌었다.[8] 조지아의 바그라트 2세 (다비트의 양자 바그라트의 할아버지)와 아르메니아의 가기크 1세는 다비트와 동맹을 맺었다.[8] 다비트는 993년경에 만지케르트를 마르와니드의 디야르 바크르 토후로부터 탈환했으며, 997년에는 이 쿠르드족 왕조의 또 다른 중요한 거점인 아흐라트를 습격했다.[8] 아제르바이잔의 라와디드 토후인 맘란 역시 두 번 패배했으며, 998년 아르체슈 근처에서 두 번째로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다.[8]

=== 죽음과 유산 ===

다비트는 반호아제르바이잔무슬림 토후국들에 대항하여 연속적인 급습을 이끌어 성공을 거두었다.[20] 조지아의 바그라트 2세와 아르메니아의 가기크 1세는 약 993년에 디야르바크르의 마완조에게서 만지케르트를 되찾고 997년에 아크라트의 쿠르드 왕조의 중요한 근거지를 급습했던 다비트와 자진하여 동맹을 맺었다. 아제르바이잔의 라와드조 토후 맘란 또한 두번 패했는데, 두 번째인 998년에 아르체시 인근에서의 패배가 결정적이었다.[20]

다비트는 1000년 또는 1001년 초에 귀족들에게 살해당했다. 아리스타케스에 따르면, 귀족들은 성찬에 독을 섞어 다비트에게 마시게 하여 죽게 했다.[6]

조지아 연대기에는 다비트가 1001년에 죽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는데도 불구하고, 몇몇 아르메니아와 무슬림 기록들에서 그가 1000년에 죽었을지도 모른다는 추측들이 있다.[21] 아리스타케스에는 다비트의 사망 시기가 1000년 3월 28일 이라고 되어있는데,[21] 아소기크가 다비트는 부활절에 죽었다고 말함으로 그 날짜가 근접하게 입증되었다.[21] 사무엘 아네트시도 그 시기를 1000년으로 보았다.[21]

2. 1. 비잔틴 제국과의 동맹

966년에 다비트는 형인 바그라트 2세의 타오 공작 지위를 계승했다.[14] 다비트는 집권 기간 내내 확장주의 정책을 폈으며 유연한 외교술로 나라들을 불러들여 커다란 왕국을 구성하기 시작했다. 다비트는 야심찬 계획을 성취하기 위해서, 바실 2세(975~1025년) 통치 하에 가장 높은 위상을 떨치던 비잔틴 제국으로부터 반드시 독립권을 보존해야 했다.

비잔티움 동쪽의 이웃 나라인 분열된 아르메니아와 조지아 군주국들은 이따금씩 제국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었지만, 그 나라들은 그들의 영지들을 지나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갈 수 있는 전략적인 국제 무역 통로들을 통제 하고 있었기 때문에 특별히 제국의 관심을 끌었다.[14] 비잔티움은 이미 타론(966년)과 만지케르트(968년)의 왕자국들을 합병했고, 조지아의 타오-클라르제티로 알려진 바그라트조 왕자국들의 성위에 잠재적인 위험을 제기했다.[15] 그러나, 제국은 976년에 아시아 속주들에서 바르다스 크켈로스가 이끈 총-규모의 반란 이후에 제국 자체로의 통합된 상태는 심각한 위협에 저해 있었다. 반란군이 잇따라 승리함으로 콘스탄티노플을 위험에 빠졌다. 상황이 긴박해지자, 젊은 황제 바실은 타오의 다비트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며, 다비트는 즉시 응답했고 그 사건 바로 전에 패배했던 충성스러운 바르다스 포카스 비잔틴 장군의 군대를 증강하기 위해 토르니키오스의 지휘 하에 있는 12,000명의 최정예 기병 부대를 파병했다. 그 덕분에 카에사레아인근에서 벌어진 판칼리아 전투의 승리가 보장되었다.[16]

테오도시오폴리스 또는 카린(조지아어. 가르누-칼라키, 오늘날 터키 에르주룸), 파시아네(조지아어. 바시아니, 아르메니아어. 바세안), 하르크, 아파후니크, 마르달리(마르다그히), 칼도야리치, 초르마이리의 주로 아르메니아 북서부 영토에 있는 도시들로 구성된, 동시대에 조지아어 자료들에서 "그리스의 고지대 영토"(ზემონი ქუეყანანი საბერძნეთისანი)로 알려진 동부 아나톨리아에 대한 평생 통치권이 다비트에게 주어진 보상이었다. 경사스러운 일들을 계기로 그 때에, 다비트는 비잔틴의 높은 칭호인 ''쿠로팔라테스''를 부여 받았다. 또한 바실 2세는 다비트의 군사 지휘관인 토르니키오스의 용맹에 대한 보상으로 아토스산조지아 정교회 수도원에 자금을 대주었다. 현재 그 수도원에는 주로 그리스인 수사들이 거주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오늘날도 "(조지아인을 예로 든) 이베리아의" 이비론으로 알려진다.

그러한 굉장한 횡재들은 다비트를 조지아와 아르메니아 모두에서 왕조 간의 논쟁들을 중재하고 재판할 수 있는 사람이 되게하여 캅카스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통치자로 만들었다.[15] 중세 조지아 작가들은 그를 "타오의 가장 훌륭한 왕"[17]으로 불렀으며, 11세기 아르메니아 연대기 편자 아리스타케스 라스티베르치는 그에 대해서 서술하기를

라며 극찬했다.

다비트는 매우 중요한 상업 중심지들을 통제하게 됐고, 그 지역들이 있는 그의 속국은 남서부 카바스와 동부 아나톨리아를 통해서 지나가는 주요 무역로에서 세금을 거두어 이윤을 얻었다. 다비트는 그렇게 번 총수입을 조지아와 외국에서의 도시들, 요새들, 교회들의 건설과 조지아의 수도원 공동체들, 문화 활동들이 포함된 광범위한 건설 사업에 투자했다.

2. 2. 왕위 계승 문제

다비트는 후사가 없었기에 그의 친척인 카르틀리(이베리아)의 바그라트조 왕위의 계승자인 바그라트 3세 왕자를 양자로 입양했다. 다비트는 조지아의 활동적 귀족인 이오바네 마루시스-드제의 요청으로 그렇게 했다.[19][7] 바그라트는 혈통을 통해 두 개의 왕좌에 앉을 운명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압하스의 테오도시우스 3세 왕의 누이로, 바그라트는 압하스 왕국 영역의 잠재적인 계승자였다.[19][7] 다비트는 모든-조지아 왕국의 생성에 대한 계획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976년 그의 수양-아들을 위해 카르틀리를 점령했고, 조지아의 가장 동쪽에 카케티에서 온 대군을 격퇴하여, 격전지였던 우플리스치케의 바위를 잘라만든 도시와 같이 카르들리의 동부 지구를 점령했다. 2년 후인 978년, 다비트와 마루시스-드제는 데오도시우스 3세를 대신하게 될 바그라트를 위해서 압하스의 왕위를 보존하고 있었다.[19][7]

987년 다비트는 그의 광대한 소유지가 바그라트조 세습 영지가 될까 염려하여, 그의 오랜 친구 바르다스 포카스와 바실 황제에 대항하는 반란에 가담하게 되었다. 989년에 반란군은 비잔틴-루스군에 의해 패배했고, 바실은 조지아를 응징하기 위해서 칼데아의 조흔이 지휘하는 강력한 군대를 파병했고, 다비트는 황제에게 순종할 수 밖에 없었다. 그는 제국과의 화해를 위해서 990년에 황제를 알현하고 다비트가 죽을 때 사전에 그의 통치권 하에 있던 영토들을 비잔틴 제국에게 반환하겠다고 약조함으로 쿠로팔라테스 칭호를 다시 수여 받았다.[19][7]

같은 해에 압하스의 바그라트가 남 카르틀리의 클르데카리의 라티 공작의 불복종을 처벌하기 위하여 형벌 원정을 계획했을 때, 또 다른 문제가 불거졌다. 다비트는 바그라트가 자신을 죽일 의도를 가졌다고 오해하여, 바그라트의 친부 구르겐이 이끄는 군대를 진압했다. 조지아 연대기에는 "바그라트는 (다비트에게) 다가가 홀로, 그의 발 앞에 엎드려 반드시 라티를 무찌르겠노라고 맹세했다. (다비트는) 너무나도 잘 믿었고 그를 평화롭게 풀어 주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9][7]

2. 3. 무슬림과의 전쟁

황제 및 친족과의 화해 이후, 다비트는 반 호수와 아제르바이잔의 이슬람 토후국 및 트빌리시 토후국을 상대로 일련의 성공적인 습격을 이끌었다.[8] 조지아의 바그라트 2세 (다비트의 양자 바그라트의 할아버지)와 아르메니아의 가기크 1세는 다비트와 동맹을 맺었다.[8] 다비트는 993년경에 만지케르트를 마르와니드의 디야르 바크르 토후로부터 탈환했으며, 997년에는 이 쿠르드족 왕조의 또 다른 중요한 거점인 아흐라트를 습격했다.[8] 아제르바이잔의 라와디드 토후인 맘란 역시 두 번 패배했으며, 998년 아르체슈 근처에서 두 번째로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다.[8]

2. 4. 죽음과 유산

다비트는 반호아제르바이잔무슬림 토후국들에 대항하여 연속적인 급습을 이끌어 성공을 거두었다.[20] 조지아의 바그라트 2세와 아르메니아의 가기크 1세는 약 993년에 디야르바크르의 마완조에게서 만지케르트를 되찾고 997년에 아크라트의 쿠르드 왕조의 중요한 근거지를 급습했던 다비트와 자진하여 동맹을 맺었다. 아제르바이잔의 라와드조 토후 맘란 또한 두번 패했는데, 두 번째인 998년에 아르체시 인근에서의 패배가 결정적이었다.[20]

다비트는 1000년 또는 1001년 초에 귀족들에게 살해당했다. 아리스타케스에 따르면, 귀족들은 성찬에 독을 섞어 다비트에게 마시게 하여 죽게 했다.[6]

조지아 연대기에는 다비트가 1001년에 죽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는데도 불구하고, 몇몇 아르메니아와 무슬림 기록들에서 그가 1000년에 죽었을지도 모른다는 추측들이 있다.[21] 아리스타케스에는 다비트의 사망 시기가 1000년 3월 28일 이라고 되어있는데,[21] 아소기크가 다비트는 부활절에 죽었다고 말함으로 그 날짜가 근접하게 입증되었다.[21] 사무엘 아네트시도 그 시기를 1000년으로 보았다.[21]

3. 비잔티움-조지아 전쟁

바실 2세는 파티마조에 대항한 군사 작전을 펼치다 타르수스의 평지에서 겨울을 나던 중 다비트의 사망 소식을 들었다.[24] 황제는 다비트가 제국에게 돌려주기로 약속한 영토를 되찾으러 북-동쪽으로 전진했고, 조지아와 아르메니아의 지방 귀족들은 별다른 저항 없이 황제에게 순종했다.[24] 조지아 군인과 바랑인 근위대 군인이 건초 1 가마니를 두고 시비가 붙어 6,000명의 바랑인들이 수반된 심각한 싸움으로 발전하여 조지아의 상류층 귀족 13명의 목숨을 앗아간 사건이 있었다.[24]

오슈키 대성당의 부조에 묘사된 다비트


다비트의 수양-아들인 바그라트 왕은 바실과 대담했지만 다비트의 왕국 영역이 제국과 합병되는 것은 막을 수 없었고 제국의 쿠로팔라테스 호를 보상으로 받음으로 새로운 국경을 인정해야 했다.[10] 이러한 좌절에도 불구하고, 바그라트는 모든-조지아의 통일 군주국의 첫 번째 왕이 될 수 있었는데,[10] 그 결과는 현시대 학자인 스테펜 라프가 보기에 "조지아 역사의 명부에서 '상위 10등' 안에 들어가는 적당한 지위의 수준"이라고 한 다비트 타오의 노고 덕분에 대부분 실현 가능했다고 한다.[11]

현시대의 몇몇 학자들 사이에서는 다비트가 비잔티움에 양도한 영토들이 바르다스 스켈레우스의 반란군에 대항하여 지원한 보상으로 증여받은 영토들만 이었는지, 아니면 바실 2세에게 획득한 모든 영토들이었을지의 의견으로 나뉘어 의견의 불일치가 있다.[24] 다비트의 일생 동안 관리 책임자로의 의무가 만료 되기 이전에, 그가 그의 왕국의 모든 영토들, 예를 들면, 저편의 타오/타이크 그리고 반 호수와 근접해 있던 아르메니아의 나라들을 양도 했다고 가정할만한 더 그럴 듯한 이유가 있어야 했었다.[24] 그 영토들이 다비트의 소유지가 확장된 영토들이든 아니든 간에, 조지아의 왕들은 그 영토들을 상실한 것에 대해서 쉽사리 받아들이지 않았고, 체념하지 않았음으로 11세기에는 비잔틴 제국과의 충돌이 잦았다.[12]

3. 1. 원인

바실 2세는 파티마조에 대항한 군사 작전을 펼치던 중 다비트 3세의 사망 소식을 듣고, 그가 제국에게 돌려주기로 한 영토를 되찾기 위해 북동쪽으로 이동했다.[24] 조지아와 아르메니아의 지방 귀족들은 별다른 저항 없이 황제에게 순종했다.[22]

한번은 조지아 군인과 바랑인 근위대 군인이 건초 1 가마니를 두고 싸움을 벌여 6,000명의 바랑인들이 가담하는 큰 싸움으로 번졌고, 이로 인해 조지아 귀족 13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2]

다비트 3세의 양아들인 바그라트 왕은 바실 2세와 대담했지만, 다비트 3세의 왕국 영토가 제국에 합병되는 것을 막지 못하고 새로운 국경을 인정해야 했다.[22]

학자들 사이에서는 다비트 3세가 비잔티움 제국에 양도한 영토의 범위에 대해 의견이 엇갈린다. 바르다스 스클레루스의 반란 진압을 지원한 대가로 받은 영토만 양도했는지, 아니면 획득한 모든 영토를 양도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24] 다비트 3세 사후 조지아 왕들은 영토 상실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아 11세기에 비잔틴 제국과 잦은 충돌을 겪었다.[24]

3. 2. 경과

바실 2세는 파티마조에 대항한 군사 작전을 펼치다 타르수스의 평지에서 겨울을 나던 중 다비트의 사망 소식을 들었다.[24] 황제는 다비트가 제국에게 돌려주기로 약속한 영토를 되찾으러 북-동쪽으로 전진했고, 조지아와 아르메니아의 지방 귀족들은 별다른 저항 없이 황제에게 순종했다.[24] 조지아 군인과 바랑인 근위대 군인이 건초 1 가마니를 두고 시비가 붙어 6,000명의 바랑인들이 수반된 심각한 싸움으로 발전하여 조지아의 상류층 귀족 13명의 목숨을 앗아간 사건이 있었다.[24]

다비트의 수양-아들인 바그라트 왕은 바실과 대담했지만 다비트의 왕국 영역이 제국과 합병되는 것은 막을 수 없었고 제국의 쿠로팔라테스 호를 보상으로 받음으로 새로운 국경을 인정해야 했다.[10] 이러한 좌절에도 불구하고, 바그라트는 모든-조지아의 통일 군주국의 첫 번째 왕이 될 수 있었는데,[10] 그 결과는 현시대 학자인 스테펜 라프가 보기에 "조지아 역사의 명부에서 '상위 10등' 안에 들어가는 적당한 지위의 수준"이라고 한 다비트 타오의 노고 덕분에 대부분 실현 가능했다고 한다.[11]

현시대의 몇몇 학자들 사이에서는 다비트가 비잔티움에 양도한 영토들이 바르다스 스켈레우스의 반란군에 대항하여 지원한 보상으로 증여받은 영토들만 이었는지, 아니면 바실 2세에게 획득한 모든 영토들이었을지의 의견으로 나뉘어 의견의 불일치가 있다.[24] 다비트의 일생 동안 관리 책임자로의 의무가 만료 되기 이전에, 그가 그의 왕국의 모든 영토들, 예를 들면, 저편의 타오/타이크 그리고 반 호수와 근접해 있던 아르메니아의 나라들을 양도 했다고 가정할만한 더 그럴 듯한 이유가 있어야 했었다.[24] 그 영토들이 다비트의 소유지가 확장된 영토들이든 아니든 간에, 조지아의 왕들은 그 영토들을 상실한 것에 대해서 쉽사리 받아들이지 않았고, 체념하지 않았음으로 11세기에는 비잔틴 제국과의 충돌이 잦았다.[12]

3. 3. 결과

다비트 3세가 사망하자, 바실 2세는 타르수스 평원에서 겨울을 나며 파티마 왕조에 대항한 군사 작전을 펼치던 중이었다.[22] 황제는 다비트가 제국에게 돌려주기로 약속한 영토를 되찾기 위해 북동쪽으로 진군했다. 조지아와 아르메니아의 지방 귀족들은 별다른 저항 없이 황제에게 순종했다. 다만, 조지아 군인과 바랑인 근위대 군인이 건초 1 가마니를 두고 시비가 붙어 6,000명의 바랑인들이 수반된 심각한 싸움으로 번져 조지아의 상류층 귀족 30명의 목숨을 앗아간 사건이 있었다.[22]

다비트의 양아들인 바그라트 왕은 바실 2세와 대담했지만 다비트의 왕국 영역이 제국과 합병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고, 제국의 쿠로팔라테스 칭호를 받는 대가로 새로운 국경을 인정해야 했다.[10] 이러한 차질에도 불구하고, 바그라트는 모든-조지아의 통일 군주국의 첫 번째 왕이 될 수 있었다.[10] 현대 학자 스테펜 라프는 이러한 결과가 "조지아 역사의 명부에서 '상위 10등' 안에 들어가는 적당한 지위의 수준"이라고 한 다비트 타오의 노고 덕분에 대부분 실현 가능했다고 평가한다.[11][23]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는 다비트가 바르다스 스켈레우스의 반란군에 대항하여 지원한 보상으로 증여받은 영토들만 비잔티움에 양도했는지, 아니면 바실 2세에게 획득한 모든 영토들이었을지의 의견으로 나뉘어 의견의 불일치가 있다. 다비트의 일생 동안 관리 책임자로의 의무가 만료되기 이전에, 그가 그의 왕국의 모든 영토들, 예를 들면, 저편의 타오/타이크 그리고 반 호수와 근접해 있던 아르메니아의 나라들을 양도 했다고 가정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그 영토들이 다비트의 소유지가 확장된 영토들이든 아니든 간에, 조지아의 왕들은 그 영토들을 상실한 것에 대해서 쉽사리 받아들이지 않았고, 체념하지 않았음으로 11세기에는 비잔틴 제국과의 충돌이 잦았다.[12][24]

4. 평가

4. 1. 긍정적 평가

4. 2. 부정적 평가

4. 3. 대한민국과의 비교

참조

[1] 서적 Royal Imagery in Medieval Georgia Penn State Press (US)
[2] 백과사전 Basil II (A.D. 976-1025) http://www.roman-emp[...] 2006-06-16
[3] 서적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and Indianapolis
[4]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5] 문서
[6] 웹사이트 The History of Vardapet Aristakes Lastivertc'i http://rbedrosian.co[...] 2006-06-16
[7] 웹사이트 Armenian adaptation of the Georgian Chronicle http://rbedrosian.co[...] 2006-06-16
[8] 간행물 Armenia in The Encyclopaedia of Islam http://www.encislam.[...]
[9] 문서 Повествование вардапета Аристакэса Ластиверци (The History of Vardapet Aristakes Lastivertc'i) http://www.vostlit.i[...] 2009-03-24
[10] 백과사전 David of Tao. https://archive.toda[...] 2006-06-16
[11]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Bvba
[12] 간행물 "La succession da curopalate David d'Iberie, dynaste de Tao" Byzantion
[13] 서적 Royal Imagery in Medieval Georgia Penn State Press (US)
[14] 웹인용 Basil II (A.D. 976-1025) http://www.roman-emp[...] 2010-10-08
[15] 서적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and Indianapolis
[16]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17] 문서
[18] 웹인용 The History of Vardapet Aristakes Lastivertc'i http://rbedrosian.co[...] 2010-10-05
[19] 웹인용 Armenian adaptation of the Georgian Chronicle http://rbedrosian.co[...] 2006-06-16
[20] 간행물 Armenia in The Encyclopaedia of Islam http://www.encislam.[...]
[21] 문서 Повествование вардапета Аристакэса Ластиверци (The History of Vardapet Aristakes Lastivertc'i) http://www.vostlit.i[...] 2009-03-24
[22] 웹인용 David of Tao. http://concise.brita[...] 2010-10-08
[23]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Bvba
[24] 간행물 "La succession da curopalate David d'Iberie, dynaste de Tao" Byzan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