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라산 우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라산 우기는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온대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3개의 진과 2개의 소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1961년에 깃발이 설치되었으며, 알라산 산맥의 별칭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고 있다. 2020년 기준 약 2만 5천 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한족이 다수를 차지하고 몽골족이 그 뒤를 잇는다. 전통적으로 유목이 주요 산업이었으나, 최근에는 철광업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교통으로는 알산 우기 바단지린 공항, 린처선 철도, 징신 고속도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라산맹의 행정 구역 - 아라산 좌기
    아라산 좌기는 내몽골 자치구 서부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온대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목축업과 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딩위안 수비대 유적 개보수, 신징 탄광 붕괴 사고 등의 사건이 있었으며, 가도, 진, 소목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철도, 도로, 항공으로 교통이 이루어진다.
  • 아라산맹의 행정 구역 - 어지나 기
    어지나 기는 흉노의 사냥터로 시작하여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의 최서단에 위치하며, 고비 사막에 자리 잡고 카라호토 유적과 주취안 위성 발사 센터가 있는 곳이다.
  • 내몽골 자치구의 기 - 우라터 중기
    우라터 중기는 몽골 자치구에 위치하며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한족을 비롯한 여러 민족들이 거주하며, 솜과 진을 포함한 행정 구역으로 구성된다.
  • 내몽골 자치구의 기 - 커스커텅 기
    커스커텅 기는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 위치하며 평균 해발고도 1100m의 냉대 습윤 기후 지역으로, 광업, 재생 에너지, 관광, 목축업이 주요 산업이며,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아라산 우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바다인 자란 사막의 모래 언덕
바다인 자란 사막의 모래 언덕
위치내몽골 자치구 알샤맹
현급 행정구역 종류기(旗)
기 소재지바다인 자란
행정 구역
소속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자치구내몽골 자치구
알샤맹
기 정부 소재지바다인 자란
지리
면적71,515.26 km²
좌표39°13′19″N 101°40′12″E
인구 통계
총 인구 (2020년)22,647명
행정 코드
행정 구역 코드152922
우편 번호737300
기타 정보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8)
웹사이트알샤 우기 인민정부 공식 웹사이트

2. 지리

2. 1. 기후

아라산 우기는 온대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며, 연 강수량이 적고 건조하다. 겨울은 춥고 길며, 여름은 덥고 짧다.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평균 기온을 살펴보면 7월 평균 기온은 30.9°C이고 1월 평균 기온은 -13.8°C이다.[9]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기온을 살펴보면 7월 평균 기온은 31.0°C이고 1월 평균 기온은 -13.7°C이다.[3][4]

야부라이 진(雅布赖镇)의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기온을 살펴보면 7월 평균 기온은 33.2°C, 1월 평균 기온은 -15.5°C이다.[5][6]

3. 역사

1961년에 깃발이 설치되었다. 깃발 이름은 알라산의 별칭에서 유래했다. 알샤 알라산/ᠠᠯᠠᠱᠠᠨmn 문어로는 "황금의 말" 또는 "팔꿈치"를 의미한다고 한다.

4. 행정 구역

아라산 우기는 3개의 진과 2개의 소목을 관할한다. 2020년 이전까지는 3개의 진과 4개의 소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이후 행정 구역 개편이 있었다.


  • '''진:'''
  • * 어컨후두거 진(额肯呼都格镇)
  • * 야브라이 진(雅布赖镇)
  • * 알탄 오보 진(阿拉腾敖包镇)

  • '''소목:'''
  • * 멍근불라그 소목(孟根布拉格苏木)
  • * 알탄 춍 소목(阿拉腾朝克苏木)

4. 1. 진 (镇)

아라산 우기는 3개의 진을 관할한다.

이름간체자한어 병음몽골어 (후둠 문자)몽골어 (키릴 문자)행정 구역 코드
바다인 자란 진바다인 자란 진/巴丹吉林镇zh-hansБадайн жаран балгасmn152922103
야브라이 진야브라이 진/雅布赖镇zh-hansЯврой балгасmn152922104
알탄 오보 진알탄 오보 진/阿拉腾敖包镇zh-hansАлтанаваага балгасmn152922105


4. 2. 소목 (苏木)

아라산 우기는 3개의 진과 2개의 소목을 관할한다.

  • 멍근불라그 소목(孟根布拉格苏木)
  • 알탄 춍 소목(阿拉腾朝克苏木)

5. 인구

2020년 기준, 아라산 우기의 인구는 약 2만 5천 명이다. 한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몽골족이 그 뒤를 잇는다. 그 외에도 만주족, 회족, 토족 등 다양한 소수민족이 거주한다.

민족비율
한족72.3%
몽골족26.2%
만주족0.3%
회족0.2%
토족0.1%
티베트족0.1%
동향족0.1%
토가족0.1%
기타0.6%



인구 통계 출처:[2]

5. 1. 민족 구성 (2020년)

wikitable

민족비율
한족72.3%
몽골족26.2%
만주족0.3%
회족0.2%
토족0.1%
티베트족0.1%
동향족0.1%
토가족0.1%
기타0.6%



인구 통계 출처:[2]

6. 경제

인구 밀도가 낮고 무인 사막 지대가 넓게 펼쳐져 있다. 몽골족에 의한 유목이 전통적인 산업이었으나, 최근에는 외자를 적극 유치하여 철광업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7. 교통

7. 1. 항공

알산 우기 바단지린 공항은 알라산 우기에 있는 공항이다.

7. 2. 철도

중국철로총공사에서 운영하는 린처선이 아라산 우기를 지난다.

7. 3. 도로

징신 고속도로는 아라산 우기의 주요 고속도로이다.

참조

[1] 웹사이트 Inner Mongolia: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http://www.citypopul[...]
[2] 웹사이트 内蒙古人口普查年鉴-2020 http://tj.nmg.gov.cn[...]
[3]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10-10
[4]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10-10
[5]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10-10
[6]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10-10
[7] 웹사이트 http://www.als.gov.c[...]
[8] 웹사이트 http://www.alsyq.gov[...]
[9] 웹인용 1981年-2010年(阿拉善右旗)月平均气温和降水 http://www.nmc.cn/pu[...] National Meteorological Center of CMA 2022-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