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주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주족은 기원전 1세기부터 존재했던 숙신의 후예로, 금나라를 세운 여진족의 후손이다. 발해 멸망 후 여진으로 불렸으며, 고려에 조공을 바치기도 했다. 1115년 완안 아고다가 여진 부족을 통일하여 금나라를 건국했으나, 1234년 몽골에 의해 멸망했다. 이후 만주족은 명나라와 청나라의 과도기를 거쳐 청나라를 건국하고 중국 대륙을 지배했다. 청나라는 1635년 민족 명칭을 여진에서 만주로 변경했다. 만주족은 중국 내 소수 민족 중 인구가 많으며, 주로 중국 동북 3성에 분포한다. 전통적으로 레슬링, 기마술, 궁술 등의 문화를 즐겼으며, 샤머니즘, 불교, 중국 민속 종교의 영향을 받았다. 현대에는 만주어 사용 인구가 감소했지만, 만주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퉁구스족 - 여진
    여진은 동북아시아의 투구스계 민족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금나라를 건국하여 북송을 정복했으나 멸망 후 여러 부족으로 분열, 누르하치에 의해 만주족으로 재통합되어 청나라를 건국했다.
  • 퉁구스족 - 윌타인
    윌타는 퉁구스어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러시아 사할린주에 주로 거주하며 오로크어를 사용하고 순록 유목, 수렵,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소수 민족이다.
  • 만주족 - 완안씨
    완안씨는 금나라를 건국한 여진족의 씨족으로, 시조 함보를 비롯한 여러 황제를 배출하였으나 금나라 멸망 후 멸족 위기를 겪었지만 일부 후손들이 성씨를 바꾸거나 은둔하며 생존하여 현재 중국에 소수 존재하며 금나라 역사와 멸망 이후 삶의 증거를 제공한다.
  • 만주족 - 숙가황귀비
    숙가황귀비 김씨는 조선 출신으로 건륭제의 후궁이 되어 네 아들을 낳았고, 사후 황귀비로 추봉되었으며, 그녀의 아들들은 청나라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그녀의 가문은 가경제 때 만주 성씨를 하사받았으며, 현대 대중 문화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만주족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민족명만주족
언어만주어
중국어
종교만주 샤머니즘
불교
중국 민간 신앙
로마 가톨릭교회
이슬람교
관련 민족한족
기타 퉁구스족
특히 시베족, 나나이족, 울치족, 자갯승
다른 명칭
기인
기인족
홍영 만주족
인구
전체 인구10,700,000명 (추정)
중국 대륙10,410,585명 (2010년 조사)
대만12,000명 (2004년 추정)
홍콩1,000명 (1997년 추정)
역사
기원 발상건주여진
문화
문자만주 문자
기타
로마자 표기법Manju Aiman

2. 기원

만주족의 기원은 기원전 1세기에서 2세기에 살았던 숙신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84] 숙신은 이후 고구려에 복속되었고, 물길, 말갈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발해 말기인 901년에는 여진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발해 멸망 후 말갈은 여진이라고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여진족이 고려에 복속되어 기미주가 설치되었고, 고려에 조공을 바쳤다. 만주원류고에 따르면 만주족은 고려와 신라에서 기원했다고 한다.

아고다, 금나라 태조


만주족은 과거 금나라(1115년–1234년)를 세웠던 여진족의 후손이다.[21][22][23] 말갈은 만주족의 조상 집단을 가리키는 명칭일 수 있다. 이들은 돼지 사육을 광범위하게 행했고, 주로 정착 생활을 했다.[24] 돼지와 개 가죽을 옷감으로 사용했으며, 농업을 통해 콩, 밀, 수수, 벼 등을 재배했다.[24]

10세기, 여진이라는 용어는 오늘날 중국 동북부 지역의 발해를 언급하며 당나라 후기 문서에 처음 등장했다. 여진족은 정착 생활을 하며 발전된 농업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25] 이들은 곡물과 수수를 주식으로 하고, 아마를 재배했으며, 소, 돼지, 양, 말 등을 사육했다.[26] 이들의 농업 중심 생활 방식은 초원의 몽골거란의 유목 생활과는 매우 달랐다.[27][28] 대부분의 여진인은 돼지와 가축을 기르는 농민이었다.[29]

1019년, 여진 해적들이 일본을 침략하여 노예를 잡아갔고, 일본 관리인 후지와라 노타다는 살해되었다.[30] 이 침략으로 1,280명의 일본인이 포로로 잡혔고, 374명이 사망했으며, 380마리의 가축이 도살되었다.[31][32] 이후 한국인들에 의해 259명 또는 270명만이 일본으로 돌아왔다.[33][34][35][36]

2. 1. 어원

ᡩᠠ
ᠰᡝᡴᡳᠶᡝᠨ  ᡳ
ᡴᡳᠮᠴᡳᠨ
ᠪᡳᡨᡥᡝ|Manjusai Da Sekiyen-i Kimcin Bithe}})를 편찬하면서 공식적인 견해로 만주라는 명칭이 문수보살(산스크리트어: मञ्जुश्रीsa})에서 유래했다고 규정했다.[285]

1636년에 만들어진 《태조태후실록(太祖太后實錄)》은 순치조에 다시 베껴 쓰고 개수(改修)하여 《태종문황제실록(太宗文皇帝實錄)》의 체례에 따라 만문(滿文)·몽골문(蒙古文)·한문(漢文) 3종의 문본으로 나누어 쓰되, 삽도를 없애고 개칭한 《태조무황제실록(太祖武皇帝實錄)》과 《태조태후실록》을 근거로 1779년에 편찬되었다. 청나라 역대 왕조의 실록 중 오직 만문(滿文)·몽골문(蒙古文)·한문(漢文) 3종의 문자가 한 체로 모아져 있고, 또 삽도(揷圖) 82폭까지 덧붙여진 《만주실록(滿洲實錄)》[286]에는 명나라가 만주를 오인하여 건주(建州)를 발음한 결과라고 하였다.[287][288]

만주족의 조상이 흑수말갈(黑水靺鞨)인 이상, 그 추장은 "대막불만돌(大莫拂瞞咄)"이었다. 자의상으로 해석하면 대막불(大莫拂)은 다마파(大馬法, ᡩᠠᠮ
ᠠᡶᠠ|Da Mafamnc)이니, 대부(大斧)·대로(大老)·노옹(老翁)·노조(老祖)라는 뜻이고, 만돌(瞞咄)은 추장이란 뜻이다. 역사 자료를 참고하여 '대막부만돌(大莫拂瞞咄)'을 풀이하면 곧 부락연맹의 대추장(大酋長)이란 뜻이다.[289] 만돌(瞞咄)은 Mandu를 나타내는데, 모두 추장을 의미하는 말이다. 만주라는 명칭도 이 만돌과 관계가 있는 것이 틀림없으며, 발해의 성(姓)인 대씨(大氏)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290][291]

일각에서는 만주가 man과 ju의 조합어라고 여기는데, man은 강경하다는 의미의 만주어 망아(ᠮᠠᠩᡤᠠ|Manggamnc)이고, ju는 강한 활을 의미하는 주(ᠵᡠ|jumnc)이다.[292] 또, 파저강[293]의 다른 이름인 마저강(馬猪江)의 '마저'가 변음된 것, 혹은 파저강의 또 다른 이름 포주강(蒲州江)의 포(蒲)자가 만(滿) 자와 유사하여 이를 혼동한 결과라는 설[294] 등이 있다.

"만주"(ᠮᠠᠨᠵᡠ|manjumnc)는 1635년 홍타이지(洪太極) 황제가 이전 명칭인 "여진(Jurchen)"을 대체하여 공식적인 민족 명칭으로 채택했다. "만주(manju)"는 건주여진(Jianzhou Jurchens)을 가리키는 오래된 용어였던 것으로 보이지만, 어원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48]

17세기 초 문서 기록인 「구만주당(Jiu Manzhou Dang)」에는 만주라는 명칭의 가장 초기 사용례가 나온다.[12] 그러나 "만주(Manju)"라는 민족 명칭의 실제 어원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13] 청나라의 공식 역사 기록인 「만주원류고(Researches on Manchu Origins)」에 따르면, 이 민족 명칭은 관음보살(Mañjuśrī)에서 유래했다고 한다.[14] 건륭제(乾隆帝) 또한 이러한 견해를 지지했으며, 이 주제에 관한 여러 시를 짓기도 했다.[15]

청나라 학자 맹선(孟森)도 이에 동의했다. 반면 그는 "만주"라는 명칭이 건주여진의 추장인 리만주(李滿住, )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생각했다.[15]

다른 학자 장산(張山)은 만주가 합성어라고 생각한다. "만(Man)"은 "강한"을 뜻하는 "망가(mangga, ᠮᠠᠩᡤᠠ|mang-gamnc)"에서 유래했고, "주(ju, ᠵᡠ|jumnc)"는 "화살"을 의미한다. 따라서 "만주(Manju)"는 실제로 "용감한 화살"을 의미한다는 것이다.[16]

그 외에도 건주(Jianzhou) 어원설(傅斯年), 만씨(Manshi) 어원설(張秉麟), 이치무라 산지로(市村さん次郎, 市村さん次郎|Ichimura Sanjiro일본어)의 오기·말갈(Wuji and Mohe) 어원설, 손문량(孫文良)의 만자(Manzhe) 어원설, 망구(n)강 어원설 등 다른 가설들이 존재한다.[17][18][19]

2022년의 한 어원 연구는 "만주(manju)"가 다른 퉁구스어(Tungusic languages)에서 아무르강 하류를 가리키는 단어와 동족어이며, 원시 퉁구스어 *mamgo ('아무르강 하류', '큰 강'을 의미)로 재구성될 수 있다는 견해를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시한다.[20]

“만주(滿洲)”라는 한자는 만주어의 민족명 ᠮᠠᠨᠵᡠ|manjumnc의 음차로, 원래는 “만주(滿洲)”이나 현재 일본에서는 상용한자를 사용하여 “만주(満州)”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만주(滿洲)는 “洲”라는 글자가 포함되어 있어, 만주족이 일어선 지역은 현재에도 영어에서는 만주족의 땅이라는 의미로 만주리아(Manchuria)처럼 지역 명칭으로 사용되며, 이에 대응하여 일본어에서도 “중국 동북부”를 가리키는 광역 지명 “만주(滿洲/만주)”로 불리거나, 국경의 도시 “만주리” 등 지역 명칭의 이미지가 강하다. 특히 민족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만주족(滿洲民族), 만주족(滿洲族), 만주인(滿洲人), 만인(滿人) 등으로 표기한다. 그러나 중국어에서는 어디까지나 민족명이며, 땅의 이름은 아니다. 만주어에서도 ᠮᠠᠨ᠋ᠵᡠ|manjumnc는 주로 만주족을 가리키며, “만주어(ᠮᠠᠨ᠋ᠵᡠ
ᡤᡳᠰᡠᠨ|manju gisunmnc)”, “만주 문자(ᠮᠠᠨ᠋ᠵᡠ
ᡥᡝᡵᡤᡝᠨ|manju hergenmnc)”도 “만주인의 말”, “만주인의 글자”로 해석된다.

민족명인 만주(滿洲/マンジュ)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며, 현재로서는 불명확하다. 종종 산스크리트어의 만주실리(文殊師利, 문수보살의 뜻)에서 유래한다고도 하지만,[209] 원래는 16세기까지 여진(女真)이라는 이름 아래 묶여 있던 사람들 중, 건주여진에 속한 5개의 부족(숙수후, 후네헤, 왕갸, 동고, 제첸)을 일괄하는 호칭이었다.[210] 일본의 동양사학자인 오카다 히로히로는 청나라 시대의 달라이 라마가 “만주라고 불리는 만큼, 청나라 황제는 문수보살의 화신이다”라고 선전한 것을 6대 황제 건륭제가 정치적으로 이용한 데서, 문수보살이 민족명의 유래가 되었다는 속설이 생겨난 것이 아닐까 하고 말하고 있다.[211]

2. 2. 청나라 건국

1586년 누르하치가 여진족의 세 부족을 통합하고 여진족이라는 명칭을 만주족으로 바꾸었다.[284] 누르하치는 법령을 통합하여 강력한 제도를 만들었는데, 1635년 청 태종은 족명을 만주로 개칭하여, 여진족이라는 족명을 금지하였다.[284] 여진족들은 금나라를 계승하여 만주에 후금을 건국하였으며, 중국을 통일 한 후에 후금의 이름을 청나라로 변경하였고, 만주에서 중국대륙으로 이동하였다.[284] 17세기 새로운 중국의 역사를 연 청나라를 세운 것은 그때까지 중국의 한족으로부터 오랑캐라고 경시되던 변방의 만주족(여진족)이었다.[284]

누르하치의 칙황제 초상화


1세기 동안 여진 지역에서 혼란이 계속된 후, 누르하치는 자신을 명나라의 제국 권력의 현지 대표자로 여기던 건주좌위의 추장이었다.[74] 그는 여진 부족을 통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고, 여진 병사들을 "기인" 그룹으로 편성한 "팔기군"이라는 군사 시스템을 수립했다.[75] 그리고 그의 학자 에르데니와 장관 가가이에게 몽골 전통 문자를 참고하여 새로운 여진 문자(후에 만주 문자로 알려짐)를 만들도록 명령했다.[75]

누르하치가 여진족을 팔기군으로 재편성했을 때, 많은 만주 씨족들이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 서로 관련 없는 사람들이 지명과 같은 지리적 기원 이름을 사용하여 새로운 만주 씨족(mukūn)을 설립했기 때문이다.[76] 여진족과 만주족 씨족 기원에 대한 불규칙성으로 인해 청나라는 만주 씨족의 역사 창작을 기록하고 체계화하려고 노력했다. 여기에는 북동쪽 신화를 가져와 아이신기오로 씨족 기원에 대한 전체적인 전설을 만들어내는 것도 포함된다.[77]

1603년 누르하치는 칼카 몽골 동맹국들로부터 수레 쿤둘렌 칸(ᠰᡠᡵᡝ
ᡴᡠᠨᡩᡠᠯᡝᠨ
ᡥᠠᠨ|sure kundulen hanmnc, "현명하고 존경받는 칸")으로 인정받았다.[4] 그 후 1616년, 그는 공개적으로 스스로 즉위하여 후금(ᠠᡳᠰᡳᠨ
ᡤᡠᡵᡠᠨ|aisin gurunmnc, 後金)의 겐기옌 칸(ᡤᡝᠩᡤᡳᠶᡝᠨ
ᡥᠠᠨ|genggiyen hanmnc, "빛나는 칸")이라고 스스로 선포했다.[78] 누르하치는 그 후 칠대죄로 명나라의 봉건 지배를 거부하고 명나라를 공격했다.[4] 그리고 요동 정복 후 수도를 심양으로 옮겼다.[75] 1635년 그의 아들이자 계승자인 홍타이지는 여진 민족(ᠵᡠᡧᡝᠨ|jušenmnc)의 이름을 만주로 변경했다.[78] 1년 후, 홍타이지는 청나라(ᡩᠠᡳᠴᡳᠩ
ᡤᡠᡵᡠᠨ|daicing gurunmnc)의 황제로 스스로 선포했다.[80] 여진족에서 만주족으로 이름이 바뀐 요인으로는 "여진"이라는 용어가 수백 년 동안 명나라에 종속적인 위치에 있었던 여진족에게 부정적인 의미를 지녔고, "종속 계급"의 사람들을 가리켰기 때문이다.[4][81] 여진족에서 만주족으로 이름을 바꾼 것은 만주족의 조상인 건주 여진족이 중국에 의해 지배되었다는 사실을 숨기기 위해서였다.[82][83][84][23] 청나라는 만주 아이신기오로 가문이 명나라에 의해 지배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청태조무황제실록》"과 "《만주실록도》"(태조실록도)의 원본 두 권을 청궁에 숨겨 대중의 시야에서 차단했다.[85][86] 명나라 시대에 조선의 한국인들은 한반도 북쪽, 압록강과 두만강 위쪽에 거주하는 여진족이 거주하는 땅을 명나라 중국, 즉 그들이 명나라라고 부르는 "상국"(상국)의 일부로 여겼다.[87] 청나라는 명나라에 종속되었던 여진족(만주족)을 보여주는 내용과 정보를 《명사》에서 의도적으로 배제하여 명나라에 대한 과거의 종속 관계를 숨겼다. 이러한 이유로 《명실록》은 명나라 지배하의 여진족에 대한 내용의 출처로 사용되지 않았다.[88]

1644년 명나라의 수도 베이징은 이자성이 이끄는 농민 반란으로 함락되었다.[80] 이자성은 명나라의 소소한 관리 출신으로 농민 반란의 지도자가 되어 순나라를 세웠다고 선포했다.[80] 마지막 명나라 황제인 숭정제는 도시가 함락되자 자살하여 죽었다.[80] 이자성이 명나라 장군 오삼계를 공격하자, 오삼계는 만주와 동맹을 맺고 산해관을 만주군에게 열었다.[80] 만주가 이자성을 물리친 후, 같은 해에 그들은 새로운 청 제국의 수도를 베이징(ᠪᡝᡤᡳᠩ|begingmnc)으로 옮겼다.[80]

3. 인구와 분포

2000년 중국 인구조사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만주족 인구는 10,682,262명으로,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 가운데 장족 다음으로 많다.[10]

만주족 인구 변화
분류1953년1964년1982년1990년2000년
만주족 인구2,339,2282,695,6754,304,9819,846,77610,682,262
중국 전체 인구
(만주족 비율,%)
577,856,141
(0.42%)
691,220,104
(0.39%)
1,003,913,927
(0.43%)
1,130,510,638
(0.87%)
1,242,612,226
(0.86%)
소수민족 전체인구
(만주족 비율,%)
34,013,782
(7.05%)
39,883,909
(6.76%)
66,434,341
(6.48%)
90,567,245
(6.48%)
104,490,735
(10.22%)



만주족은 주로 요녕성, 흑룡강성, 길림성 등 동북 3성과 하북성에 분포한다. 랴오닝성에는 중국 내 만주족 전체 인구의 약 50.4%인 5,385,287명이 거주하며, 이는 랴오닝성 전체 인구의 약 12.9%에 해당한다. 하북성(2,118,711명), 흑룡강성(1,037,080명), 길림성(993,112명)이 그 뒤를 잇는다.[10]

청나라 시기 만주족이 중국 전역에 퍼져 통치 계급을 형성했던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오늘날에도 만주족은 중국 전역에 고르게 분포한다. 내몽고자치구(499,911명), 북경시(250,286명) 등에도 상당수가 거주하고 있다.[10]

2000년 기준 만주족의 도시 지역 거주 비율은 20.65%로, 전체 소수민족 평균보다는 높고 중국 전체 및 한족의 도시 거주 비율보다는 낮다. 준도시화 지역인 진(鎭) 거주 비율은 14.60%이며, 향촌 지역 거주 비율은 64.75%이다.

청나라 시대 북경 내성에는 팔기군 소속 만주족과 몽골족 기병이 주로 거주했고, 한족은 추방되었다.[123][124][125] 한족의 재입성은 광서제 시대 무술변법 이후에야 허용되었다.[125]

베이징의 많은 만주족 팔기군은 의화단을 지지했고, 청일전쟁과 의화단 운동에서 큰 피해를 보았다.[77][126] 1900년 의화단 운동 당시 수천 명의 만주인이 아이훈에서 피난했고, 러시아 침략으로 인해 아이훈의 만주족 씨족 제도는 소멸되었다.[128][129]

19세기 베이징 주둔 만주족 대부분은 만주어 대신 북경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여전히 비북경어 방언을 사용하는 한족 이웃과 구별되는 특징이었다.[126][127] 징저우와 광저우 주둔 만주족도 광둥어 대신 북경어를 사용했다.[126][127]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동북 지역의 만주족과 한족 팔기군 사이의 혼인이 증가했다.[131][126]

손중산 등 중국 민족주의자들은 반청 사상에 따라 만주족을 외부 식민지배자로 묘사했지만, 1911년 혁명 이후 중화민국은 만주족을 포함중화민족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려 했다.[127]

중화민국 초기, 흑룡강성의 아이훈(瑷珲) 현과 치치하얼(齐齐哈尔) 현 등 일부 지역에서만 만주어가 널리 사용되었다.[128]

1924년까지 중국 정부는 만주족 팔기군에게 연금을 지급했지만, 많은 이들이 박해를 피해 한족식 이름을 사용했다.[127] 반면, 장쭤린 통치 기간에는 만주족에 대한 특별한 박해가 없었다.[133][11]

만주사변 이후 일본 제국만주국을 건립하고 푸이를 명목상 통치자로 내세웠다.[134][133] 일본은 만주국을 중국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만주에 있는 3천만 명의 사람들을 "만주족"으로 규정하려 했다.[135]

1952년 중화인민공화국은 만주족을 소수 민족 중 하나로 공식 인정했다.[127] 1953년 인구 조사에서 250만 명이 자신을 만주족으로 밝혔다.[127] 1982년에서 1990년 사이에 만주족의 공식적인 수는 두 배 이상 증가했지만, 이는 이전에 한족으로 등록되었던 사람들이 만주족으로 공식 인정을 신청했기 때문이다.[127] 1980년대 이후 요녕성, 길림성, 하북성, 흑룡강성에 13개의 만주족 자치현이 설립되었다.[136]

오늘날 만주족은 만주족 팔기군의 후손뿐만 아니라 만주족과 동화된 한족과 몽골족 팔기군도 포함하는 민족 연합과 같은 존재이다.[137][138][139][133]

문화 대혁명 이후 중국 경제 개혁 시기, 만주 문화와 언어 부흥이 이루어졌다.[11] 현대 중국에서 만주 문화와 언어 보존은 중국 공산당에 의해 장려되고 있으며, 만주족은 사회 경제적으로 발전된 소수 민족 중 하나이다.[141]

만주족은 한족과 마찬가지로 계획출산 정책을 적용받았다.[143]

대부분의 만주족은 현재 중국 본토에 거주하며, 인구는 10,410,585명이다.[10] 랴오닝성과 허베이성에 각각 5,336,895명, 2,118,711명이 거주한다.[10] 만주족은 랴오닝성, 허베이성, 헤이룽장성, 베이징시에서 가장 큰 소수민족이다.[10]

중화인민공화국 내 만주족 인구 분포[10]
순위지역총 인구만주족 인구만주족 인구 내 비율소수민족 인구 내 비율 (%)지역 인구 내 비율지역 내 소수민족 인구 순위
총계1,335,110,86910,410,5851009.280.77
총계
(31개 성급 행정구역 전체)
1,332,810,86910,387,95899.839.280.78
G1동북109,513,1296,951,28066.7768.136.35
G2북부164,823,6633,002,87328.8432.381.82
G3동부392,862,229122,8611.183.110.03
G4중남부375,984,133120,4241.160.390.03
G5북서부96,646,53082,1350.790.400.08
G6남서부192,981,18557,7850.560.150.03
1랴오닝성43,746,3235,336,89551.2680.3412.20
2허베이성71,854,2102,118,71120.3570.802.95
3지린성27,452,815866,3658.3239.643.16
4헤이룽장성38,313,991748,0207.1954.411.95
5내몽골 자치구24,706,291452,7654.358.962.14
6베이징시19,612,368336,0323.2341.941.71
7톈진시12,938,69383,6240.8025.230.65
8허난성94,029,93955,4930.534.950.06
9산둥성95,792,71946,5210.456.410.05
10광둥성104,320,45929,5570.281.430.039위
11상하이시23,019,19625,1650.249.110.115위
12닝샤 후이족 자치구6,301,35024,9020.241.120.40
13구이저우성34,748,55623,0860.220.190.0718위
14신장 위구르 자치구21,815,81518,7070.180.140.0910위
15장쑤성78,660,94118,0740.174.700.027위
16산시성37,327,37916,2910.168.590.04
17쓰촨성80,417,52815,9200.150.320.0210위
18간쑤성25,575,26314,2060.140.590.067위
19윈난성45,966,76613,4900.130.090.0324위
20후베이성57,237,72712,8990.120.520.026위
21산서성25,712,10111,7410.1112.540.05
22저장성54,426,89111,2710.110.930.0213위
23광시 좡족 자치구46,023,76111,1590.110.070.0212위
24안후이성59,500,4688,5160.082.150.01
25푸젠성36,894,2178,3720.081.050.0210위
26칭하이성5,626,7238,0290.080.300.147위
27후난성65,700,7627,5660.070.120.019위
28장시성44,567,7974,9420.052.950.016위
29충칭시28,846,1704,5710.040.240.027위
30하이난성8,671,4853,7500.040.260.048위
31티베트 자치구3,002,165718<0.010.030.0211위
현역 군인2,300,00022,6270.2423.461.05



만주족은 11개의 자치현을 가지고 있다.


  • 랴오닝성
  • * 신빈 만주족 자치현(新賓滿族自治縣)
  • * 칭위안 만주족 자치현(清原滿族自治縣)
  • * 슈옌 만주족 자치현(岫岩滿族自治縣)
  • * 콴뎬 만주족 자치현(寬甸滿族自治縣)
  • * 번시 만주족 자치현(本渓滿族自治縣)
  • * 환런 만주족 자치현(桓仁滿族自治縣)
  • 지린성
  • * 이퉁 만주족 자치현(伊通滿族自治縣)
  • 허베이성
  • * 칭룽 만주족 자치현(青竜滿族自治縣)
  • * 콴청 만주족 자치현(寬城滿族自治縣)
  • * 펑닝 만주족 자치현(豊寧滿族自治縣)
  • * 웨이창 만족 몽골족 자치현(圍場滿族蒙古族自治縣)


만주족 소수민족향/진은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sortable"

|-

! 만주족 소수민족
향/진

! 성
자치구
직할시

! 시
지구

! 현

|-

| 파이팡 회족 만주족향

| 안후이성

| 허페이시

| 페이둥현

|-

| 라바고우먼 만주족향

| 베이징시

| 해당사항 없음

| 화이러우구

|-

| 창샤오잉 만주족향

| 베이징시

| 해당사항 없음

| 화이러우구

|-

| 황니 이족묘족만주족향

| 구이저우성

| 비제시

| 다팡현

|-

| 진포 묘족 이족 만주족향

| 구이저우성

| 비제시

| 첸시현

|-

| 안뤄 묘족 이족 만주족향

| 구이저우성

| 비제시

| 진사현

|-

| 신화 묘족 이족 만주족향

| 구이저우성

| 비제시

| 진사현

|-

| 탕촨 만주족향

| 허베이성

| 탕산시

| 준화시

|-

| 시시아잉 만주족향

| 허베이성

| 탕산시

| 준화시

|-

| 동링 만주족향

| 허베이성

| 탕산시

| 준화시

|-

| 링윈쩌 회족 만주족향

| 허베이성

| 바오딩시

| 이현

|-

| 로우춘 만주족향

| 허베이성

| 바오딩시

| 라이수이현

|-

| 다웨이허 회족 만주족향

| 허베이성

| 랑팡시

| 원안현

|-

| 핑팡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롼핑현

|-

| 안춘고우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롼핑현

|-

| 우다오잉즈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롼핑현

|-

| 정창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롼핑현

|-

| 마잉즈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롼핑현

|-

| 푸지아디앤즈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롼핑현

|-

| 시디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롼핑현

|-

| 시아오잉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롼핑현

|-

| 다툰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롼핑현

|-

| 시고우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롼핑현

|-

| 강즈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청더현

|-

| 량지아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청더현

|-

| 바구알링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싱룽현

|-

| 난티앤먼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싱룽현

|-

| 인지아잉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룽화현

|-

| 묘즈고우 몽골족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룽화현

|-

| 바다잉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룽화현

|-

| 타이핑좡 만주족향

| 허베이성

| 청더시

| 룽화현

|-

4. 문화

만주족은 유목민으로 잘못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58] 실제로는 정착 생활을 하며 농사를 짓고, 사냥과 기마술을 하는 농경 민족이었다.[60] 남부 퉁구스계인 만주족은 북부 퉁구스계 민족에게 언어, 문화, 종교적으로 영향을 주었다.[66] 만주족의 정착 농경 생활은 북쪽 퉁구스계 친족인 워카족의 유목 수렵 채집 생활과는 매우 달랐으며, 청나라는 워카족을 정착시켜 만주족의 농경 생활을 따르게 하려고 했다.[70][163]

만주족 성씨는 금나라의 여진족 성씨를 계승하여[133]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다. 몽골이 금나라를 멸망시킨 후, 만주족은 몽골 문화를 받아들여 청나라 말까지 이름만 사용하는 관습을 따랐다.[133] 만주족 성씨는 보통 "무쿤"(Mukūn)과 "할라"(Hala)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144] 각각 "가지 이름"과 "씨족 이름"을 의미한다. 『팔기 만주씨족통보』(八旗滿洲氏族通譜)에 따르면 만주족 성씨는 1,114개가 있으며, 구왈기야(Gūwalgiya), 니오후루(Niohuru), 허서리(Hešeri), 슈물루(Šumulu), 타타라(Tatara), 기오로(Gioro), 나라(Nara) 등이 유명한 성씨로 꼽힌다.[164] 한족이 여진족 사회에 동화된 경우도 있었는데, 니칸 와이란(Nikan Wailan)이 그 예이다.[165] 만주 최가씨(崔佳氏, Cuigiya)는 한족이 씨족을 세웠다고 주장하며,[166] 토호로(托活絡, Tohoro)씨 (두안팡(Duanfang)의 씨족)도 한족 기원을 주장한다.[102][167][168][100][169]

만주족의 이름은 "-ngga", "-ngge", "-nggo" (~의 특성을 가진),[144] 몽골식 접미사 "-tai", "-tu" (~를 가진),[4][144] "-ju", "-boo",[4] 숫자,[4][144] 동물 이름[144][4] 등을 사용하는 등 독특한 형태를 보인다. '니칸'은 한족을 가리키는 만주어 외래어이자 만주족에게 흔한 이름 중 하나였다.[4]

여진족과 만주족은 원래 화장(火葬)을 했으나,[4] 한족의 매장 풍습을 받아들였다. 하지만 많은 만주인들은 계속 화장을 했다.[4]

큐 스타일의 머리를 한 남성


만주족 남성은 머리 앞부분을 깎고 뒷머리를 하나로 땋는 큐(queue, 辮子, 辮子|biànzi중국어) 스타일을 했다. 청나라는 남성 명나라 백성들에게 큐를 법으로 강제했고, 이는 충성의 표시로 여겨졌다. 청나라가 멸망하면서 큐는 봉건주의의 상징이 되었고, 많은 남성들이 큐를 잘라냈다. 만주족 여성들은 량바토우(兩把頭)라는 독특한 머리 스타일을 했다.

청나라 시대에는 한족과 만주족의 의복이 공존했다


청나라 초기 한족 의복


만주족 의복은 명나라 한복을 변형한 것이었지만, 만주족은 자신들의 의복이 다른 기원을 가진다는 오해를 조장했다.[66] 만주족은 명나라 용포에 검은담비 털, 옷깃, 칼라를 더하고 장식했다.[175] 명나라 복식의 영향을 받은 청나라 복식은 원나라 복식과도 유사성을 보인다.

만주족은 모자를 쓰는 전통이 있으며,[179] 정장용과 평상복용 모자가 있었다. 여성들은 양쪽 귀에 귀걸이 세 개를 착용하고,[181] 남성들은 피어싱을 하는 등 독특한 액세서리 전통을 가졌다. 궁수들은 순록 뼈로 만든 엄지 반지인 페르게툰(ᡶᡝᡵᡤᡝᡨᡠᠨ|fergetunmnc)을 착용했다.[183]

만주 문학의 대표작으로는 『니산 샤먼 이야기』(ᠨᡳᡧᠠᠨ
ᠰᠠᠮᠠᠨ ; )가 있으며,[191]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만주 작가들은 중국어로 된 문학 작품도 남겼다.

팔각고 공연


팔각고(Octagonal drum)는 만주족 민속 예술의 한 종류로, 베이징의 기인(旗人)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133] 팔각고는 팔기군의 북에서 유래했으며, 연주자들은 손가락으로 북 가죽을 치고 북을 흔들어 종을 울렸다.[133]

, 만주 가수이자 울라분 예술가


"자디슈(Zidishu)"는 팔각고의 주요 대본으로, "만주 리듬"이라 불리는 전통 민속 음악의 한 유형이다.[184] 자디슈는 중국 이야기의 주제를 담고 있으며,[133] 기인들의 삶을 묘사한 작품도 있다.

울라분(ᡠᠯᠠᠪᡠᠨ|ulabunmnc)은 만주어로 진행되는 만주족의 이야기 전달 방식이다.[193]

만주족은 춘절,[200] 단오절[201] 등 중국 문화에서 유래한 명절과 졸량일(),[202] 반진 이넝기(ᠪᠠᠨᠵᡳᠨ
ᡳᠨᡝᠩᡤᡳ|banjin inenggimnc)[13] 등 고유 명절을 지낸다.

만주족은 한족에게 없는 족쇄 관습이 없었고, 여성들은 치파오나 조끼를, 남성은 통소매 조끼바지를 선호했다.[255][256]

만주족은 “하라(ᡥᠠᠯᠠ|halamnc)” 또는 “무쿤(mukūn)”이라 불리는 부계 씨족을 기반으로 하였다.[259] 무쿤은 금나라 여진족의 “謀克”을 원의로 하며,[259] 하라는 “성(姓)”자가 붙는다.[259]

만주족의 성씨는 원래 만주어에 기반했지만, 현대에는 대부분 한 글자의 “한성”을 사용한다. 이는 중국 당국의 탄압을 피하기 위한 방편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만주족은 원래 성씨와 이름을 동시에 부르는 습관이 없었고, 이름만 부르거나 이름 앞에 爵位나 관직명을 붙여 불렀다.

전통적인 혼인은 족외혼과 만한불혼으로 특징지어진다.[262][263] 족외혼 규제는 현대에도 강하게 확인되며, 그 강도는 한족보다 더 강하다.[262][263]

여진족은 화장 풍습,[264] 사자의 장송을 위해 소와 말을 잡아 죽은 자에게 바치고 그 고기를 먹는 풍습,[264] 순사 풍습[264] 등을 가졌다.

17세기 이후, 만주족은 중국 민속 종교를 널리 받아들였지만, 샤머니즘 전통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304] 청 통치자들은 종교를 다른 세력을 통제하는 방법으로 여겼다.[305]

만주족은 10~13세기 발해, 고려, 거란, 불교 영향을 받았다.[194] 청 황제는 티베트 불교에서 만쥬시리로 여겨졌다.[306] 그러나 불교는 몽골인과 티베트인들을 지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307]

건륭제는 티베트 불교를 믿은 것은 몽골인들이 겔룩파달라이 라마판첸 라마의 추종자들이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310]

만주족은 청나라 시대의 거의 대부분 동안 중국 민속 종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조상 숭배를 위해 봉헌한 신들은 한족의 신들과 동일했다.[313] 관우가 대표적인 사례이다.[313][314]

예수회 선교사들의 영향을 받아 청나라 시대에는 만주인 가톨릭 신자도 상당히 많았다.[317]

4. 1. 언어

만주족은 주로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만주어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현대에는 만주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구가 수천 명으로 줄었고,[295]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극히 드물어 10명에 불과하다.[296]

2011년 장춘에서 정부와 학생들이 진행한 "반진 이냉기"와 만주어 관련 활동


만주어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며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 표준 만주어는 건주 여진의 방언을 기반으로 하며, 건륭제 때 공식적으로 표준어로 자리 잡았다.[144] 청나라 시대에는 궁중에서 만주어를 사용해야 했으며, 그렇지 않으면 황제의 꾸중을 들었다.[144] 이는 제사를 지낼 때 궁중 무당에게도 마찬가지였다.[144]

19세기 이후 대부분의 만주인들은 표준 중국어를 능숙하게 구사하게 되었고, 만주어 사용자는 점차 줄어들었다.[22] 청 황제들이 만주어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지만, 상황을 바꿀 수는 없었다. 청나라가 멸망한 후 만주어는 국어의 지위를 상실했고, 교육에서의 공식적인 사용도 끝났다. 오늘날 만주인들은 대체로 표준 중국어를 사용한다. 숙련된 원어민 화자는 100명 미만이다.[145] 중국에서는 초등 교육이나 성인 대상 무료 강좌를 통해 수천 명이 만주어를 제2언어로 구사한다.[146][147][148][149] 이들 대부분은 흑룡강성 삼가자에 거주한다.[150] 1980년대 이후 정부, 학자, 사회 운동가들 사이에서 만주어 부흥 운동이 일어났다.[11] 최근 몇 년 동안 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 정부의 지원으로 많은 학교에서 만주어 수업이 시작되었다.[151][152][153] 또한 중국 여러 지역에서 만주어를 무료로 가르치는 자원봉사자들이 언어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154][155][156][157] 이러한 플랫폼을 통해 수천 명의 비만주인들이 만주어를 배우고 있다.[146][158][159]

오늘날 만주 문화의 멸종을 막기 위해 만주족 노년층은 젊은이들에게 만주어를 가르치는 데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학습자를 독려하기 위해 수업은 대부분 무료로 진행되며, 인터넷을 통해 가르치고 무료로 만주어 교재를 우편으로 보내는 등 국가 문화 전통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160]

만주족의 조상인 여진족은 금나라 시대에 여진 문자를 만들었다. 금나라가 멸망한 후 여진 문자는 점차 사라졌다. 명나라 시대에는 여진족의 60~70%가 몽골 문자를 사용하여 글을 쓰고 30~40%가 한자를 사용했다.[56] 이러한 상황은 누르하치가 명나라에 반란을 일으킬 때까지 지속되었다. 누르하치는 자신의 백성이 고유한 문자가 없다는 것을 큰 걸림돌로 여겨, 가가이와 엘데니 학자들에게 몽골 문자를 참고하여 만주 문자를 창제하도록 명령했다.[161] 그들은 칸의 명령에 따라 성실히 만주 문자를 창제했는데, 이는 "점과 원이 없는 문자" 또는 "옛 만주 문자"라고 불린다.[96] 서둘러 만들어진 탓에 이 문자에는 결함이 있었다. 일부 모음과 자음은 구분하기 어려웠다.[97][22] 얼마 후, 그의 후계자인 홍타이지는 점과 원을 사용하여 모음과 유기음/무기음 자음을 구분하여 문자를 완성했다. 그의 업적은 "점과 원이 있는 문자" 또는 "새로운 만주 문자"라고 불린다.[162]

만주 문자의 도장。「백산흑수, 원원류장」의 만주어 을 만문으로 나타낸 것이다.


만주어는 몽골어, 한어에서 차용한 단어가 많고, 청나라 시대에는 제1 공용어의 지위를 차지했다.[266] 만주어 사용자들이 베이징을 비롯한 중국 전역에 거주하게 되면서 언어 사용 범위는 확대되었지만, 한족에 비해 인구가 절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에 만주족의 문화는 한화되었고, 언어 또한 한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만주어는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267][268][269] 만주어 사용은 이미 청나라 중기 전성기 때 쇠퇴의 조짐을 보였다.[267] 현대에는 중국 동북부의 아주 일부 지역에서만 사용된다. 논강 연안이나 아이훈(흑룡강성흑하시) 주변 등 소수의 마을에서는 만주어가 구어로 사용되고 있다.[270] 또한, 건륭 연간 중기에 일리 지역으로 이주한 시베족의 후손들은 오늘날에도 만주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것을 시베어라고 한다. 시베어(시베 문자)의 신문도 발행되고 있다.[268]

만주 문어 자료에는 『만문노당』을 비롯한 기록류, 만주·몽골·한·티베트·위구르 5개 민족의 언어를 대조한 사전류, 『대장경』, 한문 고전 등 다량의 번역 문헌 등이 있다.[268] 또한, 문어 자료는 아니지만 17세기 일본 에치젠국의 선원이 표류했을 당시의 기록인 『타타르 표류기(이국 이야기)』에는 당시의 만주어가 가나 문자로 기록되어 있다.[268] 만주어에 대한 정보의 대부분은 이러한 종류의 문서 기록에서 얻어진 것이며, 이 문어의 기반이 된 남부 방언의 직접적인 기록은 부족하다. 만주어에 대한 근대적인 기록이 시작된 19세기에는 만주어는 거의 소수의 지식인과 관리들에 의해 사용되는 인위적으로 다듬어진 형태가 되어 있었고, 서양인에 의한 구조와 문법에 대한 기록은 높은 일관성을 가지는 반면, 발음에 대한 기록은 종종 혼란스럽다.[271]

만주 문자에 앞서는 여진 문자에 대해서는 금석문의 발견이나 사전에 수록된 것을 통해 알 수 있다.[272] 완안희윤과 완안예루 등에 의해 1119년에 창제된 여진대자는 표의 문자였고, 1138년에 금의 제3대 황제 희종이 제정하고 1145년에 공포했다고 기록되는 여진소자는 표음 문자였다.[273] 대자만으로 표기, 소자만으로 표기, 라는 세 가지 표기법이 있었다.[273] 여진어는 만주어와 가까운 언어로 여겨진다.[268] 두 언어는 자매어 관계라기보다는 오히려 방언적 관계에 있어, 여진어는 광의의 만주어 속에 흡수된 것으로 생각된다.[272]

만주 문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세로쓰기로, 오른쪽으로 줄 바꿈을 한다.[266] 홍타이지가 격르차씨의 만주기인에게 명하여 개량시켰다.[266][274]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거주하는 시베족은 만주 문자를 개량한 시베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266]

4. 2. 전통 놀이 및 스포츠

만주족은 전통적으로 다양한 놀이와 스포츠를 즐겼다. 그 중에서도 특히 중요하게 여겨졌던 것은 다음과 같다.

  • 부쿠 (ᠪᡠᡴᡠ|Bukumnc): 만주족의 레슬링으로, 만주어로 '레슬러'를 뜻하며 몽골어 '부케(ᠪᠦᠺᠡ|Bökemn)'에서 유래했다.[299] 만주족은 부쿠를 매우 중시했으며, 청대 궁정에는 '선포영(善扑营)'을 설치해 부쿠병을 양성했다.[297] 강희제는 부쿠병을 이용해 오보이를 체포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298] 부쿠는 중화민국 이후 중국식 레슬링에 흡수되어 중요한 구성 부분이 되었다.[301]

청나라 건륭제 앞에서 만주식 레슬링을 하는 모습

  • 매사냥: 만주족은 전통적으로 매사냥을 즐겼으며, 특히 큰 송골매(ᡧᠣᠩᡴᠣᡵᠣ|Šongkoromnc)를 높이 평가했다.[302] 청대에는 숑코로를 황실에 바치면 큰 보상을 받을 수 있었고, 닝구타에는 매사냥 전문 기지가 있었다.[302] 북경의 만주족도 매사냥을 즐겼으며, 황실부에는 전문 매사냥꾼이 있었다.[302] 오늘날에도 일부 지역에서는 만주 전통 매사냥이 행해지고 있다.[303]

건륭제의 사냥 그림

  • 기마술과 궁술: 만주족은 뛰어난 기마술과 궁술 실력을 갖추도록 훈련받았으며, 이는 만주족에게 매우 중요한 무예였다.[161][78] 청나라 황제들은 기마술과 궁술을 중요하게 여겼고, 만주족은 기마술과 궁술 시험을 치러야 했다.[184] 청나라 중기 이후 궁술은 오락으로 변모했지만, 여전히 일부 만주족 사이에서는 전통이 유지되고 있다.[185]

  • 빙상 스케이팅: 만주족은 빙상 스케이팅을 즐겼으며, 건륭제는 이를 "국가적 관습"이라고 불렀다.[188] 청나라 황실에서는 겨울마다 중요한 행사로 여겼으며, '팔기 빙상영(八旗冰鞋营)'이라는 특수 부대가 있었다.[189]

금곤·정지도·복륭안「빙희도」(『청대궁정생활』)
----

혹한기 북경에서 스케이트를 타면서 활쏘기를 선보이는 팔기군인

]]

4. 3. 종교

17세기에 만주인들이 중국을 정복한 후, 중국 민속 종교를 널리 받아들였다. 하지만 샤머니즘 전통은 여전히 남아 영혼 숭배, 토템 숭배, 악몽에 대한 믿음, 자선가들의 신격화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304] 청나라 통치자들은 종교를 몽골인이나 티베트인과 같은 다른 세력을 통제하는 방법으로 여겼기 때문에, 그들의 본래 신앙인 샤머니즘은 사실상 특권이 없었다. 청궁의 샤머니즘 사당 외에, 만주 신앙을 숭배하기 위해 세워진 사원은 북경에서 찾아볼 수 없었다. 만주 지역에서 샤머니스트와 라마교도의 경쟁 소식이 있었지만, 만주인 황제는 라마교도들이 샤머니스트들을 박해하는 것을 도왔기 때문에, 이는 샤머니스트들의 큰 좌절과 불만을 야기했다.[305]

건륭제를 만쥬시리로 묘사한 탱화.


여진인들은 10~13세기 발해, 고려, 거란, 불교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16~17세기 만주인에게 불교는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 청 황제는 항상 "붓다"라는 칭호를 받았다. 그들은 티베트 불교에서 만쥬시리로 여겨졌고 높은 업적을 남겼다.[306] 그러나 불교는 통치자들이 몽골인과 티베트인들을 지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것은 청 왕조의 평범한 만주족과는 거의 관련이 없었다.[307]

몽골인들의 티베트 불교 신앙은 만주인들에게 경멸로 비쳐졌는데, 홍타이지는 그것이 몽골의 정체성에 파괴적인 것으로 생각했다. 홍타이지는 사석에서 "몽골 왕자들이 몽골어를 버리고 있으며, 그들의 이름은 모두 라마들을 모방하고 있다"고 말했다.[308] 만주인들도 홍타이지와 마찬가지로 개인적으로는 티베트 불교를 믿지 않았고 개종하고 싶어하지 않았다. 사실 "임상"과 "거짓말"이라는 용어는 홍타이지에 의해 티베트 불교의 라마를 묘사하는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홍타이지는 티베트인들과 몽골의 종교에 대한 믿음을 이용하기 위해 불교를 후원했다.[309]

옹화궁에 위치한 라마설.


건륭제가 티베트 불교를 믿은 것은 몽골인들이 겔룩파달라이 라마판첸 라마의 추종자들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설명은 1792년 북경 옹화궁 티베트 불교 사원에 '라마설(喇嘛說: 라마에 관한 설명)'이라는 제목의 기석 위에 놓였고, 건륭제는 또한 그것이 "약자에 대한 우리의 애정을 연장하려는 우리의 정책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으며, 이로 인해 그는 겔룩파를 후원하게 되었다.[310]

티베트 불교 신자들을 실질적인 이유로만 지지한다는 이 설명은 티베트, 몽골, 만주, 한문으로 '라마설' 기석을 새긴 건륭제의 이 정책에 대한 한 총리의 비판을 빗나가게 하기 위해 사용되었는데, 그는 "겔룩파를 후원함으로써 몽골인들의 평화를 유지한다. 이것은 중요한 일이므로, 우리는 이 (종교)를 지키지 않을 수 없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어떠한 편견도 보이지 않고, (원대에 행해진) 티베트 사제들에 대한 훈계를 하고 싶지도 않다."고 했다.[311][312]

관우


만주인들은 청나라 시대의 거의 대부분 동안 중국 민속 종교의 영향을 받았는데, 조상 숭배를 위해 그들이 봉헌한 신들은 사실상 한족의 신들과 동일했다. 관우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313][314] 옹정제는 12세기 금나라 군대에 맞서 싸운 남송의 명장 악비를 신앙의 대상에서 배제하기 위해 관우를 대대적으로 현창했다.[315] 이에 따라 관우는 국가를 보호하는 신으로 여겨져 만주족의 성실한 숭배를 받았다. 그들은 그를 '관노야(关老爷)'라고 불렀다. 또한 그의 이름을 더럽히는 것은 금기시되었다.[313] 관우 신앙은 티베트 불교와도 결합되어, 관우는 야무다가를 모신 북경 옹화궁의 서측 건물인 아만달알루(雅曼达嘎楼) 안에 아들 관평과 그의 부장으로 가공된 주창와 함께 합사되었다.[316] 몽골과 티베트의 여러 신들에 대한 숭배도 보고되었다.[313]

허셔리 하라의 잉롄즈(英敛之, 1867~1926)가 교황 비오 11세 등의 지원을 받아 개교한 대만 신베이 푸런 가톨릭 대학(구 북경 가톨릭 대학). 1949년에 폐교되어 북경에 남아있는 부지와 기존 건물은 베이징 사범대학 계속교육학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수회 선교사들의 영향을 받아 청나라 시대에는 만주인 가톨릭 신자도 상당히 많았다. 1650년대에 최초의 만주인 가톨릭 신자들이 나타났다.[317] 옹정제 연간 호쇼이 간친왕() 덕패(德沛)는 세례명이 '조셉'인 가톨릭 신자였다. 그의 아내도 세례를 받고 '마리아'라는 세례명을 얻었다.[318] 호광과 복건 등 장강 하류 지역에서 지방 관료의 귀감으로 명성을 얻었던 덕패는 옹정제가 기독교 선교를 금지했던 1720년대 이후 비밀리에 신앙 생활을 이어가면서 선교사의 과학을 익히는 데에도 전념했다.[319] 동시에 도로이 버이러 수누의 아들들도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다.[320][321] 가경 연간의 퉁헝샨과 퉁란은 만주인 가톨릭 신자였다. 이러한 만주인 가톨릭 신자들은 청 황제들에 의해 박해와 개종을 강요받았지만, 그들은 끝까지 신앙을 포기하지 않았다.[320]

여진족과 그 후손인 만주족은 원래 문화의 일부로 화장을 행했다. 그들은 한족으로부터 매장 풍습을 받아들였지만, 많은 만주인들은 계속해서 죽은 자를 화장했다.[4] 왕족들은 화장터에서 화장되었다.[173]

만주족과 그들의 선조들은 주로 불교를 믿었고, 샤머니즘의 영향을 받았다. 모든 만주 왕은 불교에서 따온 칭호로 왕위에 올랐다. 17세기 중국 정복 이후 만주족은 중국 문화와 접촉하게 되었고, 불교와 함께 유교를 받아들이면서 샤머니즘을 억제하였다.

샤머니즘은 만주 문명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수천 년 동안 만주인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존 키(John Keay)는 그의 저서 ''중국사(A History of China)''에서 샤먼(shaman)이 만주어에서 영어로 차용된 유일한 단어라고 언급한다. 17세기 중국 정복 이후, 만주족은 공식적으로 불교를 채택하고 중국 민간 종교를 널리 받아들였지만, 샤머니즘적 전통은 영혼 숭배, 토템 숭배, 악몽에 대한 믿음, 자선가의 신격화 등의 측면에서 여전히 발견될 수 있다.[133] 청궁의 샤머니즘 사당을 제외하고는 베이징에서 만주 신들을 숭배하기 위해 세워진 사원은 찾아볼 수 없다.[133] 따라서 만주에서는 샤머니스트와 라마교도 사이의 경쟁에 대한 이야기가 자주 들렸지만, 만주 황제들은 공식적으로 라마교도 또는 티베트 불교도들을 도왔다.[133]

여진족, 즉 만주족의 선조들은 10세기부터 13세기까지 발해, 고려, 요나라, 송나라의 불교를 받아들였다.[194] 따라서 16세기에서 17세기에 이르는 만주족의 부상기에 불교는 새로운 것이 아니었다. 청 황제들은 항상 "불타"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문수보살로 여겨졌으며[15] 높은 경지에 도달했다고 여겨졌다.[194][133]

몽골계 혈통인 홍타이지(皇太極)는 일본에서 선종(禪宗)으로 알려진 중국 본래의 형태인 선불교에 기울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홍타이지는 티베트 불교를 광범위하고 공개적으로 후원했다. 홍타이지는 불교를 후원했지만 때로는 티베트 불교가 선불교보다 열등하다고 생각했다.[195]

건륭제(乾隆帝)의 티베트 불교에 대한 신앙은 최근에 의문을 제기받고 있는데, 황제가 티베트 불교의 겔룩파(Gelukpa) 종파인 황교(黃教)를 지지했다는 점을 나타내기 때문이다.[196]

건륭제는 "황모(黃帽) 티베트 불교도"만 지지한 것에 대한 한족의 비판을 피하기 위해 실용적인 이유로만 이 정책을 지지했다고 설명했으며, 티베트어, 몽골어, 만주어, 중국어로 새겨진 "라마 슈오(Lama Shuo)" 비석에는 "황교를 후원함으로써 우리는 몽골인들 사이의 평화를 유지한다"라고 적혀 있다.[197][198] 그는 티베트 왕국의 부상과 몽골인과 만주인의 대중, 왕족, 장군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경계했던 것으로 보인다.

만주족은 청나라 대부분 기간 동안 중국 민간 종교의 영향을 받았다.[133] 조상숭배를 제외하고, 그들이 숭배한 신들은 한족의 신들과 사실상 동일했다.[133] 관우 숭배가 전형적인 예이다. 그는 국가의 수호신으로 여겨졌으며 만주족에 의해 진심으로 숭배되었다. 그들은 그를 "관대인(关老爷)"이라고 불렀다. 그의 이름을 함부로 말하는 것은 금기였다.[133] 또한, 만주족은 한족과 마찬가지로 재신과 조왕을 숭배했다. 몽골과 티베트 신들의 숭배에 대한 보고도 있다.[133]

여진족(만주족)은 불교, 특히 몽골족의 영향으로 티베트 불교에 친숙해지고, 한족과의 교류를 통해 그들의 민간 신앙, 특히 도교의 영향도 받았다.[277] 1616년 후금 건국 당시, 누르하치는 허투알라 성 동쪽 산 위에 불교 사찰, 옥황묘, 십왕전 등을 건설하여, 이것을 “칠대묘”라고 불렀다.[277] 관제(관우), 불조(석가모니), 관세음보살은 점차 샤머니즘의 의 대열에 더해지고, 청나라 궁정과 일반 만주족으로부터 숭배받게 되어, 만주 고대의 신들보다 더욱 두터운 숭배를 받았다.[277]

1626년, 홍타이지가 즉위한 직후의 의례에서는, 마지막으로 지배 영역에서 활의 명수들에게 활을 쏘게 하는 “사류의 의식”이 집행되었는데, 이것은 금나라 시대의 여진이 샤머니즘의 배천의 제의에 부속하여 행했던 의식을 계승한 것이었다.[278] 북경의 자금성 내정의 곤녕궁, 선양시의 심양고궁(봉천행궁)의 청녕궁은 모두 중국 황제를 겸한 만주족의 칸이 샤먼의 제사를 행했던 제신전으로서 독특한 설계가 되어 있으며, 그 입구의 남쪽에는 신간(神杆), 즉 신조(神鳥)의 앉는 나무가 세워져 있었다.[278] 곤녕궁에서는 원단 행례 등의 특별한 제사 외에, 상례(常祭)인 아침 저녁의 제사가 매일 행해지고, 돼지가 제물로 바쳐졌다.[278] 또한, 신들 앞에서 “사만태태(사만타이타이)”라고 불리는 무녀가 만주어의 신가를 부르고, 뛰어다녔다고 한다.[278] 샤머니즘의 전통은 만주족이 중국 내륙의 지배적 지위에 서게 된 후에도 보존되었다.

5. 현대의 만주족

오늘날 만주족은 주로 중국식 성과 이름을 사용하지만, 여전히 만주식 성과 중국식 이름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다. 爱新觉罗·启骧|아이신기오로 칭샹중국어 }}, 중국식 성과 만주식 이름을 사용하는 사람들(예: 잉다의 아들인 잉 바투와 잉 바이안), 또는 만주식 성과 이름 모두를 사용하는 사람들(예: 거란어와 만주어 연구자인 아이신기오로 울히춘)이 있다.

1932년에는 일본에 의해 청나라 마지막 황제였던 선통제 푸이를 수장(후에 황제)으로 하여 만주국이 건립되었다.[217][246] 만주국은 ·'''만'''·몽··의 5개 민족에 의한 “오족협화”, “왕도낙토”를 이념으로 하고 있었고, 국호에 “만주”를 포함하고 있지만, 만주족이 이 나라를 자신의 민족 국가로 인식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건국 후 만주족에게는 제정기 성운동을 일으키는 등 이 나라에 민족의 부흥을 기대하는 경향도 일부 나타났다.

만주국에서 제1공용어는 중국어(한어)였고, 제2공용어는 일본어였다.[250] 다만, 제1공용어는 중국어 또는 한어(중국어)라고 부르지 않고 “만주어” 또는 “만어”라고 불렀고, 만주국의 주민은 만주족·한족을 막론하고 “만인”이라고 불렸다.[25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립된 중화인민공화국은 푸이를 “사상개조”한 후 만주족 대표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으로 임명하고[249],“민족식별공작”을 실시하여 국내 소수민족을 일정한 권리를 가진 민족으로 인정하였다. 청대의 기인들은 주로 만주족으로 구성된 만주팔기 외에 몽골팔기·한군팔기 등 3개 집단으로 구성되었지만, 이 “민족식별공작”에서는 몽골팔기나 한군팔기의 후손들을 “몽골족”이나 “한족”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기인” 전체를 통틀어 “만주족”으로 구분하였다.

만주팔기에 속해 있던 석백(시베)족, 달왈(다울)족 등은 각각 56개 민족의 일원인 독자적인 민족으로 식별되고 있다.

만주족은 청대에 지배 계급으로서 장성 이남으로 이주한 경위로 도시 주민이 많기 때문에 한족에 비해 교육 수준이 높다. 1990년 인구조사 자료에 따르면 만주족 인구 1만 명당 대학 진학자 수는 1,652.2명으로, 전국 평균 수준 139.0명, 한족 평균 수준 143.1명에 비해 훨씬 높았다. 또한 15세 이상에서 문맹·반문맹이 차지하는 비율은 만주족이 1.41%로, 전국 22.21%, 한족 21.53%보다 훨씬 낮아 중국 내 각 민족 중 문맹률(반문맹률 포함)이 가장 낮았다.[252]

만주족 출신의 저명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인물설명
푸이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이자 만주국의 황제
푸제푸이의 동생
후이생푸제의 딸
시안치청나라 황족, 카와시마 요시코의 본명
완용푸이의 황후
허선청나라 정치가
서태후청나라 동치제의 어머니
숭후청나라 관료
카와시마 요시코청나라 황족, 일본에서 활동
라오서중국의 작가, “인민예술가”
상서홍화가
잉뤄청배우, 마지막 황제에서 수용소 소장 역
잉다배우 겸 연출가, 잉뤄청의 아들
랑슝배우
랑랑피아니스트
나잉가수
텅젠피겨 스케이팅 선수
관지림배우
금대위뮤지션, 작곡가, 영상 작가, 연출가, 설치 미술 작가, 화가
난런둥[282]과학자, 500미터 구면 전파 망원경 개발자
오징배우
리원량의사


참조

[1] 웹사이트 zh:中華民國滿族協會 http://www.manchusoc[...] 2012-03-06
[2] 간행물 Research
[3] 백과사전 Manchu https://www.britanni[...] 2015-03-18
[4] 서적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qí rén http://www.zdic.net/[...] ZDIC 2015-03-18
[6] 서적 http://book.douban.c[...] Zhonghua Book Compary
[7] 서적 Ruling from the Dragon Throne: Costume of the Qing Dynasty (1644–1911), Asian Art Series https://books.google[...] Ten Speed Press
[8] 웹사이트 Ethnic Groups in China http://english.www.g[...] 2014-08-26
[9] 서적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https://books.google[...] Merriam-Webster
[10] 서적 http://book.douban.c[...] China Statistics Press
[11] 서적 http://book.douban.c[...] National Publishing House
[12] 서적 Chinese History: A Manual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 Asia Center
[13] 서적 http://book.douban.c[...] Zhonghua Book Compary
[14] 서적 http://book.douban.c[...] Liaoning Nationality Publishing House
[15] 서적 http://book.douban.c[...] Zhonghua Book Company
[16] 간행물
[17] 간행물
[18] 간행물 1996-04
[19] 간행물 The Manchus and Their Language (Presidential Address) https://www.jstor.or[...] 2003
[20] 간행물 The Etymology of "Manchu":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Riverside Hypothesis https://brill.com/vi[...]
[21] 서적 http://book.douban.c[...] National Publishing House
[22] 서적 http://book.douban.c[...] Liaoning Nationality Publishing House
[23] 간행물 New Light on The Origins of The Manchus 1990-06
[24] 서적 Handbook of Oriental Studies. Section 8 Uralic & Central Asian Studies, Manchu Grammar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Pub
[25] 웹사이트 Manchu (Jurchen) http://pandora.cii.w[...] Professor Edward Vajda 2014-02-16
[2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Volume 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710–136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In the Service of the Khan: Eminent Personalities of the Early Mongol-Yüan Period (1200–1300)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9] 간행물 The Jin Revisited: New Assessment of Jurchen Emperors https://www.jstor.or[...]
[30] 서적 The Economic Aspects of the History of the Civilization of Japan, Volume 1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4
[31] 서적 Gateway to Japan: Hakata in War and Peace, 500–13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6
[32] 서적 The Land of Scholars: Two Thousand Years of Korean Confucianism Homa & Sekey Books 2006
[3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Volume 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34] 서적 Heian Japan, Centers and Peripher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7
[35] 서적 Kodansha Encyclopedia of Japan, Volume 2 https://books.google[...] Kodansha 1983
[36]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Scribner 1988
[37] 서적 https://books.google[...] 조선학회
[38] Dissertation Presen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Doctor of Philosophy in the Graduate School of the Ohio State University Japan and Its East Asian Neighbors: Japan's Perception of China and the Making of Foreign Policy from the Seventeenth to the Nineteenth Cenutury Ohio State University 2004
[39] 서적 Establishing a Pluralist Society in Medieval Korea, 918–1170: History, Ideology and Identity in the Koryŏ Dynasty https://books.google[...] Brill
[40] 서적 China Under Jurchen Rule: Essays on Chin Intellectual and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5
[41] 서적 Materials for a Genealogy of the Niohuru Clan: With Introductory Remarks on Manchu Onomastic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05
[42] 서적 Materials for a Genealogy of the Niohuru Clan: With Introductory Remarks on Manchu Onomastic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05
[43] 서적 http://book.douban.c[...] Zhonghua Book Company
[44] 서적 Women and the Making of the Mongol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45] 웹사이트 The Semu ren 色目人 in the Yuan Empire – who were they? https://www.academia[...]
[46] 서적 A History of Asia https://books.google[...]
[47] 서적 Voices from the Ming-Qing Cataclysm: China in Tigers' Jaws https://books.google[...]
[4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the Ch'ing dynasty to 18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서적 A Concise History of Korea: From the Neolithic Period Through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50]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51] 웹사이트 Traditional East Asian Stru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Sino-Korean Relations http://citation.alla[...] 2014-04-18
[52] 서적 Ming China, 1368–1644: A Concise History of a Resilient Empir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53]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Volume 2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54] 서적 The Diary of a Manchu Sold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My Service in the Army", by Dzengseo https://books.google[...] Routledge
[55] 서적 http://book.douban.c[...] Inner Mongolia People's Publishing House
[56] 서적 http://book.douban.c[...] Zhonghua Book Company
[57] 서적 Manchu: A Textbook for Reading Documen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8
[58] 서적 The Manchus (The People of Asia Series)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59]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3-01-01
[60] 서적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1] 서적 Atlas of Langua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Pacific, Asia, and the Americas, Volume 1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62] 학술지 Land Use and Society in Manchuria and Inner Mongolia during the Qing Dynasty https://www.jstor.or[...] 2000-10-00
[6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8, The Ming Dynasty, Part 2; Parts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5] 학술지 Presidential Address: Reenvisioning the Qing: The Significance of the Qing Period in Chinese History https://www.jstor.or[...] 1996-11-00
[66] 서적 The Last Emperors: A Social History of Qing Imperial Institutio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7] 서적 The Royal Hunt in Eura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68] 서적 Transactions,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vol. 36, Part 1, 1946)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69] 서적 China: A History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11
[70] 서적 Empire and Environment in the Making of Manchuria UBC Press 2017
[71] 웹사이트 明代汉族与女真族的马市贸易 http://www.artx.cn/a[...] 2007-01-24
[72] 서적 Sino-Jürčed relations during the Yung-Lo period, 1403–1424 https://books.google[...] O. Harrassowitz
[73] 서적 China Marches West: The Qing Conquest of Central Euras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7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9, The Ch'ing Empire to 1800, Part 1 Denis C. Twitchett, John K. Fairbank
[75] 서적 the Biography of Nurhaci http://book.douban.c[...] Beijing Publishing House
[76] 서적 The Headless State: Aristocratic Orders, Kinship Society, and Misrepresentations of Nomadic Inner Asi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77] 서적 Orphan Warriors: Three Manchu Generations and the End of the Qing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
[78] 서적 Veritable Records of the Qing dynasty http://book.douban.c[...] Zhonghua Book Compary
[79] 학술지 An Exploration into the Etymology and Meaning of Daqing Guohao https://d.wanfangdat[...]
[80] 서적 Brief History of Qing Dynasty http://book.douban.c[...] Fujian People's Publishing House
[81] 서적 Empire at the Margins: Culture, Ethnicity, and Frontier in Early Modern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2] ECCP Abahai
[83] 서적 Early Manchu Recruitment of Chinese Scholar-official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972
[84] 서적 The Manchu era (1644–1912): arts of China's last imperial dynasty https://books.google[...] Art Gallery of Greater Victoria 2004
[85] ECCP Nurhaci
[86] 서적 The Augustan, Volumes 17–20 https://books.google[...] Augustan Society 1975
[87] 서적 The Northern Region of Korea: History, Identit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1
[88] 서적 The Qing Dynasty and Traditional Chinese Cultur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
[89] 서적 Chinese Society in the 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90] 서적 Chin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91] 웹사이트 Summing up Naquin/Rawski http://pages.uoregon[...] University of Oregon
[92] 서적 Marriage and Inequality in Chinese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3] 서적 Servants of the Dynasty: Palace Women in World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4] 학술지 The Selection of Women for the Qing Imperial Harem 2004-09-01
[95] 서적 The Manchus of Manchurian Frontier Region in Qing Dynasty http://book.douban.c[...] Liaoning Nationality Publishing House
[96] 서적 General Theory of Manchu Language Research http://book.douban.c[...] Heilongjiang Korean Nationality Publishing House
[97] 서적 Comprehensive History of the Eight Banners, First Edition http://book.douban.c[...] Northeast Normal University Press
[98] 서적 The Manchurian Frontier in Chʼing Histor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99] 학술지 Chʻing Shih Wen Tʻi https://books.google[...] Society for Qing Studies 1989
[100] 서적 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1] 서적 清代名人傳略: 1644–1912 https://books.google[...] 經文書局 1943
[102] ECCP Tuan-fang
[103] 학술지 The Tong in Two Worlds: Cultural Identities in Liaodong and Nurgan during the 13th–17th centuries https://muse.jhu.edu[...]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3-06-01
[104] 웹사이트 https://zhidao.baidu[...] Baidu
[105] 웹사이트 http://blog.51cto.co[...] 51CTO 2016-02-12
[106] 웹사이트 The Complete List of Concise Manchu Surnames (4) http://yukunid.blog.[...] Sohu.com 2006-10-14
[107] 웹사이트 The origin of the family name "Yan" http://blog.sina.cn/[...] Sina 2009-12-16
[108] 웹사이트 Recent thoughts on the Hanjun flag https://bzdww.com/ar[...] 2019-03-08
[109] 웹사이트 Zhao Quan Adds a Salary: Losing Banner Status in Qing Dynasty Guangzhou https://medium.com/f[...] Fairbank Center for Chinese Studies, Harvard University 2016-10-31
[110] 서적 The Last Emperors: A Social History of Qing Imperial Institutio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1
[111] 서적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12] 서적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13] 서적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14] 서적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15] 서적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16] 문서 YZMaZPZZ (Yongzheng chao Manwen zhupi zouzhe) 1 22 1, Sumurji, YZ7.R7.24.
[117] 서적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18] 서적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19] 간행물 Interethnic marriage in Northeast China, 1866–1913 https://www.demograp[...] 2018-03-09
[120] 서적 The Changing Chinese: The Conflict of Oriental and Western Culture in China https://books.google[...]
[121] 서적 The Changing Chinese: The Conflict of Oriental and Western Cultures in China https://books.google[...]
[122] 간행물 Interethnic marriage in Northeast China, 1866–1913 https://www.demograp[...] 2018-03-09
[123] 서적 Sold People: Traffickers and Family Life in North Chin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7
[124]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7
[125] 서적 An Urban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
[126]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27]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28] 서적 Social Organization of the Manchus: A study of the Manchu Clan Organization https://books.google[...] Royal Asiatic Society
[129] 서적 A Regional handbook on Northeast China https://books.google[...] The Institute
[130] 서적 The Politics of Language in Chinese Education: 1895–1919 https://books.google[...] Brill
[131] 학술지 Interethnic Marriage in Northeast China, 1866–1913
[132] 서적 Manchuria, Cradle of Conflict https://books.google[...] Macmillan
[133] 서적 Jin Qicong Talks About Beijing Manchus http://book.douban.c[...] Zhonghua Book Company
[134] 서적 First Half of My Life, Full Edition http://book.douban.c[...] Qunzhong Publishing House
[135] 학술지 Knowledge, Power, and Racial Classification: The "Japanese" in "Manchuria" 2000-05-01
[136] 서적 Ethnic China: Identity, Assimilation and Resistance Lexington and Rowman & Littlefield
[137] 서적 Eight Banner and Qing Dynasty's Political Paper Drafts http://book.douban.c[...] Renmin Publishing House
[138] 서적 Research of Manchu Genealogy http://book.douban.c[...] Liaoning Nationality Publishing House
[139] 서적 Ten Papers of Eight Banners http://book.douban.c[...] Liaoning Nationality Publishing House
[140] 웹사이트 Eras Journal – Tighe, J: Review of "The Manchus", Pamela Kyle Crossley http://arts.monash.e[...]
[141] 서적 The Population of Modern China Plenum Press
[142] 웹사이트 China's State of Warring Styles http://chinaheritage[...] China Heritage 2017-03-24
[143] 서적 Fertility, Family Planning and Population Policy in China Routledge 2005
[144] 서적 http://book.douban.c[...] Wenyuan Publishing House
[145] 웹사이트 Manchu https://www.ethnolog[...]
[146] 뉴스 Ta Kung Pao: Manchu Language and Reviving Manchu Culture http://news.takungpa[...] 2015-04-26
[147] 웹사이트 http://www.chinanews[...] 2012-03-06
[148] 웹사이트 http://news.ifeng.co[...] 2011-12-12
[149] 웹사이트 http://society.peopl[...] People – China 2007-10-29
[150] 웹사이트 http://culture.peopl[...]
[151] 웹사이트 http://www.ln.chinan[...] China News 2012-03-20
[152] 웹사이트 http://www.chinanews[...] China News
[153] 웹사이트 http://edu.sina.com.[...] Sina 2012-03-22
[154] 웹사이트 http://www.mzb.com.c[...]
[155] 웹사이트 iFeng: Jin Biao's 10-Year Dream of Manchu Language (traditional Chinese) http://big5.ifeng.co[...]
[156] 웹사이트 Shenyang Daily: Young Man Teaches Manchu For Free To Rescue the Language (simplified Chinese) http://i.syd.com.cn/[...]
[157] 웹사이트 The Worry of Manchu Language http://bjwb.bjd.com.[...] Beijing Evening News 2012-03-03
[158] 웹사이트 http://liaoning.nen.[...]
[159] 웹사이트 1980s Generation's Rescue Plan of Manchu Language http://bjwb.bjd.com.[...] Beijing Evening News 2013-03-03
[160] 학술지 https://d.wanfangdat[...] 2016
[161] 서적 http://book.douban.c[...] Zhonghua Book Compary
[162] 서적 http://book.douban.c[...] Zhonghua Book Company
[163] 서적 Across Forest, Steppe, and Mountain: Environment, Identity, and Empire in Qing China's Borderland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164] 서적 http://book.douban.c[...] Liaohai Publishing House
[165] 학술지 Chʻing Shih Wen Tʻi https://books.google[...] Society for Qing Studies
[166] 서적
[167]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68] 서적 Han-Mongol Encounters and Missionary Endeavors: A History of Scheut in Ordos (Hetao) 1874–1911 https://books.google[...] Leuven University Press 2004
[169] 학술지 Chʻing Shih Wen Tʻi https://books.google[...] Society for Qing Studies
[170] 서적 Fall of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77
[171] 서적 Two Rulers in One Reign: Dorgon and Shun-chih, 1644–1660 https://books.google[...] Faculty of Asian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89
[172] 서적 Serie orientale Roma https://books.google[...] Istituto italiano per il Medio ed Estremo Oriente
[173] 서적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Volume III: A Century of Advance. Book 4: 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174] 서적 The Board of Rites and the Making of Qing China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19
[175] 서적 A World Trimmed with Fur: Wild Things, Pristine Places, and the Natural Fringes of Qing Rule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7
[176] 서적 Silken threads: a history of embroidery in China, Korea, Japan, and Vietnam https://books.google[...] Harry N. Abrams 2005
[177] 서적 Flowers, Dragons & Pine Trees: Asian Textiles in the Spencer Museum of Art https://books.google[...] Hudson Hills
[178]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79] 서적 Manchu Traditional Clothes of Qing Dynasty Liaoning Nationality Publishing House
[180] 웹사이트 Chinese luxury goods go abroad, cheongsam and Tang suits are most favored by foreigners (Photo) http://news.cntv.cn/[...] CCTV 2011-11-27
[181] 서적 The Research of Manchu Clothing Culture http://book.douban.c[...] Liaoning Nationality Publishing House
[182] 웹사이트 辽宁省政协 http://zx.chnsway.co[...]
[183] 웹사이트 Xinhua: Small Fergetun with A High Price (simplified Chinese) http://news.xinhuane[...]
[184] 서적 the Bannermen in Qing Dynasty http://book.douban.c[...] Liaoning Nationality Publishing House
[185] 웹사이트 Manchu Archery in Heritage Day http://www.manchus.c[...] Manchus.cn 2012-06-03
[186] 웹사이트 Wrestling has a long history and different genres are exquisite http://epaper.qingda[...] Dynamic Weekly 2012-03-06
[187] 웹사이트 http://www.jl.xinhua[...]
[188] 웹사이트 Xinhua: How Did Chinese Emperors Award Athletes? (simplified Chinese) http://news.xinhuane[...]
[189] 웹사이트 "Bingxi"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custom" by Qianlong, and the Qing army had eight flag skate camps (5) http://www.chinanews[...] Chinanews.com 2010-01-20
[190] 웹사이트 http://www.imanchu.c[...]
[191] 서적 Full Edition of Tale of the Nisan Shaman http://book.douban.c[...] Yingyu Cultural Publishing House
[192] 웹사이트 Guo Degang Deyun Society has something to say 2011.12.04 https://www.youtube.[...] 2011-12-04
[193] 웹사이트 [Fu Yuguang] Manchu traditional art of speaking - "Uleben" research http://iel.cass.cn/n[...] 2009-03-23
[194] 웹사이트 The Relation of Manchu Emperors and Buddhism http://www.manchus.c[...]
[19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Pt. 1; The Ch'ing Empire to 18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 서적 New Qing Imperial History: The Making of Inner Asian Empire at Qing Chengd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7] 서적 Prisoners of Shangri-La: Tibetan Buddhism and the We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 서적 Empire of Emptiness: Buddhist Art and Political Authority in Qing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 웹사이트 National Qing History Compilatory Committee: Sunu Research (simplified Chinese) http://www.historych[...]
[200] 웹사이트 Manchu Spring Festival http://www.manchus.c[...]
[201] 웹사이트 Manchu Duanwu Festival http://www.manchus.c[...]
[202] 웹사이트 The Day of Running Out of Food http://manchu.librar[...]
[203] 웹사이트 the Origin of Banjin Inenggi http://www.manchus.c[...]
[204] 웹사이트 Ethnic Groups - china.org.cn - The Manchu ethnic minority http://www.china.org[...]
[205] 간행물 我所認識的香港民族問題 1996-08
[206] 웹사이트 Manchusoc:The origins of Manchu people in Taiwan(Chinese simplified) http://www.manchusoc[...]
[207] 웹사이트 Census 2000 PHC-T-43. Census: Table 1. First, Second, and Total Responses to the Ancestry Question by Detailed Ancestry Code: 2000 https://www2.census.[...]
[208] 뉴스 消えゆく満州語守れ 2013-09-06
[209] 문서 삼田村 (1975) pp.197-199
[210] 문서 石橋 (2000) pp.66-67
[211] 서적 岡田編 2023-03
[212] 서적 満和蒙和対訳満洲実録
[213] 뉴스 祖先への祈り 遼寧省で満洲族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9-05-23
[214] 서적 石橋 2000
[215] 서적 ブリタニカ小項目事典6「満州族」 1974
[216] 서적 河内 1989
[217] 서적 三上 1975
[218] 서적 河内 1989
[219] 서적 石橋 2000
[220] 서적 松村 2006
[221] 서적 松村 2006
[222] 서적 松村 2006
[223] 서적 松浦 2023-03
[224] 서적 石橋 2000
[225] 서적 石橋 2000
[226] 서적 岸本 2008
[227] 서적 松村 2006
[228] 서적 松村 2006
[229] 서적 杉山 2019
[230] 서적 杉山 2019
[231] 웹사이트 清朝为什么叫大清 http://www.nxnet.net[...]
[232] 서적 畑中 1991
[233] 서적 岸本 2008
[234] 서적 石橋 2000
[235] 서적 ハメル 2023-03
[236] 서적 石橋 2000
[237] 서적 岡田 2006
[238] 서적 石橋 2000
[239] 서적 石橋 2000
[240] 서적 加藤 1989
[241] 서적 石橋 2000
[242] 서적 松村 2006
[243] 서적 池上 1975
[244] 서적 石橋 2000
[245] 서적 石橋 2000
[246] 서적
[247] 웹사이트 張勲復辟
[248] 서적
[249] 서적
[250] 서적
[251] 서적 2023-03
[252] 웹사이트 焦点中国網「民族風情 - 満族」 http://www.1news1.cn[...]
[253] 서적
[254] 서적
[255] 웹사이트 人民中国・文化観光"吉林省" http://www.peoplechi[...]
[256] 서적
[257] 서적
[258] 서적
[259] 서적
[260] 서적
[261] 서적
[262] 서적
[263] 서적
[264] 서적
[265] 서적
[266] 서적
[267] 서적
[268] 서적 ブリタニカ小項目事典6「満州語」
[269] 서적
[270] 서적
[271] 서적
[272] 서적
[273] 서적
[274] 서적 ブリタニカ小項目事典6「満洲文字」
[275] 서적
[276] 서적
[277] 서적
[278] 서적
[279] 서적 2023-03
[280] 서적
[281] 서적 李鴻彬・劉小萌(1996)
[282] 웹사이트 全国创新争先奖章拟表彰名单 http://www.most.gov.[...] 中華人民共和国科学技術部 2018-03-18
[283] 웹사이트 중국의 어제와 오늘 http://www.chinabang[...] 2006-08-26
[284] 논문 New Light on the origins of the Manchu. http://www.jstor.org[...] 2006-07-18
[285] 서적 《满洲源流考》 辽宁民族出版社
[286] 문서 功在史冊, 滿語滿文及文獻
[287] 서적 태조무황제실록(太祖武皇帝實錄)
[288] 서적 만주실록(滿洲實錄)
[289] 서적 對皇太極所謂諸申的辨正
[290] 논문 靺鞨族共同體類型及其特征初探
[291] 논문 白山靺鞨族考
[292] 논문 族称manju词源探析
[293] 문서 청대 동가강(佟佳江)
[294] 논문 “滿洲”名稱述考
[295] 웹인용 China News (originally Beijing Morning Post): Manchu Classes in Remin University (Simplified Chinese) http://www.chinanews[...] 2017-10-08
[296] 뉴스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15-10-27
[297] 서적 中国摔跤史 内蒙古人民出版社
[298] 서적 檐曝杂记·竹叶亭杂记 中华书局
[299] 서적 中国摔跤史 内蒙古人民出版社
[300] 서적 中国摔跤史 内蒙古人民出版社
[301] 서적 中国摔跤史 内蒙古人民出版社
[302] 서적 清代八旗子弟 辽宁民族出版社
[30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jl.xinhua[...] 2015-03-18
[304] 서적 金启孮谈北京的满族 中华书局
[305] 서적 金启孮谈北京的满族 中华书局
[306] 웹인용 The Relation of Manchu Emperors and Buddhism (simplified Chinese) http://www.manchus.c[...] 2019-06-06
[307] 서적 金启孮谈北京的满族 http://book.douban.c[...] 中华书局
[308] 서적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30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Pt. 1 ; The Ch'ing Empire to 18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0] 서적 New Qing Imperial History: The Making of Inner Asian Empire at Qing Chengde https://books.google[...] London: Routledge/Curzon
[311] 서적 Prisoners of Shangri-La: Tibetan Buddhism and the West https://books.google[...]
[312] 서적 Empire of Emptiness: Buddhist Art and Political Authority in Qing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13] 서적 金启孮谈北京的满族 http://book.douban.c[...] 中华书局
[314] 서적 만주족 이야기 너머북스
[315] 서적 만주족 이야기 너머북스
[316] 서적 만주족 이야기 너머북스
[317] 서적 清代八旗子弟 辽宁民族出版社
[318] 서적 清代八旗子弟 辽宁民族出版社
[319] 서적 China’s Last Empire : The Great Qing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320] 서적 清代八旗子弟 辽宁民族出版社
[321] 웹인용 National Qing History Compilatory Committee: Sunu Research (simplified Chinese) http://www.historych[...] 2019-0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