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계 아르헨티나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랍계 아르헨티나인은 아랍 혈통을 가진 아르헨티나 시민 또는 거주자를 의미한다. 아르헨티나 내 아랍인의 역사는 스페인 탐험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15세기에 무어인 무슬림이 처음 정착했다. 19세기에는 레바논과 시리아 출신의 아랍인들이 대거 이주하여 아르헨티나에 정착했으며, 1891년부터 1920년까지 36만 명이 넘는 아랍계 이민자가 아르헨티나로 이주했다. 이들은 주로 부에노스아이레스, 코르도바, 쿠요 지역 등에 정착했으며, 레바논의 인구 증가, 오스만 투르크의 박해, 이탈리아-터키 전쟁 등이 이민의 주요 원인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계 아르헨티나인 - 후안 호세 사에르
후안 호세 사에르는 아르헨티나 출신의 소설가, 극작가, 영화 평론가, 문학 교수로, 자기 망명, 아르헨티나 정치 상황 등을 다루며 객관주의, 추리 소설, 다양한 시점 사용을 특징으로 한다.
아랍계 아르헨티나인 | |
---|---|
개요 | |
이름 | 아랍계 아르헨티나인 |
현지 이름 | |
인구 | 약 3,500,000명 (혈통 기준) |
인구 비율 | 아르헨티나 인구의 7.6% |
하위 그룹 | 레바논계 아르헨티나인 (2,000,000명 이상) 시리아계 아르헨티나인 (1,510,000명 이상) 팔레스타인인 (30,000명 이상) |
주요 거주 지역 | 아르헨티나 북서부 부에노스아이레스 광역권 코르도바 |
언어 | 스페인어 아랍어 |
종교 | 다수: 가톨릭교, 동방 정교회 소수: 수니파, 시아파, 드루즈교 |
관련 민족 | 아랍인 아랍계 브라질인 아랍계 미국인 아랍계 캐나다인 아랍계 오스트레일리아인 아랍계 스페인인 아랍계 콜롬비아인 |
문화적 특징 | |
별칭 | (튀르크인) |
설명 | 오스만 제국 여권으로 이민 온 아랍인들을 지칭하는 데서 유래 |
대표적인 인물 | |
주요 인물 | 카를로스 메넴: 아르헨티나의 대통령 펠리페 사파그: 정치인 |
이주 역사 | |
이주 시기 | 주로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 |
출신 지역 | 레바논, 시리아, 팔레스타인 등 오스만 제국 (현 중동 지역) |
2. 역사
현재 아르헨티나 영토 내 아랍 무슬림의 존재는 스페인의 탐험과 정복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몇 가지 징후가 있다. 최초의 아랍 정착민은 15세기의 무어 (모리스코) 무슬림으로, 북아프리카계 아랍인이었다. 이들은 스페인 탐험가들과 함께 아메리카 대륙을 탐험했으며, 많은 수가 스페인 종교 재판과 같은 박해를 피해 아르헨티나에 정착했다.[10]
19세기 아르헨티나는 아랍인들의 유입을 처음으로 대규모로 경험했다. 1860년대 레바논과 시리아 출신 아랍인들이 1860년 레바논 내전을 피해 이주해오기 시작했다. 1891년부터 1920년까지 367,348명의 아랍계 사람들이 아르헨티나로 이민을 왔다.[8] 당시 레바논과 시리아가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기 때문에, 아르헨티나 항구에서 처음 분류되었을 때 그들은 터키인(스페인어: turcos)으로 분류되었다.[11]
아랍인들이 고향을 떠난 이유는 레바논의 급격한 인구 증가, 오스만 투르크의 박해, 이탈리아-터키 전쟁 등이었다.[8] 이들은 부에노스아이레스주, 코르도바, 살타주, 후후이주, 투쿠만주, 라리오하, 산후안, 멘도사주, 산티아고델에스테로주, 미시오네스주, 차코주, 파타고니아 등 아르헨티나 전역에 정착했다. 특히 쿠요 지역에는 중동과 유사한 풍경과 작물(올리브, 포도밭)이 있어 많은 아랍인들이 정착했다.
2. 1. 초기 이민 (15세기 ~ 19세기)
현재 아르헨티나 영토 내 아랍 무슬림의 존재는 스페인의 탐험과 정복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징후가 있다. 최초의 아랍 정착민은 15세기의 무어(모리스코) 무슬림으로, 북아프리카계 아랍인이었다. 이들은 스페인 탐험가들과 함께 아메리카 대륙을 탐험했으며, 많은 수가 스페인 종교 재판과 같은 박해를 피해 아르헨티나에 정착했다.[10]
19세기에는 아르헨티나가 아랍인들의 유입을 처음으로 대규모로 경험했다. 이 시기에 온 아랍인 대부분은 1860년 레바논 내전의 결과로 레바논과 시리아 출신이었다(당시 레바논과 시리아는 오스만 제국의 속주였다). 1864년까지 아랍 공동체가 존재했지만, 체계적인 기록은 1868년 이전에 나타나지 않았다. 1891년부터 1920년까지 367,348명의 아랍계 사람들이 아르헨티나로 이민을 왔다.[8] 당시 레바논과 시리아가 터키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기 때문에, 아르헨티나 항구에서 처음 처리되었을 때 그들은 터키인(스페인어 )으로 분류되었다.[11]
아랍인들이 고향을 떠난 이유는 레바논의 급격한 인구 증가, 오스만 투르크의 박해, 이탈리아-터키 전쟁이었다.[8] 아랍 이민자들은 부에노스아이레스주, 코르도바, 살타주, 후후이주, 투쿠만주, 라리오하, 산후안, 멘도사주, 산티아고델에스테로주, 미시오네스주, 차코주, 그리고 파타고니아에 정착했다. 아랍인의 상당수가 쿠요 지역(산후안, 산루이스, 멘도사, 라리오하 주로 구성됨)에 정착했는데, 그곳의 풍경과 작물(올리브, 포도밭)은 때때로 중동과 유사했다.
2. 2. 본격적인 이민 (19세기 말 ~ 20세기 초)
19세기 아르헨티나는 아랍인들이 정착한 첫 번째 물결을 맞이했다. 이 시기 아랍인 이민자 대부분은 1860년 레바논 내전의 결과로 레바논과 시리아 출신이었다(당시 레바논과 시리아는 오스만 제국의 속주였다).[11] 1891년부터 1920년까지 367,348명의 아랍계 사람들이 아르헨티나로 이민을 왔다.[8] 아르헨티나 항구에서 처음 처리되었을 때, 이들은 레바논과 시리아가 오스만 제국 영토였기 때문에 터키인(스페인어: )으로 분류되었다.[11]
아랍인들이 고향을 떠난 이유는 레바논의 급격한 인구 증가, 오스만 투르크의 박해, 이탈리아-터키 전쟁이었다.[8] 아랍 이민자들은 부에노스아이레스주, 코르도바, 살타주, 후후이주, 투쿠만주, 라리오하, 산후안, 멘도사주, 산티아고델에스테로주, 미시오네스주, 차코주, 파타고니아에 정착했다. 상당수 아랍인이 쿠요 지역(산후안, 산루이스, 멘도사, 라리오하 주로 구성됨)에 정착했는데, 그곳의 풍경과 작물(올리브, 포도밭)은 때때로 중동과 유사했다.
2. 3. 이민자들의 정착
현재 아르헨티나 영토 내 아랍 무슬림의 존재는 스페인의 탐험과 정복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징후가 있다. 최초의 아랍 정착민은 15세기의 무어(모리스코) 무슬림으로, 북아프리카계 아랍인들이었다. 이들은 스페인 탐험가들과 함께 아메리카 대륙을 탐험했으며, 많은 수가 스페인 종교 재판과 같은 박해를 피해 아르헨티나에 정착했다.[10]19세기 아르헨티나는 아랍인들이 자국 영토에 정착하는 첫 번째 실제 물결을 보았다. 이 시기에 온 아랍인 대부분은 1860년 레바논 내전의 결과로 레바논과 시리아 출신이었다(당시 레바논과 시리아는 오스만 제국의 속주였다). 1864년까지 아랍 공동체가 존재했지만, 체계적인 기록은 1868년 이전에 나타나지 않았다. 1891년부터 1920년까지 367,348명의 아랍계 사람들이 아르헨티나로 이민을 왔다.[8] 그들이 아르헨티나 항구에서 처음 처리되었을 때, 그들은 터키인()으로 분류되었는데, 오늘날의 레바논과 시리아가 터키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기 때문이다.[11]
아랍인들이 고향을 떠난 이유는 레바논의 급격한 인구 증가, 오스만 투르크의 박해, 이탈리아-터키 전쟁이었다.[8] 아랍 이민자들은 부에노스아이레스주, 코르도바, 살타주, 후후이주, 투쿠만주, 라리오하, 산후안, 멘도사주, 산티아고델에스테로주, 미시오네스주, 차코주, 그리고 파타고니아에 정착했다. 아랍인의 상당수가 쿠요 지역(산후안, 산루이스, 멘도사, 라리오하 주로 구성됨)에 정착했는데, 그곳의 풍경과 작물(올리브, 포도밭)은 때때로 중동과 유사했다.
3. 통계
1871년부터 1976년까지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아랍계 이민자는 총 113,201명이다. 이 통계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1871년부터 1976년까지 아르헨티나로의 아랍계 이민 공식 통계
연도 | 아랍계 이민 (명) |
---|---|
1871-1880 | 672 |
1881-1890 | 3,537 |
1891-1900 | 10,572 |
1901-1910 | 35,398 |
1911-1920 | 39,052 |
1921-1930 | 18,894 |
1931-1940 | 1,682 |
1941-1950 | 2,063 |
1951-1960 | 1,083 |
1961-1970 | 278 |
1971-1976 | -30 |
총계 | 113,201 |
4. 주요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Inmigración sirio-libanesa en Argentina
http://www.fearab.or[...]
Fearab.org.ar
2010-04-13
[2]
웹사이트
Inmigración sirio-libanesa en Argentina
http://www.fearab.or[...]
[3]
뉴스
Argentina's Syrians
http://www.buenosair[...]
Buenos Aires Herald
2012-08-23
[4]
논문
Introduction: "Turco" Immigrants in Latin America
1996
[5]
웹사이트
11 Essential Argentina Slang Expressions You Can Start Using
https://spanishlands[...]
2020-08-13
[6]
논문
Latin America's Los Turcos: geographic aspects of Levantine and Maghreb diasporas
https://go.gale.com/[...]
2013-01-01
[7]
웹사이트
The Surprisingly Deep Centuries-Old Ties Between the Middle East and Latin America
https://www.americas[...]
2020-08-13
[8]
웹사이트
Sirios, turcos y libaneses
http://www.oni.escue[...]
oni.escuelas.edu.ar
[9]
논문
On Becoming an Arab Argentine Writer: Juan José Saer's La grande
2019-07-03
[10]
서적
Muslims in American History: A Forgotten Legacy
https://books.google[...]
Amana Publications
[11]
웹사이트
Recopilaron casi 200 años de los sirio libaneses en Argentina
http://www.elindepen[...]
elindependiente.com.ar
2003
[12]
웹사이트
Inmigracion sirio-libanesa en Argentina
http://www.fearab.or[...]
[13]
웹사이트
Árabes y musulmanes en América Latina
http://news.bbc.co.u[...]
[14]
웹사이트
Bajaron de los Barcos: Sirios, Turcos y Libaneses
http://www.oni.escu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