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어인은 '서방인'을 의미하는 페니키아어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북아프리카와 이베리아 반도에 거주했던 이슬람교도들을 가리킨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북아프리카의 베르베르인들을 지칭했으며, 7세기 이후 이슬람화가 진행되면서 이베리아 반도에 정착한 아랍인과 베르베르인들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무슬림을, 레콩키스타 이후에는 북서 아프리카의 이교도 주민을 지칭하기도 했다.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 로망스어군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며, 필리핀에서는 무슬림 소수 민족을, 스리랑카에서는 아랍계 무슬림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무어인은 건축, 문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기사 문장학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모로코 - 베르베르인 베르베르인은 북아프리카 마그레브 지역의 토착 민족 집단으로, 아마지그라고도 불리며, 기원전부터 존재하며 여러 세력의 지배와 아랍화 과정을 거쳐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며 마그레브 국가에서 사회·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유럽 등지에 디아스포라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알제리 - 베르베르인 베르베르인은 북아프리카 마그레브 지역의 토착 민족 집단으로, 아마지그라고도 불리며, 기원전부터 존재하며 여러 세력의 지배와 아랍화 과정을 거쳐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며 마그레브 국가에서 사회·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유럽 등지에 디아스포라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스페인의 민족 - 차모로인 차모로인은 기원전 3000년경 동남아시아에서 마리아나 제도로 이주한 이들의 후손으로,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에 거주하며 스페인, 미국, 일본의 통치를 거쳐 고유 문화를 유지하는 원주민이다.
무어인
지리적 위치
명칭
영어
Moors
스페인어
Moro
일본어
ムーア人
한국어
무어인
기본 정보
정의
중세 시대 마그레브, 이베리아 반도, 시칠리아, 몰타에 거주했던 무슬림 주민들을 지칭하는 역사적 용어
역사적 맥락
기원
북서 아프리카의 무슬림 베르베르인과 아랍인, 일부 시리아인 8세기에 스페인의 대부분을 정복하고 수백 년 동안 지배
"무어"라는 용어는 "서방인"을 의미하는 페니키아어 ''Mahurin''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며, 고대 그리스어 'Mauros'와 라틴어 'Maurus'를 거쳐 여러 유럽 언어에 정착했다.[73]
'무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로 검거나 어둡다는 뜻을 가진 ‘Mauros’에서 유래했다. 로망스어군(스페인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등)에서는 ‘모로’(moro), ‘누와르’(noir) 혹은 ‘모르’(mor) 형태로 나타나며, 이 단어들은 현대어에서도 사용된다. 이 단어는 명사화되어 검은색을 띤 사물(흑베리, 흑올리브, 흑포도 등)이나 흑발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하는 데도 쓰인다. 스페인어에서 ‘모레노’(Moreno)는 ‘선탠을 한 사람’을 뜻하며, 쿠바에서는 흑인을 지칭하기도 한다.
중세와 17세기까지 무어인들은 막연하게 검은 피부를 가진 사람들로 인식되었다. 웹스터 신세계 사전은 무어인을 아랍인과 베르베르인으로 한정했지만, 이는 아프리카인과의 관련성을 무시한 것이다. 베르베르인이 여러 유목 종족의 혼혈임을 감안하면, 무어인에 대한 정의는 더욱 복잡해진다. 오늘날의 관점에서는 모로코와 모리타니 지역 사람들을 가리킨다.
스페인어에서 "무어"("Moor")는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어 무슬림을 지칭하거나 어두운 색깔에 적용될 수 있다. 루도비코 스포르차 공작은 피부가 검다는 이유로 '일 모로'(Il Moro)라고 불리기도 했다.
7세기 이후 북아프리카의 이슬람화가 진행되면서 이베리아 반도에 정착한 아랍인과 베르베르인은 원주민으로부터 '무어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점차 무어인은 아랍인, 베르베르인, 튀르크인을 막론하고 이슬람교도 일반을 가리키는 명칭이 되었고, 레콩키스타 이후에는 다시 북서 아프리카의 이교도 주민을 가리키는 명칭이 된다.
2. 1. 어원
'무어'라는 단어의 어원은 불확실하지만, "서방인"을 의미하는 페니키아 용어 ''Mahurin''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적할 수 있다.[10] 이 단어에서 고대 그리스인들은 ''Mauro''를, 라틴어는 ''Mauri''를 유래시켰다.[10] "무어"라는 단어는 아마도 페니키아어 기원일 것이다.[11] 일부 자료에서는 이 단어의 기원을 히브리어로 보기도 한다.[12]
고전 시대에 로마인들은 오늘날 모로코 북부, 알제리 서부, 그리고 스페인 도시 세우타와 멜리야를 포함하는 국가인 마우레타니아의 일부와 상호 작용했고, 나중에는 정복했다.[13] 이 지역의 베르베르 부족들은 고전 문헌에서 ''Mauri''로 언급되었는데, 이는 이후 영어로 "무어"로, 그리고 다른 유럽 언어의 관련 변형으로 번역되었다.[14] ''Mauri''(고대 그리스어: Μαῦροι)는 1세기 초 스트라보에 의해 원주민 이름으로 기록되었다. 이 명칭은 라틴어로도 채택되었지만, 이 부족에 대한 그리스어 이름은 ''Maurusii''()였다.[15]
7세기 이후 북아프리카의 이슬람화가 진행되면서 이베리아 반도에 정착한 아랍인과 베르베르인은 원주민으로부터 '무어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2. 2. 현대적 의미
중세 로망스어족에서는 무어인을 가리키는 라틴어 단어(예: 이탈리아어: ''moro'', 스페인어: ''moro'', 프랑스어: ''maure'', 포르투갈어: ''mouro'', 루마니아어: ''maur'')가 다양한 용법과 함축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 용어는 처음에는 서쪽 리비아의 특정 베르베르인을 가리켰으나, 중세 시대에는 "무슬림"과 유사하게, "사라센"과 같은 연관성을 갖게 되면서 더 일반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19] 십자군 전쟁과 레콩키스타의 맥락에서는 "무어인"이라는 용어에 "이교도"라는 경멸적인 의미가 포함되었다.
스페인어 권위 사전에는 ''moro''라는 단어에 대한 경멸적인 의미는 나와 있지 않으며,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특히 마그레브 출신 사람들이나 일반적으로 무슬림들을 가리킨다.[20] 일부 학자들은 현대 구어체 스페인어에서 ''moro''라는 용어가 특히 모로코인[21][22][23][24][25]과 일반적인 무슬림에 대해 경멸적인 의미로 사용된다고 지적했다.
필리핀(구 스페인 동인도 식민지)에서는 많은 현대 필리핀인들이 민다나오와 다른 남부 섬들에 집중되어 있는 대규모 지역 무슬림 소수 민족을 ''모로''라고 부른다. 이 단어는 포괄적인 용어이며, ''모로''는 여러 민족 언어 집단 (예: 마라나오인)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이 용어는 스페인 식민지배자들에 의해 도입되었고, 그 이후로 필리핀 무슬림들이 내부 명칭으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를 ''방사모로'' 즉, "모로 민족"의 구성원으로 자기 확인한다.
포르투갈어에서 ''mouro''(여성형, ''moura'')는 마법의 ''moura'''로 알려진 초자연적인 존재를 가리킬 수 있으며, 여기서 "무어인"은 "이방인"과 "비기독교인"을 의미한다. 이 존재들은 금발이나 붉은 머리와 밝은 얼굴을 가진 인어 같은 요정이었다. 그들은 마법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어졌다.[27] 이 어원에서 무어인이라는 이름은 세례를 받지 않은 아이들, 즉 기독교인이 아닌 아이들에게 적용된다.[28][29]
남아시아에 있는 무슬림들은 포르투갈 역사가들에 의해 두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Mouros da Terra("토착 무어인")과 Mouros da Arabia/Mouros de Meca("아라비아/메카 출신 무어인" 또는 "파라데시 무슬림")이다.[31][32] Mouros da Terra는 이슬람으로 개종한 토착민(주로 이전의 하층민이나 불가촉천민)의 후손이거나 중동인과 인도 여성 사이의 결혼 동맹의 후손이었다.
포르투갈 식민지의 맥락에서, 스리랑카(포르투갈령 실론)에서는 아랍계 무슬림들을 "실론 무어인"이라고 부르며, 스리랑카의 "인도 무어인"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스리랑카 무어인 참조). 스리랑카 무어인("실론 무어인"과 "인도 무어인"의 조합)은 인구의 12%를 차지한다. 실론 무어인은 (인도 무어인과 달리) 6세기 중반에 정착한 아랍 상인들의 후손이다. 16세기 초 포르투갈인이 도착했을 때, 그들은 섬의 모든 무슬림들을 무어인이라고 불렀는데, 그들 중 일부가 북아프리카의 무어인과 비슷하게 보였기 때문이다. 스리랑카 정부는 스리랑카의 무슬림들을 "스리랑카 무어인"으로 계속 확인하며, "실론 무어인"과 "인도 무어인"으로 세분화한다.[33]
서쪽 인도 해안 주 고아에서 이슬람을 따르는 소수 민족인 고아 무슬림은 고아 가톨릭과 힌두교 신자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Moir''()라고 불린다. ''Moir''는 포르투갈어 단어 ''mouro''("무어인")에서 유래했다.
3. 역사
'무어인'이라는 용어는 마그레브 지역의 도시나 해안가에 사는 사람들을 가리키기도 했지만, 오늘날에는 주로 서사하라에 사는 아랍-베르베르계 혼혈인과 모리타니, 서사하라, 아자와드(말리 북서부) 등지에서 하사니야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지칭한다.
3. 1. 마그레브의 무어인
7세기 후반, 이슬람 우마이야 칼리파국은 북아프리카를 정복했고, 이 지역 주민들을 무어인이라고 불렀다.[34][35] 당시 북아프리카 내륙 지방을 둘러싼 간헐적인 전쟁은 그 후 20년 동안 계속되었다. 더욱 심각한 내전으로 정복이 지연되었지만, 아랍의 공격으로 카르타고를 점령했고 비잔티움의 반격에 맞서 굳건히 지켰다. 기독교와 베르베르 이교도의 반란으로 아랍인들이 일시적으로 쫓겨났지만, 로마화된 도시 인구는 베르베르인들보다 아랍인들을 선호했고, 698년까지 북아프리카를 무슬림의 손에 남겨둔 갱신되고 최종적인 정복을 환영했다.
이후 수십 년 동안 북아프리카의 베르베르인과 도시 인구는 서로 다른 이유로 점차 이슬람으로 개종했다.[35] 또한 아랍어도 채택되었다. 처음에 아랍인들은 동화 과정이 아닌 지역 주민들에게 봉건적 복종만을 요구했다.[35] 이 과정을 거쳐 마그레브에 거주했던 집단들은 집합적으로 무어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비록 하리지파 반란이 나중에 서마그레브에서 우마이야 통치를 몰아내고 일시적으로 독립적인 아랍, 베르베르, 페르시아 왕조를 형성했지만, 그 노력은 집합적 용어의 사용을 없애지 못했다.
튀니지의 카이루완 대모스크는 이슬람 정복 당시 아랍 장군 욱바 이븐 나피에 의해 670년에 최근 개종하거나 이주한 무슬림들을 위한 예배 장소로 건립되었다.
3. 2. 이베리아 반도의 무어인
711년, 북아프리카의 무슬림들이 이베리아 반도를 정복하고 알안달루스를 건설했다. 코르도바 칼리파국은 학문, 예술, 건축의 중심지로 번영했다. 레콩키스타 운동으로 기독교 세력이 이베리아 반도를 재정복하면서, 무어인들은 추방되거나 기독교로 개종했다. 1492년 그라나다 함락으로 이베리아 반도에서 무어인의 지배는 종식되었다. 스페인 종교재판은 개종한 무슬림(모리스코)들을 감시하고 탄압했다.
3. 3. 시칠리아의 무어인
9세기 초, 아글라브 왕조는 카이루안(튀니지)에서 출발하여 시칠리아를 정복하기 시작했다. 902년에는 시라쿠사를 포함한 시칠리아 거의 대부분을 장악했다.[55] 909년, 아글라브 왕조는 이스마일파 파티마 왕조로 교체되었다. 그러나 4년 후, 시칠리아는 에미르 아흐메드 이븐-코흐롭(Ahmed ibn-Kohrob) 아래에서 독립을 선언하고 파티마 총독을 축출했다. 이 시기 시칠리아에서 사용된 언어는 시칠리아-아랍어였다.
1060년, 노르만족의 로베르 기스카르가 시칠리아를 침공했다. 1072년에는 팔레르모가 함락되는 등 시칠리아 전역이 노르만족에게 점령되었다. 1091년에는 시칠리아 남쪽 끝의 노토와 마지막 아랍 거점인 몰타 섬까지 기독교인들에게 함락되면서 시칠리아에서 무슬림의 지배는 종식되었다.[54]
신성 로마 제국의 헨리 6세와 그의 아들 신성 로마 제국의 프리드리히 2세 치하의 호엔슈타우펜 왕조 시대에 시칠리아 무슬림들은 억압받았다. 그리스도교 세계에서 이슬람을 용납할 수 없었던 교황들을 달래기 위해 프리드리히 2세는 많은 억압적인 조치를 취했고, 이는 무슬림들의 반란을 일으켰다. 결국 1240년대 후반, 시칠리아 무슬림들은 완전히 추방되었다.[55]
4. 종교 관계
코르도바 칼리파국 치하 이베리아반도의 무어인들은 대체로 다른 종교에 관대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유대인들이 추방되고 기독교인들이 2등 계급으로 전락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1031년 코르도바 칼리파국이 멸망한 후에는 북아프리카의 무어인 왕조인 알모라비드 왕조가 이 지역을 통치하게 된다.
5. 문화
무어인의 문화는 이슬람 건축 양식을 바탕으로 발전했으며, 특히 건축 분야에서 두드러진 발전을 이루었다. 스페인과 포르투갈 일부 지역에서 무어 건축의 독특한 양식을 확인할 수 있다.
5. 1. 건축
코르도바 대사원-성당 내부 무어 건축은 711년부터 1492년까지 무어인들이 지배했던 북아프리카와 스페인, 포르투갈 일부 지역의 이슬람 건축 양식이다. 이 건축 전통의 가장 잘 보존된 예로는 코르도바 대사원-성당과 그라나다의 알람브라 궁전(주로 1338~1390년),[63]세비야의 히랄다 탑(1184년)[64]이 있다. 그 외 주목할 만한 예로는 폐허가 된 메디나 아자하라 궁전 도시(936~1010년)와 현재 교회인 톨레도의 크리스토 데 라 루스 모스크, 사라고사의 알하페리아 궁전, 론다와 알라마 데 그라나다의 목욕탕 등이 있다.
코르도바에 있는 빨간색과 흰색 줄무늬 아치를 한 코르도바 대사원은 무어인 건축의 절정에 해당한다. 이베리아반도에 있었던 무어인들은 도시 행정에 있어 따라올 자가 없었다. 역사가들의 기록에 따르면 코르도바에는 471개의 모스크와 300개의 공중목욕탕이 있었으며, 평민과 호족 지주들의 집과 별장은 200,077개, 63,000개에 달했다고 한다. 또한 코르도바에는 8만 개 이상의 가게가 있었고, 산에서 떨어지는 물이 사방으로 흘러가고 있으며, 순금 파이프를 통해 물이 호수로 흘러가고 있다고 묘사하고 있다. 이 묘사가 과장된 것은 사실이지만, 무어인들의 건축 양식은 분명 인상적이었으며 당시 유럽 어느 도시보다도 가장 아름다웠을 것으로 추측된다.
6. 현대
역사적으로 무어인은 모로코, 서사하라, 알제리, 모리타니, 말리 등 이슬람계 아프리카 국가들을 지칭했다.[10] 근대에 들어와 스페인 구어에서 "Moro"는 모로코 혹은 알제리계 가정 출신이나 이슬람 연구자를 가리킨다.[21][22][23][24][25] 포르투갈어에서 "Mouro"는 북부에서 내려온 사람들을 가리킨다.
필리핀 남부 섬의 무슬림 주민들은 "모로스(Moros)"라고 불리며,[21][22][23][24][25]스리랑카의 아랍계 주민들은 무어인이라고 불린다.[33]
윌리엄 2세 캐닌지의 문장. 세인트 메리 레드클리프 교회에 있는 그의 덮개가 있는 묘비에 묘사되어 있으며, 관자놀이에 장식된 세 무어인의 잘린 머리가 표현되어 있다.
무어인, 혹은 더 자주 왕관을 쓴 그들의 머리는 중세 유럽의 기사 문장학에 자주 등장했지만, 중세 이후로는 덜해졌다. 앵글로-노르만어의 기장에서는 'maure'라는 용어가 사용되지만, 'moore', 'blackmoor', '흑인' 또는 'negro'라고 불리기도 한다.[65] 무어인은 적어도 13세기부터 유럽 기사 문장학에 등장하며, 일부는 이탈리아에서 11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66]
무어인이나 무어인의 머리를 문장에 사용하는 사람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이를 채택했을 수 있다. 십자군 전쟁에서의 군사적 승리를 상징하거나, Morese, Negri, Saraceni 등의 이름을 가진 사람의 이름과 말장난을 하는 말장난 문장이거나, 프리드리히 2세의 경우 그의 제국의 영향력을 보여주기 위한 것일 수 있다.[66] 베네딕토 16세 교황의 문장에는 프라이징, 독일의 문장을 참고하여 빨간색으로 둘러싸인 왕관을 쓴 무어인의 머리가 있다.[67]
코르시카와 사르데냐의 경우, 네 부분에 있는 눈가리개를 한 무어인의 머리는 11세기에 아라곤과 나바라의 페드로 1세에게 패배한 네 명의 무어인 에미르를 나타낸다고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십자가 주위에 네 개의 무어인의 머리가 있는 것이 1281년에서 1387년 사이에 아라곤의 문장으로 채택되었고, 코르시카와 사르데냐는 1297년에 아라곤 왕의 지배하에 들어왔다.[68] 코르시카에서는 섬의 새롭게 얻은 독립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18세기에 눈가리개를 이마로 올렸다.[69]
현대 북아메리카에서는 무어인을 기사 문장의 상징으로 사용하는 것은 비난받고 있다.[70] 예를 들어, 창조적 시대착오 집단의 문장원은 신청자들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세심하게 사용할 것을 촉구한다.[71]
머리띠를 두른 '무어인의 옆모습'은 프랑스의 코르시카와 이탈리아의 사르데냐의 깃발에 등장한다. 코르시카 섬의 깃발에 무어인의 옆모습을 채택한 것은 코르시카의 영웅 파스칼 파올리이다.[74]
8. 저명한 무어인
타리크 이븐 지야드(Tariq ibn Ziyad): 711년 서고트족을 패퇴시키고 히스파니아의 우마이야 정복을 통해 히스파니아를 정복한 무어인 장군.[1]
압드 알-라흐만 1세(Abd ar-Rahman I): 756년 우마이야 칼리파국의 코르도바 에미르국을 건국한 인물.[1]코르도바 칼리파국과 함께 3세기 동안 알안달루스(이슬람 이베리아 반도)를 통치했다.[1]
이븐 알쿠티야(Ibn al-Qūṭiyya): 안달루시아의 역사가이자 언어학자(문법학자).[1]
야히야 알-라이시(Yahya al-Laithi): 알안달루스에 말리키 법학파를 도입한 안달루시아 학자.[1]
압바스 이븐 피르나스(Abbas ibn Firnas): 810~887년, 베르베르인 중세 이슬람 세계의 발명 목록의 발명가, 시인, 코르도바 에미르국의 과학자.[1]
알자라위(Al-Zahrawi) (아불카시스): 중세 이슬람의 의학 안달루시아 의사이자 외과의사.[1] 1000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알타스리프''(Al-Tasrif)는 수세기 동안 영향력을 행사했다.[1]
사이드 알-안달루시(Said Al-Andalusi): 1029~1070년, 안달루시아의 카디, 역사가, 철학자, 수학자, 천문학자.[1]
아부 이샤크 이브라힘 알자르칼리(Abū Ishāq Ibrāhīm al-Zarqālī) (아르자첼): 1029~1087년, 중세 이슬람의 천문학 안달루시아 천문학자이자 기술자.[1]천구의와 위도에 무관한 보편적인 천구의를 개발하고, ''톨레도 천문표''의 기초가 된 ''지지''(Zij)를 편찬했다.[1]
아르테피우스(Artephius): 여러 연금술 관련 저술이 그의 이름으로 돌려지는 작가.[1]
이븐 바자(Ibn Bajjah) (아베엠파체): 1138년 사망, 중세 이슬람의 물리학 안달루시아 물리학자이자 통합 학자.[1] 반작용력 개념을 포함한 그의 운동 이론은 고전 역학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1]
이븐 주르(Ibn Zuhr) (아벤조아르): 1091~1161년, 안달루시아 의사이자 통합 학자.[1]
무함마드 알-이드리시(Muhammad al-Idrisi): 1100년경~1166년, 중세 이슬람의 지리학 무어인 지리학자이자 통합 학자.[1] ''타불라 로제리아나''(Tabula Rogeriana)를 제작했다.[1]
이븐 투파일(Ibn Tufail): 1105년경~1185년, 아랍 문학 아랍 작가이자 통합 학자.[1] 철학 소설 ''하이 이븐 야크단''(Hayy ibn Yaqdhan)을 저술했다.[1]
아베로에스(Ibn Rushd): 1126~1198년, 초기 이슬람 철학 고전 이슬람 철학자이자 통합 학자.[1] ''부정의 부정의''(The Incoherence of the Incoherence)와 여러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주석을 저술했고, 아베로이즘 학파를 설립했다.[1]아베로에스(Averroes), 무어인 통합 학자로, 아베로이즘 철학 학파의 창시자이며 세속주의 사상이 서유럽에서 부상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1]
이븐 알바이타르(Ibn al-Baitar): 1248년 사망, 이슬람 농업 혁명 안달루시아 식물학자이자 약제사.[1] 근대 이전 시대에 가장 광범위한 약전과 식물학 편찬물을 편집했다.[1]
이븐 칼둔(Ibn Khaldun): 1377년 ''무카디마''(Muqaddimah)에서 중세 이슬람의 사회학, 역사 저술과 세계의 이슬람 경제학에 대해 저술했다.[1]튀니지에서 태어나 자랐지만, 세비야 함락 후 그 도시에서 이주한 아랍인 가문 출신이다.[1]
아부 알하산 이븐 알리 알칼라사디(Abū al-Hasan ibn Alī al-Qalasādī): 1412~1486년, 중세 이슬람의 수학 무어인 수학자.[1] 수학적 표기법(대수 기호)의 대중화에 기여했다.[1]
레오 아프리카누스(Leo Africanus): 1494~1554년, 안달루시아 지리학자, 작가, 외교관.[1] 스페인 사략선에 의해 잡혀 노예로 팔렸지만, 나중에 세례를 받고 해방되었다.[1]레오 아프리카누스(Leo Africanus), 그라나다 출생[1]
에스테바니코(Estevanico)(스티븐 더 무어로도 알려짐): 현재 미국 남서부 지역을 탐험한 스페인의 탐험가.[1]
이븐 바투타(Ibn Battuta): 이슬람 학자이자 무어인 탐험가.[1]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행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1]
이븐 하즘(Ibn Hazm): 무어인 통합 학자.[1]이슬람 세계의 주요 사상가 중 한 명으로 간주되며, 종교 비교 연구의 아버지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1]
이븐 이드하리(Ibn Idhari): 무어인 역사가.[1]마그레브와 이베리아 반도의 역사에 관한 중요한 중세 문헌인 (알바얀 알무그립(Al-Bayan al-Mughrib))의 저자.[1]
아부 바크르 이븐 알아라비(Abu Bakr ibn al-Arabi): 알안달루스 출신의 판사이자 말리키 법의 학자.[1]
참조
[1]
서적
The Moors: Al-Andalus, Sepharad and Medieval Iberia
https://brill.com/di[...]
BRILL
2010-01-01
[2]
논문
The Moors?
http://drum.lib.umd.[...]
New York University
[3]
백과사전
Moors
[4]
서적
Moorings: Portuguese Expansion and the Writing of Africa
https://books.google[...]
U of Minnesota Press
[5]
서적
Ornament of the World: How Muslims, Jews and Christians Created a Culture of Tolerance in Medieval Spain
Little, Brown, & Co
[6]
서적
Rac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3-12
[7]
서적
Ceylon and the Hollanders 1658–1796
https://archive.org/[...]
American Ceylon Mission Press, Tellippalai Ceylon
[8]
웹사이트
Assessment of the status,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fisheries-dependent communities: Mazara del Vallo Case study report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2-09-28
[9]
서적
The Mirror of Spain, 1500–1700: The Formation of a Myth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0]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7
[11]
서적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1993
[12]
서적
Adventures and Observations on the North Coast of Africa, Or, The Crescent and French Crusaders
https://books.google[...]
Derby & Jackson
1860
[13]
학술지
Ceuta
1752
[14]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14-05-12
[15]
서적
Geographica
https://www.perseus.[...]
Lewis and Short, Latin Dictionary
[16]
서적
The Historical Annals of Cornelius Tacitus: With Supplements, Volume 1
https://books.google[...]
D. Neall
[17]
웹사이트
'Moors' from 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http://bridgingcultu[...]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Islamic World in the Oxford Islamic Studies Online.
2018-05-30
[18]
서적
The History and Description of Africa
https://archive.org/[...]
Hakluyt Society
2017-08-30
[19]
서적
Feeding Desire — Fatness, Beauty and Sexuality among a Saharan People
Routledge, London
[20]
웹사이트
"Diccionario de la lengua española" – Edición del Tricentenario
https://dle.rae.es/ [21]
서적
Translating Sensitive Texts: Linguistic Aspects
https://books.google[...]
Rodopi
[22]
서적
Geopolitics of European Union enlargement: the fortress empi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3]
서적
The Multiculturalism Backlash: European Discourses, Policies and Practic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4]
서적
Multiculturalism, Muslims and citizenship: a European approach
https://books.google[...]
Routledge
[25]
서적
Transcultural Modernities: Narrating Africa in Europe
https://books.google[...]
Rodopi
[26]
백과사전
Lodovico Sforza
http://www.bookrags.[...]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27]
서적
Leyendas Gallegas de Tradición Oral (Galician Legends of the Oral Tradition)
https://books.google[...]
Editorial Galaxia
2010-07-12
[28]
서적
Portugal: A Book of Folkway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2010-07-12
[29]
학술지
A Mourama
http://www.csarmento[...]
Centro de Estudos de Património, Universidade do Minho
2010-07-12
[30]
웹사이트
Morris Student Plus
http://www1.euskadi.[...] [31]
서적
The Portuguese Empire in Asia, 1500–1700: A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04-30
[32]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erce: Southern India 1500-16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WWW Virtual Library: From where did the Moors come?
http://www.lankalibr[...] [34]
학술지
Kahena, Queen of the Berbers: "A Sketch of the Arab Invasion of Ifriqiya in the First Century of the Hijra"
[35]
문서
Lapidus
[36]
웹사이트
Sala de los Reyes
https://www.alhambra[...] [37]
웹사이트
SALA DE LOS REYES
http://www.alhambra-[...] [38]
서적
Moorish Spai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9]
웹사이트
Who were the Moors?
https://www.national[...]
2019-12-12
[40]
서적
Moorish Spai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05-05
[41]
서적
The Legacy of Muslim Spain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2014-04-14
[42]
문서
طوق الحمامة
[43]
서적
Moorish Spai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05-05
[44]
서적
Islam's Black Slaves
Atlantic Books
[45]
웹사이트
Granada
http://jewishencyclo[...]
1906
[46]
서적
Leo Africanus
New Amsterdam Books
1992
[47]
문서
History of Al-Andalus
[48]
웹사이트
The Genetic Legacy of Religious Diversity and Intolerance: Paternal Lineages of Christians, Jews, and Muslims in the Iberian Peninsula
http://www.cell.com/[...] [49]
웹사이트
The religious conversions of Jews and Muslims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population of the Iberian Peninsula
http://www.upf.edu/e[...] [50]
서적
Moorish Spai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1]
서적
Rac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Moorings: Portuguese Expansion and the Writing of Af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53]
논문
LITERARY CARTOGRAPHIES OF SPAIN: MAPPING IDENTITY IN AFRICAN AMERICAN TRAVEL WRITING
http://drum.lib.umd.[...]
Graduate School of the University of Maryland
2011
[54]
서적
Les empires normands d'Orient
Editions Perrin
[55]
서적
Frederick II: A Medieval Emperor
Allen Lane
[56]
학술지
Offering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as incentives for conversion: The case of Sicily and southern Italy (12th-15th centuries)
https://www.torrossa[...]
2014
[57]
학술지
Freedom and Bondage among Muslims in Southern Italy during the Thirteenth Century
https://doi.org/10.1[...]
2007-04-01
[58]
서적
Abolitionism and the Persistence of Slavery in Italian States, 1750–1850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12-13
[59]
PhD dissertation
Sicily and the Two Seas: The Cross Currents of Race and Slavery in Early Modern Palermo
https://escholarship[...]
UCLA
2020
[60]
PhD dissertation
Slavery and Manumission in Fourteenth-Century Palermo
https://scholarworks[...]
Western Michigan University
2017-06
[61]
학술지
Catalan Merchants and the Western Mediterranean, 1236–1300: Studies in the Notarial Acts of Barcelona and Sicily
https://www.brepolso[...]
1985-01-01
[62]
학술지
The account books of the Spanish inquisition in Sicily (1500–1550) as a source for the study of material culture in a Mediterranean country
https://doi.org/10.1[...]
1999-12-01
[63]
문서
Curl p. 502
[64]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Architecture
[65]
웹사이트
Man
http://www.heraldsne[...]
2012-01-23
[66]
웹사이트
Africans in medieval & Renaissance art: the Moor's head
http://www.vam.ac.uk[...]
Victoria and Albert Museum
2011-01-13
[67]
웹사이트
Coat of Arms of His Holiness Benedict XVI
https://www.vatican.[...]
The Holy See
2013-01-25
[68]
웹사이트
Corsica (France, Traditional province)
http://www.crwflags.[...]
Flags of the World
2013-01-25
[69]
웹사이트
Blindfolded Moors – The Flags of Corsica and Sardinia
http://www.vaguelyin[...]
Vaguely Interesting
2013-01-25
[70]
웹사이트
Is that a Moor's head?
https://archive.toda[...]
2005-07-15
[71]
웹사이트
Part IX: Offensive Armory
http://heraldry.sca.[...]
2008-04-02
[72]
서적
Goa, yesterday, to-day, tomorrow: an approach to various socio-economic and political issues in Goan life & re-interpretation of historical facts
Furtado's Enterprises
[73]
백과사전
Moors
E. J. Brill
[74]
간행물
フランスの旅 No.6
枻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