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1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리랑 1호는 지형도 작성, 해수색 관측, 우주 환경 감시를 목적으로 설계된 대한민국의 최초 다목적 실용 위성이다. 1999년 12월 2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되었으며, 전자 광학 카메라(EOC), 이온층 측정 센서(IMS), 고에너지 입자 검출기(HEPD) 등의 탑재체를 통해 다양한 관측 임무를 수행했다. 2007년 12월 통신 두절 이후 2008년 2월 운용이 종료되었으며, 약 8년 동안 지구를 4만 3000바퀴 돌며 한반도 및 전 세계의 위성 영상 44만 장을 촬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노타우르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TacSat-3
TacSat-3는 전술 목표 탐지 및 식별을 위해 개발되어 2009년에 발사된 미국의 초분광 영상 정찰위성이다. - 1999년 우주 개발 - 마스 폴라 랜더
마스 폴라 랜더는 1999년 화성 남극 착륙을 시도했으나 통신 두절로 실패한 미국의 탐사선이다. - 1999년 우주 개발 - 딥 스페이스 2호
딥 스페이스 2호는 NASA의 뉴 밀레니엄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화성 탐사선으로, 화성 표면 충돌 후 지하 탐사 및 물 또는 얼음 확인을 목표했으나 통신 두절로 임무에 실패했다. - 1999년 12월 - 마카오 반환
마카오 반환은 1999년 12월 20일,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던 마카오가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주권이 이양된 사건으로, 중포조약에 의해 포르투갈령이 된 후 중국과의 협상을 통해 '일국양제' 원칙하에 50년간의 자치가 보장되며 이루어졌다. - 1999년 12월 - 대한항공 8509편 추락 사고
대한항공 8509편 추락 사고는 1999년 12월 22일 런던 스탠스테드 국제공항에서 이륙 직후 발생한 사고로, 기장의 자세 지시계 오작동과 조종 과실, 대한항공의 권위적인 조직 문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탑승자 4명 전원이 사망했으며, 대한민국 항공 안전 관리 체계에 대한 국제적 신뢰도 하락을 초래했다.
아리랑 1호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한국 다목적 위성-1 아리랑-1 |
임무 유형 | 지구 관측 위성 |
운영 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COSPAR ID | 1999-070A |
SATCAT | 26032 |
웹사이트 | 해당 없음 |
임무 기간 | 계획: 3년 실제: 8년 |
위성 정보 | |
위성 종류 | KOMPSAT |
위성 버스 | TOMS-EP |
제작사 | 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항공우주연구원 TRW (버스) |
발사 질량 | 470 kg |
크기 | 직경: 1.33 m 길이: 2.33 m |
전력 | 636 와트 |
발사 정보 | |
발사 일시 | 1999년 12월 21일, 07:13 UTC |
발사 로켓 | Taurus 2110 |
발사 장소 |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 LC-576E |
발사 계약자 | Orbital Sciences Corporation |
궤도 정보 | |
마지막 교신 | 2007년 12월 30일 |
폐기 일자 | 2008년 1월 31일 |
궤도 기준 | 지구 중심 궤도 |
궤도 종류 | 태양 동기 궤도 |
궤도 고도 | 685 km |
궤도 경사 | 98.13° |
궤도 주기 | 98.46 분 |
원지점/근지점 | 해당 없음 |
탑재 장비 | |
장비 목록 | Electro-Optical Camera (EOC) High Energy Particles Detector (HEPD) Ionospheric Measurement Sensor (IMS) |
프로그램 정보 | |
프로그램 | KOMPSAT 프로그램 |
이전 임무 | 해당 없음 |
다음 임무 | KOMPSAT-2 |
2. 설계
아리랑 1호는 지형도 작성, 해수색 관측, 우주 환경 감시를 주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영상 해상도는 6.6m였다. 미국의 TRW사의 T200B 버스 기술 이전 및 기술 지도를 받아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주도로 개발되었다.
2. 1. 탑재체
아리랑 1호는 대한민국의 디지털 지도 제작, 해양 생물학 현황 파악을 위해 전자 광학 카메라(EOC)를 탑재했다. 또한, 위성 궤도를 따라 전리층의 매개변수를 감시하는 전리층 측정 센서(IMS)와 고에너지 입자 검출기(HEPD)도 탑재했다.[5][4]2. 1. 1. 전자 광학 카메라 (EOC)
전자 광학 카메라(EOC)는 17km 면적에서 6.6m 직경의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고해상도 카메라로, 대한민국의 디지털 지도 제작 및 해양 생물학 현황 파악에 활용되었다.2. 1. 2. 이온층 측정 센서 (IMS)
이온층 측정 센서(IMS)는 랑뮈어 탐침(LP)과 일본 우주과학연구소(ISAS)의 오야마 K.가 개발한 전자 온도 탐침(ETP)으로 구성되어 있다. LP는 현장 전자 온도와 밀도를 측정하고, ETP는 현장 전자 온도와 부유 전위를 측정한다. 이 장비는 2001년 8월 2일에 탐침의 예기치 않은 전원 고장이 발생하기 전까지 위성 궤적을 따라 야간 이온층의 변화를 감시했다.[5]2. 1. 3. 고에너지 입자 검출기 (HEPD)
고에너지 입자 검출기(HEPD)는 양성자 및 전자 분광계 (PES), 선형 에너지 전달 분광계 (LET), 총 선량 감시 장치 (TDM), 단일 사건 감시 장치 (SEM)로 구성된다. PES는 6.4 MeV에서 38 MeV까지의 양성자를 3개의 에너지 채널로, 0.25 MeV에서 2.0 MeV까지의 전자를 3개의 에너지 채널로, 15 MeV에서 60 MeV까지의 알파 입자를 1개의 에너지 채널로 측정한다. LET는 선형 에너지 전달을 측정하고, TDM은 RADFET 선량계에 축적된 방사선의 총 이온화 선량을 측정한다. SEM은 단일 사건 교란(SEU)을 측정한다.[4]3. 발사
1999년 12월 2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구 반덴버그 공군 기지)에서 토러스 2110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6] 위성은 대전 대덕연구단지에서 제작되었으며, 부품들은 한국 해운 회사인 퍼스트 익스프레스 인터내셔널에 의해 3단계로 한국에서 캘리포니아로 운송되었다.[6]
4. 운용
1999년 12월 2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공군 기지에서 토러스 로켓으로 발사되었다. 당초 설계 수명은 3년이었으나, 이를 훨씬 초과하여 약 8년간 운용되었다.[9]
4. 1. 임무 종료
2007년 12월 30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은 위성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다고 발표했다.[7] 전력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오작동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2008년 1월 31일에 임무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7]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RI 지상국의 위성 궤도 정보 입력 오류로 인해 위성이 불안정해져 통신 두절에 이르게 되었다고 분석했다. 2007년 12월 29일 통신 두절, 2008년 2월 20일 공식 운용이 종료되었다. 위성은 설계 수명 3년을 넘는 약 8년 동안 지구를 4만 3000바퀴 돌았으며, 한반도 및 전 세계의 위성 영상 약 44만 장을 촬영했다.[9]
참조
[1]
웹사이트
Trajectory: KOMPSAT 1999-070A
https://nssdc.gsfc.n[...]
NASA
2021-03-01
[2]
웹사이트
KOMPSAT 1 (Arirang 1)
https://space.skyroc[...]
Gunter's Space Page
2021-03-03
[3]
웹사이트
Display: KOMPSAT 1999-070A
https://nssdc.gsfc.n[...]
NASA
2021-03-03
[4]
웹사이트
HEPD: KOMPSAT 1999-070A
https://nssdc.gsfc.n[...]
NASA
2021-03-03
[5]
웹사이트
IMS: KOMPSAT 1999-070A
https://nssdc.gsfc.n[...]
NASA
2021-10-22
[6]
웹사이트
First Express International
http://www.firstexp.[...]
First Express
2007-07-30
[7]
웹사이트
KOMPSAT-1
https://directory.eo[...]
ESA eoPortal Directory
2021-10-22
[8]
뉴스
"黑龍처럼 솟구쳐라"…대한민국 인공위성 5대·나로호 '우주로'
http://www.hellodd.c[...]
HelloDD.com
2012-01-01
[9]
뉴스
多目的実用衛星アリラン1号、公式に任務終了
http://crds.jst.go.j[...]
2008-02-21
[10]
간행물
Satellite Communications and Space Industry
http://www.kasp.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