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메르긴 글룽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메르긴 글룽겔은 아일랜드 신화의 등장인물로, 밀 에스파인의 아들 중 한 명이다. 그는 삼촌을 살해한 투아하 데 다난의 세 왕에 대한 복수를 위해 아일랜드 정복에 참여했다. 아메르긴은 투아하 데 다난과의 전투에서 승리한 후, 아일랜드 땅을 형제들과 나누었으나, 이후 형제 간의 다툼으로 인해 아일랜드의 통치권을 잃었다. 아메르긴은 '아메르긴의 노래'로 알려진 시를 통해 아일랜드의 정신을 나타냈으며, 그의 이야기는 중세 웨일스 시인 탈리에신과 관련된 신화적 주제와 유사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레시안 - 에레원
    에레원은 아일랜드 신화에서 밀레시안의 지도자로서 아일랜드 침공을 이끌고 투아하 데 다난을 물리친 후 아일랜드의 최고 왕이 되어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했으며, 그의 후손인 헤레모니안은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문장학에 상징인 붉은 사자를 남겼다.
  • 밀레시안 - 에흐리엘
아메르긴 글룽겔
기본 정보
본명아메르긴 글룽겔 막 밀레드
다른 이름아메르긴 글룬마르
흰 무릎의 아메르긴
큰 무릎의 아메르긴
직업음유시인
법관
활동 시기게일족의 전설 시대
게일족 침공 신화
역할밀레시안의 음유시인이자 재판관
관련 사건에린 침공
가족아버지: 밀 에스파이네
형제: 에베르 핀, 에레원, 이르

2. 전설

밀 에스파인의 일곱 아들 중 한 명인 아메르긴은 삼촌 이흐를 살해한 투아하 데 다난의 세 왕 마크 쿠일, 마크 케흐트, 마크 그레인에 대한 복수를 위해 투아하 데 다난으로부터 아일랜드를 정복하는 데 참여했다. 아메르긴의 아내 스케네는 바다에서 죽었고, 밀레시안은 스케네의 이름을 따 이버 스케네의 어귀에 상륙했다. 투아하 데 다난의 세 여왕 (반바, 에리우, 포들라)은 아메르긴과 그의 백성이 아일랜드에 정착하는 것을 허락했다. 세 여왕은 아메르긴에게 그들의 이름을 따서 섬의 이름을 지을 것을 요구했고, 아메르긴은 이를 수락했다. 에리우는 현대 이름 에이레의 기원이 되었으며, 반바와 포들라는 알비온이 그레이트 브리튼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로 아일랜드의 시적인 이름으로 사용된다.

밀레시안은 섬을 쟁취하기 위해 세 왕, 그들의 드루이드, 전사들과 전투를 벌여야 했다. 아메르긴은 당사자들을 위한 공정한 심판관으로 행동하며 교전 규칙을 정했다. 밀레시안은 섬을 떠나 마법의 경계인 아홉 번째 파도 너머 바다로 조금 물러나기로 합의했다. 신호에 따라 그들은 해변으로 향했지만, 투아하 데 다난의 드루이드들은 그들이 육지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마법의 폭풍을 일으켰다. 그러나 아메르긴은 '아메르긴의 노래'를 불러 폭풍을 가르고 배를 안전하게 육지로 데려올 수 있었다.[2]

이후 투아하 데 다난과의 전투에서 모든 측면에서 막대한 손실이 있었지만, 여러 번의 주요 전투 끝에 밀레시안이 승리했다. 투아하 데 다난의 세 왕은 각각 밀의 세 아들, 에버 핀, 에리몬, 아메르긴과의 단독 전투에서 죽임을 당했다.

아메르긴은 그의 두 형제 에버와 에리몬 사이에 땅을 나누었는데, 에버는 아일랜드 남부를, 에리몬은 북부를 차지했다.[4][5][6] 1년 안에 에리몬은 에버를 전투에서 물리치고 섬 전체의 왕위를 얻었다.[7][8] 드로헤다의 지역 전통은 그의 매장지를 밀마운트 아래로 본다.

2. 1. 아메르긴의 노래

밀 에스파인의 일곱 아들 중 한 명인 아메르긴은 투아하 데 다난과의 아일랜드 정복에 참여했다. 투아하 데 다난의 드루이드들은 마법의 폭풍을 일으켜 밀레시안이 상륙하는 것을 막으려 했지만, 아메르긴은 '아메르긴의 노래'를 불러 폭풍을 잠재우고 배를 안전하게 육지로 인도했다.[2]

오거스타, 레이디 그레고리는 그녀의 저서 ''신과 싸우는 사람들''(1904)에서 ''아메르긴의 노래''를 다음과 같이 번역했다.[3]

:나는 바다의 바람이다.

:나는 바다의 물결이다.

:나는 일곱 번의 전투의 수사슴이다.

:나는 바위 위의 독수리이다.

:나는 태양의 섬광이다.

:나는 가장 아름다운 식물이다.

:나는 강한 멧돼지이다.

:나는 물 속의 연어이다.

:나는 평원의 호수이다.

:나는 지식의 말씀이다.

:나는 전투에서 창의 머리이다.

:나는 머리에 불을 지르는 신이다.

:언덕에서 모이는 곳에서 빛을 퍼뜨리는 자는 누구인가?

:달의 시대를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

:태양이 쉬는 곳을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

탈리에신의 ''탈리에신 서''에 실린 6세기 시인 탈리에신에게 귀속된 초기 중세 웨일스 시 중 일부는 신화적 주제에 관한 것으로, 아메르긴에게 귀속된 것과 유사하다.[9]

2. 2. 아일랜드 분할과 죽음

밀 에스파인의 일곱 아들 중 한 명인 아메르긴은 삼촌 이흐를 살해한 투아하 데 다난의 세 왕, 마크 쿠일, 마크 케흐트, 마크 그레인에게 복수하고자 투아하 데 다난으로부터 아일랜드를 정복하는 데 참여했다. 아메르긴의 아내 스케네는 바다에서 죽었는데, 밀레시안은 스케네의 이름을 따 이버 스케네의 어귀에 상륙했다. 투아하 데 다난의 세 여왕 (반바, 에리우, 포들라)은 아메르긴과 그의 백성이 아일랜드에 정착하는 것을 허락했다. 세 자매는 아메르긴에게 그들의 이름을 따서 섬의 이름을 지어달라고 요청했고, 아메르긴은 이를 받아들였다. 에리우는 현대 이름 에이레의 기원이 되었으며, 반바와 포들라는 알비온이 그레이트 브리튼에 대한 것과 같이 아일랜드의 시적인 이름으로 사용된다.

밀레시안은 섬을 쟁취하기 위해 세 왕, 드루이드, 전사들과 전투를 벌여야 했다. 아메르긴은 교전 규칙을 정하는 공정한 심판관 역할을 했다. 밀레시안은 섬을 떠나 마법의 경계인 아홉 번째 파도 너머 바다로 물러나기로 합의했다. 신호에 따라 그들은 해변으로 향했지만, 투아하 데 다난의 드루이드들은 마법의 폭풍을 일으켜 그들이 육지에 도달하지 못하게 했다. 그러나 아메르긴은 '아메르긴의 노래'를 불러 아일랜드의 정신을 불러일으켰고, 폭풍을 가르고 배를 안전하게 육지로 데려올 수 있었다. 양측 모두 막대한 손실을 입었고, 여러 번의 주요 전투가 있었지만 밀레시안이 승리했다. 투아하 데 다난의 세 왕은 각각 밀의 세 아들, 에버 핀, 에리몬, 아메르긴과의 단독 전투에서 죽임을 당했다.

아메르긴은 그의 두 형제 에버와 에리몬 사이에 땅을 나누었는데, 에버는 아일랜드 남부를, 에리몬은 북부를 차지했다.[4][5][6] 1년 안에 에리몬은 에버를 전투에서 물리치고 섬 전체의 왕위를 얻었다.[7][8] 드로헤다의 지역 전통은 그의 매장지를 밀마운트 아래로 본다.

참조

[1] 문서 Also spelt Amorghain, Amairgin, Amorgen, Aimhirghin
[2] 서적 Gods and Fighting Men, Lady Gregory http://www.sacred-te[...]
[3] 웹사이트 Gods and Fighting Men: Part I: Part I Book III: The Landing http://www.sacred-te[...]
[4] 웹사이트 Lebor Gabála Érenn http://www.maryjones[...] 2010-07-06
[5] 간행물 Tochomlad mac Miledh a hEspain i nErind: no Cath Tailten? http://www.maryjones[...] Librairie E. Droz 2007-10-23
[6] 문서 Foas Feasa ar Éirinn http://www.ucc.ie/ce[...]
[7] 문서 Annals of the Four Masters http://www.ucc.ie/ce[...]
[8] 문서 Foras Feasa ar Éirinn http://www.ucc.ie/ce[...]
[9] 서적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Lebor Gabála Érenn http://www.maryjones[...] 2010-07-06
[11] 간행물 Tochomlad mac Miledh a hEspain i nErind: no Cath Tailten? http://www.maryjones[...] Librairie E. Droz 2007-10-23
[12] 문서 Foas Feasa ar Éirinn http://www.ucc.ie/ce[...]
[13] 문서 Annals of the Four Masters http://www.ucc.ie/ce[...]
[14] 문서 Foras Feasa ar Éirinn http://www.ucc.ie/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