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사마트 마살리예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브사마트 마살리예프는 키르기스스탄의 정치인으로, 1985년부터 1991년까지 키르기스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를 역임했다. 그는 소련 붕괴 전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의장,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을 지냈으며, 1990년 키르기스스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아스카르 아카예프에게 패했다. 이후 키르기스스탄 공산당 당수, 조고르쿠 케네시 대의원 등을 역임했으며, 2004년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정치인 - 아스카르 아카예프
아스카르 아카예프는 키르기스스탄의 첫 대통령으로, 1990년부터 2005년까지 재임하며 초기에는 개혁과 민주주의를 추진했으나 권위주의적 통치와 부정부패, 권력 세습 시도로 2005년 튤립 혁명으로 축출되어 러시아로 망명, 현재는 학자로 활동하고 있다. - 키르기스 공산당의 정치인 - 아스카르 아카예프
아스카르 아카예프는 키르기스스탄의 첫 대통령으로, 1990년부터 2005년까지 재임하며 초기에는 개혁과 민주주의를 추진했으나 권위주의적 통치와 부정부패, 권력 세습 시도로 2005년 튤립 혁명으로 축출되어 러시아로 망명, 현재는 학자로 활동하고 있다. - 키르기스 공산당의 정치인 - 자미라 시디코바
자미라 시디코바는 키르기스스탄 최초의 독립 신문인 레스 푸블리카를 창간하여 언론 자유를 옹호하고 미국 및 캐나다 주재 키르기스 공화국 대사를 역임하며 양국 관계 증진에 기여한 언론인이자 외교관, 작가이다. - 오시주 출신 - 쿠르만잔 닷카
쿠르만잔 닷카는 19세기 중앙아시아 알라이 지역의 키르기스족 지도자로서, 남편 사후 알라이족의 통치자가 되어 코칸트 칸국과 부하라 토후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하고 러시아 제국의 합병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여성이다. - 오시주 출신 - 쿠바트베크 보로노프
아브사마트 마살리예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다른 표기 | |
![]() | |
직책 | |
직함 | 키르기스 SSR 공산당 제1서기 |
이전 | 투르다쿤 우수발리예프 |
이후 | 아스카르 아카예프 (키르기스 SSR 대통령으로서) |
개인 정보 | |
출생지 | 소련, 키르기스 ASSR, 오시 주, 카담자이 구역, 알리시 마을 |
사망지 |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
배우자 | 하이니리스 코주바예바 |
자녀 | 4명 |
![]() | |
소속 정당 | |
정당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
2. 생애
아브사마트 마살리예프는 1953년 키르기스스탄 남부에 있는 광산 기술 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하여, 3년 후 모스크바 광산 연구소로 옮겼다. 그는 키질 키야 탄광에서 부주임 엔지니어로 경력을 시작했다.[1] 1956년부터 1961년까지는 「키즐-키야우고리」 광산 관리소 구역장 보좌, 광산 부주임 기술자, 「키르기스우고리」 주임 기술자 보좌를 역임했다.
1961년, 마살리예프는 오시의 키르기스스탄 공산당 지역 지부 강사가 되었다.[1] 1962년부터 1964년까지는 알마아타 고등당학교에서 수학하였다. 이후 키르기스스탄 공산당 오슈주 위원회 교관(1961년-1962년),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당·국가 감독위원회 감찰관 및 오슈주 당·국가 감독위원회 부의장(1964년-1965년), 키르기스 인민회의 오슈주 부의장(1965년-1966년) 등을 역임했다.
1966년부터 1985년까지는 키르기스 공산당 오슈주 위원회 과 주임(1966-1968), 키르기스 공산당 중앙위원회 산업수송과 부주임(1968-1969), 키르기스 공산당 타슈쿠미르 시 지구위원회 제1서기(1969-1971), 키르기스 공산당 중앙위원회 산업수송과 주임(1971-1972), 프룬제 시 집행위원회 의장(1972-1974), 키르기스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1974-1979), 키르기스 공산당 이시크쿨주 위원회 제1서기(1979-1985), 소련 공산당 감찰관(1985)을 거쳐 1985년 11월 키르기스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가 되었다.[1] 1990년 4월부터 12월까지는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최고 소비에트 의장을 역임했다.[1]
마살리예프는 1979년부터 1989년까지 소련 최고 소비에트의 10번째에서 11번째 회의에서 민족 소비에트의 대리인이었다.[2][1] 1986년부터 1991년까지는 소련 공산당 당원이었으며,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이었다. 또한,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 인민 대의원,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제12기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회의 대의원이었다.
1990년 10월 25일 키르기스스탄의 대통령 선거에 아파스 주마굴로프와 함께 후보로 출마했지만, 과반수 득표에 실패하여 1990년 10월 27일 최고 소비에트는 아스카르 아카예프를 초대 대통령으로 선택했다.[1] 1991년 4월부터 8월까지는 소련 공산당 이데올로기과 고문을 역임하고, 1992년 9월부터 키르기스스탄 공산당 당수를 역임했다. 1993년 1월부터 1996년 6월까지는 키르기스 공화국 정부 부속 산업 노동 안전 실시·광산 감독 국가위원회 의장을 지냈다.
1995년 대통령 선거에서 마살리예프는 아스카르 아카예프에게 다시 패배했다.[1] 1995년 4월부터 키르기스스탄 조고르쿠 케네시(키르기스 의회) 대의원 및 국가 제도·적법성·헌법 입법 문제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1995년 12월 24일 대통령 선거에서는 24.4%를 득표하여 아스카르 아카예프에게 패배했다.
2000년 4월, 의회 대의원으로 재선되었으나 의회의장 선거에서 패배했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의회에서 "엘콤소츠" 회파를 이끌었다. 2001년 10월, 키르기스스탄 공산당 간부회에서 부의장 겸 서기로 선출되었다. 그는 1995년부터 2004년 심근 경색으로 사망할 때까지 최고위원회 인민대표대회에서 의석을 차지했다.[1]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아브사마트 마살리예프는 오슈주 프룬제 지구 아리쉬 마을 출신이다. 그는 1953년 키즐키야 광산 전문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했고, 1956년 모스크바 광산 연구소를 졸업했다. 1964년에는 알마아타 고등당학교를 졸업했다.1956년부터 1958년까지 마살리예프는 「키즐-키야우고리」 광산 관리소 구역장 보좌와 광산 부주임 기술자로 근무했다. 1958년부터 1961년까지는 「키르기스우고리」 주임 기술자 보좌로 일했다.
1961년, 마살리예프는 키르기스 공산당 오슈주 위원회 교관이 되면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2. 2. 정치 경력
아브사마트 마살리예프는 1953년 키르기스스탄 남부의 광산 기술 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하여, 3년 후 모스크바 광산 연구소로 옮겼다. 그는 키질키야 탄광에서 부주임 엔지니어로 경력을 시작했다. 1956년부터 1961년까지는 「키즐-키야우고리」 광산 관리소 구역장 보좌, 광산 부주임 기술자, 「키르기스우고리」 주임 기술자 보좌를 역임했다.1961년, 마살리예프는 오시의 키르기스스탄 공산당 지역 지부 강사가 되었다. 1962년부터 1964년까지는 알마아타 고등당학교에서 수학하였다. 이후 키르기스스탄 공산당 오슈주 위원회 교관(1961년-1962년),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당·국가 감독위원회 감찰관 및 오슈주 당·국가 감독위원회 부의장(1964년-1965년), 키르기스 인민회의 오슈주 부의장(1965년-1966년) 등을 역임했다.
1966년부터 1985년까지는 키르기스 공산당 오슈주 위원회 과 주임(1966-1968), 키르기스 공산당 중앙위원회 산업수송과 부주임(1968-1969), 키르기스 공산당 타슈쿠미르 시 지구위원회 제1서기(1969-1971), 키르기스 공산당 중앙위원회 산업수송과 주임(1971-1972), 프룬제 시 집행위원회 의장(1972-1974), 키르기스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1974-1979), 키르기스 공산당 이시크쿨주 위원회 제1서기(1979-1985), 소련 공산당 감찰관(1985)을 거쳐 1985년 11월 키르기스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가 되었다. 1990년 4월부터 12월까지는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최고 소비에트 의장을 역임했다.
마살리예프는 1979년부터 1989년까지 소련 최고 소비에트의 10번째에서 11번째 회의에서 소비에트 민족 소비에트의 대리인이었다.[2] 1986년부터 1991년까지는 소련 공산당 당원이었으며,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이었다. 또한,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 인민 대의원,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제12기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회의 대의원이었다.
1990년 10월 25일 키르기스스탄의 대통령 선거에 아파스 주마굴로프와 함께 후보로 출마했지만, 과반수 득표에 실패하여 1990년 10월 27일 최고 소비에트는 아스카르 아카예프를 초대 대통령으로 선택했다. 1991년 4월부터 8월까지는 소련 공산당 이데올로기과 고문을 역임하고, 1992년 9월부터 키르기스스탄 공산당 당수를 역임했다. 1993년 1월부터 1996년 6월까지는 키르기스 공화국 정부 부속 산업 노동 안전 실시·광산 감독 국가위원회 의장을 지냈다.
1995년 대통령 선거에서 마살리예프는 아카예프에게 다시 패배했다. 1995년 4월부터 키르기스스탄 조고르쿠 케네시(키르기스 의회) 대의원 및 국가 제도·적법성·헌법 입법 문제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1995년 12월 24일 대통령 선거에서는 24.4%를 득표하여 아스카르 아카예프에게 패배했다.
2000년 4월, 의회 대의원으로 재선되었으나 의회의장 선거에서 패배했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의회에서 "엘콤소츠" 회파를 이끌었다. 2001년 10월, 키르기스스탄 공산당 간부회에서 부의장 겸 서기로 선출되었다. 그는 1995년부터 2004년 심장마비로 사망할 때까지 최고위원회 인민대표대회에서 의석을 차지했다.
2. 3. 소련 붕괴 이후
아브사마트 마살리예프는 1990년 10월 25일 키르기스스탄의 대통령 선거에 아파스 주마굴로프와 함께 후보로 출마했지만, 과반수 득표를 얻지 못해 1990년 10월 27일 아스카르 아카예프가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91년 4월부터 8월까지 소련 공산당 이데올로기과 고문을 역임했다. 1992년 9월부터 키르기스스탄 공산당 당수를 맡았다.1993년 1월부터 1996년 6월까지 키르기스 공화국 정부 부속 산업 노동 안전 실시·광산 감독 국가위원회 의장을 지냈다. 1994년부터 I. 라즈자코프 재단 총재를 역임했다.
1995년 대통령 선거에서 아카예프에게 다시 패배했다.[2] 그는 1995년부터 2004년 심근 경색으로 사망할 때까지 최고 의회 인민 대표자 회의 의석을 유지했다.[2] 구체적으로 1995년 4월부터 키르기스 공화국 조고르쿠 케네시 (키르기스 의회) 대의원, 국가 제도·적법성·헌법 입법 문제 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1995년 12월 24일 대통령 선거에서는 24.4%를 득표하여 아스카르 아카예프에게 패배했다.
2000년 4월, 의회 대의원으로 재선되었으나, 의회의장 선거에서 패배했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의회에서 "엘콤소츠" 회파를 이끌었다. 2001년 10월, 키르기스스탄 공산당 간부회에서 부의장 겸 서기로 선출되었다.
2. 4. 사망
3. 평가
4. 가족
아브사마트 마살리예프는 결혼하여 2남 2녀를 두었으며, 슬하에 6명의 손자가 있었다. 장남 이스하크 마살리예프는 의회 대의원을 지냈으며, 2004년 12월부터 키르기스스탄 공산당 중앙집행위원회 제1부의장을 역임했다.
5. 수상
아브사마트 마살리예프는 10월 혁명 훈장, 노동 적기 훈장(2회) 등을 수상했다. "인생의 페이지와 가난한 나의 조국"(1993년)을 저술했다. 결혼하여 2남 2녀, 6명의 손자를 두었다.
6. 저서
마살리예프는 "인생의 페이지와 가난한 나의 조국"(1993년)을 저술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Spisok deputatov Verkhovnogo Soveta SSSR 11 sozyva
http://www.knowbysig[...]
2013-04-15
[2]
웹인용
Spisok deputatov Verkhovnogo Soveta SSSR 11 sozyva
http://www.knowbysig[...]
2013-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