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36년 소련의 구성 공화국으로 설립되어 1991년 독립할 때까지 존재했다. 국명은 '40개 부족의 땅'을 의미하며, 1990년 '키르기스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변경되었다가 독립 후 '키르기스 공화국'으로 최종 변경되었다. 이 지역은 고대부터 다양한 민족과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소련 시대에는 농업 집단화, 산업화, 문화 혁명 등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었다. 독립 이후 키르기스스탄은 민주화와 시장 경제 체제로의 전환을 겪었지만, 여러 차례의 혁명과 민족 갈등을 겪었다. 키르기스 SSR은 중앙 계획 경제 체제하에 농업, 광업, 경공업이 주요 산업이었으며, 톈산 산맥을 중심으로 한 지리적 특성을 갖는다. 인구는 키르기스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러시아인, 우즈베크인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었다. 소련 통치하에 이슬람교가 탄압받았지만, 독립 후 종교적 자유를 누리고 있다. 문화적으로는 마나스 서사시, 코무즈, 펠트 직물 등이 중요하며, 소련의 영향과 함께 고유의 전통을 유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키르기스스탄의 국가로, 다양한 언어의 가사를 가지며 역사적 배경과 관련되어 스탈린 시대와 탈스탈린 시대를 거치며 가사에 변화가 있었다.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키르기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26년 키르기스 자치주에서 승격되어 설립된 키르기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36년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재차 승격되었다.
  • 키르기스스탄의 역사 - 2010년 키르기스스탄 혁명
    2010년 키르기스스탄 혁명은 경제난, 공공요금 인상, 부패, 족벌주의에 대한 국민적 불만이 폭발하여 쿠르만벡 바키예프 대통령의 퇴진과 과도 정부 수립을 초래한 정치적 격변이다.
  • 키르기스스탄의 역사 - 탈라스 전투
    탈라스 전투는 751년 탈라스 강에서 당나라와 아바스 왕조가 벌인 전투로, 카를룩의 배신으로 당나라가 패배하여 중앙아시아 지배에 타격을 입고 이슬람 세력 확장의 전환점이 되었으나, 그 중요성에 대해서는 제지 기술 전파 영향과 중앙아시아 지배권 변화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소련의 공화국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22년 소련에 가입한 구성 공화국으로, 농업 및 공업 기지였으나 중앙집권적 통제와 홀로도모르 등의 비극을 겪었으며, 1991년 독립을 선포하고 국민투표를 통해 독립을 확정지었다.
  • 소련의 공화국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40년 소련에 강제 병합되어 소련의 지배를 받다가 1991년 독립을 재선언할 때까지 공산화, 농업 집단화, 문화적 탄압, 강제 이주, 무장 저항 등 고난을 겪었으며, 고르바초프의 개혁과 시민 저항 운동을 통해 독립을 이루었다.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지도 정보
소비에트 연방 내 키르기스 SSR 위치
1956년부터 1991년까지 소비에트 연방 내 키르기스(빨간색)의 위치
기본 정보
일반 명칭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공식 명칭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36–1990)
소비에트 키르기스스탄 공화국 (1990)
키르기스스탄 공화국 (1990–1991)
키르기스어 공식 명칭Кыргыз Советтик Социалисттик Республикасы (1936–1990)
Социалисттик Кыргызстан Республикасы (1990)
Кыргызстан Республикасы (1990–1991)
러시아어 공식 명칭Киргизская Совет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1936–1990)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Кыргызстан (1990)
Республика Кыргызстан (1990–1991)
이전 국가키르기스 ASSR
후계 국가키르기스스탄
지위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 (1952–1991)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 (1956–1991)
국가 표어Бардык өлкөлөрдүн пролетарлары, бириккиле!
국가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수도프룬제
공용어키르기스어
러시아어
소수 언어우즈베크어
통화소비에트 루블 (SUR)
전화 코드+7 319/331/332/334/335
정치
정치 체제단일 마르크스-레닌주의 단일 정당 소비에트 공화국 (1936–1990)
단일 대통령 공화국 (1990–1991)
입법부최고 소비에트
당 서기장모리스 벨로츠키 (1936–1937, 초대)
압사마트 마살리예프 (1985–1990, 마지막)
국가 원수압두카디르 우라즈베코프 (1936–1937, 초대)
아스카르 아카예프 (1990–1991, 마지막)
정부 수반바얄리 이사케예프 (1936–1937, 초대)
안드레이 요르단 (1991, 마지막)
역사
설립1936년 12월 5일
주요 사건오시 폭동 (1990년 6월)
주권 선언1990년 12월 30일
독립 선언1991년 8월 31일
독립 승인1991년 12월 26일
인구
1989년4,257,800명
기타
인간 개발 지수 (HDI)0.640 (1990년)

2. 명칭

키르기스라는 이름은 튀르크어에서 '40'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40개의 지역 부족을 마나스라는 전설적인 영웅이 위구르 카간국에 맞서 통합했다는 데서 유래한다.[5] 키르기스스탄(Kyrgyzstan) 또는 키르기즈스탄(Kirghizstan)은 '40개 부족의 땅'이라는 뜻으로, '40'을 의미하는 'kyrg'( 'kyrk'), 동투르크어로 '부족'을 의미하는 'yz' ('uz'), 페르시아어로 '땅'을 의미하는 '스탄'을 합쳐서 만들어졌다.[5]

정치적으로는 1937년과 1978년 헌법에 명시된 바와 같이, 이 공화국의 이름은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었다. 1990년 10월 30일부터 12월 15일까지는 '키르기스 사회주의 공화국'(또는 키르기지아(Kirghizia))으로 개명되었다. 그 후 '사회주의' 접두사가 삭제되어 '키르기스 공화국'이 되었고, 독립 후에도 유지되었다.[1]

3. 역사

wikitext

키르기스스탄 문장


; 소련 이전의 역사

키르기스스탄 지역은 고대부터 다양한 민족과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아케메네스 제국, 마케도니아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흉노, , 쿠샨 제국, 돌궐 제국, 에프탈 등 여러 국가와 부족이 이 지역을 통치했다.

중세 시대에는 키르기스 카간국, 돌궐 제국, 사산 제국, 서돌궐 제국, 동돌궐 제국, , 제2 돌궐 제국, 우마이야 칼리파, 압바스 칼리파, 위구르 제국, 티베트 제국, 카라칸 왕조, 셀주크 제국, 서요, 호라즘 샤 등이 이 지역을 지배했다.

근세 초기에는 몽골 제국, 차가타이 칸국, 모굴리스탄, 킵차크 칸국, 티무르 제국, 우즈벡 칸국, 카자흐 칸국, 부하라 칸국, 야르켄트 칸국, 준가르 칸국, 코칸트 칸국, , 부하라 아미르국, 카라-키르기스 칸국 등이 이 지역을 통치했다.

1876년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고, 1916년에는 우르쿤이라는 대규모 봉기가 발생했다.

; 소련 시대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적군은 키르기스 지역에서 백군바스마치 부대를 격파하고 소비에트 정권을 수립했다. 민족별 국가 분할 정책에 따라, 1924년 10월 14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속의 카라-키르기스 자치주(1925년 5월 25일부터 키르기스 자치주)가 설치되었다. 1926년 2월 1일에는 키르기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개편되었고, 1936년 12월 5일, 소련의 구성 공화국인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소련 시대에는 농업 집단화, 산업화, 문화 혁명 등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었다. 스탈린 시대에는 강제 이주, 정치적 탄압, 종교 탄압 등이 이루어졌다.

; 독립 이후

1990년 10월 27일, 아스카르 아카예프가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91년 8월 31일, 키르기스 공화국은 국가 독립 선언을 채택하고 소련으로부터 독립했다.

독립 이후 키르기스스탄은 민주화와 시장 경제 체제로의 전환을 이루었으나, 여러 차례의 혁명(2005년 튤립 혁명, 2010년, 2020년 혁명)과 민족 갈등(1990년 오시 사태, 2010년 남부 키르기스스탄 소요 사태) 등 정치적, 사회적 불안정을 겪었다. 키르기스스탄은 독립 이후 친러 정책과 친서방 정책 사이에서 균형 외교를 추구하고 있다.

3. 1. 소련 이전의 역사

키르기스스탄 지역은 고대부터 다양한 민족과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아케메네스 제국, 마케도니아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흉노, , 쿠샨 제국, 돌궐 제국, 에프탈 등 여러 국가와 부족이 이 지역을 통치했다.

중세 시대에는 키르기스 카간국, 돌궐 제국, 사산 제국, 서돌궐 제국, 동돌궐 제국, , 제2 돌궐 제국, 우마이야 칼리파, 압바스 칼리파, 위구르 제국, 티베트 제국, 카라칸 왕조, 셀주크 제국, 서요, 호라즘 샤 등이 이 지역을 지배했다.

근세 초기에는 몽골 제국, 차가타이 칸국, 모굴리스탄, 킵차크 칸국, 티무르 제국, 우즈벡 칸국, 카자흐 칸국, 부하라 칸국, 야르켄트 칸국, 준가르 칸국, 코칸트 칸국, , 부하라 아미르국, 카라-키르기스 칸국 등이 이 지역을 통치했다.

1876년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고, 1916년에는 우르쿤이라는 대규모 봉기가 발생했다.

3. 2. 소련 시대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적군은 키르기스 지역에서 백군바스마치 부대를 격파하고 소비에트 정권을 수립했다. 민족별 국가 분할 정책에 따라, 1924년 10월 14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속의 카라-키르기스 자치주(1925년 5월 25일부터 키르기스 자치주)가 설치되었다. 1926년 2월 1일에는 키르기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개편되었고, 1936년 12월 5일, 소련의 구성 공화국인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소련 시대에는 농업 집단화, 산업화, 문화 혁명 등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었다. 스탈린 시대에는 강제 이주, 정치적 탄압, 종교 탄압 등이 이루어졌다.

3. 3. 독립 이후

1990년 10월 27일, 아스카르 아카예프가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91년 8월 31일, 키르기스 공화국은 국가 독립 선언을 채택하고 소련으로부터 독립했다.

독립 이후 키르기스스탄은 민주화와 시장 경제 체제로의 전환을 이루었으나, 여러 차례의 혁명(2005년 튤립 혁명, 2010년, 2020년 혁명)과 민족 갈등(1990년 오시 사태, 2010년 남부 키르기스스탄 소요 사태) 등 정치적, 사회적 불안정을 겪었다. 키르기스스탄은 독립 이후 친러 정책과 친서방 정책 사이에서 균형 외교를 추구하고 있다.

4. 정치

다른 소비에트 공화국과 마찬가지로 키르기스 공화국의 정부는 일당 사회주의 공화국의 틀 안에서 운영되었으며, 키르기스 공산당이 유일한 합법 정당이었다. 키르기스 공산당 제1서기는 당 수장을 역임했으며, 최고 소비에트 주석단 의장은 국가 원수의 직무를 수행했고, 장관회의 의장은 입법부를 이끌었다.

4. 1. 키르기스 공산당 제1서기

아스카르 아카예프는 마지막 당 서기장이었다. 그는 키르기스스탄의 초대 대통령이었으며 2005년 혁명으로 인해 물러났다.

  • 미하일 카멘스키(1924년 - 1925년) - 유대인.
  • 니콜라이 우주코프(1925년 - 1927년) - 러시아인. 총살.
  • 블라디미르 슈브리코프(1927년 - 1929년) - 러시아인. 총살.
  • 미하일 크리코프(1929년 - 1930년) - 러시아인. 총살.
  • 알렉세이 샤프라이(1930년 - 1934년) - 러시아인.
  • 모리스 베로츠키(1934년 - 1937년) - 유대인. 강제수용소에서 사망.
  • 막심 아모소프(1937년) - 야쿠트인. 총살.
  • 알렉세이 바고프(1938년 - 1945년)
  • 니콜라이 보골류보프(1945년 - 1950년)
  • 이스하크 라자코프(1950년 - 1961년)
  • 투르다쿤 우스바리예프(1961년 - 1985년)
  • 압사마트 마살리예프(1985년 - 1991년)
  • 주무갈벡 아만바예프(1991년)

5. 경제



소련 시대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키르기스 SSR)의 경제는 중앙 계획 경제 체제하에 운영되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 광업, 경공업 등이었다.

6. 지리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Kirghizia)은 소비에트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내륙 국가로, 카자흐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북위 39°와 북위 44°, 동경 69°와 동경 81° 사이에 위치한다. 다른 어떤 국가보다 바다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며, 모든 강은 바다에 닿지 않는 폐쇄 배수 시스템으로 흘러든다.[15] 톈산 산맥의 산악 지대는 국토의 80% 이상을 차지하며,[15] 나머지는 계곡과 분지로 이루어져 있다.

현대 키르기스스탄 지도. 과거 키르기스 공화국의 국경과 동일함


이식쿨 호(키르기스어로 Ysyk-Kölky)는 톈산 산맥 북동쪽에 위치한 키르기스스탄에서 가장 큰 호수이며, 티티카카 호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고산 호수이다. 가장 높은 봉우리들은 카크샬 투 산맥에 있으며 중국 국경을 형성한다. 7,439m 높이의 젠기쉬 초쿠수 봉은 키르기스스탄의 최고봉이며, 지질학자들은 이를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7,000m가 넘는 봉우리로 간주한다. 겨울철 폭설은 봄철 홍수를 유발하여 하류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경우가 많다. 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수력 발전에도 이용된다.[15]

7. 주민

1926년 키르기스 공화국의 인구는 1,002,000명이었다. 1939년에는 1,458,000명으로 기록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십 년 동안 인구는 크게 증가하여 1959년에는 2,065,837명, 1970년에는 2,932,805명, 1979년에는 3,529,030명이었다. 1989년 소련의 마지막 인구 조사에서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인구는 4,257,755명으로 증가했다.[12] 인구의 대다수는 키르기스인이었다. 그러나 강제 이주로 많은 수의 사람들이 이곳으로 보내졌기 때문에 때때로 다른 중요한 민족 집단도 있었다.

1944년 3월부터 5월 사이에만 크렘린은 북캅카스 지역 주민 602,193명이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강제 이주되었으며, 그중 496,460명이 체첸인인구시인, 68,327명이 카라차이인, 37,406명이 발카르인이었다고 보고했다.[13] 키르기스 인구의 대다수는 무슬림이며 투르크어족을 사용한다. 비슈케크에는 러시아인이 가장 많이 거주했는데, 독립 당시 인구의 약 22%를 차지했으며, 특히 페르가나 계곡우즈베크인 소수 민족이 인구의 약 13%를 차지했다. 1990년 오쉬 지역에서 우즈베크족과 키르기스족 간의 격렬한 충돌이 발생했으며, 이 지역에는 여전히 민족적 긴장이 남아 있다.[14]

8. 종교

소련 통치하에 키르기스스탄의 이슬람은 탄압을 받았고, 사람들은 적극적으로 무신론을 장려받았다. 소련 당국은 모든 이슬람교가 주요 종교인 소련 공화국에서 제한적인 종교 활동을 허용했다. 키르기스스탄의 러시아 인구 대부분은 무신론자 또는 러시아 정교회 신자였다. 독립 후, 키르기스스탄은 더 큰 종교적 자유를 누렸고 오늘날까지 세속 국가로 남아 있다.

9. 문화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키르기스 SSR)은 소련 문화의 영향을 받았지만, 고유의 문화적 전통도 유지했다. 대표적인 문화 유산으로는 마나스, 세 줄의 현악기인 코무즈, 크고 정교하게 수놓은 벽걸이 투쉬 키즈, 그림자가 쌍을 이룬 형태로 만든 평평한 쿠션 쉬르닥 등이 있다.[16] 특히 펠트로 만든 직물들도 중요한 문화 요소이다. 매사냥 또한 키르기스 SSR의 중요한 문화 중 하나였다.

소련은 11월 7일 10월 사회주의 혁명을 기념했지만, 노루즈울락 타르티시와 같은 전통 축제는 억압했다.[17] 납치결혼은 불법이었지만, 약혼결혼을 피하기 위해 합의된 "납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었다.[18]

10. 유산

키르기스스탄의 녹슨 낫과 망치


2013년 갤럽 여론조사에 따르면, 키르기스스탄 국민의 62%는 소련 붕괴가 자국에 해가 되었다고 응답했으며, 16%만이 이익이 되었다고 응답했다.[19] 교육 수준이 높은 키르기스스탄 국민일수록 소련 붕괴가 자국에 해가 되었다고 응답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19]

참조

[1] 서적 A Political Chronology of Central, South and East Asia https://books.google[...] 1990-10-15
[2] 기타 On 27 October 1990, article 6 on the monopoly of the Communist Party of Kirghizia on power was excluded from the Constitution of the Kirghiz SSR 1990-10-27
[3] 서적 History of Kyrgyzstan (Lecture book) https://dspace.auca.[...]
[4] 서적 Nelson World Atlas, A Metric Atlas Nelson 1974
[5] 웹사이트 Forty tribes and the 40-ray sun on the flag of Kyrgyzstan http://www.sras.org/[...]
[6] 서적 The Islamic Threat to the Soviet State (Routledge Revival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6-03
[7] 서적 When Economies Change Paths: Models of Transition in China, the Central Asian Republics, Myanmar & the Nations of Former Indochine Française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02-01-01
[8] 서적 Europa World Year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9] 백과사전 Kirghiz Soviet Socialist Republic
[10] 서적 Encyclopedia Americana https://books.google[...] Grolier Incorporated
[11]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08-17
[12] 서적 Multilingualism in Post-Soviet Countries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13] 서적 Chechnya: Life in a War-Torn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05-15
[14] 서적 The World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Theatre: Asia/Pacific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1-01-01
[15] 웹사이트 The Tulip Revolution takes root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2005-03-26
[16] 웹사이트 Kyrgyz Style – Production – Souvenirs http://www.kyrgyzsty[...] Kyrgyzstyle.kg 2010-05-02
[17] 웹사이트 Synopsis of ""The Kidnapped Bride"" https://www.pbs.org/[...] Frontline/World 2004-03-01
[18] 간행물 Reconciled to Violence: State Failure to Stop Domestic Abuse and Abduction of Women in Kyrgyzstan http://pantheon.hrw.[...] Human Rights Watch Report 2006-09-01
[19] 웹사이트 Former Soviet Countries See More Harm From Breakup https://news.gallup.[...] 2013-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