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안 게임 카바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게임 카바디는 아시안 게임의 정식 종목으로, 남자 경기는 1990년, 여자 경기는 2010년에 처음 채택되었다. 남자 카바디는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에서 시작되었으며,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부터 결승전이 도입되었다. 여자 카바디는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부터 시작되었다. 남자부에서는 인도가 압도적인 강세를 보이며, 여자부에서는 인도와 이란이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대한민국은 남자부에서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여자부는 아직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남자부에는 총 13개국, 여자부에는 총 11개국이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카바디 - 2018년 아시안 게임 카바디
    2018년 아시안 게임 카바디는 2018년 8월 19일부터 8월 24일까지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이란이 남녀부 모두 금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카바디 - 2010년 아시안 게임 카바디
    2010년 아시안 게임 카바디는 중국 광저우에서 열렸으며, 남자부에서는 인도가 금메달을, 여자부에서는 인도가 태국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크리켓
    아시안 게임 크리켓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후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개최되었으며, 2022년 대회에서는 인도 남녀 대표팀이 모두 우승하여 아시아 크리켓 판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다른 국가들의 발전 저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유도
    아시안 게임 유도는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경기부터 시작, 이후 여자 유도 도입과 단체전 및 혼성 단체전 도입을 거쳐 2023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이어져 왔으며 일본이 최우수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아시안 게임 카바디
대회 정보
스포츠카바디
창설1990년
주관 단체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최근 대회남자: 2022년
여자: 2022년
최다 우승남자: 인도 (8회)
여자: 인도 (3회)
최근 우승팀남자: 인도 (8번째 우승)
여자: 인도 (3번째 우승)
관련 웹사이트The Straits Times
종목 정보
세부 종목2
남자 종목1
여자 종목1

2. 역대 대회 결과

아시안 게임 카바디의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부아시안 게임 남자 카바디는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1] 초기에는 리그전 방식으로 순위를 결정했으나,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부터 결승전이 도입되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과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준결승에서 패배한 두 팀에게 모두 동메달을 수여했다.

인도는 1990년부터 2014년까지 7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남자 카바디 종목에서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다. 그러나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서는 이란이 대한민국을 꺾고 우승하며 인도의 독주를 막았다.
여자부여자 카바디는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과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준결승에서 패배한 두 팀 모두에게 동메달을 수여했다. 인도는 2010년, 2014년, 2022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차지하며 여자 카바디 강국임을 입증했다. 이란은 2018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 1. 남자부 (1990-2022)

아시안 게임 남자 카바디는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1] 초기에는 리그전 방식으로 순위를 결정했으나,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부터 결승전이 도입되었다.

연도개최지결승3위 결정전
우승점수준우승3위점수4위
1990
베이징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94
히로시마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1998
방콕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2002
부산플레이오프 없음플레이오프 없음
2006
도하35–2337–26
연도개최지결승동메달리스트
우승점수준우승
2010
광저우37–20그리고
2014
인천27–25그리고
2018
자카르타팔렘방26–16그리고
2022
항저우33–29그리고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과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준결승에서 패배한 두 팀에게 모두 동메달을 수여했다.

인도는 1990년부터 2014년까지 7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남자 카바디 종목에서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다. 그러나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서는 이란이 대한민국을 꺾고 우승하며 인도의 독주를 막았다.

2. 1. 1. 경기 방식

아시안 게임 카바디 경기는 초기에는 리그전 방식으로 순위를 결정했다.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부터 결승전이 도입되었다.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과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준결승에서 패배한 두 팀에게 모두 동메달을 수여했다.[1]

연도개최지결승동메달리스트
우승결과준우승3위
2010
상세 정보
광저우 인도 카바디37-27 이란 카바디 파키스탄 카바디 일본 카바디
2014
상세 정보
인천 인도 카바디27-25 이란 카바디 파키스탄 카바디 대한민국 카바디


2. 1. 2. 역대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합
1 인도91111
2 이란2316
3 방글라데시0347
4 파키스탄0268
5 태국0123
6 대한민국0112
7 중화 타이베이0011
7 일본0011


2. 1. 3. 대한민국 남자 국가대표팀 성적

대한민국 남자 카바디 국가대표팀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5위,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서 은메달,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7위를 기록했다.[1]

연도2010201420182022참가 횟수
5위3위2위7위4


2. 2. 여자부 (2010-2022)

여자 카바디는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2022년까지의 여자부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
참가 횟수
align=left|3위3위7위5위4
align=left|5위7위3위2위4
align=left|1위1위2위1위4
align=left|7위1
align=left|3위2위1위3위4
align=left|5위9위2
align=left|7위1
align=left|7위3위2
align=left|5위5위5위7위4
align=left|5위1
align=left|2위3위3위5위4
참가 팀 수8797



인도가 2010년, 2014년, 2022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차지하며 여자 카바디 강국임을 입증했다. 이란은 2018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 2. 1. 경기 방식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과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준결승에서 패배한 두 팀 모두에게 동메달을 수여했다.

2. 2. 2. 역대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 인도91111
2 이란2316
3 방글라데시0347
4 파키스탄0268
5 태국0123
6 대한민국0112
7 중화 타이베이0011
7 일본0011


2. 2. 3. 대한민국 여자 국가대표팀 성적

대한민국 여자 대표팀은 아직 아시안 게임에서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연도개최지우승결과준우승동메달리스트
2010중국 광저우인도28-14태국태국
2014대한민국 인천인도31-21이란태국


3. 참가국

아시안 게임 카바디에는 남자부에 13개국, 여자부에 11개국이 참가했다. 여자부 경기는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으로 도입되었다.[1]

3. 1. 남자부

아시안 게임 남자 카바디 종목에는 총 13개국이 참가했다.

랭킹경기득점실점점수차승점
1IND|인도영어3937021700784+91674
2PAK|파키스탄영어40242141197833+36450
3BAN|방글라데시영어3618315984924+6039
4IRI|이란영어211416806545+26129
5JPN|일본영어36101257541090-33621
6KOR|대한민국한국어12705358352+614
7SRI|스리랑카영어15519326506-18012
8INA|인도네시아영어5302132182-506
9MAS|말레이시아영어162014324614-2904
10THA|태국영어132011294592-2984
11NEP|네팔영어202018375769-3944
12CHN|중국중국어510489148-592



199019941998200220062010201420182022참가 횟수
BAN|방글라데시영어2위2위3위2위3위5위7위5위5위9
CHN|중국중국어4위1
3위1
IND|인도영어1위1위1위1위1위1위1위3위1위9
INA|인도네시아영어5위1
IRI|이란영어4위2위2위1위2위5
JPN|일본영어4위4위5위4위5위3위7위7위9위9
MAS|말레이시아영어5위7위5위11위5위5
NEP|네팔영어4위5위7위9위4
PAK|파키스탄영어3위3위2위3위2위3위3위3위3위9
KOR|대한민국한국어5위3위2위7위4
SRI|스리랑카영어4위6위7위3
THA|태국영어6위5위9위7위4
참가 팀 수6576578119



연도개최지width=1% rowspan=10|결승width=1% rowspan=10|3위 결정전
우승결과준우승3위결과4위
1990[1] 베이징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일본
1994
히로시마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일본
1998
방콕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2002
부산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일본
2006
도하

인도
35–23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37–26
이란



연도개최지width=1% rowspan=4|결승width=1% rowspan=4|동메달리스트
우승결과준우승
2010
광저우

인도
37-27
이란

파키스탄
and
일본
2014
인천

인도
27-25
이란

파키스탄
and
대한민국


3. 2. 여자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으로 여자 카바디 종목이 도입되었으며, 총 11개국이 참가했다.[1]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
참가 횟수
align=left|3위3위7위5위4
align=left|5위7위3위2위4
align=left|1위1위2위1위4
align=left|7위1
align=left|3위2위1위3위4
align=left|5위9위2
align=left|7위1
align=left|7위3위2
align=left|5위5위5위7위4
align=left|5위1
align=left|2위3위3위5위4
참가 팀 수8797

[1]


  • 변경 사항

1. 허용되지 않는 템플릿 제거: `` 템플릿은 제거 대상이므로 제거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