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슈비츠 의정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슈비츠 의정서는 루돌프 브르바, 알프레트 베츨러, 아르노슈트 로신, 체스와프 모르도비츠, 제르지 타보 등이 작성한 보고서들을 묶어 지칭하는 문서이다. 이 보고서들은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의 구조, 가스실 운영 방식, 학살된 유대인 수 등 홀로코스트의 참상을 상세히 담고 있으며, 1944년 11월 26일 뉴욕 타임스에 내용이 보도되었다. 아우슈비츠 의정서는 홀로코스트의 실상을 국제 사회에 알리고, 학살 중단을 위한 노력을 촉구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3년 문서 - 카이로 선언
카이로 선언은 1943년 미국, 영국, 중화민국이 일본 침략 억제와 전후 처리를 논의한 카이로 회담 결과 발표된 공동 성명으로, 일본의 무조건 항복, 만주·대만·펑후 제도 반환, 한국 독립 약속 등의 내용을 담고 있어 연합국의 대일 방침과 포츠담 선언의 기초가 되었으나, "적절한 시기에"라는 문구와 댜오위다오 영유권, 대만 지위 논쟁 등 논란이 있다. - 1943년 문서 - 모스크바 선언
모스크바 선언은 1957년 모스크바 회의에서 채택된 선언으로, 탈스탈린화와 헝가리 혁명 이후 사회주의의 다양한 경로, 평화 공존, 인민 전선 전술을 논의하며 공산주의 운동의 단결을 시도했으나, 중소 분쟁 심화와 각국 공산당의 독립 노선 추구로 이어졌다. -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 졸라휘테
졸라휘테는 게스트 하우스 사진이 소설에 영감을 주고, SS 여성 보조원들이 블루베리를 먹는 사진이 희곡의 소재가 되는 등 대중 문화 작품에 영감을 준 장소이다. -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 존더코만도 사진
존더코만도 사진은 1944년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수용소에서 존더코만도가 극도로 위험한 상황 속에서 촬영한 가스실과 소각 시설의 모습이 담긴 네 장의 사진으로, 홀로코스트의 끔찍한 현실을 증언하는 결정적인 증거이며, 헬레나 단톤에 의해 폴란드 지하 조직으로 밀반출되어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증거 자료로 사용되었다.
아우슈비츠 의정서 | |
---|---|
개요 | |
유형 | 홀로코스트에 대한 목격자 증언 |
주제 |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
내용 | |
관련 보고서 | 아우슈비츠 의정서 브르바-베츨러 보고서 |
관련 인물 | 루돌프 브르바 알프레드 베츨러 예르지 타베우 체스와프 모르도비치 |
추가 정보 | |
관련 사건 | 홀로코스트 |
관련 장소 |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
2. 아우슈비츠 의정서의 구성
루돌프 브르바(루돌프 브르바/Rudolf Vrba영어)와 알프레트 베츨러(알프레드 베츨러/Alfred Wetzler영어)가 1944년 4월에 작성한 브르바-베츨러 보고서(Vrba–Wetzler Report)와,[18] 1944년 5월 27일에 아르노슈트 로신(Arnošt Rosin)과 체스와프 모르도비츠(Czesław Mordowicz)가 작성한 로신-모르도비츠 보고서(Rosin-Mordowicz Report),[18] 그리고 제르지 타보(Jerzy Tabeau)가 작성한 "폴란드 소령의 보고서"가 그것이다.[21]
브르바-베츨러 보고서는 루돌프 브르바와 알프레트 베츨러가 1944년 4월 7일에서 4월 11일 사이에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탈출하여 작성한 33페이지 분량의 보고서이다.[7] ''의정서''에서는 33페이지 분량으로 "No 1. 상부 실레지아의 아우슈비츠(오쉬비엥침)와 비르케나우 학살 수용소"라고 불렸다.[8][9] 1942년 4월 13일, 알프레트 베츨러가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었고, 6월 30일에는 루돌프 브르바가 아우슈비츠로 끌려갔다. 1944년 4월 24일 브라티슬라바 실무 그룹의 오스카르 노이만 박사를 만났으며, 4월 27일, 브르바-베츨러 보고서의 독일어 번역본이 완료되었다.
로신-모르도비츠 보고서는 1944년 5월 27일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탈출한 아르노슈트 로신과 체스와프 모르도비츠의 7페이지 분량의 보고서이다.[7] 이는 브르바-베츨러 보고서의 추가 장 "III. Birkenau"로 제시되었다.[8]
"폴란드 소령의 보고서"는 제르지 타보 (또는 타바우)가 작성했으며, 그는 예명 제르지 베소워프스키로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어 1943년 11월 19일 로만 치엘리츠코와 함께 탈출했다. 졸탄 티보리 스자보는 타보가 1943년 12월과 1944년 1월 사이에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기록했다.[10] 1942년 6월 20일에는 카지미에르 피에호프스키가 탈출하여 폴란드 국내군에게 정보를 전달하였고,[10] 같은해 11월 2일에는 카지미에레즈 할로리가 탈출하여 폴란드 사회당에 정보를 전달하였다. 또한 1943년 4월 27일에는 비톨트 필레키가 탈출하여 그의 보고서인 비톨트의 보고서는 OSS에 보관되기도 하였다. 이 보고서는 1944년 8월 제네바에서 등사기를 사용하여 복사되었으며 폴란드 망명 정부와 유대인 단체에 의해 배포되었다.[10] 이는 ''의정서''에 19페이지 분량의 "No 2. Transport (폴란드 소령의 보고서)"로 제시되었다.[8]
''아우슈비츠 의정서''의 내용은 1944년 11월 26일 ''뉴욕 타임스''에 자세히 논의되었다.[8]
2. 1. 브르바-베츨러 보고서 (Vrba–Wetzler Report)
브르바-베츨러 보고서(Vrba–Wetzler Report)는 1944년 4월 아우슈비츠를 탈출한 루돌프 브르바(Rudolf Vrba)와 알프레트 베츨러(Alfred Wetzler)가 작성한 보고서다.[18] 이 보고서는 "아우슈비츠 의정서"라고도 불리며,[18]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구조, 가스실 운영 방식, 학살된 유대인 수 등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다.1942년 4월 13일, 알프레트 베츨러가 아우슈비츠로 이송되었고, 6월 30일에는 루돌프 브르바가 아우슈비츠로 끌려갔다. 1944년 4월 7일부터 11일 사이에 브르바와 베츨러는 아우슈비츠를 탈출하여 4월 24일 브라티슬라바 실무 그룹의 오스카르 노이만 박사를 만났다. 4월 27일, 브르바-베츨러 보고서의 독일어 번역본이 완료되었다.
이 보고서는 33페이지 분량으로 "No 1. 상부 실레지아의 아우슈비츠(오쉬비엥침)와 비르케나우 학살 수용소"라고 불렸다.[19][20] 보고서에는 아우슈비츠 II-비르케나우로 들어가는 주요 철도 선로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다.
1944년 11월 26일, ''The New York Times''는 ''의정서''의 내용을 자세히 보도했다.[22]
2. 2. 로신-모르도비츠 보고서 (Rosin-Mordowicz Report)
아르노슈트 로신(Arnošt Rosin)과 체스와프 모르도비츠(Czesław Mordowicz)는 1944년 5월 27일 아우슈비츠를 탈출하여 7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를 작성했다.[18] 이 보고서는 브르바-베츨러 보고서의 추가 장인 "III. Birkenau"로 제시되었다.[19] 로신과 모르도비츠는 1944년 5월 15일부터 27일까지 10만 명의 헝가리 유대인이 아우슈비츠에 도착하여 즉시 살해되었다고 보고했다.[7] 이 보고서는 브르바-베츨러 보고서를 보충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아우슈비츠 의정서에 포함되었다.2. 3. 폴란드 소령의 보고서 (Polish Major's Report)
"폴란드 소령의 보고서"는 제르지 타보(예르지 베소워프스키)가 작성한 보고서로, 그는 1943년 11월 19일 로만 치엘리츠코와 함께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를 탈출했다.[10] 졸탄 티보리 스자보에 따르면, 타보는 1943년 12월부터 1944년 1월 사이에 보고서를 작성했다.[10] 이 보고서는 1944년 8월 제네바에서 등사기를 사용하여 복사되었으며 폴란드 망명 정부와 유대인 단체에 의해 배포되었다.[10]"폴란드 소령의 보고서"는 19페이지 분량으로, ''아우슈비츠 의정서''에 "2번. 수송(폴란드 소령의 보고서)"으로 제시되었다.[8] 1942년 6월 20일에는 카지미에르 피에호프스키가 탈출하여 폴란드 국내군에게 정보를 전달하였고,[10] 같은해 11월 2일에는 카지미에레즈 할로리가 탈출하여 폴란드 사회당에 정보를 전달하였다. 또한 1943년 4월 27일에는 비톨트 필레키가 탈출하여 그의 보고서인 비톨트의 보고서는 OSS에 보관되기도 하였다.
3. 아우슈비츠 의정서의 연표
3. 1. 1942년
3. 2. 1943년
3. 3. 1944년
4. 아우슈비츠 의정서의 영향
4. 1. 스위스 내 여론 변화
4. 2. 국제 사회의 압력
4. 3. 전후 전범 재판
5. 아우슈비츠 의정서와 관련된 인물
5. 1. 보고서 작성자
5. 2. 조력자
5. 3. 기타 관련 인물
6. 아우슈비츠 의정서의 역사적 의의
아우슈비츠 의정서는 홀로코스트의 참상을 생생하게 증언하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다. 이 보고서들은 국제 사회에 홀로코스트의 실상을 알리고, 학살 중단을 위한 노력을 촉구하는 데 기여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아우슈비츠 의정서의 역사적 교훈을 되새기며, 인권과 평화의 가치를 수호하고, 미래 세대에게 올바른 역사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아우슈비츠 의정서와 유사한 보고서로는 Witold Pilecki가 1943년에 작성한 ''Witold의 보고서''(Pilecki의 보고서)가 있다. 또한, 점령된 폴란드에서 나치의 잔혹행위에 관한 1942년 보고서인 ''폴란드 흑서'', 점령된 폴란드의 상황을 설명하는 1939-1942년 일련의 보고서인 ''카르스키의 보고서'', 1939년 전후의 폴란드-독일 관계에 대해 보고하는 1940년 및 1941년의 ''폴란드 백서'', 1942년 12월 나치의 유대인 학살에 관한 폴란드 외무부 장관의 메모인 ''라친스키의 메모''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Extermination Camps of Auschwitz (Oświęcim) and Birkenau in Upper Silesia
https://archive.org/[...]
War Refugee Board
1944-11-26
[1]
웹사이트
The Auschwitz Protocol: The Vrba–Wetzler Report
http://vrbawetzler.e[...]
Vrba–Wetzler Memorial
[2]
문서
Tibori Szabó (2011), pp. 85–120
[3]
문서
Tibori Szabó (2011), p. 94
[4]
서적
The Man Who Stopped the Trains to Auschwitz: George Mantello, El Salvador, and Switzerland's Finest Hour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Man Who Stopped the Trains to Auschwitz: George Mantello, El Salvador, and Switzerland's Finest Hour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6]
문서
Conway (2002), pp. 292–293, footnote 3.
[7]
문서
Tibori Szabó (2011), p. 91
[8]
문서
Gilbert (1989), p. 305
https://books.google[...]
[9]
뉴스
The Auschwitz Protocol: The Vrba-Wetzler Report
http://www.holocaust[...]
[10]
문서
Tibori Szabó (2011), p. 90.
[11]
문서
Tibori Szabó (2011), pp. 85–120
[12]
문서
Tibori Szabó (2011), p. 94
[13]
문서
Tibori Szabó (2011), p. 94
[14]
서적
The Man Who Stopped the Trains to Auschwitz: George Mantello, El Salvador, and Switzerland's Finest Hour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15]
웹인용
The Extermination Camps of Auschwitz (Oświęcim) and Birkenau in Upper Silesia
https://archive.org/[...]
War Refugee Board
1944-11-26
[16]
문서
Conway (2002), pp. 292–293, footnote 3.
[17]
문서
Conway (2002), pp. 292–293, footnote 3.
[18]
문서
Tibori Szabó (2011), p. 91
[19]
문서
Gilbert (1989), p. 305
https://books.google[...]
[20]
뉴스
The Auschwitz Protocol: The Vrba-Wetzler Report
http://www.holocaust[...]
Holocaust Research Project
[21]
문서
Tibori Szabó (2011), p. 90.
[22]
문서
Gilbert (1989), p. 305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