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이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핀(i-PIN)은 대한민국에서 인터넷상에서 본인 확인을 위해 사용되던 서비스이다. 주민등록번호의 대규모 유출 및 악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2005년 가이드라인 발표 후 2006년 개정되어 시행되었다. 아이핀은 서울신용평가정보, 코리아크레딧뷰로, 한국신용평가정보의 3개 민간 발급 기관과 행정안전부의 공공 아이핀 센터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다. 아이핀은 주민등록번호를 대체하여 개인 식별 및 본인 인증을 가능하게 하지만, 민간 정보 수집 규제에 한계가 있으며, 발급 기관에 정보가 집중되어 유출될 위험이 존재한다. 2010년 아이핀 도입 의무화가 추진되었으나, 실제 활용에는 제약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인터넷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은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개인정보 보호, 정보통신망의 건전하고 안전한 이용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법률로서,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책임과 이용자의 권리, 불법정보 유통 금지 등을 규정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인터넷 -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009년 7월에 설립되었으며, 감사실, 원장 직속 부서, 경영기획본부, 정보보호산업본부, 인터넷서비스지원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 인터넷 용어 -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ADSL)은 전화선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속도가 더 빠른 비대칭적인 고속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기술로, 주파수 분할 이중 방식과 이산 다중톤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거리와 잡음에 따라 속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광섬유 인터넷의 발전으로 서비스가 축소되고 있다.
  • 인터넷 용어 - 전자우편
    전자우편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편지와 메시지를 주고받는 시스템으로, 시분할 메인프레임 통신에서 시작하여 @ 기호 주소 체계 도입 후 아파넷을 통해 대중화되었으며, 다양한 형식의 파일 첨부와 스팸 등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널리 사용되는 통신 수단이다.
아이핀
개요
종류개인 식별 번호
개발대한민국
사용 국가대한민국
상세 정보
목적인터넷상의 개인 식별 및 인증
특징주민등록번호 대체 수단
발급 및 관리인증 기관 (민간 기업)
기술 기반암호화 기술, 보안 프로토콜
역사
도입2006년
배경주민등록번호 오남용 문제, 개인 정보 보호 강화 요구
발전스마트폰 앱 형태로 발전
사용 방법
발급본인 인증 후 인증 기관 웹사이트에서 발급
사용웹사이트에서 본인 인증 수단으로 선택, i-PIN 정보 입력
장단점
장점주민등록번호 노출 방지, 개인 정보 보호 강화
단점추가적인 인증 절차 필요, 관리 주체 분산으로 인한 혼란 가능성
현황 및 전망
현황공공기관 및 민간 웹사이트에서 널리 사용
전망다양한 인증 기술과 경쟁, 간편 인증 서비스 확산

2. 연혁

2005년 7월 대한민국 정보통신부(2008년 폐지)와 한국정보보호진흥원(2009년 한국인터넷진흥원에 통합)은 i-PIN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1] 2006년 10월에는 i-PIN 시스템이 정식으로 시행되었으며,[1] 2009년 7월 2일부터는 이용 편의성을 개선한 i-PIN 2.0이 제공되고 있다.[1]

3. 아이핀 발급 기관

아이핀은 서울신용평가정보, 코리아크레딧뷰로, 한국신용평가정보 등 세 곳의 민간 발급 기관과 행정안전부 공공 아이핀 센터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었다.[14]

3. 1. 민간 아이핀 발급 기관

아이핀은 세 개의 민간 발급 기관 및 행정안전부의 공공 아이핀 센터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다.[14] 민간 아이핀 발급 기관은 다음과 같다.

  • 서울신용평가정보의 사이렌24 아이핀
  • 코리아크레딧뷰로의 KCB 아이핀
  • 한국신용평가정보의 나이스 아이핀

3. 2. 공공 아이핀

행정안전부 공공 아이핀 센터에서 발급하는 아이핀으로, 2018년 10월 31일까지만 가입이 가능했다.[1] 아이핀은 원래 공공기관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논의되었지만, 공공 아이핀으로 일반 웹사이트 가입이 가능하고, 민간 아이핀으로도 공공기관 사이트에 가입할 수 있었기 때문에 공공 아이핀은 사실상 민간 아이핀과 동등한 서비스였다.

4. 가입 및 이용

아이핀 발급 기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가입하며, 가입 시에는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해야 한다. 본인 인증을 위해서는 본인 명의의 휴대 전화, 범용 공인인증서, 주민등록증 발급일자 등을 이용하거나, 아이핀 발급 기관을 직접 방문해야 한다.

4. 1. 아이핀 가입 절차

아이핀을 발급하는 여러 기관 중 하나를 선택한다. 발급 기관이 달라도 아이핀을 통해 가입할 수 있는 웹사이트(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 간에는 차이가 없다.[1] 가입 페이지에서 주민등록번호 및 사용할 아이디,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1] 본인 여부를 증명하기 위해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 범용 공인인증서, 주민등록증 발급 날짜 등으로 인증하거나 아이핀 발급 기관을 직접 방문하면 아이핀 가입이 완료된다.[1] 발급 기관에 가입하면 아이핀 번호를 발급받을 수 있다.[2] 아이핀을 사용하여 가입하려는 웹사이트에서 아이핀 발급 기관의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한다.[2] 가입하려는 웹사이트에서 나머지 절차를 진행하면 가입이 완료된다.[2]

4. 2. 아이핀을 이용한 웹사이트 가입 절차

웹사이트에 따라 세부 절차는 달라질 수 있으나, 주민등록번호 대신 아이핀을 사용하는 것은 공통사항이다. 아이핀 가입을 지원하는 웹사이트에서 주민등록번호 가입 대신 아이핀 가입을 선택하고, 아이핀 발급 기관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가입하려는 웹사이트의 나머지 가입 절차를 수행하면 웹사이트 가입이 완료된다.

5. 기대 효과


  • 민간에서 자체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수집하지 않으면서도 개인 식별 및 본인 인증이 가능하다.
  • 아이핀 번호는 변경할 수 있어 유출 시 주민등록번호보다 덜 민감하다.
  • 아이핀은 다수의 개별 민간업체가 아닌, 정부가 지정한 다섯 곳의 민간 기업에 보관되므로 유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6. 한계점

아이핀 제도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닌다.


  •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관행 개선 미흡: 아이핀 제도는 민간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을 규제하기보다는 협력하는 방식으로,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민감한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하는 웹사이트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16]
  • 정보 집중으로 인한 대규모 피해 발생 가능성: 아이핀 발급 기관에 개인정보가 집중되므로, 정보 유출 시 대규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17]
  • 개인정보 집중 문제: 아이핀 발급 기관에는 개인이 가입한 웹사이트 정보가 저장되는데, 이는 또 다른 개인정보 집중 문제를 야기한다.[18]
  • 전자상거래 시 주민등록번호 요구: 한국의 전자상거래법은 여전히 주민등록번호를 요구하고 있어, 아이핀을 활용한 전자상거래에 제약이 있다. 예를 들어, 옥션, G마켓(구 11번가)과 같은 대형 오픈마켓이나 쿠팡, 위메프와 같은 소셜 커머스 사이트 및 각종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회원 가입은 아이핀으로 가능하지만, 실제 결제 시에는 결제 수단에 따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16]

7. 아이핀 도입 의무화

정부는 아이핀 활성화를 위해 도입 의무화를 추진했으나, 실효성은 여전히 낮았다.[19][20] 2010년 3월 27일까지 일일 평균 이용자 수가 포털은 5만 명, 그 외는 1만 명 이상인 사이트 중 일부 예외를 뺀 1039개 사이트를 의무 도입 대상으로 발표했다.[21][22] 그러나 의무화 발표 이후에도 아이핀 도입은 저조하였으며[23] 옥션,[24] 다나와[25] 등의 일부 사이트는 아이핀을 도입했지만 실제로는 아이핀만으로는 정상적인 이용이 불가능하고,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공공 i-PIN 개요 http://www.g-pin.go.[...]
[2] 웹사이트 사이렌24 i-Pin 발급 http://www.siren24.c[...]
[3] 웹사이트 KCB i-PIN 발급 http://www.ok-name.c[...]
[4] 웹사이트 나이스i-Pin 발급 http://www.idcheck.c[...]
[5] 웹사이트 SG i-Pin 발급 http://www.sgipin.co[...]
[6] 뉴스 業界無視 i-Pin 有効化難航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08-01-01
[7] 뉴스 포털사이트 대체 주민번호 `i-Pin' 이용률 저조 http://www.chosun.co[...] 聯合ニュース 2008-06-22
[8] 간행물 2009년 주민등록번호 외 회원가입수단 도입 대상 사업자 공시 http://www.kcc.go.kr[...] 방송통신위원회 2010-04-19
[9] 뉴스 방통위(방송통신위원회) i-Pin 도입 의무화 “주민번호 없는 인터넷 조성” http://www.ibtimes.c[...] 아이비타임즈 2009-07-07
[10] 뉴스 'i-Pin 도입' 눈감은 '민간 웹' http://www.etnews.co[...] etnews 2010-01-25
[11] 문서 아이핀을 이용한 회원가입 및 주민등록번호 입력
[12] 문서 아이핀을 이용한 회원가입 및 주민등록번호 입력(장터 서비스)
[13] 웹사이트 공공 I-PIN 개요 http://www.g-pin.go.[...] 2013-09-17
[14] 웹사이트 사이렌24아이핀 발급 http://www.siren24.c[...]
[15] 웹사이트 KCB아이핀 발급 http://www.ok-name.c[...]
[16] 문서 신용카드 결제시 주민등록번호 미요구, 계좌이체·무통장입금시 주민등록번호 요구
[17] 뉴스 e쇼핑몰이 주민번호 계속 수집하는 까닭 http://www.bloter.ne[...] 블로터닷넷 2013-02-20
[18] 뉴스 주민번호 수집 금지?…정보통신망법의 모순 http://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2012-02-21
[19] 뉴스 업계 외면 `아이핀` 활성화 난항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08-01-01
[20] 뉴스 포털 대체 주민번호 `아이핀' 이용률 저조 http://www.chosun.co[...] 연합뉴스 2008-06-22
[21] 간행물 2009년 주민등록번호 외 회원가입수단 도입 대상 사업자 공시 http://www.kcc.go.kr[...] 방송통신위원회 2010-04-19
[22] 뉴스 방통위, 아이핀 도입 의무화 “주민번호 없는 인터넷 조성” http://www.ibtimes.c[...] 아이비타임즈 2009-07-07
[23] 뉴스 '아이핀 도입' 눈감은 '민간 웹' http://www.etnews.co[...] 이티뉴스 2010-01-25
[24] 문서 아이핀을 이용한 회원가입 및 주민등록번호 입력
[25] 문서 아이핀을 이용한 회원가입 및 주민등록번호 입력(장터 서비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