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키사우루스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키사우루스류는 안키사우루스과, 멜라노로사우루스과, 용각하목 등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2004년 갈톤과 업처치에 의해 안키사우루스과와 멜라노로사우루스과가 안키사우루스류 하위에 분류되었으며, 2010년 예이츠는 안키사우루스류가 원시 용각류보다 용각류에 더 가깝다는 것을 밝혀 용각하목을 안키사우루스류 하위에 두었다. 안키사우루스, 아르도닉스, 레오네라사우루스, 멜라노로사우루스과, 용각하목 등이 안키사우루스류에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각아목 - 플라테오사우루스류
    플라테오사우루스류는 플라테오사우루스, 마소스폰딜루스 및 이들로부터 진화한 공룡의 조상으로 정의되며, 원시 용각류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플라테오사우루스과, 장각류, 안키사우루스류 등을 포함한다.
  • 용각아목 - 플라테오사우루스
    플라테오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 유럽에서 서식한 초식 공룡 속으로, 긴 목과 꼬리, 작은 머리를 가진 초기 용각류형 공룡이며, 두 발로 걷는 데 특화된 동물로 여겨진다.
안키사우루스류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안키사우루스 복원도
안키사우루스의 생태 복원도
학명Anchisauria
명명자하켈, 1895년
화석 발견 시기트라이아스기 후기 - 백악기 후기 (백만 년 전)
하위 그룹†아르도닉스
안키사우루스
†블리카나사우루스?
†공셴고사우루스?
†이리소사우루스
†콜루몰루모?
†레오네라사우루스
†무스사우루스
†슐라이트헤이미아?
†세파파노사우루스
†튀빙고사우루스?
†이저우사우루스?
†멜라노로사우루스과
†용각아목

2. 분류

안키사우루스류는 2004년 피터 M. 갤턴과 폴 업처치가 안키사우루스과와 멜라노로사우루스과를 포함하는 분류군으로 정의했다.[8] 2010년 애덤 M. 예이츠는 안키사우루스류가 기존의 원시 용각류보다 용각류에 계통상 더 가깝다는 것을 밝혔고,[11] 2007년에는 윤나노사우루스를 안키사우루스류에 포함시키기도 했다.[12]

2. 1. 계통 분류

近蜥龙类중국어안키사우루스, 아르도닉스, 레오네라사우루스 등을 포함하며, 멜라노로사우루스과와 용각하목을 포함하는 더 큰 분기군으로 확장되었다.[9][10] 2011년 Diego Pol 등의 연구에 기반한 아래 분지도는 안키사우루스류의 계통 발생학적 위치와 그 하위 분류군 간의 관계를 보여준다.[13][14]

{| class="wikitable"

|-

! '''안키사우루스류'''

|-

|

{| class="wikitable"

|-

| 안키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아르도닉스

|-

|

{| class="wikitable"

|-

| 레오네라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멜라노로사우루스과

|-

|



|-

! 용각하목

|-

|

{| class="wikitable"

|-

|

안테토니트루스



|-

|

{| class="wikitable"

|-

| 코타사우루스

|-

! 중체룡류

|-

|



|}

|}

|}

|}

|}

|}

|}

참조

[1] 논문 Postcranial anatom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Mussaurus patagonicus'' (Dinosauria, Sauropodomorpha)
[2] 논문 A New Basal Sauropodomorph (Dinosauria: Saurischia) from Quebrada del Barro Formation (Marayes-El Carrizal Basin), Northwestern Argentina
[3] 서적 Systematische Phylogenie der Wirbelthiere: (Vertebrata) https://books.google[...] G. Reimer 1895
[4] 서적 The dinosauria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
[5] 논문 Skull remains of the dinosaur ''Saturnalia tupiniquim'' (Late Triassic, Brazil): With comments on the early evolution of sauropodomorph feeding behaviour 2019
[6] 논문 A revision of the problematic sauropodomorph dinosaurs from Manchester, Connecticut and the status of ''Anchisaurus'' Marsh
[7] 논문 The complete anatom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ntetonitrus'' ingenipes(Sauropodiformes, Dinosauria): Implications for the origins of Sauropoda
[8] 간행물 "Prosauropod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
[9] 논문 Postcranial anatom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Mussaurus patagonicus'' (Dinosauria, Sauropodomorpha)
[10] 논문 A New Basal Sauropodomorph (Dinosauria: Saurischia) from Quebrada del Barro Formation (Marayes-El Carrizal Basin), Northwestern Argentina
[11] 논문 A revision of the problematic sauropodomorph dinosaurs from Manchester, Connecticut and the status of ''Anchisaurus'' Marsh
[12] 간행물 "The first complete skull of the Triassic dinosaur ''Melanorosaurus'' Haughton (Sauropodomorpha: Anchisauria)" 2007
[13] 논문 A New Sauropodomorph Dinosaur from the Early Jurassic of Patagonia and the Origin and Evolution of the Sauropod-type Sacrum http://www.plosone.o[...] 2015-02-15
[14] 문서 원래의 분지도에는 [[멜라노로사우루스]]만 기재되어 있으나, 여기에 [[멜라노로사우루스과]]를 추가하였다. 또, 원래의 분지도에서는 [[레셈사우루스]]를 [[용각하목]] 하위 [[안테토니트루스]]와 같은 위치에 분류하고 있으나, 레셈사우루스를 멜라노로사우루스과로 보는 연구가 지배적이므로 그에 따랐으며, [[불카노돈]]과 [[진용각류]]를 [[중체룡류]]로 묶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