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플라테오사우루스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라테오사우루스류는 플라테오사우루스, 마소스폰딜루스 및 그로부터 진화한 공룡들의 조상으로 정의되는 분류군이다. 1998년 폴 세레노에 의해 처음 규정되었으며, 2004년에는 피터 갈튼과 폴 업처치에 의해 원시 용각류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재정의되었다. 21세기 연구에서는 원시 용각류가 별도로 분류되지 않고 플라테오사우루스과의 동물이명으로 간주된다. 플라테오사우루스류는 플라테오사우루스과, 장각류, 안키사우루스류 등을 포함하며, 연구자에 따라 분류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각아목 - 안키사우루스류
    안키사우루스류는 안키사우루스과, 멜라노로사우루스과, 용각하목 등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며, 2004년 갈톤과 업처치에 의해 안키사우루스과와 멜라노로사우루스과가, 2010년 예이츠에 의해 용각하목이 하위에 분류되었다.
  • 용각아목 - 플라테오사우루스
    플라테오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 유럽에서 서식한 초식 공룡 속으로, 긴 목과 꼬리, 작은 머리를 가진 초기 용각류형 공룡이며, 두 발로 걷는 데 특화된 동물로 여겨진다.
플라테오사우루스류 - [생물]에 관한 문서
플라테오사우루스류 정보
플라테오사우루스의 골격 화석
플라테오사우루스의 화석
화석 연대트라이아스기 후기-백악기 후기,
학명플라테오사우루스류
명명자토르니어, 1913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룡강
상목공룡상목
용반목
아목용각아목
미분류 하목플라테오사우루스류
하위 분류
하위 항목플라테오사우루스과 (Plateosauridae)
장각류 (Massopoda)
이명
이명Allophagi Jaekel, 1914

2. 분류

폴 세레노는 1998년에 플라테오사우루스마소스폰딜루스 및 그로부터 진화한 공룡들의 조상을 플라테오사우루스류로 규정했다.[2] 2004년에는 피터 갤턴(Peter Galton)과 폴 업처치(Paul Upchurch)가 원시 용각류에 속하는 플라테오사우루스와 징샤노사우루스 및 그로부터 진화한 공룡들의 조상을 플라테오사우루스류로 정의했다.[3] 21세기 연구에서는 원시 용각류가 별도로 분류되지 않고 플라테오사우루스과의 동물이명(synonym)으로 정의된다.[4]

2. 1. 계통 분류

플라테오사우루스류의 계통 분류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2011년 세실리아 아팔데티(Cecilia Apaldetti) 외의 연구에서는 플라테오사우루스류를 플라테오사우루스과장각류로 나누고, 장각류는 다시 리오자사우루스과, 마소스폰딜루스과, 안키사우루스류 등으로 나누었다. 이 분지도에는 우나이사우루스, 플라테오사우루스, 리오자사우루스, 마소스폰딜루스, 안키사우루스 등이 포함된다.[4]

같은 해 페르난도 E. 노바스(Fernando E. Novas) 외의 연구에서는 플라테오사우루스류를 플라테오사우루스과장각류로 나누는 것은 같지만, 장각류의 하위 분류에서 리오자사우루스과, 마소스폰딜루스과, 안키사우루스류의 세부적인 관계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 분지도에는 자클라팔리사우루스, 우나이사우루스, 플라테오사우루스, 리오자사우루스, 마소스폰딜루스, 안키사우루스 등이 포함된다.[5]

2. 1. 1. Cecilia Apaldetti 외 (2011)

다음은 Cecilia Apaldetti 외의 2011년 연구를 따랐다.[4]

{| class="wikitable"

|-

! 플라테오사우루스류

|-

|

{| class="wikitable"

|-

! 플라테오사우루스과

|-

|

{| class="wikitable"

|-

| 우나이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플라테오사우루스 엔겔하르드티

|-

|

플라테오사우루스 그라킬리스
플라테오사우루스 인겐스



|}

|}

|}

|-

! 장각류

|-

|

{| class="wikitable"

|-

! 리오자사우루스과

|-

|

에우크네메사우루스
리오자사우루스



|}

|-

|

{| class="wikitable"

|-

|

이그나부사우루스
사라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마소스폰딜루스과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마소스폰딜루스

|-

|

아데오팝포사우루스
레예사우루스



|}

|}

|-

|

{| class="wikitable"

|-

| 윤나노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징샤노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세이타드

|-

! 안키사우루스류

|-

|

{| class="wikitable"

|-

| 안키사우루스

|-

|

아르도닉스
용각하목



|}

|}

|}

|}

|}

|}

|}

|}

|}

2. 1. 2. Fernando E. Novas 외 (2011)

다음은 Fernando E. Novas 외의 2011년 연구를 따른 분지도이다.[5]

{| class="wikitable"

|-

! 플라테오사우루스류

|-

|

{| class="wikitable"

|-

! 플라테오사우루스과

|-

|

자클라팔리사우루스
우나이사우루스
플라테오사우루스 엔겔하르드티
플라테오사우루스 그라킬리스
플라테오사우루스 인겐스



|}

{| class="wikitable"

|-

! 장각류

|-

|

{| class="wikitable"

|-

! 리오자사우루스과

|-

|

에우크네메사우루스
리오자사우루스



|}

{| class="wikitable"

|-

! 마소스폰딜루스과

|-

|

{| class="wikitable"

|-

| 마소스폰딜루스

|-

| 프라다니아

|-

|

{| class="wikitable"

|-

| 콜로라디사우루스

|-

|

루펭고사우루스
그라킬리사우루스



|}

|}

|}

{| class="wikitable"

|-

! 안키사우루스류

|-

|

{| class="wikitable"

|-

| 윤나노사우루스

|-

| 징샤노사우루스

|-

| 안키사우루스

|-

|



|}

|}

|}

|}

|}

참조

[1] 간행물 "Reptilia (Paläontologie)" Handwörterbuch Naturwissenschaften 1913
[2] 논문 A rationale for phylogenetic definitions, with applications to the higher-level taxonomy of Dinosauria
[3] 논문 Prosauropoda
[4] 논문 A New Basal Sauropodomorph (Dinosauria: Saurischia) from Quebrada del Barro Formation (Marayes-El Carrizal Basin), Northwestern Argentina http://www.plosone.o[...]
[5] 논문 New dinosaur species from the Upper Triassic Upper Maleri and Lower Dharmaram formations of central In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