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테노르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테노르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트로이의 장로이자 현명한 조언가로 묘사된다. 그는 아이시에테스와 클레오메스트라의 아들이며, 트라키아의 키세오스의 딸 테아노와 결혼하여 많은 자녀를 두었다. 호메로스에 따르면, 헬레네를 그리스로 돌려보내 전쟁을 막으려 했으며, 오디세우스와 메넬라오스를 트로이아에 사절로 맞이했다. 그러나 호메로스 이후의 전설에서는 트로이의 배신자로 묘사되며, 트로이 성문을 열어 그리스 군의 함락을 돕는 인물로 묘사된다. 단테의 《신곡》에서는 배신자의 대명사로 등장하며, 지옥의 한 지역인 '안테노라'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1977년 발견된 소행성 2207 안테노르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로이아 전쟁 관련자 - 아킬레우스
    아킬레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트로이 전쟁 영웅으로, 아가멤논과의 갈등,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이후 복수, 헥토르를 비롯한 트로이군 용사들을 물리치는 활약, 그리고 파리스의 화살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고대 그리스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술 분야에 영감을 주고 있다.
  • 트로이아 전쟁 관련자 - 펜테실레이아
    펜테실레이아는 트로이 전쟁에 참전한 아마존의 여왕으로, 트로이를 지원하여 용맹을 떨쳤으나 아킬레우스에게 죽임을 당했으며, 그녀의 이야기는 여러 문헌과 예술 작품, 후대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일리아스의 등장인물 - 안틸로코스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인 안틸로코스는 바람의 신 아이올로스와 에나레테의 후손으로, 이아손, 헬레네, 아킬레우스 등 여러 영웅들과 혈연관계가 있으며, 그의 가계는 그리스 신화의 인물 관계와 사회적 구조 이해에 기여한다.
  • 일리아스의 등장인물 - 디오메데스
    디오메데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여 아킬레우스 다음으로 강력한 전사로 활약했고, 전쟁 후 이탈리아로 건너가 도시를 건설하고 영웅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 일리아스 - 안틸로코스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인 안틸로코스는 바람의 신 아이올로스와 에나레테의 후손으로, 이아손, 헬레네, 아킬레우스 등 여러 영웅들과 혈연관계가 있으며, 그의 가계는 그리스 신화의 인물 관계와 사회적 구조 이해에 기여한다.
  • 일리아스 - 디오메데스
    디오메데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여 아킬레우스 다음으로 강력한 전사로 활약했고, 전쟁 후 이탈리아로 건너가 도시를 건설하고 영웅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안테노르 (신화)
기본 정보
안테노르의 흉상
안테노르의 흉상
그리스어Ἀντήνωρ
로마자 표기Antēnōr
역할트로이아의 장로
가족아버지: 아이시에테스
어머니: 클레오메스트라
아내: 테아노
자녀: 여러 명 (이름은 문헌에 따라 다름)
신화적 정보
출신트로이아
특징트로이아 전쟁에서 트로이아 편에 섰으나, 그리스군에게 도시를 넘겨주려 했다는 설이 있음.
전쟁 후 무사히 탈출하여 이탈리아 북부 또는 베네치아를 건설했다는 전설도 있음.
관련 신화트로이아 전쟁
일리아스
아이네이스
예술적 묘사
조각아테네 아크로폴리스에 그의 동상이 세워졌다는 기록이 있음.
문학여러 고대 그리스 및 로마 문학 작품에 등장.
기타
관련 인물프리아모스
헥토르
아이네이아스
테아노

2. 트로이의 장로

안테노르는 트로이 왕족 가문 출신으로, 아이시에테스와 클레오메스트라의 아들이었다. 호메로스에 따르면 그는 현명하고 사려 깊은 트로이의 장로로, 불필요한 전쟁을 막기 위해 헬레네를 그리스 진영으로 돌려보내라고 프리아모스에게 충고했다.[8] 오딧세우스와 메넬라오스가 헬레네를 데려오기 위해 트로이아에 사절로 왔을 때, 안테노르는 그들을 대접하기도 했다.[9]

2. 1. 가계

안테노르는 아이시에테스와 클레오메스트라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트라키아의 키세오스의 딸 테아노와 결혼하여 여러 자식을 두었으며[8], 이들 대부분은 트로이아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다.

안테노르와 테아노의 자식들[8]
이름
코온
아르켈로코스
아카마스
글라우코스
헬리카온
라오도코스
라오다마스
델메레온
에우리마코스
이피다마스


2. 2. 현명한 조언가

호메로스에 따르면 안테노르는 현명하고 사려 깊은 트로이의 신하였다. 그는 불필요한 전쟁을 막기 위해 헬레네를 그리스 진영으로 돌려보내라고 프리아모스에게 충고했다.[8] 오딧세우스와 메넬라오스가 헬레네를 데려오기 위해 트로이아에 사절로 왔을 때, 안테노르는 그들을 대접하기도 했다.[9]

3. 배신자 안테노르?

호메로스 이후의 전설에 따르면 안테노르는 트로이아를 배신하고 그리스 군에게 성문을 열어준 인물로 묘사된다. 횃불로 신호를 보내 함락을 도왔으며, 그리스 군의 약탈 당시 그의 집은 표범 가죽 덕분에 무사했다고 한다.[10]

이후 행적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전해진다. 단테는 ''신곡''에서 안테노르를 배신자의 대명사로 묘사, 지옥의 제9원 중 두 번째 지역을 그의 이름을 따 '안테노라'로 명명했다. 이곳은 조국 배신자들이 있는 곳이다.[11]

3. 1. 트로이 함락

호메로스 이후의 전설에서 안테노르는 트로이아의 배신자로 묘사된다. 그는 트로이아의 성문을 그리스 군에게 열어주고 횃불로 신호를 보내 그리스 군의 도시 함락을 돕는 인물로 나오는데, 그리스 군이 트로이아를 약탈할 때 그의 집에는 표범 가죽을 걸어 놓아서 약탈을 면했다고 한다.[10]

3. 2. 전후 행적

호메로스 이후의 전설에서 안테노르는 트로이아의 배신자로 묘사된다. 그는 트로이아의 성문을 그리스 군에게 열어주고 횃불로 신호를 보내 그리스 군의 도시 함락을 도왔다. 그리스 군이 트로이아를 약탈할 때 그의 집에는 표범 가죽을 걸어 놓아 약탈을 면했다고 한다.

그 이후 안테노르의 행적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트로이아를 재건했다는 설, 리비아의 퀴레네에 정착했다는 설, 이탈리아로 가서 파두아를 건설했다는 설 등이 있다.[10]

단테는 그의 신곡에서 안테노르를 배신자의 대명사로 묘사하여, 지옥의 제9원 중 두 번째 지역의 이름을 '안테노라'라고 명명하였다. 이 지역은 조국을 배신한 인물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안테노르의 이름에서 따왔다.[11]

4. 안테노르에 대한 평가

안테노르는 트로이 전쟁에서 트로이 편에 섰지만, 헬레네를 메넬라오스에게 돌려주고 그리스와 평화 협정을 맺을 것을 주장하여 트로이 사람들에게 배신자로 여겨지기도 했다.[11]

4. 1. 단테의 『신곡』

단테는 그의 《신곡》에서 안테노르를 배신자의 대명사로 묘사하였다. 지옥의 제9원, 두 번째 지역을 '''안테노라'''라고 명명하여 조국 배신자들을 가두었는데, 이 지역의 이름은 안테노르의 이름에서 따왔다.[11]

5. 천문학

1977년 소비에트 연방(현 러시아)의 천문학자 니콜라이 스테파노비치 체르니크가 발견한 소행성은 안테노르의 이름을 따서 2207 안테노르로 명명되었다.

참조

[1] 서적 Epitome 3.34
[2] 서적 Epitome 7.29
[3] 서적 Epitome 7.33
[4] 웹사이트 Greek Mythology Link (Carlos Parada) - Antenor 1 https://web.archive.[...]
[5] 서적 第7歌347
[6] 서적 Pythia v. 83
[7] 서적 I.242
[8] 서적 제3권 150행 이하. 및 제7권 345행
[9] 서적 204행
[10] 서적 제1권, 242행
[11] 서적 32편. 88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