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세이 아르부조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세이 아르부조프는 1908년 모스크바에서 태어나 1986년 사망한 소련의 극작가이다. 그는 배우와 연출가로 활동하다 희곡을 쓰기 시작했으며, 1939년 작품 '타냐'를 통해 극작가로서의 지위를 확립했다. 그의 작품들은 개인의 변혁과 구원을 다루며, '타냐'와 '이르쿠츠크 이야기' 등은 소련 관객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 1980년 소련 국가상을 수상했으며, 쿤체보 묘지에 매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계 러시아인 - 안드레이 사하로프
    안드레이 사하로프는 소련의 물리학자이자 인권 운동가로서 수소폭탄 개발에 기여했으나 핵실험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인권 문제를 비판하며 반체제 활동을 펼쳤으며, 핵무기 감축과 민주주의 확산을 주장하고 인권 운동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에는 소련 민주화에 기여했다.
  • 그리스계 러시아인 - 알렉산드로스 입실란티스
    알렉산드로스 입실란티스는 1792년 태어나 러시아군 장교로 활동했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을 준비하고 발라키아 봉기를 이끌었으나 실패 후 오스트리아에 감금되었다가 사망한 폰토스 그리스인이다.
  • 소련의 극작가 - 막심 고리키
    막심 고리키는 '쓰다'라는 뜻의 필명을 사용한 러시아의 소설가, 극작가, 수필가로,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했으며 밑바닥 인생을 묘사한 작품과 《어머니》, 《밑바닥에서》 등의 대표작을 남겨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의 창시자로 평가받는다.
  • 소련의 극작가 - 세르게이 미할코프
    세르게이 미할코프는 소련 및 러시아 국가 가사를 작사하고 아동 문학 작가와 종군 기자로도 활동한 러시아의 시인이자 작가이며, 풍자극 제작과 영화 각본 집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 1986년 사망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1986년 사망 - 정인승
    정인승은 일제강점기 국어학자로서 국어사전 편찬에 기여하고, 해방 후에는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으며,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후 건국훈장과 국민훈장을 수훈받았다.
알렉세이 아르부조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본명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아르부조프
로마자 표기Aleksei Nikolaevich Arbuzov
출생1908년 5월 26일 (구력 5월 13일)
출생지모스크바
사망1986년 4월 20일 (향년 77세)
사망지모스크바
직업극작가
국적소련
경력
활동 시기1930년대 ~ 1980년대
장르드라마
관련 인물발렌틴 플루체크
극장바흐탄고프 극장
주요 작품
대표작이르쿠츠크 이야기

2. 생애

아르부조프는 1908년 5월 26일(구력: 5월 13일) 소련 모스크바에서 태어났다. 그의 작품은 동료 인간에 대한 예리하면서도 애정 어린 태도가 특징이다. 인간의 약점을 꿰뚫어 보고, 선하고 유용한 삶을 살고자 하는 기본적인 욕망을 파악하며, 그럴듯하고 심지어 호감 가는 '긍정적인' 캐릭터를 만들어낸다는 평가를 받았다.[3]

그의 여러 희곡은 소련이라는 사회 안에서 개인의 변화와 구원을 다루고 있다. ''타냐''(1939)에서는 남편의 죽음으로 삶이 산산이 부서진 한 여인이 시베리아 마을에서 병든 사람들을 돌보면서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는다. ''이르쿠츠크 이야기''(1960)에서는 25세의 얄팍하고 쾌락적인 삶을 사는 발랴가 시베리아에서 댐을 건설하는 굴착기 작업반장 세르게이의 사랑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세르게이가 익사 사고로 죽은 후, 그녀는 건설 작업반에 합류하여 아이들을 키우면서 새로운 의미를 찾는다.[4]

이러한 등장인물들의 감정적인 삶에 대한 몰입은 일부 소련 문학 평론가들로부터 비난을 받기도 했다. 드미트리 시체글로프는 "아르부조프의 희곡을 보면 우리는 보편적인 사랑, 고귀함, 우정의 유쾌한 분위기에 휩싸인다. 그러나 이러한 훌륭한 감정들은 우리를 인도하거나 동원하거나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위대한 목표로 이끌지 못한다."라고 비판했다.[4] 하지만, 아르부조프의 등장인물들은 계급 없는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노력하는 공산주의 이상을 받아들이면서도, 개인적인 투쟁을 겪는 모습으로 소련 관객들에게 사랑받았다.[5]

1980년소련 국가상을 수상했다.

2. 1. 초기 생애

알렉세이 아르부조프는 모스크바에서 태어났지만, 1914년 그의 가족은 페트로그라드로 이주했다. 그의 아버지는 러시아인이었고 어머니는 그리스인이었다.[2] 11세에 고아가 된 그는 극장에서 구원을 찾았고, 14세에 마린스키 극장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1928년 그는 실험 드라마 길드에서 젊은 배우 그룹에 합류했다. 해산 후 그는 순회 선전 극단에 합류하여 희곡을 쓰기 시작했다.[3]

2. 2. 극작 활동

아르부조프는 모스크바에서 태어났지만, 1914년 그의 가족은 페트로그라드로 이주했다.[2] 11세에 고아가 된 그는 극장에서 구원을 찾았고, 14세에 마린스키 극장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1928년 그는 실험 드라마 길드에서 젊은 배우 그룹에 합류했다. 해산 후 그는 순회 선전 극단에 합류하여 희곡을 쓰기 시작했다. 1930년 모스크바로 이주했으며, 1935년에는 희곡 ''머나먼 길''을, 1939년에는 ''타냐''를 썼는데, 이 두 작품이 가장 성공적인 작품이었다.[3]

아르부조프의 여러 희곡은 소련적 맥락 안에서 개인의 변혁과 구원을 다루고 있다. ''타냐''(1939)에서 남편의 죽음으로 삶이 산산이 부서진 한 여인은 시베리아 마을에서 병든 사람들을 돌보면서 마침내 의미와 목적을 찾는다. ''이르쿠츠크 이야기''(1960)는 25세의 얄팍하고 쾌락적인 삶을 사는 발랴가 시베리아에서 댐을 건설하는 굴착기 작업반장 세르게이의 사랑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묘사한다. 세르게이가 익사 사고로 죽은 후, 그녀는 건설 작업반에 합류하여 아이들을 키우면서 새로운 의미를 찾는다.[4]

1930년에 처녀작인 희곡 『클라스(''Класс''ru})』를 저술했다.

1939년에 저술한 사랑에 얽매이지 않고 씩씩하게 살아가는 여성주인공인 『타냐(Таняru})』로 극작가로서의 지위를 확립했다.[7] 1959년에 희곡 『이르쿠츠크 이야기(Иркутская историяru})』를 저술했다.

2. 3. 말년

1986년 4월 20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하여 쿤체보 묘지에 매장되었다.[6] Kuntsevo Cemetery영어는 쿤체보 묘지의 영어 표기이다.

3. 주요 작품


  • 1930년, Класс|계급ru
  • 1935년, Шестеро любимыхru
  • 1935년, Дальняя дорогаru
  • 1939년, Таня|타냐ru
  • 1940년, Город на заре|새벽의 도시ru
  • 1952년, Европейская хроника|유럽 연대기ru
  • 1954년, Годы странствий|방랑의 세월ru
  • 1959년, Иркутская история|이르쿠츠크 이야기ru
  • 1960년, Двенадцатый часru
  • 1961년, Потерянный сын|잃어버린 아이ru (한국어판 제목: 아버지와 아들)
  • 1963년, Нас где-то ждутru
  • 1965년, И вновь встреча с юностью...ru
  • 1965년, Мой бедный Марат|나의 가련한 마라트ru
  • 1967년, Ночная исповедь|밤의 고백ru
  • 1968년, Счастливые дни несчастливого человекаru
  • 1970년, Сказки старого Арбата|오래된 아르바트 거리의 이야기ru
  • 1971년, Выборru
  • 1972년, В этом милом старом домеru
  • 1972년, Моё загляденьеru
  • 1974년, Вечерний светru
  • 1975년, Старомодная комедия|고풍스러운 코미디ru
  • 1976년, Ожиданиеru
  • 1978년, Жестокие игрыru
  • 1981년, Воспоминание|추억ru
  • 1983년, Победительницаru
  • 1984년, Виноватыеru

4. 평가 및 영향

아르부조프의 여러 희곡은 소련이라는 사회적 배경 속에서 개인의 변화와 구원을 다루고 있다. 1939년에 발표된 ''타냐''는 남편의 죽음으로 삶이 무너진 여인이 시베리아 마을에서 병든 사람들을 돌보며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4] 1960년 작품인 ''이르쿠츠크 이야기''는 25세의 발랴가 시베리아에서 댐을 건설하는 굴착기 작업반장 세르게이의 사랑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준다. 세르게이가 사고로 죽은 후, 발랴는 건설 작업반에 합류하여 아이들을 키우면서 새로운 의미를 찾는다.[4]

이러한 등장인물들의 감정적인 삶에 대한 깊이 있는 묘사는 일부 소련 문학 평론가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예를 들어, 드미트리 시체글로프는 아르부조프의 희곡에 대해 "보편적인 사랑, 고귀함, 우정의 유쾌한 분위기에 휩싸이지만, 이러한 훌륭한 감정들은 우리를 인도하거나 동원하거나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위대한 목표로 이끌지 못한다."라고 평가했다.[4]

그러나 아르부조프의 등장인물들은 계급 없는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노력하는 공산주의 이상을 받아들이면서도, 개인적인 어려움을 극복해나가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소련 관객들에게 사랑받았다.[5] 에이브릴 피먼은 아르부조프의 작품에 대해 "동료 인간에 대한 그의 예리하면서도 애정 어린 태도에 있다. 그는 인간의 약점을 꿰뚫어 보고, 선하고 유용한 삶을 살고자 하는 기본적인 욕망을 파악하며, 그럴듯하고 심지어 호감 가는 '긍정적인' 캐릭터를 만들어낸다."라고 평가했다.[3]

참조

[1] 서적 Russian writers and poets. Brief biographical dictionary M. 2000
[2] 서적 McGraw-Hill Encyclopedia of World Drama https://books.google[...] McGraw-Hill 1972
[3] 간행물 The Penguin Companion to Literature: European Penguin 1969
[4] 논문 Novatorstvo i inertsiya formy 1954
[5] 서적 Introduction to An Irkutsk Story Pitman Publishing 1963
[6] 웹사이트 アルブーゾフ(Aleksey Nikolaevich Arbuzov) https://kotobank.jp/[...]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コトバンク) 2019-06-10
[7] 웹사이트 アルブーゾフとは https://kotobank.jp/[...] 2013-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