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랑은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개인의 감정, 사회적 관계, 철학적, 종교적 가치 등 여러 측면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사랑은 정의, 표현 방식, 구성 요소, 유형, 그리고 생물학적, 심리학적, 사회문화적, 철학적, 종교적 관점에 따라 다르게 이해된다. 사랑은 인간의 건강과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현대 사회에서도 중요한 가치로 여겨진다. 사랑은 연애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연애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가족애, 인류애, 자기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키백과 - 공포
공포는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강렬한 감정으로, 신체적 반응과 행동 변화를 동반하며, 뇌의 편도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학습과 경험을 통해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치료가 가능하다. - 위키백과 - 공감
공감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유하는 심리적 과정으로, 정서적 공감(감정적 반응)과 인지적 공감(관점 이해)으로 나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뇌의 거울 뉴런 시스템에 영향을 받고, 사회적 상호작용, 도덕적 판단, 정신 질환과 관련되며,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고, 동물 연구 및 허구 매체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다뤄진다. - 성령의 열매 - 평화
평화는 전쟁이나 폭력의 부재, 정의의 실현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지며, 개인적 차원에서는 친절, 존중, 관용 등으로 나타나고, 역사적으로 동맹, 무역, 국제기구를 통해 추구되며, 평화 연구를 통해 폭력적, 비폭력적 행동과 사회 갈등의 구조적 메커니즘을 분석한다. - 성령의 열매 - 인내
인내는 심리학, 인지 신경과학, 종교,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과학적으로는 보상 선택의 의사결정 과정이며 종교적으로는 다양한 미덕으로, 철학적으로는 기다림의 어려움으로 다뤄지며 고통을 참는 것을 넘어 긍정적 수용, 공감, 자기 수양과 영적 성장 과정으로 이해된다. - 사랑 - 동성애
동성애는 동성 간의 성적 매력, 행위, 애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LGBT와 같은 포괄적인 용어가 사용되며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동성애자 권리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사랑 - 플라토닉 러브
플라토닉 러브는 성적 요소 없이 깊은 애정과 우정을 나누는 관계를 뜻하며, 플라톤의 에로스 개념에서 시작되었으나 르네상스 시대 이후 비성적 이성애적 사랑으로 재해석되어 현대에는 깊은 유대감, 특히 퀴어플라토닉 관계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사랑과 우정의 경계가 모호하고 한국 사회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은 개념이다.
사랑 | |
---|---|
사랑 | |
![]() | |
정의 | |
정의 | 강렬하고 긍정적인 감정 또는 정신 상태. |
사랑의 분류 | |
철학적 분류 | 아가페 에로스 필리아 스토르게 |
심리학적 분류 | 애착 사랑 성욕 |
사랑의 감정 | |
감정 | 수용 애정 황홀 열정 욕망 헌신 신뢰 |
문화적 의미 | |
문화적 의미 | 로맨틱 러브 플라토닉 러브 가족애 우정 자기애 신에 대한 사랑 자연에 대한 사랑 |
사랑의 표현 | |
표현 | 친절 공감 헌신 관심 관용 존경 칭찬 선물 언어적 표현 신체적 접촉 |
사랑과 관련된 개념 | |
관련 개념 | 애착 관계 공감 관용 신뢰 헌신 열정 성욕 질투 소외 |
사랑의 연구 | |
연구 | 심리학 사회학 인류학 신경과학 철학 문학 종교학 |
참고 자료 | |
참고자료 | 사랑 (曖昧さ回避) 애정 정 (정서) 사랑 (동음이의) |
2. 사랑의 정의와 개념
"사랑"이라는 단어는 문맥에 따라 다양하고 서로 관련되면서도 구별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영어에서는 "love"로 표현되는 여러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여러 단어를 사용하는 언어가 많다. 예를 들어, 그리스어에는 "사랑"을 나타내는 여러 개념이 있다(그리스어의 사랑 개념).[8] 사랑에 대한 개념화에서의 문화적 차이는 보편적인 정의를 설정하기 어렵게 만든다.[9]
사랑의 본질이나 특징은 빈번한 논쟁의 주제이지만, "사랑"이 아닌 것을 결정함으로써(사랑의 반의어) 이 단어의 여러 측면을 명확히 할 수 있다. 긍정적인 감정 표현(단순한 "좋아함"보다 강한 형태)으로서의 사랑은 일반적으로 증오(또는 중립적인 무관심)와 대조된다. 성적인 측면보다는 정서적으로 친밀한 로맨틱한 애착의 형태로서, 사랑은 일반적으로 욕정과 대조된다. 로맨틱한 색채를 띤 대인 관계로서 사랑은 때때로 우정과 대조되지만, "사랑"이라는 단어는 종종 깊은 우정이나 플라토닉한 사랑에도 적용된다.
추상적으로 논의될 때, "사랑"은 일반적으로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 대해 경험하는 감정을 가리킨다. 사랑은 종종 자신을 포함하여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돌보거나 동일시하는 것을 포함한다(cf. 취약성과 배려 이론), (cf. 나르시시즘). 사랑에 대한 이해에서의 문화적 차이 외에도, 사랑에 대한 생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게 변해왔다. 어떤 역사가들은 중세 이후 또는 중세 시대의 유럽 궁정에서 로맨틱한 사랑의 현대적 개념이 시작되었다고 말하지만, 고대 연애시가 로맨틱한 애착이 이전에도 존재했음을 증명한다.[10]
광명사전에서는 사랑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형제자매 간의 서로 사랑하는 마음. 넓게는 인간이나 생물에 대한 마음씨.[73]
- 남녀 간의 애정. 연애.[73]
- 소중히 여기는 것. 귀여워하는 것. 기뻐하는 것.[73]
- 〔기독교〕 신이 모든 인간을 한없이 사랑하는 것. 아가페(이웃 사랑).[73]
- 〔불교〕 갈애, 애착(愛着), 애욕. 「십이인연」의 설명에서는 여덟 번째 인연에 위치하며, 미혹의 근원으로 부정적으로 여겨짐.[73]
일본 고어에서는 “かなし(kanashi)”라는 음에 “愛(아이)”라는 글자를 붙여 “愛(かな)し(아이(카나)시)”라고도 썼으며, 상대를 귀엽고 사랑스럽게 여기는 마음[74], 지켜주고 싶은 마음을 품은 모습[74]을 의미했다.
근대에 들어서면서 영어의 "love"나 프랑스어의 "amour" 등 서양의 어의가 도입되었다. 그 과정에서 “1. 기독교의 사랑의 개념, 2. 그리스적인 사랑의 개념, 3. 낭만주의 소설의 연애 중심주의적 사랑의 개념” 등 서로 다른 개념들이 동시에 유입되어 현재의 다양한 용법이 만들어졌다.[77]
존 앨런 리는 사랑을 3원색으로 분류하고, 2가지가 혼합된 이차적 사랑을 제시하였다.[104]
'''사랑의 3원색(일차적 사랑)'''
- 낭만적 사랑
- 우애적 사랑
- 유희적 사랑
'''이차적 사랑'''
- 실용적 사랑
- 헌신적 사랑
- 소유적 사랑
2. 1. 다양한 사랑의 표현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사랑을 표현하는 다양한 단어들이 있었다. 대표적으로 아가페(Agape), 에로스(Eros), 필리아(Philia), 스토르게(Storge) 등이 사용되었다.[8]- 스토르게(στοργή, storgē): 부모가 자식에게 느끼는 사랑과 같이, 가족 간의 자연스러운 애정을 의미한다.[8]
- 에로스(έρως, érōs): 열정과 육체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낭만적인 사랑을 의미한다.[8]
- 필리아(φιλία, philía): 친구 간의 우정을 나타낸다.[8]
- 아가페(αγάπη, agápē):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 무조건적이고 이타적인 사랑을 의미한다.[8]
기독교에서는 아가페를 가장 중요한 사랑으로 여긴다.[78] 요한복음 1서 4장 8절과 16절에서는 "하나님은 사랑이시라"라고 말하며,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러한 사랑이 드러난다고 설명한다. 바울은 고린도전서 13장 13절에서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의 제일은 사랑이라"라고 말하며 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했다.[82]

한국어에서는 "사랑"과 "연애"라는 단어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사랑"은 부모 자식 간의 사랑, 친구 간의 우정, 인류애 등 다양한 형태의 감정을 포괄하는 반면, "연애"는 주로 이성 간의 로맨틱한 감정을 의미한다.
2. 2. 사랑의 구성 요소
심리학자 로버트 스턴버그는 삼각 사랑 이론을 제시하여 사랑에 친밀감, 헌신, 열정이라는 세 가지 요소가 있다고 주장했다.[24] 친밀감은 두 사람이 비밀을 공유하고 개인적인 삶의 여러 세부 사항을 공유하는 것으로, 우정과 낭만적인 사랑에서 주로 나타난다. 헌신은 관계가 영구적일 것이라는 기대를 의미한다. 열정은 성적인 욕구나 뜨거운 감정을 의미하며, 짝사랑뿐만 아니라 열정적인 사랑에서도 나타난다.스턴버그는 이 세 가지 요소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모든 형태의 사랑을 설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 세 가지 요소가 모두 없는 관계는 무관심,
- 친밀감만 있는 관계는 좋아함,
- 열정만 있는 관계는 짝사랑,
- 헌신만 있는 관계는 빈 사랑이라고 정의했다.
- 낭만적인 사랑은 친밀감과 열정을 모두 포함하며,
- 동반자애는 친밀감과 헌신을 포함한다.
- 어리석은 사랑은 열정과 헌신을 포함하고,
- 완전한 사랑은 세 가지 요소를 모두 포함한다.[24]
3. 사랑의 유형
존 앨런 리는 사랑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5가지와 라틴어 단어 1가지를 이용해 사랑의 유형을 나누었다. 그는 낭만적, 우애적, 유희적 사랑을 일차적 사랑으로 분류하고, 이 유형들을 사랑의 3원색으로 지칭했다. 이 중 2가지가 혼합된 것이 이차적 사랑으로서 실용적, 헌신적, 소유적 사랑으로 분류된다.[104]
사랑은 종류가 다양하여 명확하게 정의하기 힘들고 변형도 많다. 영어에서는 "love"라는 단어 하나만 있는 반면, 고대 그리스인들은 사랑에 대해 다섯 가지 그리스어로 표현했다.
대인애는 인간 사이의 사랑을 가리키며, 단순히 어떤 사람을 '좋아하는' 것보다 훨씬 강력한 감정이다. 짝사랑은 사랑의 감정이 상대에게서 되돌아오지 않는 것을 말한다. 대인애는 대인관계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가족 구성원, 친구, 연인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역사를 통틀어 철학과 종교는 사랑이라는 현상에 대해 추측해 왔으며, 20세기에 들어서 심리학, 인류학, 신경과학, 생물학 등의 과학이 이 주제를 연구하고 사랑이라는 개념에 대한 이해에 기여했다.
3. 1. 존 앨런 리의 사랑의 유형
존 앨런 리는 사랑을 여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낭만적 사랑 "에로스"(Eros)'''는 감각적인 욕구와 갈망을 가진 열정적인 사랑을 뜻한다. 현대 그리스어 "erotas"는 낭만적인 사랑을 뜻하며, "erotic"은 "eros"에서 파생된 용어이다. 고전 시대에 사랑은 일반적으로 광기 또는 테이아 마니아(theia maniagrc, 신들로부터의 광기)로 이해되었다. 이 사랑의 열정은 은유적이고 신화적인 "사랑의 화살", "사랑의 과녁"으로 묘사된다. 에로스는 그리스 신화 속에 나오는 사랑의 신 이름이며, 플라톤은 이데아로 가고 싶은 상태를 에로스라고 칭했다.
- '''우애적 사랑 "스토지"(Storge)'''는 친밀한 친구에게서 느끼는 우정이 주된 요소인 사랑으로, 서서히 발전하며 오래 지속된다. 오랜 기간 친구로 지내다가 연인으로 발전하며, 편안하고 정다우며 신뢰가 바탕을 이룬다.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고 서로에게 강한 상처를 주며 끝나는 경우는 드물다.
- '''유희적 사랑 "루더스"(Ludus)'''는 놀이하듯 재미와 쾌락을 중시하며 즐기는 형태의 사랑으로, 상대에 대한 집착이나 관계 지속을 위한 계획에는 관심이 없다. 흔히 여러 명을 동시에 사귀며 고정된 연인상은 가지고 있지 않다. 돈후안이나 플레이보이가 이 유형의 예시이다.
- '''실용적 사랑 "프라그마"(Pragma)'''는 이성에 근거한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사랑으로, 논리적 사랑이라고도 한다. 상대방을 선택할 때 성격, 가정 배경, 교육 수준, 종교, 취미 등 관계가 안정적이고 지속적일 수 있는 조건을 고려한다. 이렇게 고른 연인과는 후에 강렬한 애정 감정과 열정이 뒤따르기도 한다. 우애적 사랑과 유희적 사랑이 결합된 것으로 분류된다.
- '''이타적 사랑 "아가페"(Agape)'''는 무조건적이고 헌신적으로 타인을 위하고 보살피는 사랑으로, 사랑받을 자격 유무나 그로부터 돌아오는 보상에 상관없이 주어지는 헌신적인 사랑이다. 진정한 사랑이란 받는 것이 아닌 주는 것이며, 자기 자신보다 상대방의 행복과 성취를 위해 희생하는 것이라 여긴다. 낭만적 사랑과 우애적 사랑이 혼합된 형태다. 신약성서 시대에는 사랑을 가리키는 말로 Agape, Philos 등이 있었다. Agape는 대가를 기대하지 않거나 기대할 수 없는 사랑이며, 주로 하나님의 사랑을 표현할 때 성경에서 많이 쓰였다. Philos는 후원자와 후원받는 관계로, 곧 내가 도운 만큼 대가를 기대하는 사랑을 뜻한다.[105]
- '''소유적 사랑 "마니아"(Mania)'''는 상대방에 대한 소유욕과 집착을 중요 요소로 하는 사랑이다. 상대방을 완전히 소유하고, 나 자신이 소유당하는 것이 사랑이라는 생각에 집착하기 때문에 강한 흥분과 깊은 절망의 극단을 오간다. 낭만적 사랑과 유희적 사랑이 혼합된 것으로 분류된다.
3. 2. 고대 그리스의 사랑 분류
고대 그리스인들은 사랑을 여러 가지로 분류했다.[18]종류 | 설명 |
---|---|
에로스(ἔρως) | 열정적이고 육체적인 사랑으로, 감각적인 욕구와 갈망을 동반한다. 플라톤은 《향연》에서 육체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욕망을 넘어 영혼의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더 나아가 아름다움의 이데아를 감상하는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18] 현대 그리스어 "erotas"는 낭만적인 사랑을 뜻하며, "erotic"이라는 단어는 "eros"에서 파생되었다. |
필리아(φιλία) | 우정, 가족, 동료, 국가 등에 대한 애정과 우호적인 감정을 의미한다.[18]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필리아가 자신의 이익이나 상대방의 성격, 미덕 등 객관적인 근거에 기반한다고 설명했다.[35] |
아가페(ἀγάπη) | 기독교에서 신의 인류에 대한 사랑, 인류의 신과 서로에 대한 사랑을 의미하는 용어로 자주 사용된다.[18] 요한복음 1서 4장 8절과 16절에서는 "하나님은 사랑이시라"는 구절을 통해 하나님의 본질이 사랑임을 강조하며, 특히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사랑이 드러난다고 설명한다. |
스토르게(στοργή) | 부모가 자식에게 느끼는 것과 같은 타고난 사랑을 의미한다. |
루더스(ludus) | 아이들끼리의 장난스러운 사랑이나 가벼운 연인 사이의 사랑을 의미한다. (라틴어) |
프라그마(pragma) | 성숙한 사랑으로, 인내심과 아량을 가지고 서로 타협하는 사랑을 의미한다. |
필라우티아(philautia) | 자기애를 의미한다. |
기독교에서는 아가페를 가장 중요한 사랑으로 여기며, 바울은 고린도전서 13장 13절에서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 중의 제일은 사랑이라"라고 말하며 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4. 사랑에 대한 관점
역사적으로 사랑은 주로 철학과 종교의 영역에서 탐구되었다. 20세기에 심리학이 발전하면서 사랑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 가능해졌고, 최근에는 진화심리학, 진화생물학, 인류학, 생물학 등을 통해 사랑의 실재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얻게 되었다.
"사랑"이라는 단어는 문맥에 따라 다양하고 서로 관련되면서도 구별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영어의 "love"에 해당하는 다양한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여러 단어를 사용하는 언어들이 많다. 예를 들어, 그리스어에는 사랑을 나타내는 여러 개념(agape|아가페grc, eros|에로스grc, philia|필리아grc, storge|스토르게grc)이 있다.[8] 이러한 문화적 차이는 사랑에 대한 보편적인 정의를 내리기 어렵게 만든다.[9]
사랑의 본질이나 특징은 자주 논쟁의 대상이 되지만, "사랑"이 아닌 것(사랑의 반의어)을 통해 사랑의 여러 측면을 명확히 할 수 있다. 긍정적인 감정 표현(단순한 "좋아함"보다 강한 형태)으로서의 사랑은 증오(또는 중립적인 무관심)와 대조된다. 성적인 측면보다는 정서적으로 친밀한 로맨틱한 애착 형태로서의 사랑은 욕정과 대조된다. 로맨틱한 색채를 띤 대인 관계로서의 사랑은 우정과 대조되기도 하지만, "사랑"이라는 단어는 깊은 우정이나 플라토닉한 사랑에도 적용된다.
사랑에 대한 생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게 변화해 왔다. 일부 역사가들은 중세 이후 또는 중세 시대 유럽 궁정에서 로맨틱한 사랑의 현대적 개념이 시작되었다고 주장하지만, 고대 연애시들은 로맨틱한 애착이 그 이전에도 존재했음을 보여준다.[10]
사랑의 복잡성은 종종 사랑에 대한 논의를 생각을 끝맺는 상투적인 말로 축소시키기도 한다. "사랑은 모든 것을 정복한다" (베르길리우스)에서부터 "사랑은 당신이 필요한 전부야" (비틀즈)까지 여러 속담들이 사랑에 대해 이야기한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를 따라 사랑을 "다른 사람의 선을 원하는 것"으로 정의했다.[11][12] 버트런드 러셀은 사랑을 상대적 가치와 반대되는 "절대적 가치"의 상태로 묘사했다.[13] 철학자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사랑을 "다른 사람의 행복에 기뻐하는 것"이라고 했다.[14] 메헤르 바바는 사랑에는 "통합감"과 "사랑의 대상의 본질적인 가치에 대한 적극적인 감사"가 있다고 했다.[15] 생물학자 제러미 그리피스는 사랑을 "무조건적인 이타심"으로 정의했다.[16] 앰브로스 비어스는 사랑을 결혼으로 치유될 수 있는 일시적인 광기라고 보았다.[17]
4. 1. 생물학적 관점
생물학은 대체로 사랑을 배고픔 또는 목마름과 같은 동물적 욕구의 일종으로 본다. 인류학자 '''헬렌 피셔'''(Helen Fisher)는 사랑을 정념(lust), 연심(attraction), 애정(attachment)의 세 단계로 나누었는데, 각 단계는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서로 겹치는 부분이 있다고 한다. 정념은 사람들을 이성 관계로 이끌고, 연심은 연애 대상을 특정 개인에게 집중시키며, 애정은 아기가 자라는 동안 배우자와의 관계를 지속하게 한다.정념은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로겐 등의 호르몬 분비량 증가와 관련 있으며, 대체로 몇 주에서 몇 달 이내에 끝난다. 연심은 뇌과학의 연구에 따르면 페로몬,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등의 호르몬 분비로 쾌락중추를 자극하여 심박수 증가, 식욕 및 수면욕 감퇴, 강한 흥분 상태를 유발한다.[106] 이 상태는 보통 1.5년에서 3년 정도 지속된다.
뇌과학적 관점에서는 중뇌의 복측피개영역(VTA), 배쪽창백(VP), 솔개핵(RN)이 중요하다. 복측피개영역은 보상 체계이자 쾌락 중추로, 동기 부여와 쾌락에 관여하며 도파민을 분비한다. 사랑에 빠진 연인들은 복측피개영역이 활성화되어 코카인 중독 환자처럼 행복감을 느낀다. 배쪽창백은 바소프레신과 스트레스 감소 호르몬(코르티솔)을, 솔개핵은 세로토닌을 분비한다.
4. 2. 심리학적 관점
심리학에서는 사랑을 인지적 및 사회적 현상으로 묘사한다. 심리학자 로버트 스턴버그는 사랑의 삼각형 이론을 제시하여, 사랑에는 친밀감, 헌신, 열정이라는 세 가지 요소가 있다고 보았다. 친밀감은 두 사람이 비밀을 공유하고 개인적인 삶의 여러 세부 사항을 공유하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우정과 낭만적인 사랑에서 나타난다. 헌신은 관계가 영구적이라는 기대를 의미한다. 열정은 성적인 매력뿐만 아니라 짝사랑에서도 나타난다. 모든 형태의 사랑은 이 세 가지 요소의 다양한 조합으로 간주된다.[24]미국의 심리학자 지크 루빈은 1970년대에 심리측정학을 이용하여 '사랑'을 정의하려고 했다. 그의 연구는 사랑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 즉 애착, 배려, 친밀감을 확인했다.[25]
4. 3. 진화심리학적 관점
진화심리학은 사랑을 생존 도구로 설명한다. 인간은 다른 포유류에 비해 오랫동안 부모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사랑은 장기간 동안 자녀에 대한 부모의 보살핌을 촉진하는 메커니즘으로 여겨져 왔다.[28] 찰스 다윈과 같은 초기 연구자들은 다른 포유류와 비교하여 인간 사랑의 독특한 특징을 확인하고, 사랑을 인류의 발전과 확장을 가능하게 한 사회적 지원 시스템을 만드는 주요 요인으로 보았다.또 다른 요인은 성병이 영구적인 불임, 태아 손상, 출산 중 합병증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일부일처제 관계를 다처제보다 선호하게 만든다.[28]
남녀 간의 애정은 짝짓기와 유성생식을 용이하게 하므로 진화적인 적응적 이점을 제공한다.[29] 무성생식과 대조적으로 유성생식의 적응적 이점을 이해하면 대인 관계적 사랑의 적응적 이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리처드 미코드(Richard Michod)는 사랑, 그리고 유성생식이 두 가지 주요 적응적 이점을 제공한다는 증거를 제시했다. 첫째, 유성생식은 부모로부터 자손에게 전달되는 DNA 손상을 복구한다.(DNA 복구, 감수분열 중). 둘째, 한쪽 부모의 유전자에 해로운 돌연변이가 있더라도, 유성생식으로 생긴 자손에서는 다른 부모로부터 온 정상 유전자가 해로운 돌연변이의 발현을 가릴 가능성이 높다.
4. 4. 사회문화적 관점
사랑에 대한 이해는 문화와 시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고대 그리스, 로마, 중국, 일본, 인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랑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발전시켜 왔다.그리스어는 "사랑"이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여러 가지 다른 의미를 구분한다.[18]
- '''Agape''' (ἀγάπη|agápēgrc) : 신학적 담론에 뿌리를 둔 ''아가페''는 그 자발적인 본성과 그 대상의 고유한 가치로부터의 독립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사랑을 나타낸다.[18]
- '''에로스''' (ἔρως|érōsgrc) : 원래 열정적인 욕망, 종종 성적 열정과 동의어였으나, 현대적 해석은 이기적이면서도 사랑하는 사람의 장점에 반응하는 것으로 묘사한다.[18]
- '''필리아''' (φιλία|philíagrc) : 원래 애정 어린 관심이나 우호적인 감정을 묘사하는 것으로, 우정, 가족 구성원, 사업 파트너 및 자신의 국가와 같은 관계로 확장되었다. ''에로스''와 마찬가지로 ''필리아''는 종종 사랑하는 사람의 긍정적인 속성에 반응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8]
라틴어에서 우정은 'amicitia'라는 용어로 명확하게 구분되었지만, 'amor'는 에로틱한 열정, 가족적 애착, 그리고 비록 덜 흔하지만 친구 사이의 애정까지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를 지녔다. 키케로는 그의 에세이 ''우정론''에서 인간에게 내재된 자기애와 마음을 얽어 하나의 실체로 거의 융합할 다른 사람을 찾고자 하는 본능적인 경향에 대해 논한다.[36]
루크레티우스는 사랑을 현실을 왜곡하는 질병, 종족 번식이라는 생물학적 욕구에 뿌리를 둔 원초적인 충동으로 보았다. 그는 사랑의 무익함과 자기 파괴적인 본성을 강조한다. 반면 오비디우스는 사랑의 위험과 복잡성과 함께 즐거움을 인정하며, 사랑을 쾌락주의와 냉소주의가 혼합된 조작과 속임수의 게임으로 보았다.[37]
유교의 인(仁)은 인간성과 덕의 본질을 구현하며, 가족 단위에서 시작하여 외부로 확장되는 사회 내의 조화로운 관계를 수양하는 것을 강조한다.[38] 묵자는 보편적 사랑의 원리를 중심으로 한 철학을 설명하며, 진정한 조화와 사회적 안녕은 좁은 이기심을 초월하여 다른 사람들에 대한 사랑을 통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고 믿었다.[40][41] 도교에서 慈(''ci'')라는 개념은 어머니의 보살핌과 같은 부드러운 양육의 의미를 지닌 연민이나 사랑을 구현한다.[42]
일본어에서는 영어의 '사랑'에 해당하는 개념을 세 가지 단어, 즉 愛|ai일본어, 恋|koi일본어, 恋愛|ren'ai일본어를 사용한다.[43][44] 일본 고어에서는 “かなし(kanashi)”라는 음에 “愛(아이)”라는 글자를 붙여 “愛(かな)し(아이(카나)시)”라고도 썼으며, 상대를 귀엽고 사랑스럽게 여기는 마음[74], 지켜주고 싶은 마음[74]을 의미했다.

고대 인도에서는 에로티시즘과 사랑의 기술에 대한 이해가 있었다. 산스크리트어는 ''kama'', ''sneha, priya, vatsalya'', ''bhakti'', ''priti'' 및 ''prema''와 같이 사랑의 개념을 전달하는 다양한 용어를 제공했다.[45]
페르시아 신비주의에서 창조의 개념은 사랑에서 비롯되며, 모든 존재가 기원하고 궁극적으로 되돌아가는 근본적인 본질로 여겨진다.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은 이 개념은 사랑을 세속적이고 초월적인 것으로 묘사하며, 신과의 재결합을 향한 보편적인 열망을 구현한다.[46]
4. 5. 철학적 관점
철학에서 사랑은 연합, 강력한 관심, 가치 부여, 그리고 감정이라는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 연합으로서의 사랑: 개별 정체성을 합쳐 "우리"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로저 스크루턴과 로버트 노직 같은 철학자들은 이러한 융합이 공유된 관심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비평가들은 연합이 개인의 자율성을 위협한다고 주장하지만, 노직 등은 이러한 융합이 사랑을 풍요롭게 한다고 믿는다. 마이클 프리드먼은 사랑이 통합되면서도 개별 정체성을 보존하는 연방 모델을 통해 타협안을 제시한다.[18]
- 강력한 관심으로서의 사랑: 연합을 형성하지 않고도 사랑하는 사람의 안녕에 깊이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사랑을 정의한다. 이 관점은 사랑하는 사람의 복지에 대한 관심을 우선시하지만, 비평가들은 사랑의 상호 작용적이고 감정적인 측면을 놓치고 있다고 주장한다. 지지자들은 사랑의 본질이 사랑하는 사람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데 있다고 주장한다. 모니크 원더리는 애착이 이 관점을 보완하여 사랑하는 사람을 자신과 연인 모두에게 중요하게 만든다고 덧붙인다.[18]
- 가치 부여로서의 사랑: 평가와 가치 부여라는 두 가지 접근 방식이 있다. J. 데이비드 벨레만은 평가가 다른 사람들의 고유한 존엄성에 반응하여 사랑을 독특한 감정적 취약성으로 만든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관점은 사랑의 선택성과 일관성을 설명하기 어렵다. 피터 싱어의 부여 관점은 사랑이 사랑하는 사람에게 내재적 가치를 창출한다고 말하지만, 비평가들은 이것이 사랑의 식별력을 어떻게 설명하는지 의문을 제기한다.[18]
- 감정으로서의 사랑: 적절한 감정 또는 감정 복합체로 간주된다. 적절한 감정은 사랑을 특정한 동기 부여적 반응으로 취급하지만, 일부는 이것이 너무 단순하다고 생각한다. 감정 복합체 관점은 사랑이 관계에 의해 형성된 역동적이고 상호 연결된 감정적 역사라고 제안한다. 아네트 바이어와 니라 K. 바드와르 같은 인물들은 감정적 상호 의존성을 강조하지만, 비평가들은 이것이 사랑을 다른 관계와 어떻게 구별하고 그 독특한 서사를 어떻게 정의하는지 궁금해한다.[18]
4. 6. 종교적 관점
종교는 사랑을 신성한 가치 또는 신의 본질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여러 종교에서 사랑에 대한 독특한 가르침을 제시하는데, 주요 종교들의 사랑에 대한 관점은 다음과 같다.'''바하이 신앙'''
바하이교는 인간 영혼이 지식, 사랑, 의지와 같은 능력을 통해 표현된다고 가르친다. 창조주를 인식하고 그와 사랑의 관계를 맺는 것이 종교적 순종의 기초가 된다. 바하이교의 창시자 바하올라는 사랑으로 인해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는 것을 강조하며, 이를 "나의 사랑스러운 섭리의 등불"이라고 묘사했다. 바하이교에서 사랑은 근본적인 보편적 법칙으로, 압둘 바하는 사랑을 "가장 위대한 법"이자 세상을 하나로 묶는 힘으로 묘사했다. 하나님이 인류에게 법을 계시하는 것은 사랑의 행위이며, 그 법을 따르는 이유는 사랑의 표현에 있다.[60]
'''불교'''
불교에서 사랑은 이타적이고 보편적인 속성으로, 자비, 기쁨, 평정심의 기반이 된다. 자애(마이트리), 자비(카루나), 희락(무디타), 평정심(우펙샤)은 브라마비하라로 알려져 있으며, 모든 존재에 대한 호의, 고통받는 자에 대한 자비, 타인의 행복에 대한 기쁨, 애착과 혐오로부터의 자유를 촉진한다.[61]
- 상좌부 불교에서는 사랑과 동정심이 윤리적, 사회적 행동의 중요한 부분이다. 동정심은 타인을 돕는 행동을 유발하고, 자애는 명상을 통해 정신적 해방을 가져온다. 이는 개인의 평화와 사회적 조화를 증진시킨다.[62]
- 대승불교에서 사랑은 깊은 자비와 상호 지원에 대한 헌신이다. 보살들은 모든 존재가 깨달음에 이르도록 돕겠다고 서약하며, 이타적인 사랑을 통해 자아와 타자 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한다.[63]
- 금강승 불교에서 사랑은 변혁적인 힘으로, 훈련을 통해 영적 깨달음으로 이어진다. 욕망을 정련하여 지혜와 기술을 통합하고, 개인적인 욕망을 보편적인 연결로 변화시켜 깨달음으로 인도한다.[64]
'''힌두교'''

힌두교에서 kāma|카마sa는 쾌락적인 성적 사랑을 의미하며, 신 카마데바가 그 화신이다. 많은 힌두교 학파는 카마를 삶의 세 번째 목표로 여긴다. 카마데바는 종종 사탕수수로 만든 활과 꽃으로 만든 화살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65] kāma|카마sa와 대조적으로, prema|프레마sa 또는 prem|프렘sa은 "숭고한" 사랑을 의미한다. Karuṇā|카루나sa는 자비를 뜻하며, Bhakti|바크티sa는 "신에 대한 사랑하는 헌신"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용어이다. 힌두교 철학 저서 ''나라다 박티 수트라''는 사랑의 열한 가지 형태를 구분한다.
바이슈나바 종파에서는 신에 대한 순수하고 무조건적인 사랑을 얻는 것을 삶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여긴다. 가우디야 바이슈나바들은 신에 대한 사랑(Prema|프레마sa)이 합일과 분리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작용한다고 믿는다. 크리슈나에 대한 사랑은 물질적인 욕망을 태우고 마음을 정화시킨다. 목동 소녀 라다는 크리슈나를 향한 사랑의 최고의 예로, 물질계를 초월한 사랑을 보여준다. 라다와 크리슈나의 사랑은 ''기타 고빈다''와 같은 시적 작품의 주제이다. 힌두교 Bhakti|바크티sa 전통에서는 신에 대한 헌신이 신에 대한 사랑으로 이어지고, 물질적인 오염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고 믿는다. 신에 대한 사랑에 몰두하는 것이 삶의 완성으로 여겨진다.[66]
'''유교'''
유교에서 인(仁)은 두 사람 간의 관계에서 완성되는 사랑으로, 공자는 인의 실현이 어렵지만, 사랑으로 살아간다면 목숨을 바칠 각오가 필요하다고 했다. 공자는 인의 근원을 혈연애로 보았으며, 자기희생적인 사랑과 자기 보존 욕구 사이에 여러 덕목들이 얽혀 인이 형성된다고 했다. 맹자는 인과 의를 중요시했고, 묵자는 의를 이익과 연결지어 맹자와 대립했다.[94] 유교에서 사랑은 정(작용)으로, 인은 성(본체)으로 간주된다.[94]
'''기독교'''
기독교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는 '''아가페'''이다. 기독교 관련 서적이나 서구 문화권에서는 아가페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존재했던 네 가지 "사랑"을 설명한다.[78]
종류 | 그리스어 | 기독교에서의 의미 | 고대 그리스에서의 의미 |
---|---|---|---|
스토르게 | στοργή|스토르게gr storgē|스토르게영어 | 가족애 | 바람, 불, 물, 흙을 결합하는 사랑 |
에로스 | έρως|에로스gr érōs|에로스영어 | 성애 | 자아를 충족시키는 사랑 |
필리아 | φιλία|필리아gr philía|필리아영어 | 이웃 사랑, 우애 | 친구가 친구를 향한 사랑[79] |
아가페 | αγάπη|아가페gr agápē|아가페영어 | 진정한 사랑 | 어떤 것을 다른 것보다 더 중시하는 사랑 |
신약성서에서 "하나님은 사랑이시라"(요한복음 1서 4:8, 16)는 구절처럼, 하나님의 본질은 사랑이며,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사랑이 드러난다. 성경에는 "아가페"와 "필리아"는 사용되지만, "에로스"는 사용되지 않는다.[82] 예수는 "너희 원수를 사랑하며 너희를 박해하는 자를 위하여 기도하라"(마태복음 5:44)고 말하며, 인류애를 강조했다. 바울은 신앙, 소망, 사랑을 강조하며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고린도전서 13:13)고 말하고, 사랑의 우위성을 확립했다. 그는 하나님의 사랑을 은총charis|카리스영어(로마서 1:5)이라 불렀고, 이는 후에 gratia|그라티아la로 번역되어 기독교 신학의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
'''유대교'''
유대교의 구약성서에서는 '사랑'에 해당하는 단어로 히브리어 「אהב」(에하브)가 사용되며, 일상생활에서도 사용된다. 하나님의 사랑은 종종 역사적 서술을 통해 구체적으로 언급된다. 사랑받을 자격이 없는 자에게도 하나님의 일방적인 선택으로 사랑이 주어지고, 그 사람이 하나님으로부터 떠나려 해도 하나님은 버리지 않는다는 내용이다.[82]
- "מאהבת"는[83] 주의 '사랑'을 의미하며, 새번역성서 신명기 7장 8절에 "그분은 당신들의 조상들과 세운 언약을 지키시고, 당신들을 사랑하시는 그 큰 능력으로 애굽 왕 바로의 손아귀에서, 종살이하던 집에서 당신들을 건져내셨습니다."라고 번역되어 있다.
- "מאהבת"는[85] 여자의 '사랑'을 의미하며, 새번역성서 사무엘하 1장 26절에 "내가 그대를 생각하며 슬퍼하오니, 나의 형제 요나단이여, 그대의 사랑은 여자의 사랑보다 놀랍고 기뻤습니다."라고 번역되어 있다.
- "אהבתך"는[85] 친구의 '사랑'을 의미하며, 새번역성서 사무엘하 1장 26절에 "내가 그대를 생각하며 슬퍼하오니, 나의 형제 요나단이여, 여자의 사랑보다 놀랍고 기뻤습니다."라고 번역되어 있다.
- "אהבת"는[86] 아브라함의 아들에 대한 '사랑'이며, 새번역성서 창세기 22장 2절에 "하느님이 말씀하셨다. ‘네 아들, 네가 사랑하는 독자 이삭을 데리고 모리아 땅으로 가거라. 내가 너에게 일러 줄 산으로 가서 그를 번제물로 바쳐라.’"라고 번역되어 있다.
- "ואהבת"는[87] 주를 '사랑해야 한다'는 의미이며, 새번역성서 신명기 6장 5절에 "네 마음을 다하고 네 뜻을 다하고 네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여라."라고 번역되어 있다.
- "ואהבת"는[88] 이웃을 주님처럼 '사랑해야 한다'는 의미로, 새번역성서 레위기 19장 18절에 "원수를 갚지 말고, 동족을 미워하지 말고, 네 자신을 사랑하듯이 네 이웃을 사랑하여라. 나는 여호와이다."라고 번역되어 있다.
- "לאהבי"는[90][91] 주로부터 자비를 받는 '사랑하는 자'를 의미하며, 새번역성서 출애굽기 20장 6절 및 신명기 5장 10절에 "나를 사랑하고 나의 계명을 지키는 자에게는 천대까지 은총을 베푼다."라고 번역되어 있다.
5. 사랑과 관련된 개념
사랑은 복잡하고 다면적인 감정으로, 여러 개념들과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개념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가족애: 가족 구성원 간의 사랑으로, 혈연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경우가 많지만, 입양 등을 통해 가족이 된 경우에도 해당된다. 모성애, 부성애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애완동물을 가족으로 여기는 경우도 많다.
- 인류애: 혈연, 민족, 인종 등에 관계없이 모든 인류를 사랑하는 것으로, 자선 사업 등을 통해 표현된다.
- 자기애: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을 의미한다.
- 성애: 애정과 성적 감정이 결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성애가 성욕에 근거하며 미래 세대의 생존과 관련된다고 보았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성욕의 에너지를 리비도라고 불렀으며, D. H. 로렌스, 장폴 사르트르, 시몬 드 보부아르 등도 성애와 사랑에 대해 깊이 연구했다.
5. 1. 가족애
가족애는 부모, 형제자매, 조부모, 손주 등 가족 구성원 간의 사랑을 의미한다.[97] 가족애는 혈연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경우가 많지만,[97] 가족이라는 단어는 혈연 유무와 관계없이 넓은 범위를 가리킨다. 입양된 아이도 소중한 가족 구성원이며,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아프리카 등에서 삶의 터전을 잃은 아이들을 입양하여 가족으로 맞이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어머니가 자녀에게 품는 사랑은 모성애, 아버지가 자녀에게 품는 사랑은 부성애라고 한다. 모성애와 부성애는 질적으로 다르며, 각각의 역할과 사회적 기능이 있다고 여겨진다. 애정 표현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의사소통 과정에서 자녀나 배우자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거나, 포옹하여 상대방을 받아들이고 있음을 보여주는 방법, 그리고 그러한 행위를 위한 소중한 시간을 할애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최근에는 애완동물도 가족으로 여기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특히 개나 고양이 등 감정 교류가 가능한 동물의 경우, "가족으로 맞이했다"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이러한 가족애의 성립은 상당히 새로운 것이라고 생각된다. 에드워드 쇼터는 중세 유럽에는 가족애가 존재하지 않았고, 성애, 모성애, 가족애는 근대에 들어서야 가족에 도입되었다고 주장했다.[98] 19세기에는 “성=애=생식”의 일치를 기본으로 하는 근대 가족이 성립하여 이후 가족관의 기초가 되었으며,[99] 동시에 가족은 부부, 부모 자식의 사랑으로 서로 맺어지는 것이라는 이데올로기가 성립했다.[100] 이 개념은 메이지 시대에 일본에도 도입되어 다이쇼 시대에는 도시의 신 중산층에 보급되었다.[101] 한편, 가족애 내에서의 비중은 일본과 서구에 차이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서구는 부부애가 가장 중요한 반면, 일본의 가족애는 모성애의 이미지가 많이 이야기된다.[102] 또한 사랑이 가족 관계의 중심적인 개념이 된 결과, 반대로 애정이 식은 경우 이혼 등으로 가족 관계를 해소하는 경우도 많아졌다.[103]
가족애와 관련된 용어는 다음과 같다.
용어 | 설명 |
---|---|
콤플렉스 | 가족애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그 전제가 되는 사상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같다고 할 수는 없다.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아들이 아버지에게 적대감을 느끼면서 어머니에게 애정을 갖는 것. |
마더 콤플렉스 | 자녀가 어머니에게 과도한 애정을 갖는 것. |
아자세 콤플렉스 | 어머니가 자녀에게 갖는 무한한 사랑. |
아그리피나 콤플렉스 | 어머니가 아들에게 갖는 왜곡된 사랑. |
파더 콤플렉스 | 자녀가 아버지에게 과도한 애정을 갖는 것. |
일렉트라 콤플렉스 | 딸이 어머니에 대한 사랑의 다음 단계로서 아버지에게 애정을 갖는 것. |
오레스테스 콤플렉스 | 아들이 어머니에 대한 사랑과 얽혀 고통받는 것. |
아브라함 콤플렉스 | 아버지가 아들과의 분리를 못하고, 독립하려는 아들을 미워하는 것. |
백설공주 콤플렉스 | 아버지가 딸에게 갖는 사랑으로, 어머니의 질투심이 배경에 있음. |
시스콘(시스터 콤플렉스의 약자), 브라콘(브라더 콤플렉스의 약자) | 형제애, 자매애가 과도한 경우. |
카인 콤플렉스 | 부모의 사랑을 둘러싼 형제자매 간의 심리적 갈등. |
5. 2. 인류애
인류애는 혈연 관계나 민족, 인종 등으로 사람을 차별하지 않고 모든 인류를 사랑하는 것을 의미한다.[19] 자선 사업은 인류애의 중요한 표현 방식 중 하나이다.5. 3. 자기애
ahava|아하바he는 히브리어로 사랑을 뜻하며, 로버트 인디애나의 1977년작 조각품 ''사랑(Love)''(Love (sculpture))에 사용되었다.5. 4. 성애
성애는 애정과 성적 감정이 뒤섞인 상태를 의미한다.[94]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모든 형태의 사랑이 인간을 성적 맹목적 의지에 속박하는 것이라는 이유로 사랑을 비난했지만, 그의 저서에는 독자적인 “성애의 형이상학”에 대한 고찰이 포함되어 있다. 그에 따르면 사랑은 모든 성욕에 근거하고 있으며, 미래 세대의 생존은 그것을 만족시키는 것에 달려 있다. 성적 결합은 개인을 위한 것이 아니라 종족을 위한 것이며, 결혼은 사랑을 위한 것이 아니라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다.[94]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성욕의 에너지를 리비도라고 명명하고 무의식 세계의 역동성을 밝히려고 노력했지만, 특히 유아 성욕 문제는 기존의 상식적인 통념에 큰 충격을 주었고, 성애 문제의 현대적 의미 추구의 길을 열었다. D. H. 로렌스의 문학은 성애의 현대 문명론적 의미 탐구를 중심 과제 중 하나로 삼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장폴 사르트르, 시몬 드 보부아르 등의 실존주의자들에게도 인간론의 중심 문제로서 사랑, 성욕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 시도가 보인다.[94]
6. 사랑과 연애의 관계
자유연애라는 용어는 사회적 속박으로 여겨지는 결혼을 거부하는 사회운동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67] 자유연애 운동은 성적 문제에서 국가를 분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그러한 문제는 관련된 사람들의 문제라고 주장했다.[68] 19세기 초, 미국 중산층은 가정이 안정된 곳이 되기를 원했고, 이는 뚜렷한 성 역할에 대한 비전을 만들어 자유연애 운동의 발전을 촉진시켰다.[70] 자유연애 옹호자들은 관계에서의 강압적인 성행위에 반대하고 여성이 자신의 몸을 원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여성주의적 신념을 가졌다.[71][72]
한국어에서 “사랑”과 “연애”는 다른 개념이다. 부모가 자식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은 “사랑”이지만, “연애”와는 다르다. 따라서 일방적인 연애는 단순한 연애일 뿐, 상대를 진정으로 사랑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연애”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랑”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둘을 단순히 이분법적으로 간주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이성에 대한 연애는 당사자가 알지 못하더라도, 자손을 남기려는 동물적인 충동이 이성에 대한 강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그 강한 관심이 당사자에게는 “연애”로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7. 사랑의 중요성
사랑은 인간의 건강과 웰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1][30] 사랑과 관련된 활동(관계를 육성하는 등)은 감정, 주의, 동기, 기억을 담당하는 핵심 뇌 영역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활동은 자율신경계 조절에 기여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지만, 사랑의 초기 단계에서는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도 있다.[31] 사랑의 사회적 유대감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모두 향상시켜 회복력, 공감, 친밀감을 증진시킨다. 면역 기능을 강화하고 치유를 촉진하며, 개인의 번영과 생존을 위한 긍정적인 동기와 행동을 장려한다.[31] 이별은 불신, 거절, 분노 등 다양한 감정 상태를 불러일으켜 외상과 불안, 사회적 위축, 심지어 사랑 중독과 같은 다양한 심리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개인은 과거 관계에 집착하여 마치 중독과 같은 정서적 고통을 지속시킬 수 있다.[32] 결혼한 부부의 경우, 나이가 들수록 건강상의 이점이 더 커지는데, 이는 배우자가 서로의 웰빙을 증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33] 하나님과의 사랑하는 관계는 건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30]
8. 현대 사회와 사랑
"자유연애"라는 용어는 사회적 속박의 한 형태로 여겨지는 결혼을 거부하는 사회운동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67] 자유연애 운동의 초기 목표는 결혼, 피임, 간통과 같은 성적 문제에서 국가를 분리하는 것이었다. 이 운동은 그러한 문제는 관련된 사람들의 문제이며 다른 사람들의 문제가 아니라고 주장했다.[68]
19세기 초 많은 사람들은 결혼이 "지상의 인간적 행복을 충족시키는" 삶의 중요한 측면이라고 믿었다.[69] 미국 중산층은 불확실한 세상에서 가정이 안정된 곳이 되기를 원했다. 이러한 정신은 뚜렷하게 정의된 성 역할에 대한 비전을 만들었고, 이는 대조적으로 자유연애 운동의 발전을 촉진시켰다.[70]
자유연애 옹호자들은 두 가지 강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관계에서의 강압적인 성행위에 대한 반대와 여성이 자신의 몸을 원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옹호였다.[71] 이는 여성주의의 신념이기도 하다.[72]
참조
[1]
multiref
Encyclopedia of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Research
https://dictionary.c[...]
Springer Netherlands
2023-08-00
[2]
multiref
Love Definition & Meaning
https://www.yourdict[...]
Oxford University Press
1987-12-27
[3]
서적
The Art of Loving
Harper Perennial
[4]
웹사이트
Just Love
https://web.archive.[...]
2011-04-11
[5]
웹사이트
An Exploration of Love in Art History
https://blog.artsper[...]
2022-02-03
[6]
서적
Why We Love: the nature and chemistry of romantic love
Henry Holt & Co.
[7]
multiref
The Bhagavad Gita
https://www.perseus.[...]
Penguin
1940
[8]
서적
Agape and Eros
[9]
학술지
What is the Sapir–Whorf Hypothesis?
1984-03-00
[10]
웹사이트
Ancient Love Poetry
https://web.archive.[...]
[11]
서적
Nicomachean Ethics
https://standardeboo[...]
[12]
서적
Summa Theologiae
https://www.newadven[...]
New Advent
[13]
학술지
Philosophy, Science and Value
https://papers.ssrn.[...]
[14]
웹사이트
Confessio philosophi
https://en.wikisourc[...]
Wikisource edition
[15]
서적
Discourses
Sheriar Press
[16]
서적
The Book of Real Answers to Everything!
https://www.humancon[...]
[17]
웹사이트
Love entry in ''The Devil's Dictionary''
http://dict.org/bin/[...]
[18]
백과사전
Love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1
[19]
웹사이트
Paraphilia
https://web.archive.[...]
[20]
서적
A General Theory of Love
Random House
[21]
학술지
Defining the Brain Systems of Lust, Romantic Attraction, and Attachment
https://web.archive.[...]
[22]
서적
Holt World History: The Human Legacy
Holt, Rinehart, & Winston
2008-01-01
[23]
학술지
Raised plasma nerve growth factor levels associated with early-stage romantic love
https://www.scienced[...]
[24]
학술지
A triangular theory of love
[25]
multiref
Liking and Loving: an invitation to social psychology
https://archive.org/[...]
Holt, Rinehart & Winston
[26]
서적
Interpersonal Attraction
Addison-Wesley Publishing Co
[27]
서적
The Road Less Traveled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8]
서적
The Handbook of Evolutionary Psychology
John Wiley & Sons, Inc.
[29]
학술지
What's love got to do with it? The solution to one of evolution's greatest riddles
[30]
학술지
Love as the Original Source of Strength for Life and Health
2017
[31]
학술지
Love promotes health
https://pubmed.ncbi.[...]
2005-06-00
[32]
학술지
Overcoming the Loss of a Love: Preventing Love Addiction and Promoting Positive Emotional Health
http://journals.sage[...]
1990-04-00
[33]
학술지
Growing old together: Compassionate love and health in older adulthood
http://journals.sage[...]
2014-08-00
[34]
서적
On Love
[35]
웹사이트
Philosophy of Love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iep.utm.edu/[...]
[36]
서적
In the Orbit of Love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7-19
[37]
학술지
Love in Ovid and Lucretius
https://www.jstor.or[...]
1965
[38]
학술지
Confucianism as Humanism
https://uca.edu/cahs[...]
2013
[39]
학술지
"Ren" and "Gantong": Openness of Heart and the Root of Confucianism
https://www.jstor.or[...]
2012
[40]
학술지
Mozi: Universal Love and Human Agency
https://scholarship.[...]
2016-04-28
[41]
서적
The Heavens and the Earth: Graeco-Roman, Ancient Chinese, and Mediaeval Islamic Images of the World
https://brill.com/di[...]
Brill
2024-04-25
[42]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Love in Philosophy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8-12-21
[43]
서적
Love in Modern Japan: Its Estrangement from Self, Sex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2-03
[44]
서적
Languages of Sentiment: Cultural constructions of emotional substrate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1999-12-15
[45]
학술지
Words for love in Sanskrit
https://www.jstor.or[...]
2007
[46]
학술지
Agency of the Self and the Uncertain Nature of the Beloved in Persian Love Mysticism: Earthly, Ethereal, Masculine, or Feminine?
https://jurnalfuf.ui[...]
2022-06-02
[47]
서적
Love Thy Neighbor as Thyself
Oxford University Press
[48]
웹사이트
We Are Defining Love the Wrong Way
https://time.com/422[...]
2019-02-14
[49]
서적
Michtav me-Eliyahu
[50]
웹사이트
papal encyclical, Deus Caritas Est
https://www.vatican.[...]
2008-06-11
[51]
간행물
Homilies on First John
New Advent
[52]
서적
Confessions
[53]
학술지
Augustine's Hermeneutics and Homiletics in ''De doctrina christiana''
https://www.academia[...]
2014-03-24
[54]
웹사이트
'Do you cry?' pope asks 800,000 young people at WYD; so does Jesus, he says
https://www.usccb.or[...]
2023-08-09
[55]
웹사이트
Pope Francis: The entirety of God's love is found in the crucifix
https://www.catholic[...]
2023-08-09
[56]
웹사이트
Meeting with the young people in the sports field of Santo Tomas University
https://www.vatican.[...]
2018-02-24
[57]
웹사이트
The key to love according to Pope Francis
https://opinion.inqu[...]
2018-02-24
[58]
간행물
Ad Scapulam
https://www.tertulli[...]
[59]
서적
Cambridge Companions to Reli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60]
학술지
Some Reflections on the Concept of Law in the Bahá'í Faith
https://journal.baha[...]
2014-06-01
[61]
학술지
An Analysis of Love Development in Buddhism
https://journal.oas.[...]
2018-03-29
[62]
학술지
Love and Sympathy in Theravāda Buddhism. By Harvey B. Aronson. Delhi: Motilal Banarsidass, 1980. viii, 127 pp. Notes, Bibliography, Glossary, Indexes. Rs 45.
https://www.cambridg[...]
1982-08
[63]
학술지
Mutual Love in Mahayana Buddhism
https://www.jstor.or[...]
1952
[64]
학술지
An Analysis of Tantrayana (Vajrayana)
https://buddhism.lib[...]
1998-11
[65]
웹사이트
The Wonderful Characteristic of Krishna Prema
https://www.facebook[...]
2012-01-07
[66]
웹사이트
Perfectly in Krishna Love
https://www.prabhupa[...]
2012-01-07
[67]
서적
Hand-book of the Oneida Community
https://library.syra[...]
[68]
학술지
The Free Love Movement and Radical Individualism
[69]
웹사이트
Free love - Connexipedia article
https://www.connexio[...]
2024-01-20
[70]
서적
Free Love, Marriage, and Middle-Class Radicalism in America
New York University Press
[71]
서적
Sex Radicals and the Quest for Women's Equality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72]
논문
Love's Lessons: Intimacy, Pedagogy and Political Community
https://www.tandfonl[...]
2018-01-03
[73]
서적
広辞苑
[74]
서적
古語辞典
旺文社
[75]
서적
純潔の近代 近代家族と親密性の比較社会学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07-11-10
[76]
서적
純潔の近代 近代家族と親密性の比較社会学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07-11-10
[77]
서적
純潔の近代 近代家族と親密性の比較社会学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07-11-10
[78]
서적
愛と心理療法
創元社
[79]
웹사이트
φιλειν (philein)의 의미
[80]
웹사이트
ヘブライ語対訳英語聖書 「חסד」(he-sed)
http://biblesuite.co[...]
[81]
웹사이트
ヘブライ語対訳英語聖書 Leviticus 20:17
http://interlinearbi[...]
[82]
서적
新聖書辞典
いのちのことば社
[83]
웹사이트
ヘブライ語対訳英語聖書 Deuteronomy 7:8
http://interlinearbi[...]
[84]
웹사이트
ヘブライ語対訳英語聖書 Deuteronomy 4:37
http://interlinearbi[...]
[85]
웹사이트
ヘブライ語対訳英語聖書 2 Samel 1:26
http://interlinearbi[...]
[86]
웹사이트
ヘブライ語対訳英語聖書 Genesis 22:2
http://interlinearbi[...]
[87]
웹사이트
ヘブライ語対訳英語聖書 Deuteronomy 6:5
http://interlinearbi[...]
[88]
웹사이트
ヘブライ語対訳英語聖書 Leviticus 19:18
http://interlinearbi[...]
[89]
웹사이트
ヘブライ語対訳英語聖書 Deuteronomy 10:9
http://interlinearbi[...]
[90]
웹사이트
ヘブライ語対訳英語聖書 Exodus 20:6
http://interlinearbi[...]
[91]
웹사이트
ヘブライ語対訳英語聖書 Deuteronomy 5:10
http://interlinearbi[...]
[92]
서적
スッタニパータ ―仏教最古の世界
岩波書店
[93]
서적
ブッダのことば―スッタニパータ
岩波文庫
[94]
서적
哲学事典
平凡社
[95]
서적
恋ごころの科学
サイエンス社
1993-04-10
[96]
서적
恋ごころの科学
サイエンス社
1993-04-10
[97]
서적
文化人類学のレッスン フィールドからの出発
学陽書房
2005-04-11
[98]
서적
文化人類学のレッスン フィールドからの出発
学陽書房
2005-04-11
[99]
서적
文化人類学のレッスン フィールドからの出発
学陽書房
2005-04-11
[100]
서적
ライフコースとジェンダーで読む 家族 第3版
有斐閣
2013-12-15
[101]
서적
純潔の近代 近代家族と親密性の比較社会学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07-11-10
[102]
서적
純潔の近代 近代家族と親密性の比較社会学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07-11-10
[103]
서적
ライフコースとジェンダーで読む 家族 第3版
有斐閣
2013-12-15
[104]
서적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학지사
[105]
서적
바울
살림
[106]
서적
Human
Smithsonian Institution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